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529Y1 - 안전페달 부착기구 - Google Patents
안전페달 부착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3529Y1 KR930003529Y1 KR2019900013970U KR900013970U KR930003529Y1 KR 930003529 Y1 KR930003529 Y1 KR 930003529Y1 KR 2019900013970 U KR2019900013970 U KR 2019900013970U KR 900013970 U KR900013970 U KR 900013970U KR 930003529 Y1 KR930003529 Y1 KR 9300035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 pedal
- lever
- screw
- foot ped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기존페달과 본원고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부착면과 발판면이 평행하지 않은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존페달 2 : 본원고안의 부착기구
3 : 레바 4,4′,4″ : 레바홈
5 : 판스프링 6 : 나사
7 : 라쳇트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의 안전개념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동차의 안전은 여러 가지 관점, 예를들면 자동차 프레임의 설계, 조향핸들의 꺽임, 구종의 강화등의 관점에서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의 개선은 자동차의 안전을 향상시키는게 크게 기여한다. 그러나 안전도의 개선은 통상 선진국의 안전도 시험을 통과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미국의 경우 미국인 성인남자의 95%체형(몸무게 74.5㎏)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선진국의 안전도 시험을 통과한 차량이라 하더라도 하지가 짧은 동양인 특히 동양 여성 운전자에게는 김각한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흔히 자동차의 좌석은 운전자의 체구 및 상황에 맞추어 좌석과 페달의 간격, 좌석의 각도등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좌석의 조절, 백미러의 조정에 의하여 체구가 비교적 작고 특히 하지가 짧은 동양인들도 알맞는 운전 자세가 되도록 의자를 조정할 수는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은 이러한 조정에 의하여 미국인 표준에 대한 안전도는 여지없이 허물어진다는 것이다.
자동차 설계시 착석기준점(Seating Reference Point)설정을 미국인 남자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신체와 다리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정지, 가속 및 변속 페달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운전자용 의자를 부족분만큼 정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그 결과로 정상운전 조작 상태에서 운전자의 상체부가 계기판 및 조향핸들(운전대)과의 거리가 안전 공간 확보에 부족하게 된다.
정면 충돌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착석위치가 뒤로 갈수록 보다 안전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실예로 안전벨트 착용 상태에서 정면 충돌시험(Front Barrier Crash Test, 48㎝/h)을 하게되면 충돌시 안전벨트가 작동[ELR(Emergency Locking Retracter)의 Sencing등]하는 시간과 공간이 부족하여 운전자의 머리 및 가슴부가 조향핸들, 계기판 및 전면 유리에 부딪히게 되어 충돌 안전지수(HIC: Head Injury Criteria)가 안전기준(HIC<1000)을 초과하게 된다(FMVSS 208, SAE Paper No. 840395등 참조).
이러한 배경에서 상기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운전자가 편안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 고안을 하게 되었다.
본원 고안은 운전자의 페달 조작이 원활하도록 적절한 두께를 가지며 기존 차종의 페달 형상에 맞추어 탈착이 원활한 부착기구이다.
기존의 페달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태로서 레바의 끝에 고정되어 있다. 본원 고안의 한 실시형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존 페달에 삽입되는 부분만큼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시에 레바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레바홈을 가진다. 레바홈은 안전페달 부착기구가 삽입시에 레바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레바홈을 가진다. 레바홈은 안전페달부착기구가 삽입되어 정위치되는 지점까지 부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양 방향에 착탈가능하도록 제2c도의 4″와 같이 개방홈도 가능하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원 고안에 의한 다른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2a도에는 자형 형태의 부착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ㄷ자형태 대신에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부착형태일 수도 있다.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면은 연결부분 또다른 면은 발판으로 되고 적절한 수의 연결봉으로 연결된 구조도 고려될 수 있다. 연결부분과 발판부분은 경우에 따라서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제2d도에는 거리요소를 다단적으로 가변형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중앙부분의 나사(6)를 회전시켜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쪽 측판은 나사(6)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쪽 측판은 나사(6)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조이거나, 나사(6)의 회전에 의해 나사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나사(6)를 회전시키면 나사 홈에 물려있거나 고정된 측판들이 피봇되어 페달 부착기구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제2c도 및 제2b도에는 자형의 연결부분이 기재되어 있으나 제1b도와 같은 포위형의 끼움식은 물론 제2b도의 5와 같이 판스프링의 형태를 가질수도 있다. 연결부분에는 부착기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쳇트 또는 체인기어 형태의 멈치구를 장착할 수있다.
또한 제3a도와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면과 발판면이 평행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은 운전자와 차 내부 전면과의 거리가 자동차 운전의 안정성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임을 깨닫고 페달에 거리 요소를 부가시킴으로서 안전성을 희생하지 않고 운전을 원활하게 한 것에 고안의 핵심이 있으며 본 고안의 실용신안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다.
Claims (1)
- 상하 평판과 서로에 대해서 피봇 연결된 분리된 양 측판의 중앙부분에서 일단은고정되고 일단은 움직이도록 끼워진 나사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아래 평판의 밑으로는 중공부분과 레바가 삽입되는 레바 홈이 형성되어 있어 두께조절 및 탈착 가능한 안전페달 부착기구(2-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3970U KR930003529Y1 (ko) | 1990-09-06 | 1990-09-06 | 안전페달 부착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3970U KR930003529Y1 (ko) | 1990-09-06 | 1990-09-06 | 안전페달 부착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6218U KR920006218U (ko) | 1992-04-21 |
KR930003529Y1 true KR930003529Y1 (ko) | 1993-06-19 |
Family
ID=1930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3970U KR930003529Y1 (ko) | 1990-09-06 | 1990-09-06 | 안전페달 부착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352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639B1 (ko) * | 2013-10-20 | 2015-06-03 | 최태성 | 차량용 브레이크 작동 보조 장치 |
-
1990
- 1990-09-06 KR KR2019900013970U patent/KR9300035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6218U (ko) | 1992-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3986Y1 (ko) |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 |
EP0775062B1 (en) | A child's seat for motor vehicles | |
US4147386A (en) | Motor vehicle seat | |
JPH04197847A (ja) | 車両用乗員拘束装置 | |
EP0868329B1 (en) | Arrangement for safety-belt | |
JP2003063293A (ja) |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 |
EP0331299B1 (en) | Child's safety seat | |
KR930003529Y1 (ko) | 안전페달 부착기구 | |
US2828806A (en) | Latchable tilting seat back | |
JPH08113067A (ja) | フットレスト付き車載用補助座席 | |
KR930005088Y1 (ko) | 자동차 충격시의 의자 안전장치 | |
KR0139483Y1 (ko) |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 |
KR0130281Y1 (ko) | 자동차의 시트구조 | |
SE428783B (sv) | Fordonssete, speciellt i motorfordon | |
KR100207780B1 (ko) | 자동차의 뒷좌석 안전보호대 | |
JPS6314690Y2 (ko) | ||
KR960009591Y1 (ko) | 자동차 의자의 고정장치 | |
JPH11199190A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0461148B1 (ko) |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 |
KR0184141B1 (ko) | 시트 안전 시스템 | |
KR930006396Y1 (ko) |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Head Rest) 이동장치 | |
KR0124366Y1 (ko) |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 |
DE19916812A1 (de) | Für ein Kraftfahrzeug bestimmte Sicherheitseinrichtung | |
JPH07323770A (ja) |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 |
KR200143796Y1 (ko) |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6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