KR930006497B1 -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 Google Patents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97B1
KR930006497B1 KR1019890004743A KR890004743A KR930006497B1 KR 930006497 B1 KR930006497 B1 KR 930006497B1 KR 1019890004743 A KR1019890004743 A KR 1019890004743A KR 890004743 A KR890004743 A KR 890004743A KR 930006497 B1 KR930006497 B1 KR 93000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ewing
stopper
sewing machi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241A (ko
Inventor
리쓰 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뒬코프벨케 게엠베하
로탈 비트너르 및 로렌슈텐 레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뒬코프벨케 게엠베하, 로탈 비트너르 및 로렌슈텐 레에만 filed Critical 뒬코프벨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01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제1도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단순화된 정면도.
제2도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단순화된 배면도.
제3도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갖춘 구동장치의 단순화된 원리도.
제4도는 풋시케이지와 그의 주위의 사시도.
제5도는 절단 및 체부장치와 릴리스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의 상세한 측면도.
제7도는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이동장치의 저면도.
제8도는 풋시케이지를 제외한 실절단 및 체부장치의 사시도.
제9도는 리리스장치의 사시도.
제10도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가 "봉제개시"위치에 계류되고 있는 절단 위치를 통한 선 B-C에 따르는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따르는 위체에 있는 절환장치의 평면도.
제12도는 이동축 및 이것과 결합한 스톱퍼레버가 그의 죄단 위치에 있는 절완장치의 B-C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3도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대기"위치에 계류하고 있는 절환장치를 통하는 선 B-C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따르는 위치에 있는 절환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봉제개시의 마크를 갖추고 있는 제조된 단추구멍.
제16도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의 운동곡선을 보이는 도해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기 5 : 침봉
7 : 압압봉 14 : 종이동블럭
26 : 상부나이프 40 : 완충스톱퍼
58 : 릴리스장치 79 : 판
87 : 핀
이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하나의 단추구멍 재봉깅 관한 것이다. 스팃치군(stich 群)재봉기, 특히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갖출 단추구멍 재봉기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서독 국제 특허 명세서 2053339), 이것은 작업주기의 종단에서 바늘실을 절단하고 또 다음의 봉제의 개시시에 그 실의 바늘구멍으로 부터 빠져 나옴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바늘축의 실단부를 고정한다. 그밖에도 이 공지된 단추구멍 재봉기는 재봉바늘과 실절단 및 체부장치 사이에 하나의 하강 가능한 압하홀더를 가지며 이 압하 홀더는 재봉 바늘의 직접적인 부근에 적은 힘을 가지고 봉제물상으로 압압된다. 이것으로서 특히 큰 메리야스 제품에서는 봉제물이 이 방법에서 완전한 재봉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봉제개소의 직접의 범위내에서 압하가 유지된다. 실절단 및 체부장치는 바늘실의 절단 이외에 실단부가 생성된 지그자그 봉제에 의하여 다시 재봉되거나 내지 덮혀지도록 그렇게 단단히 지지된 바늘실 단부를 재봉바늘 앞에 가져오는 추가적인 과제를 갖는다. 제1단추구멍 가장자리를 위한 제1의 봉목의 봉체 동안에는 공지된 단추구멍 재봉기의 경우에 실절단 및 체부장치는 봉제 개시를 위하여 설절된 개소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으며, 한편 압압케이지는 종방향 스라이더와의 그 자체가 공지된 상호 작용에서 양쪽 사이에 끼워진 봉제물의 사이에 재봉 바늘의 방향으로 운반한다. 이 경우에 체부되어 유지된 바늘실 단부에는 지그자그 스팃치군의 수와 함께 실장력이 증대한다.
이로서 압하홀더가 들려지며 여기서 체부되게 유지된 바늘 실단부는 봉제 개소로부터 출발하여 상부를 향하여 실절단 및 체부장치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지난다. 그 결과로 제1단추구멍 재봉선의 이제 형성된 지그자그 스팃치군은 체부 유지된 바늘실 단부의 재봉하여 올라갈 때에 실로 상승하는 경향을 가지고 높이 당겨진다. 특정한 장소에서 실장력은 그러한 크기에 도달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이제까지 체부되게 유지된 바늘실 단부는 체부장치로부터 끌어내어진다. 이제 자유스러운 바늘실 단부에서 실장력이 0값으로까지 저하하며 이 시점부터는 편평하게 형성된 지그자그 스팃치를 가지는 표준적인 단추구멍 연부가 발생한다. 즉, 이 공지된 단추구멍 재봉기는 제1단추구멍 재봉선의 시초 범위에서는 높이 당겨지나, 그러나 다음에 계속되는 경과에서는 순서 바르게 그어진 지그자그 스팃치가 존재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의 결점은 단추구멍들의 품질에서 일반적으로 당업자에 있어서는 불만족한 것이다.
르개서 이 발명은 처음에 기재된 형식의 단추구멍 재봉기를 이 기계를 완전히 형성된 단추구멍들이 제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선하는 과제를 기초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의한 단추구멍 재봉기의 경우에 이 청구범위의 특징부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 발명에 따르는 단추구멍 재봉기는 제1의 단추구멍 재봉선의 시초범위에서 압압케이지와 동기적으로 재봉바늘의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는 하나의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갖는다. 이것으로 인하여는 체부되어 유지된 바늘실단부의 실장력이 구성되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이 발명의 대상은 실절단 및 체부장치가 미리 정해진 개소에서 자동적으로 열리고 그리고 이로서 거리서 체부되어 유지된 바늘실 단부가 해방되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 목적무르이 합리적인 구성은 종속항들에서(제2 내지 10항)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의 도움으로 설명된다.
제1도는 대체로 하나의 아암(2)과, 하나의 아암스탠드(3)와 그리고 하나의 기판(4)으로 되어 있는 오래전부터 공지된 단추구멍 재봉기(1)가 나타내어졌다. 아암(2)의 전방범위에는 특히 봉제물 이송방향(NV)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전동하고 있으며, 재봉바늘(6)을 수용하고 있으며 그리고 압축스프링(8)의 작용에 대항하여 위초 향하여 상승시킬 수 있는 하나의 압압봉(7)이 배열되어 있는 침봉(5)이 있다. 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풋쉬케이지(9)는 제4도에 의하면 재봉바늘(6)을 둘러싸며 그리고 공지된 방법으로 봉제물(10)이 재봉개소의 범위에 안전하게 고정되며 하나의 종방향 스라이더와 상호 작용하여 봉제물 이송 방향(NV)에서 재봉바늘(6)쪽으로 향하거나 또는 이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이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풋쉬케이지(9)는 케이지 안내레버(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케이지 안내레버는 하나의 회전중심(13)주위에서 선회 가능하게 종이동블럭914)과 연결되어 있다. 종이동 블럭(14)은 공지된 방법으로 기판(4)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 종이동블럭은 아암스탠드(3)에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캠전동장치에 의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구동된다. 압압봉(7)가 연결되어 있는 압압 피스톤(15)은 공지된 방법으로 압압 피스톤(15)에 장착된 로울러(16)를 거쳐서 풋시케이지(90 및 종방향 스라이더(11)가 -압축 스프링(8)의 작용에 의하여 기판(4)의 표면에 향하여 압압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케이지 안내레버(12)에 작용한다.
아암(2)에 서리된 2개으 축수부(17,17')에는 하나의 공지된 이동축(18)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이동축과는 하나의 요동아암(19)이 고착되어 있다. 이 요동아암(19)과 지지체(20)와는 관절점(21)를 거쳐서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지지체의 자유단에는 하나의 안내부분(22)이 하나의 포오크 형상체(23)를 갖추고 잇다.
압압피스톤(15)에는 제3도 및 제5도에 따라서 비스듬히 위를 향하여진 안내핀(24)이 압입되어져 있으며 이 안내핀은 공지된 방법으로 포오크 형상체(23)에 의하여 수취되어진다. 포오크 형상체(23)의 상면은 제5도에 의하면 이 경우에 안내핀(24)의 편에 향하여져 있다. 제3도에 의하면 하나의 나사(25)를 사용하여 실절단 및 체부(26)가 안내부분(22)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실절단 및 체부장치는 제6도에 따르면 하나의 정지상태의 하부나이프(27), 하나의 선회 가능한 상부나이프(28), 상부나이프 위에 놓여있는 실제부판(29)과 그리고 상부나이프(28)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구상핀(30)으로 되어 있다. 구상핀(30)은 편심으로 배열된 하나의 축부를 거쳐서 상부나이프(28)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구상핀(30)은 상부나이프(2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예를들어 실 절단 및 체부장치(26)는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지만 하부나이프(27)내에 압입되어진 지지핀(310을 거쳐서 실체부판(29)이 일시적으로 운동하는 상부나이프(28)에도 불구하고 정지상태에서 머무른다는 것이 언급하여질 것이다. 거기서 더 아래로 운동하는 스톱퍼 레버(32)는 납접에 의하여 이동축(18)과 고착되어 있다. 스톱퍼레버(32)에 설치된 지지노오스(nose, 前線))(33)은 공지된 방법으로 저지부(34)와 공동작동한다. 저지부는 공지하는 바와같이 아암스탠드(3)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하나의 스프링(34")에 당접한다.
이동축(18)의 일단에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하나의 회전 가능한 로울러(35)가 볼형상으로 만들어진 둘레를 가지고 있다. 이 로울러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캠(36)의 경사진 면이 당접하며 이 캠은 종방향 이동불럭(14)과 고착되어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이동축(18)은 압축스프링(37)의 작용에 대항하여 특정한 거리만을 공지된 방법으로 이동된다. 제3도 미 제7도에 의하면 하나의 인장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의 열단을 지지체(20)와 공지된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을 공지된 방법으로 현수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지지체(20)의 단부 위치 규제를 의하여 그리고 나사(30)에 의하여 위치 결정이 가능한 조정가능한 완충스톱퍼(40)가 이 완충스톱퍼는 가대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어 있으며 그래서 공지된 방법으로 고무 완충부(50)르 갖추고 있다. 완충기스톱퍼(40)이 조정 가능성은 완충스톱퍼를 수용하는 아암스탠드(3)내의 나사구멍이 이 구멍이 원래 필요한 것보다 더 깊게 만들어져 있는 것에 의하여 보증된다.
이미 말한 구성부품들의 운동 과정들과 상기 운동 경과의 발생은 오래전부터 다음의 공개성의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1. "DUERKOPP 556" 재봉사 및 기계기사을 위한 입문서",
발행 9/1984,
2. "부품목록 및 재봉설비 DUERKOPP 556", 발생 12/1982,
그래서 여기서는 상기의 운동과정의 상세한기재 그리고 이 운동경과를 행하게하는 구성부분들이 계속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다음에는 이 발명에 따르는 구조군 및 이구조군과 직접 상호 작용하고 있는 공지된 구성분을 기재한다.
이동장치(41)는 지지체(42)와 하나의 스라이딩핀(43)과 그리고 하난의 스톱퍼핀(44)으로 되어있다. 스톱퍼핀은 종방향 스라이더 블럭(14)에 존재하는 하나의 축수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스톱퍼핀(44)의 기능에 적합한 조정후에 이 스톱퍼핀은 공지된 방법으로 나사(46)에 위하여 위치가 결정된 개소에서 유지된다. 지지체(42)는 제3도 및 제7도에 의하면 일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핀(48)과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판(47)으로 되어있다. 그밖에도 판(47)에는 하나의 베어링붓슈(49)가 있으며 이 베어링붓슈의 양단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각각 하나씩의 시판의 합성수지의 층이 붙여진 스라이딩링이 압입되어 있다. 지지체(42)는 2개의 고정나사-그중에 하나는 훨씬 위에서 언급한 와충스톱퍼(40)임-를 사용하여 제2도 및 제7도에 따라서 아암스탠드(30)와 고착하고 있다. 베어링붓슈(49)에는 스라이딩핀(43)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라이딩핀의 일단과는 하나의 판(51)이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판은 간극(52)을 가지며 이 간극은 핀(48)을 둘러싸며 이것으로 인하여 판(51)과 스라링딩핀(43)이 회전이 안되는 위치에로 이동할 수가 있다. 스라이딩핀(43)의 타단에는 하나의 링(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링은 시판되는 고정환(54)에 의하여 그 자체가 공기된 방법으로 빠져나감이 방지된다. 베어링붓슈(49)이 외측 주위위에는 제7도에 따라서 링(53)과 판(47)사이에 존재하는 압축스프링(55)이 밀어 넣어져 있다. 나아가서 판에는 하나의 스톱퍼나사(56)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의 조절된 위치에 멈춤나사(57)에 의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고정되어있다.
라나의 릴리스장치(58)는 공지의 방법에서 하나의 훅크(61)가 나사핀(62)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비스듬히 향하여진 하나의 돌출부(60)를 가지는 하나의 축수판(59)과 그리고 돌출부(60)를 안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스톱퍼레버(63)로부터 되어 있다. 스톱퍼레버는 제9도에 따라서 부착보울트의 두부(65)가 돌기핀(64)의 대칭축을 지나고 있는 횡방향구멍(66)을 가지고 있는 그러한 돌기핀(64)와 하나의 나사핀(68)에 의하여 두부(65)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하나의 스라스트핀(67)으로 부터 되어 있다.하니의 면(69)과 두부(65)에 상응하는 환형면 사이에는 그 장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하나의 회전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 스프링의 일방의 각부(脚部)는 마찰적으로 그리고 운동불가능하게 돌출부(60)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 스프링에 의하여는 하나의 또 다른 각부의 단부(71)는 제9도에 따라서 스라스트핀(67)을 파지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스라스트핀 스톱퍼레버(63)의 휴지위치에 있어서 각부(72)에 대하여 지지한다. 돌기핀(64)의 자유단 위체 올려 놓여져 있는 조정링(73)은 돌출부(60)에 장착된 스톱퍼레버(63)의 저지되지 않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나사핀(74)에 의해서 돌기핀(64)위에 고정된다. 릴리스장치(58)는 2개의 나사(76)를 사용하여 압압피스톤(15)의 하나의 단부면(7)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하나의 절환장치(73)는 아암(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절환장치는 2개의 간격 스리브(8)와 2개의 나사(81)를 사용하여 아암(2)에 고정되어 있는 하나의 판(79)과, 2개의 스톱퍼핀(82,83) 그리고 이동축(18)에 고정되어 잇는 스톱퍼 레버(32)로부터 되어 있다.
스라스트핀(82)은 시판되는 스라이딩 붓슈를 거쳐서 스리브(84)내에 이동 가느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리브는 판(79)과 고착되어 있다, 압축스프링(86)은 스톱퍼핀(82)이 무부하상태에서 아암(2)에 압압된 핀(87)에 대하여 접촉하며 여기서 스톱퍼핀(82)의 단부면과 핀(87)의 단부면은 제3도에 의하면 약간 중첩되어 있다. 판(79)과 고착된 또 다른 스리브(89)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별도의 스리브 속으로는 이동축(18)이 압축스프링(37)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13도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진입한다.
제2의 스톱퍼핀(83)은 시판되는 스라이딩 붓슈를 거쳐서 하나의 또 다른 스리부(85)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리브는 제11도에 의하면 아암(2)내에 압입되어져 있다. 스리브(85)중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90)은 스톱퍼핀(83)이 무부화상태에서 판(79)중에 압압된 핀(88)에 향하여 돌출하여 접촉하도록 작용하고 이때에 스톱퍼핀(83)과 핀(88)의 단부면은 제3도에 의하면 약간 중첩하고 있다. 핀(87), (88)은 스톱퍼 레버(32)의 주위면(91)이 그의 선회하는 사이에 핀(87) (88)에 접촉하지 않는 (제3도, 제10도 및 제13도 참조)것과 같은 위치를 차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의한 단추구멍 재봉기그이 작동법을 기술한다.
제3도에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926)가 제15도로부터 분명한 단추구멍의 봉제개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를 접하며 그래서 특히 제1의 단추구멍재봉선(92)과 제2의 단추구멍재봉선(93)으로부터 된다. 봉재 개시위치의 시점에 바늘측의 실단부는 공지의 방법에서 상부나이프(28)와 실체부판(29)과의 사이에 제1의 지그재그스팃치의 사이에 유지된다(제4도 참조). 작업주기의 시초에 풋시케이지(9)는 공지된 바와같이 재봉바늘(6)의 방향으로 움직여지며, 여기서 이 운동은 동일한 방향에서 움직이고 있는 종방향 이동블럭(14)에 의하여 실현된다. 스톱퍼핀(44)은 마찰가지로 전에 말한 방향에서 움직이기 대문에 판(51)과 스라스트핀(43)은 상응한 압축 스프링(55)의 영향하에 방금 말한 종방향 이동블럭(14)의 운동에 따른다, 제3도 및 제7도에 의한 스라스트판(43)의 두부분 지지체(20)의 해당하는 모서리에 접하기 대문에 이 지지체도 역시 이것과 결합하고 있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를 포함해서 재봉바늘(6)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인장 스프링(38)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지체(20)의 상응하는 모서리가 완충스톱퍼(40)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그러한 방금 말한 지지체(20)의 운동에 의하여서 관절점들(21)과 요동아암(19)을 거쳐서 이동축(18)은 제3도에 따라서 스톱퍼 레버932)의 하나의 첫번째면(94)이 주행하는 스톱퍼핀(83)에 기대어서 접촉하기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6도에서 표시된 위치(Ⅱ)가 달성되며 이 위치는 전술한 바와같이 스톱퍼핀(83)에 접촉하는 면(94)에 의하여 그리고 압축스프링(55)의 스프링힘의 작용하에 구속되어지며 즉 지지체(20)는 순간적으로 재봉춤 이송방향(NV)에 평행한 방향의 그 이상의 운동을 실시할수가 없다.
제16도로부터 알수 있는 상(Ⅰ-Ⅱ)의 동안에 절단 및 체부장치(26)는 풋시케이지(9)와 동기적으로 움직이며 이것으로 인하여 바늘축으로 체부되어서 유지된 실단부는 제4도에 따라서 장력이 없이 유지되며 그리고 이로서 첫번째의 단추구멍 재봉선(92)의 첫번째 지그자그스팃치가 형성되며 그리고 편평하게 위치하는 단추구멍 재봉선(92)이 발생하도록 된다.
위치(Ⅱ)에의 도달 직전에 제3도, 제8도 및 제9도에 의한 구상핀(30)은 스라스트핀(67)에 향하여 이동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상부나이프(28)는 시계 바늘 방향으로 약간 선회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미리 공지된 방법으로 상부나이프(28)와 실체부판(29) 사이에 체부된 바늘실 단부가 해방되며 이 바늘실 단무는 이어서 쉬지않고 형성되는 단추구멍 재봉선(92)의 다음의 지그자그스팃치를 형성한다. 위치(Ⅱ)의 도달로 공지하는 바와같이 종방향 스라이더 블럭(14)과 고착 연결되어 있는 캠(36)의 경사면은 로울러(35)에 부딛치며 또 이것에 의하여 이동(18) 및 스톱퍼 레버(32)를 압축스프링(37)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상기의 이동의 동안에 면(94)은 스라스트 핀(83)에 따라서 미끌어지며 여기서 스톱퍼 레버(32)는 압축스프링(86)의 작용에 대항하여 스라스트핀(82)을 스리브(84)안으로 압압한다.(제12도 참조).
제12도에 의하면 가장크게 이동한 스톱퍼 레버(32)의 위치에서 이 스톱퍼 레버의 지지전연(33)은 저지부(34)의 자유단에 설치된 하나의 블럭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온다 이것으로 인하여 저지부(34)는 이완된 스프링(34')의 영향하에 저지부(34)가 스톱퍼(34")에 접하여 놓일때까지 시계바늘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제 제12도, 제13도에 의하면 스톱퍼 레버(32)옆에 존재하는 저지부(34)의 블럭은 스톱퍼 레버(32)의 순간적인 이동을 저지한다. 이동축(18)의 전술한 이동의 동안에 상부나이프(23)는 공지된 방법으로 추가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며 결과로 이제부트는 상부나이프(28)와 하부나이프(27)사이에 최대의 개구 각도가 존재하여진다.
-제16도에서 표시된 위치(Ⅲ)에 상응하는-전술한 밖으로 나온 스톱퍼 레버(32)의 위치에서 스톱퍼 레버의 면(94)은 스라스트 핀(83)으로부터 미끌어져 나오므로 그래서 지지체(20)의 전에 구속된 위치는 해방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압축스프링(55)는 제2위상(Ⅲ-Ⅳ)에서 추가적으로 이완되며 이것으로 인하여 스라스트핀(43)은 급격히 판(51)이 스톱퍼 나사(56)의 두부에 부딛쳐 접촉하기까지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한된 위치로 지지체(20)를 자져와진다.
-스톱퍼 레버(32)가 더 이상 스라스트핀(83)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으므로-지지체(20)의 방금 기술한, 충격적인 운동과 함게 동시에 스톱퍼 레버(32)는 시계 바늘 반대방향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이로서 압압된 스라스트핀(32)은 해방되며, 이 스라스트핀은 즉시 핀(87)에의 접촉 위치까지 이동된다(제13도 참조). 이완되고 있는 인장스프링(38)에 의하여 이제는 스톱퍼 레버(32)의 제2면(95)이 이동한 스라스트핀(82)에 접촉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제16도에서 알 수 있는 위치(Ⅳ)가 달성된다. 역시 대기위치(Ⅳ')로서 표시되는 상기의 구속된 위치에서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는 단추구멍이 완전히 완성될때까지의 동안에 정체한다. 이미 말한 대기위치(Ⅳ')는 공지하는 바와같이 상부-(28) 및 하부나이프(27)들이 개방된 즉 절단 준비가된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에 의하여 특징 지워진다.
대기위치(Ⅳ')에서 머무르고 잇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26)와는 무관하게 풋시케이지(9)는 단추구멍형(92)이 재봉완료되기까지의 동안에(제3도에서 폐쇄된 화살표로서 표시된) 전술한 방향에서 움직인다.
이제는 공지된 방법으로 해방 화살표의 방향(제3도 참조)으로 움직이는 풋시케이지(9)의 방향 변경이 행하여지며 여기서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제1단추구멍 패스(29)의 단부에서 고정스팃치는 만들어지며 그리고 이어서 제2의 단추구멍 재봉선(93)이 재봉된다. 이 경우에 자체가 지금 마찬가지로 해방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스라스트핀(44)이 판(51)에까지 이동하며 그리고 이 판을 제3도 및 제7도로부터 알수 있는 그의 단부 위치에 다시 가져오며 이 단부 위치에서 압축 스프링(55)은 다시 긴장된다. 이로서 이동동 장치(41)는 그의 불작동의 출발위치를 갖는다.
단추구멍의 사상(仕上)위치 후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풋시케이지(9)의 들어올림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상기의 들어올림 공정의 시초에 풋시케이지(9)가 들어올려지기전에 저지부(34)는 강제적으로 위를 향하여 선회된다. 이 저지부가 스톱퍼 레버(32)를 해방하면 이 스톱퍼 레버는 이완된 압축스프링(37)의 작용하에 제10도에서 표시된 위치를 차지하며, 여기서 스톱퍼 레버의 면(95)은 스라스트핀(82)을 따라서 미끌어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는 직선적으로 대기위치(Ⅳ')로 부터 절단위치(Ⅴ)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 바늘실은 단추구멍의 상부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절단되며 그리고 바늘축의 실부분은 상부나이프(28)와 실체부판(29) 사이에서 실이 간장되어서 유지된다.
상기의 시점에서 면(95)은 스라스트핀(82)으로부터 미끌어 나오며 이것으로 인하여 지지체(20)는 이제는 완된 인장스프링(38)의 작용하에 제3도에서 볼수 있는 이 지지체의 최초 위치로 가져와지고 이 위치에서 이 지지체는 완충스톱퍼(40)에 지지된다. 동시에 스톱퍼 레버(32)는 시계 바늘 방향에서 제3도에서 볼수 있는 위치에로 선회되며 여기서 저지부(34)는 다시 지지전연(33)위에 놓여진다. 지지체(20)의 운동에 의하여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는 위치(Ⅵ)에로 이송된다. 풋시케이지(9)의 전술한 들어올림의 경과에 있어서 공지된 방납에서 공지의 단추구멍 재봉기의 경우에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는 위치(Ⅵ)로부터 봉제개시에 상응하는 다음의 위치(Ⅰ)에 이송되며 이것으로 인하여 하나의 뒤따르는 작업주기를 위한 전체의 준비들이 완성된다.

Claims (10)

  1. 실절단 및 체부장치와, 봉제물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진동하며, 재봉바늘을 안내하는 하나의 침봉과, 그리고 대체로 2개의 단추구멍 재봉선으로 되어 있는 단추구멍의 재봉을 위하여 봉제물을 봉제물 이송방향에서 재봉 바늘쪽으로 또는 거기서 멀리 떨어지도록 반송하는 풋시케이지를 가지며, 여기서 실절단 및 체부일시적으로 봉제물 이송방향으로 그리고 봉제물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경과하는 운동들을 실시하며 그리고 여기서 또 실절단 및 체부장치는 바늘실이 단부를 파지하며 절단하고 그리고 다음의 봉제개시를 위한 바늘측의 실단부를 고정하는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실절단 및 체부장치(26)의 운동들은 하나의 동장치(41)와, 하나의 릴리스장치(58)와 그리고 하나의 절환장치(78)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영향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단추구멍 재봉선(92)을 재봉하는 동안에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26)의 시동된 이동장치(41)가 2개의 위상으로 분할되고 봉제물 이송방향(NV)에 대하여 평행하게 경과하며 그리고 재봉바늘쪽(6)으로 향하여진 운동들을 시키며 그래서 제2의 단추구멍 재봉선(93)의 재봉하는 동안에는 이동장치(41)는 다시 제1단추구멍 재봉선(2)의 봉제개시(Ⅰ)전에 이 이동 장치가 차지하고 있던 불작동의 출발 위치에 다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실절단 및 체부장치(26) 자체는 제1위상(Ⅰ-Ⅱ)에서 풋시케이지(9)와 동기적으로 운동하며 그리고 이 장치는 제2위상(Ⅲ-Ⅳ)의 끝에서 하나의 대기 위치(Ⅳ')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4. 제1항에 있어서, 릴리스장치(58)는 제1위상(Ⅰ-Ⅱ)의 대략끝을 향하여서 미리설정된 개소에서 실절단 및 체부장치(26)를 약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절환장치(76)는 작업 주기동안에 나타나는 실절단 및 체부장치(26)의 전체의 운동을 기능에 적합한 순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잇어서, 이동장치(31)는 하나의 지지체(42)와, 하나의 이동핀(43)과 그리고 하나의 공지된 종방향 이동블럭(14)의 축수부(45)에 나사 결합된 조정 가능한 스톱퍼핀(4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체(42)는 단추구멍재봉기(1)의 하나의 아암스탠드(3)에 고정된 하나의 판(47)을 가지며, 이 판에 일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하나의 핀(48)과 하나의 베어링 붓슈(49)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 붓슈에 장착된 스라스트핀(42)은 그 일단에서 이 스라이딩핀과 고착된 판(51)을 그리고 타단에서는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링(53)을 가지며, 베어링붓슈(49)위에 설치된 압축스프링(55)이 링(53)과 접합반(47)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판(51)에는 핀(48)을 파지하고 있는 하나의 간극(52)이 존재하며 그리고 이판(47) 중에는 조정 가능한 스톱퍼(56)와 조정 가능한 완충기 스톱퍼(40)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릴리스장치(58)는 경사지게 향하고 있는 하나의 돌출부(60)를 가지는 하나의 축수판(59)와 도출내에 설치된 조정 가능한 하나의 훅크(61)와 돌출부(60)에 있어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정가능한 스토퍼핀(67)을 가지는 스톱퍼 레버(63)를 가지며, 이 스톱퍼핀은 압축스프링(70)의 작용에 의하여 훅크(61)의 각부(72) 위에서 지지되며 그리고 릴리스장치(58)는 공지의 압압 피스톤(15)의 단부면(77)에 나사(7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절환장치(78)는 공지된 이동축(18)과 고착된 하나의 스톱퍼 레버(32)와, 단추구멍 재봉기(1)의 하나의 아암(2)의 외측에 미리 주어진 간격에서 고정된 하나의 판(79)과, 아암(2)내에 압입된 스리리브(85)에 의하여 압축스프링(90)의 작용에 대항하여 수축되는 하나의 스톱퍼핀(83)과 판(79)내에서 압입된 스리브(84)에 의하여 압축스프링(86)의 작용에 대항하여 수축되어지는 하나의 제2의 스톱퍼핀(82)과 그리고 아암스탠드(3)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지된 하나의 저지부(34)를 가지며 여기서 저지부는 스톱퍼 레버(32)의 위치 여하에 따라서 스톱퍼 레버상에 설치된 지지 전연(33)위에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10. 제9항에 있어서, 스톱퍼핀(82,83)의 대칭축선은 이동(18)의 대칭축선에 평행하게 향하고 있으며, 아암(2)에 제1의 핀(87)이 핀(87)의 그리고 이동하는 스톱퍼핀(82)의 전면들의 근소한 중첩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위치에 압입되며, 그래서 판(79)중에는 제2의 핀(88)이 핀(88)의 그리고 이동하는 스톱퍼핀(83)의 단부면들의 근소한 중첩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위치에로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KR1019890004743A 1988-04-12 1989-04-11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KR930006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12092.5 1988-04-12
DE3812092A DE3812092A1 (de) 1988-04-12 1988-04-12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trenn- und -klemm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241A KR890016241A (ko) 1989-11-28
KR930006497B1 true KR930006497B1 (ko) 1993-07-16

Family

ID=635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43A KR930006497B1 (ko) 1988-04-12 1989-04-11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19061A (ko)
JP (1) JP2705974B2 (ko)
KR (1) KR930006497B1 (ko)
DE (1) DE3812092A1 (ko)
IT (1) IT1229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065B2 (ja) * 1995-07-24 2005-07-13 ジューキ株式会社 押え切断装置
DE19722504C1 (de) * 1997-05-30 1998-09-03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DE10066311B4 (de) * 1999-12-16 2017-10-05 Juki Corp. Fadenschneider für eine Nähmaschine
JP4686025B2 (ja) * 1999-12-16 2011-05-1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616502B2 (ja) * 2001-04-16 2011-01-19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DE10136543C1 (de) * 2001-07-26 2002-07-18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CN102418245A (zh) * 2011-09-06 2012-04-18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抓线方法及抓线机构
CN105471191A (zh) * 2015-12-26 2016-04-06 山东中际电工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机用线圈末端线头抓取装置
PT3583261T (pt) * 2017-02-16 2023-03-13 Pfaff Ind Und Maschinen Gmbh Unidade de costura e método de costura para a produção de dardos
DE102017207627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Baugruppe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Soll-Nahtübersta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3559C3 (de) * 1970-10-31 1975-07-03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Stichgruppen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JPS5443936B2 (ko) * 1973-01-02 1979-12-22
DE8313114U1 (de) * 1983-05-04 1983-09-29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klemmvorrichtung fuer den nadelfa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9061A (en) 1990-04-24
DE3812092C2 (ko) 1991-10-02
KR890016241A (ko) 1989-11-28
JPH01313087A (ja) 1989-12-18
IT1229183B (it) 1991-07-23
JP2705974B2 (ja) 1998-01-28
DE3812092A1 (de) 1989-10-26
IT8920073A0 (it) 198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497B1 (ko) 실절단 및 체부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JPH0114311Y2 (ko)
US4284020A (en) Thread monitor for textile machines
JPH10287A (ja) カッタ付きミシン
US4159687A (en) Automatic guiding method for workpiece in sewing machine
US2507814A (en) Hand sewing machine
KR100876706B1 (ko) 테두리 장식용 재봉틀의 주머니 천 공급장치
US3125046A (en) Work- support table for button stitching machine
US3752097A (en) Fabric edge finishing machines
GB2060722A (en) A sewing machine
US4020776A (en) Feeding and cutting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US4909165A (en) Sewing machine for sewing a rubber strip
US6814018B1 (en) Automatic thread cutt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US4285291A (en) Needle guard for sewing machines
US5653187A (en) Upper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5044290A (en) Wiper unit of a sewing machine
JPH0596074A (ja) 縫製用アセンブラ・ミシンの順応式押え足
JPS638384Y2 (ko)
US4616582A (en) Work clamp for buttonhole sewing machines
JP4195532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US4790469A (en) Tape feed apparatus
US4165700A (en) Thread separating finger
JPH0616622Y2 (ja) 縁かがり縫ミシンの空環縫込装置
JPS631875B2 (ko)
JPH07308471A (ja) ミシンの加工布横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