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83Y1 -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83Y1
KR0139483Y1 KR2019960027731U KR19960027731U KR0139483Y1 KR 0139483 Y1 KR0139483 Y1 KR 0139483Y1 KR 2019960027731 U KR2019960027731 U KR 2019960027731U KR 19960027731 U KR19960027731 U KR 19960027731U KR 0139483 Y1 KR0139483 Y1 KR 0139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ront seat
seat
lock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127U (ko
Inventor
김승권
Original Assignee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27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60N2002/957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the locking system prevents an abnormal or wrong mounting situation, i.e. deployment or functioning of a seat part being prevented if the seat or seat part is not proper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석이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록킹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 충돌사고시에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는 록커의 회전으로부터 표시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접촉 스위치를 지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앞좌석이 록킹불량 상태이면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앞좌석이 정확하게 록킹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운행중 앞좌석의 유동을 방지하여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본 고안은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앞좌석이 확실하게 록킹(locking)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앞좌석의 유동으로 앞좌석 탑승자가 더 큰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좌석은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좌석의 위치와 형태 조정이 가능한 좌석과, 조정할 수 없는 좌석이 함께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대부분의 승용차의 경우는 운전석과 그 옆좌석인 조수석은 좌석의 위치와 형태가 조정 가능하고, 뒷좌석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조수석은 크래쉬 패드(crash pad)와의 거리, 등받이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운전석은 운전중에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각종 스위치, 페달 등을 조작 해야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좌석의 위치, 높이, 등받이의 각도 등 조수석보다는 다양한 조정기능을 갖게 된다.
자동차의 좌석은 이와 같은 편의성과 또한 안전성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뒷좌석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시에 유동하는 일이 없지만, 특히 앞좌석은 좌석의 전후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slider) 기구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충돌시 좌석의 앞뒤방향 유동으로 인한 탑승자의 상해가 커질 위험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앞좌석 슬라이더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걸림홈(1)과 레일(rail ; 2)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3, 3´)이 차내의 바닥에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3, 3´) 위에는 좌석(미도시)을 전후로 이송하기 위한 캐리어(4, 4´)가 설치되는데, 앞좌석의 슬라이더 기구는 좌우측 두 개의 지지 프레임(3, 3´)과 두 개의 캐리어(4, 4´)로 구성된다.
좌측의 캐리어(4)에는 좌석의 전후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5)가 일체되어 있는 샤프트(6)가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6)에는 레버(5)의 조작으로 걸림홈(1)에 삽입되어 좌석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커(locker : 7)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캐리어(4´)에 설치된 샤프트(6´)에 레버(5)가 없는 것이외에 좌우측의 지지 프레임(3, 3´)과 캐리어(4, 4´)의 구조는 동일하며, 좌측의 샤프트(6)의 회전력이 우측 샤프트(6´)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두 샤프트(6, 6´)는 와이어(8)로 연결되어 있다.
운전자가 좌석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좌측 캐리어(4)에 설치된 레버(5)를 a방향으로 당기면 샤프트(6)가 회전하면서, 샤프트(6)에 일체되어 있는 록커(7)는 b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 프레임(3)의 걸림홈(1)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샤프트(6)가 회전하면서 와이어(8)를 당겨 우측 캐리어(4´)의 샤프트(6´)를 회전시켜 우측 샤프트(6´)의 록커(7´)도 걸림홈(1´)에서 빠지게 된다.
양쪽의 록커(7, 7´)가 모두 빠진 상태에서, 운전자는 좌석에 앉은 채로 좌석을 이동시켜 적당한 위치에 맞춘 후, 레버(5)를 놓으면 비틀림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두 샤프트(6, 6´)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양측의 록커(7, 7´)가 동시에 각각 걸림홈(1, 1´)에 끼워져 좌석은 고정된다.
사용자가 좌석의 전후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레버(5)를 당긴 상태에서, 좌석을 이동시키고 레버(5)를 놓게 되는데, 사용자가 레버(5)를 놓았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7, 7´)가 걸림홈(1, 1´)에 끼워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커(7, 7´)가 걸림홈(1, 1´)에 록킹이 되지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도중에, 급정지를 하게 되면 관성때문에 좌석이 앞으로 유동하다 록커(7, 7´)가 걸림홈(1, 1´)에 갑자기 걸리게 되면 운전자가 앞으로 쏠리면서 균형을 잃어 오동작을 하여 사고가 발생 할 위험이 있으며, 충돌 사고시, 록커가 걸림홈에 걸리지 않아 캐리어가 레일을 미끄러지면서 앞좌석 탑승자가 더 크게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좌석이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록킹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 충돌사고시에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앞좌석 슬라이더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록커의 록킹불량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접촉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림홈2: 레일
3, 3 : 지지 프레임4, 4 : 캐리어
5 : 레버6, 6 : 샤프트
7, 7 : 록커8 : 와이어
9 : 접촉 스위치10 : 접촉부
11 : 작용부12 : 축
13 : 절연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는 록커의 회전으로부터 표시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접촉 스위치를 지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장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접촉 스위치(9)가 양측의 지지 프레임(3, 3´)에 각각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3, 3´)에는 접촉 스위치(9)의 접점역할을 하기 위한 접촉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록커(7, 7´)의 끝부분에 접촉 스위치(9)를 온오프하기 위한 작용부(11)가 형성되는 것이외에는 종래의 슬라이드 기구 구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위치(9)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ㄱ’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축(12)이 일체되어 있다.
축(12)의 양 끝은 두 지지 프레임(3, 3´)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삽입되는데, 축(12)과 구멍 사이의 절연을 위해 축(12)의 양 끝은 절연체(13)로 덮혀 있고, 축(12)은 부저와 램프등으로 구성된 표시장치(14)와 접속되어 있으며, 표시장치(14)는 배터리(B)의 양(+)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촉 스위치(9)와 록커(7, 7´)의 작용부(11) 사이의 절연을 위하여, 작용부(11)에서 접촉 스위치(9)와 접촉되는 면에는 절연체가 부착되어 있다.
앞좌석의 전후위치를 바꾸기 위해 레버(5)를 b방향으로 당기면, 샤프트(6, 6´)의 회전에 의하여 양측의 지지 프레임(3, 3´)의 걸림홈(1, 1´)에서 양측 샤프트(6, 6´)의 록커(7. 7´)가 동시에 빠지면서, 록커(7, 7´)의 끝부분에 형성된 작용부(11)가 접촉 스위치(9)로부터 이격되고, 접촉 스위치(9)는 비틀림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c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3, 3´)에 형성된 접촉부(10)에 접촉하게 된다.
배터리(B)의 음(-)의 단자로부터 접지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3, 3´)에 형성된 접촉부(10)와 접촉 스위치(9)의 접촉으로 표시장치(14)가 온된다.
이 상태에서 좌석을 적정위치에 맞춘 후, 레버(5)를 놓으면 양측의 샤프트(6)가 원위치되면서 록커(7, 7´)가 걸림홈(1, 1´)에 끼워지고, 또한 걸림홈(1, 1´)에 형성된 작용부(11)가 접촉 스위치(9)를 c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 스위치(9)와 접촉부(10)를 이격시킴으로써 표시장치(14)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오프 상태로된다.
이때, 레버(5)를 b방향으로 당겨 좌석의 전후위치를 맞춘 후, 레버(5)를 놓았을 때, 양측의 록커(7, 7´) 중에 하나, 또는 두 록커(7, 7´) 모두 걸림홈(1, 1´)에 록킹이 되지 않을 경우, 작용부(11)가 접촉 스위치(9)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표시장치(14)는 계속 온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버(5)를 당겼다가 놓았는대도 표시장치(5)가 계속 작동을 하면 록킹불량임을 인지하고, 다시 레버(5)를 조작하여 좌석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앞좌석이 록킹불량 상태이면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앞좌석이 정확하게 록킹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운행중 앞좌석의 유동을 방지하여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걸린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걸림홈에 삽탈착되는 록커를 구비한 캐리어로 구성된 슬라이더 기구가 장착되어 전후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록커의 상기 걸림홈에의 록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록커가 상기 걸림홈으로 이탈되어 있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좌석이 고정불량임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록커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는 접촉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KR2019960027731U 1996-08-31 1996-08-31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KR0139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731U KR0139483Y1 (ko) 1996-08-31 1996-08-31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731U KR0139483Y1 (ko) 1996-08-31 1996-08-31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127U KR19980014127U (ko) 1998-06-05
KR0139483Y1 true KR0139483Y1 (ko) 1999-04-01

Family

ID=1946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731U KR0139483Y1 (ko) 1996-08-31 1996-08-31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675B1 (ko) * 2020-10-27 2022-05-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백 고정해제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127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934A (en) Child seat attachment system
US5743554A (en) Airbag arrangement
JP3869857B2 (ja) セーフティベルト用構造
EP0508964B1 (en) A vehicle seat, particularly for cars
KR0139483Y1 (ko)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100314524B1 (ko) 차량의 회전식 시트 안전장치
JPH068761A (ja) シート構造体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JPH05300821A (ja) 自動車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3279137B2 (ja) 乗物用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JP2524255B2 (ja) エアバッグ装着座席のシ―トバック固定装置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JP291685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41901B1 (ko) 등받이시트의 각도조절용 리클라이닝 레버의 설치구조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14636Y1 (ko) 시트용 룸바서포트구조
JPH07101278A (ja) 車両用シート
KR920000994Y1 (ko) 전후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JPH06339417A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H0692167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9990049571A (ko) 자동차용 래치식 조수석 백시트 접힘장치
KR19980024381U (ko) 어린이 보호장치가 장착된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