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62B1 -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 Google Patents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62B1
KR930003262B1 KR1019880005275A KR880005275A KR930003262B1 KR 930003262 B1 KR930003262 B1 KR 930003262B1 KR 1019880005275 A KR1019880005275 A KR 1019880005275A KR 880005275 A KR880005275 A KR 880005275A KR 930003262 B1 KR930003262 B1 KR 93000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rack
lever
pinion
w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312A (ko
Inventor
마사유끼 후지모또
무네오 다오
구니아끼 우찌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150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60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27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5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27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6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595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5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595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38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346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5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824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592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제 1 도~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심지상하동기구와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의 요부단면사시도.
제 2 도는 동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점화전의 심지상하동기구의 측면도.
제 4 도는 점화후의 심지상하동기구의 측면도.
제 5 도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의 조작전의 요부단면측면도.
제 6 도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의 심지상동시의 요부단면측면도.
제 7 도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의 심지하동시의 요부단면측면도.
제 8 도는 심지상하동미세조절기구와 표시기구와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제 9 도는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작동시에 있어서의 심지상동조작시의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의 측면도.
제10(a)(b)도는 동 동작설명용의 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랙의 설명도.
제12도는 동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13도는 동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14도는 그 작용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7도, 제18도는 그 동작설명용의 측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석유연소기의 사시도.
제20도는 종래의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심지 (5) : 심지상하동기구
(6) : 심지상하동레버 (16) : 추
(19) : 긴급소화버튼 (19a) : 소화버튼지지축
(20) :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 (21) : 보조레버
(21a) : 조정레버 (23) : 랙
(23d) : 게이지돌기 (24) : 클러치기구
(27) : 심지상승용조작체 (28) : 심지하강용조작체
(32) : 심지상승용피니언 (34) : 심지하강용피니언
(36) : 심지상승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
(38) : 심지하강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
(58) : 조작체
본 발명은 심지를 상하동시켜서 연소량을 조절하는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석유연소기는 심지를 상하동시켜서 연소 및 소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고, 그 심지의 상하동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101)에 핀(102)를 개재해서 연계(連係)시킨 레버(103)를 상하동시킴으로써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도면에서(104)는 레버(103)의 회전지지점, (105)는 연료탱크, (106)은 심지안내통, (107)은 심지외통, (108)은 연소통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석유연소기는 최근, 소형화되어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레버(103)의 회전지지점(104)으로부터의 거리(ℓ)도 짧아지고 있다. 그리고, 레버(103)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심지(101)를 크게 및 작게 상하동시켜서 연소량을 많고 적게 조절하나, 상기 레버(103)의 수동조작시에 있어서의 조작시마다 규제가 없기 때문에, 심지를 약간 상하동시켜서 연소량을 미세하게 조절할려고 하였을 경우, 도를 넘게 되어 미세조절이 매우 곤란하여 사용이 불편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제 1 의 목적은 심지상하동기구에 의한 연소량조절과는 별도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를 사용하여 미세하게 심지를 상하동시켜 연소량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를 조작하고 있을때 이외는 심지상하동기구와 연계하지 않도록 하여, 심지상하동기구에 의한 심지의 하강으로 소화를 행하는 것은 물론,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의 작동이라도 심지를 하강시켜 안전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정상 연소범위에 있어서만 심지상하동 미세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기가스특성이 양호한 범위에서만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심지상하동 조절기구에 의한 심지의 상승, 하강의 어느 경우에도 조작력을 같게 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 1 도~제19도를 사용해서 설혐한다.
먼저, 제 3 도, 제 4 도에 있어서, (1)은 심지안내통, (2)는 심지안내통(1)의 외주에 간극을 두고 설치한 심지외통, (3)은 심지안내통(1)과 심지외통(2)과의 사이에서 상하동가능하게 설치된 심지, (4)는 심지(3)로부터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이다.
다음에 상기 심지(3)를 상하동시키는 수동조작의 심지상하동기구(5)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제 3 도, 제 4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6)은 상기 심지(3)를 상하동 시키는 심지상하동레베로서, 심지상하동기판(7)에 핀(8)(제 1 도 참조)에 의해서 그 도중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심지상하동레버(6)는 그 선단부에 절결홈(6a)을 형성하고, 심지(3)를 상하동시키는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춤시켜 이 레버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심지(3)를 상하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9)는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와 함께 핀(8)에 의해서 심지상하동기판(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점화레버로서, 그 일단부(9a)에 의해서 점화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심지(3)를 점화하도록 되어 있고, 점화동작 후는 자동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10)는 이 점화레버(9)와 마찬가지로 심지 상하동레버(6)와 함께 핀(8)에 의해서 심지 상하동기판(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심지 상하동판으로서, 심지상하동레버(6)에 설치된 돌출편(도시하지 않음)이 그 상단 가장자리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11)은 상기 심지상하동판(10)을 제 3 도 화살표 A(심지하강위치)방향으로 가압하는(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서, 심지상하동판(10)의 단부와 심지상하동기판(7)과의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12)는 상기 심지상하동판(10)을 상부위치(심지상승위치)에 유지하는 록크판으로서, 핀(12a)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록크판(12)에는 심지상하동판(10)에 설치한 핀(13)이 끼워지는 길다란구멍(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길다란 구멍(14)의 종단부의 걸림부(14a)를 형성해서 상기 핀(13)을 걸도록 되어 있다. 즉 심지상하동레버(6)을 제 3 도의 화살표 B와 같이 밀어내리면(심지상승방향), 심지상하동레버(6)에 설치된 돌출편이 심지상하동판(10)의 상단가장자리에 걸려 이것을 아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 심지상하동판(10)의 핀(13)이 길다란 구멍(14)을 따라서 하강하여 그 길다란 구멍(14)의 종단에 왔을때 록크판(12)이 판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 4 도의 화살표 C와 같이 회전하여 상기 핀(13)이 걸림부(14a)에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심지상하동판(10)은 스프링(11)의 가압력에도 관계없이 그 위치에서 록크되도록 된다. (15)는 록크판(12)에 부착된 판스프링, (16)은 이판스프링(15)에 체인(17)을 개재해서 연계(連係)시킨 진동소화용의 추로서, 심지상하동기판(7)에 설치된 받침대(18)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추(16)는 지진이 있으면 요동하여 체인(17)을 개재해서 판스프링(15)즉 록크판(12)을 화살표 C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길다란 구멍(14)의 걸림부(14a)로부터 핀(13)이 이탈하고, 스프링(11)의 가압력에 의해서 심지상하동판(10)이 상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심지상하동판(10)은 그 하단가장자리에 설치된 돌출편(도시하지 않음)이 심지상하동레버(6)의 하단가장자리에 걸려 이것을 밀어올려(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심지(3)가 하강해서 소화한다. 이때 상부위치까지 복귀한핀(13)이 판스프링(15)을 눌러서 체인(17)을 잡아 당겨 쓰러져 있는 추(16)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19)는 긴급소화 버튼으로서 소화버튼지지축(19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추(16)와 마찬가지로 록크판(12)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도, 제 2 도, 제 5 도~제 7 도를 사용해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를 설명한다. 먼저(21)은 대체로~형상의 보조레버로서, 일단부를 심지상하동레버(6)에 나사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핀(8)과 동심축관계에 있는 보조레베지지축(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중에는 랙(23)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보조레버(21)는 심지상하동레버(6)의 회전운동에 연계해서 마찬가지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고, 보조레버(21)에 부착된 랙(23)도 마찬가지로 회전운동을 한다. (25)는 베이스체로서, 상기 심지상하동기판(7)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체(25)는 심지상승용지지축(26a)과 심지하강용지지축(26b)을 가진다. (27)은 심지상승용조작체로서, 받침부(27a)가 상기 베이스체(25)에 형성된 심지상승용지지축(26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28)은 심지하강용 조작체로서, 그 받침부(28a)가 심지상승용조작체(27)와 마찬가지로 심지하강용 지지축(26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29)는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 (30)은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이며,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는 상기 베이스체(25)에 형성된 받침부(31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는 받침부(31b)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32)는 상기 랙(23)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심지상승용 피니언으로서, 상기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에 지지축(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34)는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마찬가지로 랙(23)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심지하강용 피니언으로써, 상기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에 지지축(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36)은 심지상승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으로서, 베이스체(25)에 형성된 스프링지지축(37a)에 장착되며 일단부를 지지축(33)에 접촉시키고, 타단부를 베이스체(25)의 스프링받침대(38a)에 걸어 맞추게 하고 있다. (38)은 심지하강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으로서, 스프링지지축(37b)에 장착하여 일단부를 지지축(35)에 접촉시키고 타단부를 스프링방침대(38b)에 걸어 맞추게하고 있다. (39)는 지지축(33)에 장착된 심지상승용 피니언복귀스프링으로서, 일단부를 심지상승용슬라이드체(29)에 접촉시키고, 타단부를 심지상승용피니언(32)에 걸어 맞추게하고 있다.
(40)은 지지축(35)에 장착된 심지하강용 피니언복귀스프링으로서, 일단부를 심지 하강용 슬라이드체(30)에 접촉시키고, 타단부를 심지하강용피니언(34)에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심지상승,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29)(30), 지지축(33),(35), 심지상승, 심지하강용피니언(32)(34), 심지상승, 심지하강용 슬라이드복귀 스프링(36),(38), 상지상승, 심지하강용 피니언 복귀스프링(39),(40), 랙(23)에 의하여 클러치기구(24)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 1 도, 제 8 도를 사용해서 상기 심지상하동기구(5),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의 반대쪽에 설치된 연소량의 표시기구(41)를 설명한다. (6c)는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에 설치된 조작아암으로서, 예를들면 전자흡취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통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스위치(42)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43)은 상기 베이스체(25)의 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표시레버로서, 일단부는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의 조작아암(6c)의 하단부에 대향하도록 베치되고, 다른 일단부는 안내판(44)과 베이스체(25)와의 사이를 상하동하는 표시체(45)에 걸어 맞춤레버(45a)를 개재해서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 (46)은 상기 표시체(45)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47)은 상기 베이스체(25)에 형성된 표시창이다.
다음에 상기와같이 구성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에 대해선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 제 3 도의 사용전의 상태로부터 심지상하동레버(6)를 밀어내리면,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3)가 연소위치까지 상승함과 동세에 점화레버(9)를 개재해서 점화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하여 상기 심지(3)를 점화시킨다. 그리고 점화레버(9)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심지상하동레버(6)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보조레버(21)도 심지상하동레버(6)와 마찬가지로 회전운동을 행하고, 상기 보조레버(21)에 부착된 랙(23)은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의 심지상승, 하강용피니언(32)(34)과 서로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랙(23)은 심지상하동레버(6)와 마찬가지로 회전한 심지상하동판(10)의 핀(13)이 길다란 구멍(14)의 걸림부(14a)에 걸려지게 되므로,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 이때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아암(6c)이 표시레버(43)의 접촉부(43a)에 접촉해서 이것을 회전시켜, 표시체(45)가 표시창(47)의 상단부까지 최대로 상승해서 연소량이 최대인 것을 표시한다.
이상과같이 해서 심지상승 및 점화동작이 완료된다. 연소가 시작되면연소량의 조절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의 상하동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나,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를 조작하는 연소량의 조절에 대해서 제 5 도~제 7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3)가 연소위치에 세트되면 상기 랙(23)은 상술한 바와같이 심지상승용 피니언(32)과 심지하강용피니언(34)에 마주보는 위치에 세트된다. 연소량을 축소할 경우에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체(25)에 설치된 심지하강용 조작체(28)를 화살표(Sa)방향으로 누르면 접촉면(28b)이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의 돌출편(30a)을 눌러밀고,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는 베이스체(25)에 형성된 받침부(31b)내를 화살표(Fa)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아가고,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하강용피니언(34)은 통상은 비연계상태에 있는 랙(23)에 걸어맞춤해서 그대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여 랙(23)을 화살표(E)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결과, 상기 랙(23)이 부착되어 있는 보조레버(21)를 개재해서 심지상하동레버(6)도 또한 화살표(E)방향으로 밀어올려지므로서 그에 따라 심지(3)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심지하강용 조작체(28)를 1회 누르면 심지하강용피니언(34)이 랙(23)의 톱니를 1개만 이송하도록한 치수관계로 되어 있다. 심지하강용피니언(34)이 랙(23)의 톱니를 1개 이송하는 것이 종료하면,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는 지지축(35)에 접촉하고 있는 심지하강용 슬라이드 복귀스프링(38)의 가압력(스프링력)에 의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심지하강용조작체(28) 및 심지하강용 피니언(34)도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심지하강용 피니언(34)과 랙(23)의 맞물림이 해게된다. 즉, 심지상하동기구(5)의 심지상하동레버(6)와의 연계가 차단되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조작에 의하여 심지(3)를 미세하게 하강시켜 조금씩 연소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연소량 표시기구(41)는 심지상하동레버(6), 조작아암(6c), 표시레버(43)를 개재해서 표시체(45)를 하강시키고 그때의 연소량을 표시한다. 다음에 연소량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심지상승용 조작체(27)를 조작하면 된다. 즉,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상승용조작체(27)를 화살표(Sb)방향으로 조작하면, 접촉편(27b)이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의 돌출편(29a)을 누르고,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는 베이스체(25)에 형성된 받침부(31a)내를 화살표(Fb)와 같이 슬라이딩하여 나아가고,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상승용피니언(32)이 통상은 비연계상태에 있는 랙(23)에 걸어맞춤하여 그대로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하여, 랙(23)은 화살표(J)방향으로 밀어내린다. 즉, 심지상하동기구(6)를 화살표(J)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심지(3)가 상승하게 된다. 또 표시체(45)도 표시레버(43)를 개재해서 상승되어, 그때의 연소량을 표시한다. 이때, 심지하강시와 마찬가지로 심지상승용 조작체(27)를 1회 누르면,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은 랙(23)의 톱니를 1개만 이송하도록 하는 치수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이 랙(23)의 톱니를 1개이송 종료하면,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는 지지축(33)에 접촉되어 있는 심지상승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본래의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심지상승용조작체(27) 및 심지상승용 피니언(32)도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랙(23)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다음에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에 의하여 심지상승, 심지하강조작을 행하고 있는 중에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의 진동소화용의 추(16)가 요동하였을 경우를 제 9 도, 제10(a)(b)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심지상승조작을 행하고 있는 중에 진동소화용의 추(16)가 요동하였을 경우는 제 9 도에 도시한다. 추(16)가 요동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록크판(12)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14)의 걸림부(14a)로부터 심지상하동판(10)에 설치된 핀(13)이 이탈하여 화살표(P)방향으로 이탈됨으로써 심지상하동판(10)와 이것에 연계되어 있는 심지상하동레버(6)는 상향(심지하강방향)으로 회전할려고 한다. 즉 심지상하동레버(6)가 상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조레버(21)의 랙(23)도 화살표(Q)방향으로 회전할려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랙(23)과 심지상승용피니언(32)은 맞물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은 랙(23)이 상향으로 회전할려고 하는 것을 정지시킬려고 한다. 지금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의 톱니선단 테이퍼부(32a)의 하부편형상이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체로 수평상태에 있을 경우, 랙(23)의 상향으로 회전할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심지상승용피니언(32)에는 수직방향의 힘(Z)만이 작용함으로써,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랙(23)의 맞물림은 해제되지 않는다. 즉, 심지상하동레버는 상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연소시에 사용자가 심지상승조작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추(16)가 요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랙(23)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아 심지상하동레버(6)가 상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 즉 심지(3)가 하강할 수 없게 되면, 그대로의 상태에서 연소가 계속되게 되어 사용자는 전혀 소화수단을 잃어버려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품에서는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의 하부면 형상은 상향으로 경사되어서 톱니선단 테이퍼부(32a)로하고 있으므로, 피니언(32)과 랙(23)이 맞물린 상태에 있어도 랙(23)이 화살표(Q)방향으로 회전할려고 함으로써, 심지상승용피니언(32)의 톱니선단테이퍼부(32a)에는 힘(W)이 작용하고, 심지상승용 피니언(32)에는 수직성분의 힘(W1)과 랙(23)에 이탈방향의 분력(W2)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랙(23)은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의 톱니선단 테이퍼부(32a)위를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어 양자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심지(3)는 하강하여 소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추(16)가 요동하였을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심지상승조작중에 잘못으로 소화버튼을 작동시켰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심지하강조작시에 지진에 대한 소화기구의 진동소화용의 추(16)가 요동하였을 경우는, 상술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랙(23)의 회전방향(심지하강방향)이 화살표(E)방향에 대하여,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의 회전운동방향의 화살표(D)방향이기 때문에 이것은 랙(23)에 대하여,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랙(23)은 용이하게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을 화살표(D)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켜, 테이퍼부(34a)위를 슬라이딩시켜서 심지(3)를 자유롭게 하강할 수 있다.
이상과같이 이 연소기에서는 심지상하동기구(5)에 의한 연소량의 조절과 심지 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에 의한 미세한 연소량의 조절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조절상태를 표시체(45)에 의해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심지상하동기구(5)와 심지상하동미세조절기구(20)는 통상 비연계상태에 있으므로, 심지상하동기구에 의하여 자유롭게 심지(3)를 낮추어서 소화할 수 있다. 또 이 미세조절중에 지진등이 발생하면, 전동에 대한 소화기구와 작동해서 확실하게 심지를 하강시켜서 소화시킬 수 있다.
또, 이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에서는 심지상승, 심지하강용 피니언(32)(34)과 마주보도록 세트되는 랙(23)은 심지상하동스트로우크의 전체영역이 아닌 일부, 즉 연소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범위내, 예를들면 배기가스특성(Co/Co2)이 규격내에 들어가는 범위내에만 위치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즉 랙(23)의 최하단의 톱니(23a)의 위치는 상기 심지(3)가 정상 연소를 행할 수 있는 높이 이상으로는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이 랙(23)의 톱니를 이송할 수 없는 위치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랙(23)의 최상단의 톱니(23b)의 위치는 상기 심지(3)가 정상연소를 행하는 높이이상으로는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의 랙(23)의 톱니를 이송할 수 없는 위치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심지상승용, 심지하강용조작체(27)(28)의 조작을 수회 반복해서 심지상승, 심지하강용 피니언(32)(34)이 최하단의 톱니(23a)혹은 최상단의 톱니(23b)를 이송하면 그 이상, 심지(3)를 상하동시킬 수 없게 되어, 안심해서 연소량의 미세조절을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를 조작해서 심지(3)를 상하동시킬 경우, 심지(3)를 상승시킬때에는 제 5 도~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항상 심지(3)의 자체하중(Wa)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심지(3)를 하강시킬때 보다도 큰힘으로 심지상승용 조작체(27)를 누를 필요가 있다. 반대로, 심지하강시에는 항상 심지(3)의 자체하중(Wa)이 심지하강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심지하강용조작체(28)를 누르는 힘은 심지상승시에 비해서 적어도 된다. 그와같이 하였을 경우에 심지상승용 조작체(27)와 심지하강용조작체(28)를 누르는 감촉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여 조작감이 나쁘다. 그러나, 상기 심지상승용 슬라이드 복귀스프링(36)(제 2 도 참조)의 하중은 심지하강용 슬라이드복귀스프링(38)보다도 가볍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심지상승시에 심지상승용 조작체(27)를 누르는 힘과 심지하강시에 심지하강용 조작체(28)를 누르는 힘은 대체로 같아지며, 조작감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11도는 상기 각 조작체(27),(28)의 조작감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한 개량안을 도시한다. 즉,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도 이 심지상하동 미세조정기구(20)는 랙(23)을 1피치마다 상승시킴에 따라서 심지(3)를 상승시키는 힘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상하동레버(6), 보조레버(21), 랙(23)의 백래쉬가 화살표(L)방향으로 발생하여, 소정의 랙(23)의 톱니피치로는 심지상승용 피니언(32)으로 회전하여도 백래쉬분에 의하여 소정의 이송량이 부족하여 다음 조작의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의 랙(23)에의 걸어맞춤이 부족하거나, 랙(23)의 톱니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확실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을 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랙(23)의 적어도 상부쪽단부의 톱니피치(p2)는 백래쉬분을 예상하여 그 이외의 톱니피치(p1)보다 작게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같은 현상이 없어져서 최후까지 확실하고 같은 감각으로 미세조절을 행할 수 있게된다.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랙을 도시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랙(23)의 최상단의 톱니(23b)의 상부에 톱니제거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심지상승용조작체(27)의 조작에 의해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은 톱니제거부(23c)직전의 최상단의 톱니(23b)의 곳까지가 되며, 랙(23)의 톱니를 제거한 부분만큼 심지상승용 조작체(27)에 의해서 상승시킬 심지의 상승위치는 심지상하동레버(6)를 상승시킨 심지의 상승위치보다도 낮아진다. 그 때문에 최소연소위치로부터 연속해서 심지를 최고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연소량 조절을 행해도, 그때의 심지(3)의 높이는 약간 낮게 위지되므로 큰 불꽃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져서 안심하게 미세조절을 할 수 있다.
제13도, 제14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랙(23)과 심지상승, 심지하강용피니언(32)(34)과의 위치관계를 용이하게 소정관계로 세트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즉, 동도면에 있어서 보조레버(21)에는 화살표(X)·(Y)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조정레버(21a)를 나사(48)고정함과 동시에, 이 조정레버(21a)에 랙(23)을 부착하고 또한 이 랙(23)의 상단부에 게이지돌기(2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먼저 보조레버(21)에 조정레버(21a)를 나사(48)로 임시로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랙(23)의 상단부에 형성한 게이지돌기(23d)를 심지상승용피니언(32)의 선단부에 얹음과 동시에 전후방향도 접촉하는 위치에 조정레버(21a)에 의해서 조정한 후, 보조레버(21)에 조이면 산하전후의 위치결정이 동시에 완료된다. 즉, 심지상승, 하강용피니언의 피치(p4)에 대하여, 랙의 게이지돌기(23d)로부터 랙톱니저부사이의 피치(p5)의 관계를,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의 첫번째 시동을 반드시 랙(23)의 동일톱니에 걸어맞추도록 설정함으로써, 상하방향의 위치관계가 항상 일정해진다. 또, 전후방향에 대해서도 랙(23)의 톱니선단으로부터 통상의 비연계상태를 유지하는 최저한의 단차(H1)를 형성해서 게이지돌기를 설정함으로써, 랙(23)과 심지상승, 심지하강용피니언(32)(34)과의 간극(H2=H1)의 일정화가 도모된다.
이상과 같이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를 조작해서 연소량의 조절에 중요한 랙(23)과 심지상승, 심지하강용 피니언(32)(34)과의 상하전후의 위치설정이 랙(23)의 게이지돌기(23d)에 의하여 용이하게 동시에 완료할 수 있다.
제15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면, (50)은 미세조절베이스, (51a)는 심지상승용받침부, (51b)는 심지하강용 받침부이다. (52)는 심지상승버튼으로서, 심지상승용받침부(51a)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축부(52a)를 가지고, 슬라이드축부(52a)에는 축(53)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이 결합되어 있다. (54)는 상기 미세조절베이스(50)와 심지상승버튼(52)사이에 개재하는 심시상승용버튼 복귀스프링으로서, 항상 화살표(N)방향으로 힘을 가압하고 있다. (55)는 심지하강용 버튼으로서, 심지하강용 받침부(51b)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축부(55a)를 가지고, 슬라이드 축부(55a)에는 축(56)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이 결합되어 있다. (57)은 상기 미세조절베이스(50)와 심지상승용 버튼(55)사이에 개재하는 심지하강용 버튼복귀스프링으로서, 항상 화살표(M)방향으로 힘을 가압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심지상승용버튼(52)을 눌렀을 경우에는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랙(23)은 상술한 제 6 도에 도시한 작용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행하여,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은 랙(23)이 톱니를 1개씩 이송한다. 또, 심지하강용버튼(55)을 눌렀을 경우에는 심지하강용 피니언(34)과 랙(23)이 상술한 제 7 도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여,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이 랙(23)의 톱니를 1개씩 이송한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버튼과 슬라이드축부를 일체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6도~제18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심지상승용피니언(32)과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의 양쪽에 걸치게해서 조작체(58)를 설치한 것으로서, 하나의 조작체(58)로 심지상승과 심지하강의 미세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그 동작을 제17도, 제18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연소량을 줄일 경우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체(25)에 형성된 조작체(58)를 화살표(Sa)방향(심지하강방향)으로 조작하면 접촉(58a)에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의 돌출편(30a)을 누르고,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는 베이스체(25)에 형성된 받침부내를 화살표(Fa)와 같이 슬라이딩하여 심지하강용 슬라이드체(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하강용 피니언(34)은 통상은 비연계상태에 있는 랙(23)에 걸어맞춤하여 그대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여 랙(23)을 화살표(E)방향으로 밀어올리면 그 이후는 이미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심지를 낮추게 된다.
반대로 연소량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체(58)를 화살표(Sb)방향으로 조작하면 되며, 이것에 의하여 접촉편(58b)이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의 돌출편(29a)을 누르고,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는 베이스체(25)에 형성된 받침부내를 화살표(Fb)와 같이 슬라이딩하여 심지상승용 슬라이드체(2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심지상승용 피니언(32)은 통상적으로 비연계상태에 있는 랙(23)에 걸어맞춤하여 그대로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하여 랙(23)을 화살표(J)방향으로 밀어내려서 심지를 올리게 된다.
제19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심지상하동장치를 사용한 석유연소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에서, (61)은 상기 베이스체(25)에 부착된 도어, (62)는 상기 점화레버(9)선단부에 부착된 점화손잡이, (63)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 선단부에 설치된 심지상하동 손잡이이다. 사용자의 조작순서로서는, 먼저 도어(61)를 열고 그 내측에 있는 점화손잡이(62)와 심지상하동손잡이(63)를 밀어올려 심지(3)에 점화를 행하고, 연소가 시작되면 심지상하동손잡이(63), 혹은 심지하강용조작체(28)와 심지상승용 조작체(27)에 의하여 연소량의 조절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례로서 도시한 것이며, 본 발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가이 본 발명의 심지상하동장치는 심지상하동 기구외에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를 사용해서 미세하세 심지를 상하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심지상하동기구에 의해서 점화, 소화를 위한 심지상하동이나 대폭적인 연소량조절을 행한 후에, 심지상하동미세조절기구로 미세한 연소량조절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심지상하동기구와 미세조절기구가 통상은 비연계이므로 각각의 자유롭게 연소량조정을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칼로리의 미세조절을 모우터구동방색으로 하고 있어, 모우터가 고장났을때에도 심지 상하동기구에 의하여 심지상하동조작을 행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은 것이 된다.

Claims (12)

  1. 상하동 가능한 심지(3)와, 이 심지(3)를 상하동시키는 심지상하동레버(6)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6)를 미세하게 구동하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를 갖추고, 상기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20)는 심지상하동레버(6)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랙(23)과, 이 랙(23)의 이동궤적상의 위치에 비접촉으로 설치한 심지상하동 조절용의 피니언(32),(34)을 가지고, 상기 피니언(32),(34)은 랙(23)에 대해서 접리 또한 회전가능하게 설치해서 피니언조작시에는 상기 랙(23)을 1피치 미세하게 구동하는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2. 상하동 가능한 심지와, 이 심지를 상하동시키는 심지상하동레버와, 지진등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서 소화하는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12)(16)(17)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미세하게 구동하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 기구를 갖추고, 상기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는 상기 심지상하동레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랙과, 이 랙의 이동궤적상의 랙과는 비접촉의 위치에 설치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용의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피니언은 랙에 대해서 접리 또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서 피니언조작시에는 상기 랙을 1피치 미세하게 구동하는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3. 상하동 가능한 심지와, 이 심지를 상하동시키는 심지상하동레버와, 지진등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서 소화하는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미세하게 구동하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를 갖추고, 상기 심지상하동미세조절기구는 심지상하동레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랙과, 이 랙의 이동궤적상의 위치에 비접촉으로 설치한 심지상하동미세조절용의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피니언은 랙에 대해서 접리 또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심지 상승용과 심지하강용의 2개를 설치하고, 이 2개의 피니언을 랙에 대하여 접리 또한 회전동작시키는 하나 혹은 2개의 조작체(27)(28)를 설치하고, 이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랙을 1피치 미세하게 구동하는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4. 상하동가능한 심지와, 이 심지를 상하동시키는 심지상하동레버와, 지진등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서 소화하는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와, 상기 심지상하동레버를 미세하게 구동하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를 갖추고, 상기 심지상하동 미세조절기구는 심지상하동레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보조 레버(21)와, 이 보조레버에 부착된 랙과, 이 랙의 이동궤적상의 위치에 비접촉으로 설치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용의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피니언은 랙에 대해서 접리 또한 회전가능하게 설치해서 피니언조작시에는 상기 랙을 1피치 미세하게 구동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레버는 자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일단부를 심지상하동레버의 선단부 근처에 부착하고, 타단부는 심지상하동레버를 축지하는 축의 동축상에 축지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랙은 정상연소범위내에서만 피니언과 결합하는 길이로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심지상하동 미세조절용의 피니언은 랙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6)(38)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은 심지상승용의 스프링의 힘을 심지하강용의 스프링의 힘보다도 가볍게 설정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랙상부의 톱니의 피치를 그 이외의 톱니의 피치보다도 작게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랙최상부의 톱니의 상부에 톱니제거부(23c)를 형성하고, 피니언조작에 의한 심지상승위치가 심지상하동레버조작에 의한 심지상승위치보다 낮아지도록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피니언의 랙에의 맞물리는 부에는 테이퍼부(32a)를 형성하여 진동에 대한 소화기구의 작동에 의한 심지상하동레버의 복귀에 의해서 랙이 슬라이딩하도록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레버에 대해서 상하전후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랙의 심지상승쪽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에 접촉하는 게이지돌기(23d)를 형성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심지상하동레버에 표시레버(43)를 연계시키고, 이 표시레버에 의해서 연소량을 표시하는 표시체(45)를 구동하는 구성으로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조작체(58)는 심지상하동 미세조절용의 각 피니언(32)(34)에 걸치게 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상반하는 방향으로서 조작에 의해서 각 피니언을 구동하는 구성으로한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KR1019880005275A 1987-05-12 1988-05-06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KR930003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15030A JPH0646088B2 (ja) 1987-05-12 1987-05-12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62-115030 1987-05-12
JP??62-115030 1987-05-12
JP??62-126277 1987-05-22
JP12627887A JPH0610529B2 (ja) 1987-05-22 1987-05-22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12627787A JPH068686B2 (ja) 1987-05-22 1987-05-22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62-126278 1987-05-22
JP62-126278 1987-05-22
JP62-126277 1987-05-22
JP??62-195956 1987-08-05
JP62-195955 1987-08-05
JP19595687A JPH0610531B2 (ja) 1987-08-05 1987-08-05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19595587A JPH0733895B2 (ja) 1987-08-05 1987-08-05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62-195956 1987-08-05
JP??62-195955 1987-08-05
JP22346087A JPH0610532B2 (ja) 1987-09-07 1987-09-07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62-223460 1987-09-07
JP62-223460 1987-09-07
JP??62-282421 1987-11-09
JP62-282421 1987-11-09
JP62282421A JPH0745927B2 (ja) 1987-11-09 1987-11-09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312A KR880014312A (ko) 1988-12-23
KR930003262B1 true KR930003262B1 (ko) 1993-04-24

Family

ID=2756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75A KR930003262B1 (ko) 1987-05-12 1988-05-06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47192A (ko)
KR (1) KR930003262B1 (ko)
NL (1) NL88012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0085A (en) * 1988-07-29 1991-07-09 Toyotomi Kogyo Co., Ltd. Wick operating structure of lever actuation type for oil burner
KR101615748B1 (ko) * 2014-09-30 2016-04-27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CN109843341B (zh) * 2016-06-16 2022-02-25 赛特奥有限公司 具有芯吸件保持器的用于蒸发香料的芯吸件装置
US11957120B2 (en) 2020-07-14 2024-04-16 Joseph Pannullo Torch system with predictive control of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US11493200B2 (en) 2020-07-14 2022-11-08 Joseph Pannullo Liquid fuel burning torch system with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and flame extinguishment
US11503822B2 (en) * 2020-07-14 2022-11-22 Joseph Pannullo Attachable plug for adding features to a torch system
WO2022164938A1 (en) 2021-01-27 2022-08-04 Joseph Pannullo Mechanical overfill prevention valve insertable within a fill pipe
US10842146B1 (en) * 2020-07-14 2020-11-24 Joseph Pannullo Insect repellent torch system with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712A (ja) * 1982-04-08 1983-10-15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液体燃料燃焼装置
JPS5974411A (ja) * 1982-10-19 1984-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石油燃焼器
JPS602808A (ja) * 1983-06-17 1985-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H0723765B2 (ja) * 1985-06-03 1995-03-15 株式会社トヨトミ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801237A (nl) 1988-12-01
KR880014312A (ko) 1988-12-23
US4847192A (en)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262B1 (ko)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JPS63282405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2626159B2 (ja) 石油燃焼器の点火機構
JPH0610530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2821077B2 (ja) 石油燃焼機器の芯昇降装置
JPH02195106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2688726B2 (ja) 液体燃料燃焼器の芯昇降装置
JPS63290309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KR940000831B1 (ko) 석유연소기의 레버조작형심지작동구조체
JPH0618008A (ja) 芯上下式石油燃焼器
JPH01310207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H035608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2507074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S63290308A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S616506A (ja) 石油燃焼器の芯調節装置
JPH0745927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H07190310A (ja) 液体燃料燃焼機器の芯昇降装置
JPH0733894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H0610532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2543188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装置
JPS647282B2 (ko)
KR890005869Y1 (ko) 석유 연소기의 자동 소화장치
JPH05322116A (ja) 石油燃焼機器の芯昇降装置
JP2586676B2 (ja) 石油燃焼器の芯上下調節装置
JPH0363418A (ja) 石油燃焼器の点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