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34B1 - 건식 면도기 - Google Patents
건식 면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3934B1 KR930003934B1 KR1019850002675A KR850002675A KR930003934B1 KR 930003934 B1 KR930003934 B1 KR 930003934B1 KR 1019850002675 A KR1019850002675 A KR 1019850002675A KR 850002675 A KR850002675 A KR 850002675A KR 930003934 B1 KR930003934 B1 KR 930003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frame
- end faces
- dry shaver
- spring
- cu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26B19/386—Means for attaching the head thereto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건식 면도기의 전단구역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2도는 보조 프레임, 전단헤드 프레임 및 면도기 케이싱의 상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체결위치에 있는 보조 프레임의 두개의 동일하게 설계되는 단부면들중의 하나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면도기 케이싱 또는 전단헤드 프레임의 두개의 동일하게 설계되는 단부칙들중의 하나를 관통한 종방향 단면도.
제4도는 계합수단이 이완핑거에 의해 장하되게 되는, 제3도와 유사한 종방향 단면도.
제5도는 조립램프의 계단형 릴리이프를 갖는 보조 프레임의 분해도.
제6도는 조립램프의 계단형 릴리이프를 가지면서 체결위치에 있게되는 보조 프레임의 동일하게 설계되는 두개의 단부면들중의 하나를 관통한 부분단면을 나타내는, 면도기 케이싱 또는 전단 헤드 프레임의 두개의 동일하게 설계되는 단부칙들중의 하나를 관통한 종방향 단면도.
제7도는 계합수단이 이완핑거에 의해 장하되면서 조립램프의 계단형 릴리이프를 갖게되는 제6도와 유사한 종방향 부분 단면도.
제8도는 계단형 릴리이프가 조립 램프내에 제공되게 되는 제7도와 유사한 종방향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부 커터 2 : 정부 커터
3 : 보조 프레임 4 : 케이싱
6 : 나선형 스프링 9, 10 : 단부 칙
11, 12 : 케이싱 단부면 14 : 횡방향 웨브
15 : 이완핑거 18 : 전단헤드 프레임
20 : 체결 요소 23, 24 : 단부면
30, 31 : 안내 레일 32 : 계합수단
33 : 조립램프 36 : 계단형 릴리이프
본 발명은 이동하는 저부 커터, 및 상기 저부 커터와 상호 작용하면서 단부면들에 스프링식 계합수단이 제공되게 되는 보조 프레임내에 유지되게 되는 정부 커터를 갖는 건식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의 케이싱 측면으로 부터 전단헤드 프레임내로 삽입되고 단부면들내에 쌍으로 배치되면서 전단 헤드 프레임의 단부 칙(cheek)들내의 대응적으로 형상되는 요구부들내에 계합되게 되는 스프링식 계합 아암들에 의해 유지되는 보조 프레임을 갖는 전단헤드 프레임은 일본국 Gbm 제 53-4030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전단헤드 프레임으로 부터 보조 프레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폭이 좁은 전단헤드 프레임을 파지하고 많은 힘을 적용시켜야만 보조 프레임을 분리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동작은, 작업상의 곤란함은 차치하고라도, 보조 프레임, 특히 그 전단호일을 손상시킬 위험성이 있게된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 28 57 468호에 공지된 전단헤드 프레임은 면도기의 케이싱 측면으로 부터 삽입될 수 있는 보조 프레임을 가지면서 플랜지가 제공되는데 동 플랜지상에는 전단헤드가 착지되면서 스프링식 계합아암 및 관련된 파지용 판이 보조 프레임의 각각의 단부면들의 구역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디자인에서, 보조 프레임은 파지용 판들에 의해 외부로 부터 전단헤드 프레임에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 체결된 배열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정도의 인장력들이 필요하게 된다. 전단헤드 프레임이 보조 프레임의 플랜지상에 착지되기 때문에, 보조 프레임의 설치크기는 전단헤드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전단헤드 프레임을 면도기 케이싱상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단헤드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은 수직방향 및 폭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임 및 전단호일에 대한 종국적인 재료 요구조건은 제조비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프레임이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되고, 특히 상기 보조 프레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인장력이 좀더 작게 요구되게 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이 체결위치에서 제거 방향으로 정착되고, 그리고 보조 프레임의 설치 크기가 최소화 되게되는, 저부 커터, 및 상기 저부 커터와 상호 작용하면서 단부면들에 스프링식 계합수단이 제공되게 되는 보조 프레임내에 유지되게 되는 정부 커터를 갖는 건식 면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전단헤드 프레임 또는 면도기 케이싱의 단부 칙들(end cheeks) 사이에 보조 프레임이 삽입되어 저부 커터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고, 조립램프(assembly ramp)를 갖는 스프링식 계합수단이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상에 제공되며, 상기 조립 램프를 경유하여 상기 계합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식 이완 핑거들이 상기 단부 칙들내에 배치되고, 보조 프레임의 상기 계합수단에 대한 정지구를 갖는 요구부가 상기 이완 핑거의 상부에서 각각의 단부 칙들 내에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전단헤드 프레임 또는 단부 칙들이 제공된 면도기 케이싱의 단부 칙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보조 프레임은 스프링 식으로 배치되는 이완 핑거를 상기 양 단부 칙들에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된다. 이완 과정중 상기 이완 핑거는 상기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내에 배치되는 스프링식 계합수단내에 제공되는 조립램프상에 작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조립램프의 경사는 상기 이완 핑거상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조립램프를 변위시켜 그에따라 상기 보조 프레임을 계합 범위로 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끔 설계된다.
그리고나서, 사용자는 단지 상기 단부 칙들로 부터 보조 프레임을 제거하기만 하면된다.
보조 프레임의 체결위치에서, 상기 저부 커터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보조 프레임내에 유지되는 정부 커터와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거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 력은 한편으로는 분리 과정이 끝난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제거를 도울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체결된 보조 프레임이, 스프링식 계합 수단에 의해, 단부 칙들내에 제거 방향으로 제공되는 요구부들의 홈벽들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보조 프레임이 저부 커터의 방향으로 전단헤드 프레임 또는 면도기 케이싱의 단부 칙들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프레임내에서 정부 커터를 수반하는 프레임이 저부 커터 연부 구역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보조 프레임의 설치크기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된다.
보조 프레임의 스프링식 계합수단을 위한 요구부들은 전단헤드 프레임(또는 면도기 케이싱)의 대응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단부 칙들의 내측면상에 제공되며 상기 요구부들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들로 구성되고 단부 칙의 극단을 향하여 배치되는 홈벽들은 계합수단을 경유한 보조 프레임의 정지구조를 형성한다.
보조 프레임의 삽입 및 제거는 단부 칙들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정부 커터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프레임내에서 둥근 형상으로 유지되고, 계합수단을 갖는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은 정부 커터의 곡률반경내로 깊이 돌출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식 계합수단은 노우즈(nose) 형상으로 되며 노우즈 단부들은 정부 커터를 향하여 위치되어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으로 부터 돌출되게 된다.
계합수단의 조립 램프들은 돌출되는 노우즈 단부들로 부터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을 향하여 경사적으로 연장되는 노우즈의 배면들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두개의 강성 안내 레일들은 바람직하게는 보조 프레임의 각각의 단부면들상에 제공되며 동 안내레일들은 단부 칙들내의 대응 안내홈들내에 계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프레임의 각각의 단부면내에 제공되는 스프링식 계합수단은 두개의 강성 안내레일들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거 방향에서 단부면들 사이에서의 보조 프레임의 활주경로의 길이는 계합수단의 조립 램프내에 제공되는 계단형 릴리이프에 의해 한정된다.
계합수단의 조립 램프들의 경사부로 부터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로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계단형 릴리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조립 램프들의 경사부로 부터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로의 전이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조립 램프들의 기울기(경사)를 중단시키는 계단형 릴리이프는 제거방향에서 보조 프레임의 활주경로를 급격히 종결시키게 된다. 조립 램프들과는 더이상 접촉되지 않으면서 여전히 특정 작동압력에 처하여지게 되는 이완 핑거들은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의 벽돌 또는 기복이 있는 릴리이프 벽돌(set-back relief walls)까지 계단형 릴리이프내로 급속히 도입되어 상기 벽돌상에 충돌하게 된다. 이완 핑거들의 보조 프레임에 대한 급격한 충돌은 사용자로 하여금 동 충돌을 지각하고 그 소리를 들을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완된 위치에서, 보조 프레임은, 계단형 릴리이프들내에 배치되는 이완 핑거들에 의해, 또는 이완 핑거들이 더이상 작동압력에 처하여지지 않을경우 완전히 하중이 제거되지 않게 되어 단부 칙들과 접촉하게 되는 계합수단에 의해, 단부 칙들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이와같이 됨으로써, 보조 프레임은 동 보조 프레임이 이완된 후에 단부 칙들로 부터 스프링식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에는 이동하는 저부 커터(1) 및 동 저부 커터의 상호 작용하면서 보조 프레임내에서 둥근형상으로 유지되게 되는 정부 커터(2)를 갖는 건식 면도기의 전단구역을 도시한다. 저부 커터(1)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건식 면도기의 케이싱(4)내에 배치되게 되는 모터로 부터 진동레버(5)를 경유하여, 왕복이동에 처하여지게 된다. 나선형 스프링(6)은 저부 커터(1)을 정부 커터(2)에 대해 공지된 방식으로 압압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단부 칙들(end cheeks)(9 및 10)은 케이싱(4)의 부분으로 된다. 상기 단부칙들(9 및 10)은 저부 커터(1)의 하방에서 케이싱(4)의 상부 케이싱벽(13)상에서 케이싱 단부벽들(11 및 12)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케이싱(4)의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는 보조 프레임(3) 및, 단부칙(10)은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며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서 체결된 상태로 위치되는 보조 프레임(3)을 도시한다.
단부 칙(10)을 관통한 상기 부분단면은 클립 연결체에 의해 단부 칙(10)내의 횡방향 웨브(14)에 고정되는 이완핑거를 도시하고, 상기 이완핑거는 단부 칙의 외형을 지나 밖으로 방출되는 돌출부(16) 및 저부 커터(1)을 향하여 위치되는 너브(knob)(17)을 갖는다. 보조 프레임(3)을 분리 및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 및 수단은 그 작동 모우드와 함께 제2도, 3도 및 4도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케이싱(4)상으로 압압되는 전단헤드 프레임(18)이 제공되고 보조 프레임(3)이 전단헤드 프레임의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서 케이싱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구별된다.
체결요소(20)은 양 단부 면들(19)에 위치되면서 압축스프링들에 의해 장하되어(loaded) 전단헤드 프레임(18)을 케이싱에 체결하게 된다. 보조 프레임(3)상의 대응 요구부들(8)내에 계합되는 돌출부들(7)은 케이싱(4)상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상에서 보조 프레임(3)을 센터링(centering)하게 된다.
전단헤드 프레임이 케이싱에 체결될 때, 전단헤드 프레임의 전방벽(21) 및 후방벽(22)는 케이싱(4)의 케이싱벽(13)의 높이에서 종결되게 된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3)을 수납 및 유지하는 단부 칙들(9 및 10)은 케이싱 벽(13)에 관하여 돌출되어 제1도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것과 대조되게 된다. 보조 프레임(3)의 두개의 단부면들(23 및 24)는 동일하게 설계된다. 또한 두개의 단부 칙들(9 및 10)도 동일하게 설계된다.
단부 칙(9)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25)는 상기 단부 칙(9)내에 제공되며 웨브(14)는 상기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횡단하여 형성된다. 이동자재한 스프링식 이완핑거(15)는 예컨대 클립 연결체에 의해 웨브(14)에 연결된다. 내측으로 접하는 노브(17)은 단부 칙의 극단을 향하여 접한 이완핑거(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7)은 노브(17) 상부의 단부 칙(9)의 내면(26)내에 마련되고, 보조 프레임(3)의 제거방향으로 배치되는 홈 벽(28)은 체결된 계합수단의 정지구조로서 작용한다.
보조 프레임(3)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들(30, 31)이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23, 24)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들은 단부 칙(9)내에 제공된 안내홈(29)내에 계합되면서 상기 안내홈(29)의 측벽들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홈의 하방 후방벽내에는 상기 개구부(25) 및 상기 홈(27)이 배치된다. 정부 커터(2)는 보조 프레임(3)내에서 둥근 형상으로 유지된다.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23 및 24)는 정부 커터(20)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윤곽을 가지며 상기 곡률반경으로 부터 하방으로 깊숙히 연장된다. 안내레일들(30 및 31)은 단부면(24)상에 형성된다. 조립램프(33)을 갖는 스프링식 계합수단(32)는 상기 두개의 안내레일들 사이에 제공된다. 계합수단(32)는 노우즈 형상으로 설계되고 조립램프(33)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노우즈의 배면(back)은 상기 단부면(24)로 부터 벗어나 제거방향으로 상승되게 된다. 노우즈의 배면으로 부터 상기 단부면(24)로의 복귀부(return)을 형성하는 벽(34)는 단부 칙(10)내의 홈(27)의 홈벽(28)에서 보조 프레임(3)에 대한 정지구로서 작용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들에 따라 보조 프레임(3)이 단부 칙들(9 및 10)사이로 삽입될 때, 안내레일들(30 및 31)은 상기 단부 칙들내에 제공된 안내홈(29)와 계합하게 된다. 상기 삽입과정중, 보조 프레임의 단부면들(23 및 24)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계합수단 (32)의) 조립램프들(33)은 단부 칙들(9 및 10)과 접촉하게 된다. 계합수딘(32)의 스프링 특성에 의해, 동 계합수단(32)는 조립램프(33)의 기울기에 따라 보조프레임(3)내로 압입된다. 보조 프레임이 단부 칙들의 극단을 통과한 후에, 안내홈(29)의 후방벽은 계합수단이 상기 홈들(27)내로 스프링식으로 계합될때까지 안내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계합수단(32)가 상기 홈(27)내로 스프링식으로 계합되기 직전에 보조 프레임(3)은 정부 커터(2)를 경유하여 나선형 스프링(6)의 압력에 대해 저부 커터(1)을 압축시켜, 계합수단(32)가 상기 홈들(27)내로 스프링식으로 계합된 후에 압축된 나선형 스프링(6)이 저부 커터(1) 및 정부 커터(2)를 경유하여 보조 프레임(3)을 압압하면서 홈들(27)내에 배치되는 계합수단(32)의 벽돌(34)을 안내벽돌(28)과 접촉하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보조 프레임(3)은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 정착되는 방식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단부 칙들(9 및 10)에 체결되게 된다.
면도기 케이싱(4) 또는 전단헤드 프레임(18)의 단부 칙들(9 및 10)에 체결된 보조 프레임(3)의 제거방법을 제3도 및 4도와 관련하여 이하에 상술한다.
제3도 및 4도의 단면도들에는 하우징(4)에 체결된 전단헤드(18)의 단부 칙(9)에 보조 프레임(3)이 체결되는 구역을 도시하며, 동 단면도들에서 체결요소들(20 및 35)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단부 칙(9)내에서 스프링식 계합수단(32)는 홈(27)내에 배치되며, 벽(34) 및 홈 벽(28)은 접촉을 유지한다. 조립램프(33)은 케이싱(4)의 케이싱 벽(13)의 방향에서 홈(27)로 부터 보조 프레임(3)의 기복 단부면(23)으로 연장된다.
단부 칙(9)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25)에는 횡방향 웨브(14)가 제공되고, 상기 웨브(14)에는 예컨대 클립 연결체에 의해, 스프링 재료로 구성되는, 이완핑거(15)가 부착된다. 상기 횡방향 웨브는 또한 이완핑거(15)의 회전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 자재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완핑거(15)는 개구부(25)내에서 상기 횡방향 웨브로 부터 단부 칙의 극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계합수단(32)의 조립램프(33)의 상부 구역에서 보조 프레임(3)을 향하여 위치되는 너브(17)에서 종결된다.
돌출부(16)에 의해 이완핑거(15)를 작동시키면 이완핑거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또는 동 이완핑거를 횡방향 웨브(1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조립램프(33)에 의해 스프링식 계합수단을 보조 프레임(3)내로 압축시켜 제4도로 부터 알수있는 바와같이 계합수단이 홈(27)과의 계합위치로 부터 이탈, 즉 체결위치로 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완핑거(15)를 더욱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분리된 계합수단(32), 및 조립램프(33)을 갖는 보조 프레임(3)이 너브상에서 활주되도록 하고 따라서 케이싱벽(13)으로 부터 상승되어 단부 칙들(9 및 10)으로 부터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이완된 보조 프레임(3)은 사용자에 의해 단부 칙들(9 및 10)으로 부터 제거되기만 하면된다. 이러한 과정은, 보조 프레임(3)의 체결 상태에서 나선 스프링(6)에 의한 정부 커터(2)상으로의 저부 커터(1)의 접촉압력이 보충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단부 칙(10), 및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24)는 전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5도, 6도 및 7도에 도시한 보조 프레임내에서, 조립램프(33)으로 부터 단부면(24)로의 전이부(transition)은 계단형 릴리이프(36)으로서 설계되고 동 계단형 릴리이프(36)은 제거방향에서 보조 프레임(3)의 활주경로를 한정한다.
(제거 방향에서) 조립램프(33) 상부를 통하여 보조 프레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거중 램프를 분리시키는 작동을 하는 이완핑거(15)는 조립램프의 단부를 통과한 후에 계단형 릴리이프(36)내로(손잡이(17)과 함께) 스프링잉 또는 회전되며 단부면(23)상에 충돌되게 된다. 조립램프(33)으로 부터 단부면(23)으로의 급격한 전이는 사용자에 의해 감각적으로 느껴질 수 있게되고, 단부면(23)상으로 이완핑거(15)가 충돌되는 소리가 경미한 정도로 들려진다.
상기한 바와 동일한 작동 모우드가 동일하게 설계되는 단부 칙(10) 및 단부면(24)의 경우에서도 발생된다.
전기한 바 있는 조립램프(33)으로 부터 단부면들(23 및 24)로의 급격한 전이는 보조 프레임의 이완과정 및 동 보조 프레임의 단부 칙들(9 및 10)사이에서의 활주경로를 종결시킨다.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및 24)상에 충돌되는 이완핑거(15)는 보조 프레임(3)의 활주이동을 정지시키고 사용자에 의한 제거를 위해 동 보조 프레임(3)을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 유지시킨다.
계단형 릴리이프(36)으로 부터 시작되는 조립램프(33)의 적당한 길이 및 기울기(경사도)는, 이완핑거들상의 작동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단부 칙둘내에 아직도 소량이 존재하게 되는 스프링 압력 때문에, 단부 칙들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는 계합수단(32)에 의해, 분리된 보조 프레임이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 유지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8도에서는 제6도 및 7도에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같은 보조 프레임(3)과 단부 칙(9)의 체결 구역을 도시하지만, 계단형 릴리이프(36)이 조립램프(33)의 경사로 내에 위치되게 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단부 칙들(9 및 10) 사이에서의 보조 프레임(3)의 활주경로의 길이는 계합수단(32)의 조립램프들(33)내에서 계단형 릴리이프들(36)을 적당히 배치시킴으로써 결정되며, 특별한 용도에 따라 체결된 보조 프레임(3)을 비체결(분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최소의 활주거리가 형성될 수 있게된다.
Claims (10)
- 이동하는 저부 커터, 및 상기 저부 커터와 상호작용하면서 단부면에 스프링식 계합수단이 제공되게 되는 보조 프레임내에 유지되는 정부 커터를 갖는 건식 면도기에 있어서,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24)상에 제공되면서 조립램프들(33)을 갖는 스프링식 계합수단(32), 상기 조립램프(33)을 통하여 상기 계합수단(32)를 작동시키게 되면서 단부 칙들(9, 10)내에 배치되게 되는 스프링식 이완핑거(15), 및 상기 계합수단(32)를 위한 정지구(28)을 가지면서 이완핑거들(15)의 상부에서 각각의 단부 칙들(9, 10)내에 제공되게 되는 요구부(27), 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3)은 전단헤드 프레임(18) 또는 면도기 케이싱(4)의 단부칙들(9, 10) 사이에서 삽입되어 상기 저부 커터(1)의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27)이 각각의 단부 칙(9, 10)의 내측면상에 배치되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구성되고, 단부 칙의 극단을 향하여 위치되는 홈벽(28)은 각각의 계합수단(32)를 통한 보조 프레임(3)의 정지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29)가 각각의 단부 칙들(9, 10)내에 제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에 있어서, 정부 커터(2)가 보조 프레임(3)내에서 둥근 형상으로 유지되고, 계합수단(32)를 갖는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24)는 정보 커터의 곡률반경을 지나 내측으로 연장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스프링식 계합수단(32)가 노우즈 형상으로 되며, 정부 커터(2)를 향하여 위치되는 노우즈 단부들은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24)로 부터 돌출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5항에 있어서, 계합수단(32)의 조립램프들(33)이 상기 돌출된 노우즈 단부로 부터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24)로 경사적으로 연장되게 되는 노우즈들의 배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4항에 있어서, 두개의 강성 안내레일들(30, 31)이 보조 프레임(3)의 각각의 단부면들(23, 24)내에 제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보조 프레임(3)의 각각의 단부면들(23, 24)내에 제공되는 스프링식 계합수단(32)가 상기 두개의 강성 안내레일들(30, 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들(23, 24) 사이에서의 보조 프레임(3)의 활주경로의 길이가, 제거방향에서, 계합수단(32)의 조립램프들(33)내에 제공되는 계단형 릴리이프에 의해 한정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 제9항에 있어서, 계합수단(32)의 조립램프(33)의 경사부로 부터 보조 프레임(3)의 단부면들(23, 24)로의 전이부가 계단형 릴리이프(36)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3415122A DE3415122C2 (de) | 1984-04-21 | 1984-04-21 | Trockenrasierapparat mit einschiebbarem Hilfsrahmen |
DEP3415122.2-15 | 1984-04-21 | ||
DE3437141A DE3437141C2 (de) | 1984-10-10 | 1984-10-10 | Trockenrasierapparat mit einschiebbarem Hilfsrahmen |
DEP3437141.9-15 | 1984-10-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7396A KR850007396A (ko) | 1985-12-04 |
KR930003934B1 true KR930003934B1 (ko) | 1993-05-17 |
Family
ID=2582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2675A KR930003934B1 (ko) | 1984-04-21 | 1985-04-20 | 건식 면도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0161508B1 (ko) |
KR (1) | KR930003934B1 (ko) |
BR (1) | BR8501890A (ko) |
DE (1) | DE3562331D1 (ko) |
HK (1) | HK99690A (ko) |
MX (1) | MX160929A (ko) |
SG (1) | SG83990G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8629679U1 (de) * | 1986-11-06 | 1988-03-10 |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Eindhoven | Trockenrasierapparat |
DE3702526A1 (de) * | 1987-01-28 | 1988-08-11 | Maxs Ag | Kunststoffrahmen mit eingebetteter scherfolie |
AT398719B (de) * | 1992-07-24 | 1995-01-25 | Philips Nv | Rasierapparat mit einem scherkopfrahmen und einem an diesem festhaltbaren folienrahmen |
DE19632333C1 (de) * | 1996-08-10 | 1997-06-05 | Braun Ag | Trockenrasierapparat |
DE19832475C1 (de) | 1998-07-20 | 2000-03-09 | Braun Gmbh | Trockenrasierapparat |
EP1013469B1 (en) | 1998-12-22 | 2006-08-16 | Fuji Photo Film Co., Ltd.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otosensitive lithographic printing plate |
CN114102680B (zh) * | 2021-11-12 | 2023-10-13 | 深圳市阿可美电器有限公司 | 一种带有接触面可调弧度的护理用剃须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ZA7440B (en) * | 1973-02-05 | 1974-11-27 | Schick Inc | Power shaver with drop-in replaceable stationary cutter foil assembly |
DE2843657A1 (de) * | 1978-10-06 | 1980-04-10 | Braun Ag | Trockenrasierapparat mit einem scherkopfrahmen und einem in diesen einsetzbaren hilfsrahmen |
-
1985
- 1985-04-15 EP EP85104534A patent/EP0161508B1/de not_active Expired
- 1985-04-15 DE DE8585104534T patent/DE3562331D1/de not_active Expired
- 1985-04-17 MX MX205003A patent/MX160929A/es unknown
- 1985-04-19 BR BR8501890A patent/BR8501890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04-20 KR KR1019850002675A patent/KR9300039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
- 1990-10-15 SG SG839/90A patent/SG83990G/en unknown
- 1990-11-29 HK HK996/90A patent/HK99690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160929A (es) | 1990-06-19 |
EP0161508B1 (de) | 1988-04-27 |
EP0161508A1 (de) | 1985-11-21 |
HK99690A (en) | 1990-12-07 |
SG83990G (en) | 1991-02-14 |
DE3562331D1 (en) | 1988-06-01 |
BR8501890A (pt) | 1985-12-24 |
KR850007396A (ko) | 1985-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242312C (en) | Columnless loading spring clip | |
KR930003934B1 (ko) | 건식 면도기 | |
EP0045139B1 (en) | A structure for preventing a sliding door for an automotive vehicle from moving vertically | |
US5666865A (en) | Fuse puller | |
JPH1066619A (ja) | コードロック | |
JPS62102780A (ja) | 刻み目の入つた締付けストリツプを締付けるために傾斜孔がついたスキ−靴用締付け装置 | |
EP0646507B2 (en) | Wiper blade assembly | |
CA1244639A (en) | Shaver with an auxiliary shear foil frame | |
US4266325A (en) | Safety belt for vehicles | |
JPH06859Y2 (ja) | 電気機器の取付装置 | |
KR900001468A (ko) | 면도날 유니트용 도너 시스템(donor system) | |
JPH10100841A (ja) | ガスバッグ・カバーの取付け装置 | |
KR890700087A (ko) | 시이트 벨트의 앵커장치 | |
US20200312745A1 (en) | Connector | |
JP3687307B2 (ja) | レール係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レール係合部材を用いた取付構造 | |
JPS6380784U (ko) | ||
RU2236960C2 (ru) | Замок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 |
JP2848246B2 (ja) | ヒューズ抜取治具 | |
US3032623A (en) | Snap-action switch | |
KR100191240B1 (ko) |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결구조 | |
JPH0922744A (ja) | 圧接コネクタ | |
JPS6246936B2 (ko) | ||
GB2211982A (en) | Cell holder | |
JPH07288916A (ja) | クリップ | |
GB2127627A (en) | Electrical compon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40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