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344B1 -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344B1
KR930002344B1 KR1019890019134A KR890019134A KR930002344B1 KR 930002344 B1 KR930002344 B1 KR 930002344B1 KR 1019890019134 A KR1019890019134 A KR 1019890019134A KR 890019134 A KR890019134 A KR 890019134A KR 930002344 B1 KR930002344 B1 KR 93000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ata
storage means
dot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599A (ko
Inventor
가쯔야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4Generic data transformation
    • G06K2215/0054Geometric transformations, e.g. on rasteris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윤곽문자의 예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공정단계를 요약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공정단계를 요약한 흐름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제4도 장치의 메인 제어장치에서 실행하는 공정의 흐름도.
제6a, 6b 및 제6c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윤곽문자를 얻기위한 공정의 흐름도
제7a도 내지 7g 및 7h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윤곽문자를 얻기위한 공정단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제8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
제9a 및 9b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윤곽문자를 얻기위한 공정의 흐름도.
제10a도는 내지 10f및 10g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윤곽문자를 얻기위한 공정단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프린터, 음극선관과 같은 표시장치에서 통상의 문자, 숫자, 기호(이하 문자(들)이라 한다)를 처리하여 윤곽문자(outline character)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의 일반적인 형상이 표시장치에 이용되지만, 문자를 수정할 경우 내부부위가 제거되어 공란으로서 표시되어지는 문자와 같은 윤곽문자가 이용된다.
이러한 윤곽문자는 드물게 이용되므로, 윤곽문자를 위한 특정의 문자폰트를 준비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윤곽문자는 문자 발생기에 기억된 통상의 문자의 폰트를 처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윤곽문자는 공란으로서 표시되어지는 그의 내부를 삭제함으로써 형성되는바 이것은 공란을 에워싸는 주변주의를 포함하므로 윤곽문자는"포위(encompased)"문자라 부를 수도 있다.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우선, 도트형태로서 표현되는 문제데이터 기억수단(예컨대 문자 발생기)으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판독한 다음, 문자의 도트 형태를 1도트만큼 주변적으로 확장 즉 문자를 넓히고나서, 확장된 문자를 원래의 문자형태에 따라 하얗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확장된 문자가 원래의 문자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서 삭제되기 때문에, 문자의 상측이나 하측주변이 하얗게되며, 원레의 문자가 밈줄로서 도트 표시공간의 상측이나 하측주변이 하얗게되며, 원래의 문자가 밑줄로서 도트 표시공간의 상측이나 하측에 도달할 경우 그의 포위된 문자가 얻어질 수 없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60-83851호는 이러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의 주변을 완전히 포위하고, 원 문자의 주변이 도트 표시공간의 상측이나 하측끝에 도달되더라고 문자의 헝태를 좀더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바, 이 방법은 도트패턴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 데이터를 기억하는 문제데이터 기억수단으로 부터 표시되는 문자 데이터를 기억하는 문자 데이터 기억수단으로 부터 원래의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고, 원래의 문자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표시공간에 존재할 경우 원래의 문자 데이터의 도트 표시공간에서 상측단 또는 하측단을 사제시킴으로써 원래의 문자 데이터를 단축시키고, 그의 주변을 향해 적어도 1도트만큼 짧아진 원래의 문자의 도트패턴을 확장시켜 짧아진 원래의 문자를 신장시키며, 여백으로 표시되어지는 짧아진 문자를 신장된 문자로 부터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되는 바, 이 방법은 도트패턴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 데이터를기억하는 문자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원래의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의 주변을 향해 적어도 1도트만큼 판독된 원래의 문자 데이터의 도트 패턴을 확장시켜 판독된 원래문자를 신장시키며, 원래 문자 데이터가표시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측 또는 하측에 존재할 경우, 신장된 문자로부터 백색으로 되어지는 도트 표시공간에서 상측이나 하측단을 제외한 원래문자 데이터의 도트패턴을 삭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바, 이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인 기계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자 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코드 버퍼,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서 도트패턴에 의한 표준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폰트 데이터를 기억하며 코드버퍼의 출력 입력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문자 발생기를 포함하는 메인 제어수단과; 메인제어 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는 인쇄제어수단과, 인쇄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포함하는 표시수단과; 표준 문자의 폰트를 문자 발생기로부터 판독하여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윤곽문자 수정수단과; 수정수단에 연결된 확장문자기억수단: 및 수정수단에 연결된 단축 문자 기억수단으로 구성하되, 수정수단은 윤곽문자를 출력하는 명령을 메인제어수단으로 부터 수신하고 표준문자를 문자발생기로부터 판독하며, 표준문자의 도트패턴이 도트표시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측이나 하측단에 존재할경우 표준문자를 단축시키며, 단축된 문자를 단축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기억된 데이터를 확장시키고, 확장된 데이터를 확장 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며, 수정수단은 확장 문자 기억수단과, 단축문자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윤곽문자를 얻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인기계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자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코드버퍼, 및 마이크로 프로제서의 제어하에서 도트 패턴에 의한 표준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폰트 데이터를 기억하며 코드 버퍼의 출력입력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문자발생기를 포함하는 메인제어 수단과, 메인제어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는 인쇄제어수단과, 인쇄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하기 위한 인쇄수단을포함하는 표시수단과; 표시문자의 폰트를 문자 발생기로부터 판독하여 윤곽문자를 형성하기위한 윤곽문자 수정수단, 및 수정 수단에 연결된 확장문자 기억수단으로 구성하되, 수정수단은 윤곽문자를 출력하는 명령을 메인 제어수단으로 부터 수신하고 표준문자를 문자 발생기로부터 판독하며, 표준문자를 확장시켜 확장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며 학장문자를 수정된 원래의 문자 데이터에 따라 처리하여 윤곽문자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컨대, 컴퓨터,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것에 이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것에 한정되는 것이아니라, CRT 표시장치나 그밖의 여러가지 표시장치에 응용될수 있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1개의 문자는 24×24 도트의 표시공간으로 표시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의 조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표시공간이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제1도에는 윤곽문자(하부)의 실예가 표준문자(상부)와 비교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요약한 흐름도이고,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요약한 흐름도이다.
제 4도는 제1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1a), 메인기계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코드(예컨대 1페이지)를 기억하기위한 코드버퍼(1b), 및 표준문자의 도트패턴으로 표시되는 문자 폰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문자 발생기(CF)(1c)(문자 데이터 기억수단)로 구성된 메인제어장치(1)를 포함한다 문자발생기(1c)는 입력 문자코드에 대응한 문자 폰트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문자는 흑색 표준 문자의형태이다.
인터페이스(2)는 소정의 신호를 메인제어장치(1)로부터 메인기계로 출력시키거나 메인기계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수단(3)은 문자를 표시하는 바, 이것은 이쇄제어장치(3a)와 인쇄제어장치(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문자를 인쇄하기위한 인쇄장치(3b)를 포함한다.
폰트 데이터의 1라인을 기억하기 위한 라인버퍼(Lb)(3c)는 인쇄제어장치(3a)에 제공된다.
공간 제어장치(4a)는 인쇄방향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며, 공간 작동장치(4b)는 공간 제어장치(4a)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절 개시 제어장치(5a)는 인쇄시 새로운절의 시작을 제어하며, 절개시 동작장치(5b)는 절 개시 제어장치(5a)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할 경우에 새로운 절을 시작한다.
윤곽문자용 수정장치(6)는 표준 문자의 폰트를 문자발생기(1c)로부터 판독하여 표준문자에 해당하는 윤곽문자를 형성한다.
수정장치는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처리단계시에 필요한 확장문자 기억장치(RAM)(7a)와, 단축 문자 기억장치(RAM)(7b)에 연결되어 있다
제5도는 메인 제어장치(1)에서 실행되는 공정의 흐름도인바, S21∼S29는 공정단계이다. 먼저, S2l에서는 메인기계에서의 차단이 발생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소정의 차단이 발생되었을 경우 예정된 수신공정이 S22에서 실행되는바, 예컨대 입력코드는 코드 버퍼(1b)에 기억되며 다른 공정들이 수행되며 공정은 S21로 복귀된다.
소정의 차단이 S21에서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1개의 코드가 S23에서 코드 버퍼(1b)로 부터 판독되고, S24에서는 코드가 문자코드인가를 판별한다.
코드가 문자코드가아니라 제어코드일 경우, S25에서는 코드가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명령인가를 판별한다.
만약에 코드가 윤곽문자헝성 명령이 아닐 경우, 공정은 다른 제어코드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예정된 제어루틴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코드가 윤곽문자 제어멍령일 경우, 플래그가 설정되고(예컨대 F=1), 공정은 S21로 복귀된다. S23에서 판독된 코드가 S24에서 문자코드로 결정될 경우 플래그 상태(F=1)는 S27에서 판별된다.
F=1일 경우 공정은 제6a도의 윤곽문자 형성 루틴으로 진행한다.
S27에서는 F=1이 아닐 경우, 문자코드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가 S28에서 문자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는바, 문제데이터는 S29에서 라인버퍼(3c)에 보내지고 공정은 S21로 복귀된다.
제6a∼6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정장치(6)에서의 윤곽문자를 형성하는 스텝 S32∼S37, S41∼S45및 S51을 포함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제5도의 S27에서 F=1일 경우에 공정을 실행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문자를 표시하는 도트는 흑색원으로서 도시하였고, 이들 도트는 연산기"1"로서 취급된다.
문자를 표시하지 않은 도트는"0"으로서 취급된다.
이 단계에서 우선 카운터는 S31에서 1, 즉 i=1로 설정된다. 기호 i는 컬럼수를 표시한다.
i번의 컬럼(제1컬럼에서부터 시작됨)에서 제1블럭으로 정의되는 제1번째로부터 16번째줄까지의 도트문자 데이터는 S32에서 문자발생기(1c)로 부터 판독되고, 제1 및 제2번째줄의 도트데이터는 논리적으로 가산되며, 그 결과는 제2번째줄의 도트데이터가 된다.
제1번째줄 도트데이터는 를리어된다.
따라서, 제7a도의 예에 도시한 바와같이, 문자 패턴의 도트가 i번째의 컬럼의 제1 줄 및 제2번째줄에존재할 경우, 제2번째줄의 도트는 문자 패턴의 도트가 되며 제1번째줄의 도트는 클리어된다 그 다음, S33에서는 제l블럭의 도트데이터가 단축된 문자 기억장치(RAM)(7b)에 기억된다.
S34에서 i번째의 컬럼에서 제2블럭으로 정의되는 제17번째 줄로부터 제24번째 줄까지의 도트문자 데이터는 문자 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고, 제23 및 제24번째줄의 도트데이터는 논리적으로 가산되며, 그 결과는제23번째출의 도트데이터가 된다.
제24번째줄 도트데이터는 클리어된다.
따라서, 에컨대, 제7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i번째의 컬럼의 제23 또는 제24번째줄중 어느 하나의 문자패턴의 도트가 존재할 경우 제23번째줄의 도트는 문자패턴의 도트가 되며 제24번째줄의 도트는 클리어된다. 그다음 S25에서는 제2블럭의 도트데이터가 단축된 문자 기억장치(7b)에 기억된다.
따라서 i번째 컬럼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가 제1 및/또는 제24번째줄 즉 디스플레이 공간의 상단 및/하단에서의 도트(들)를 갖을 경우, 단부(end)도트는 문자 데이터로 삭제된다.
따라서 S36에서는 i의 카운터값이 24인가를 결정하는바, i가 24와 동일하지 않을경우, i는 1만큼 증분되며(즉 i=i+l), S32이후의 공정은 반복되고 컬럼은 i=24일때까지 1만큼씩 증가된다.
S36에서 i=24일경우, 24×24의 표시 공간에서의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즉 문자 데이터가 도트 표시 공간의 상단 및/또는 하단(들)에 존재할 경우, 단부도트들(제1또는 24도트)는 문자 데이터로부터 삭제되고, 제7c도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문자는 단축된다
따라서 S36에서 i=24일 경우 단축문자 기억장치(7b)에서의 문자 데이터는 S41에서 확장문자 기억장치(7a)에 기억된 다음, S42에서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서의 문자 데이터는 판독되는 바, 예컨대 문자는 l도트씩 좌측으오 편이되고, 편이된 데이터는 문자기억장치(7a)에서의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가산되고, 그 결과는 확장문자 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그런다음, S43에서는 S42에서의 공정스템에서와 같이 예컨대 판독된 문자가 1비트씨 우측으로 편이되고, 편이된 데이터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서의 데이터에 논리적으로 가산되고, 그 결과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7d도의 패턴은 제7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 및 좌측으로 확장된다.
이후 S44와 S45에서, 전술한 공정 및 제7e도 및 제7f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문자 기억장치(7a)에서의문자는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확장되며, 그 결과는 문자도트패턴은 1도트씩 주변적으로 확장되고, 확장된 문자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 형성되어 기억된다
끝으로, S51에서는 단축된 문자 데이터가 단축문자 기억 장치(7b)로부터 판독되며, 모든 도트데이터는 반전되며, 반전된 데이터는 확장문자 기억장치(7a)의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된다.
따라서, 확장된 문자는 7g도에 있어서 X마크부(단축된 문자부)에서 흰색공간을 형성하기위해 삭제되고, 제7h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단 및/또는 하단(들)(제1 및 제24번째줄 도트)가 흰색이 아니며 폐쇄된 흑색주변을 갖는 윤곽문자가 형성된다.
이 공정이후에 공정은 제5도의 S29로 복귀되어 데이터는 라인버퍼(3c)로 출력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이 장치는 단축문자 기억장치(7b)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l실시예의 장치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메인제어장치(1)에서의 공정은 제5도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제2실시예의 방법 공정의 단계(S61∼S64)와 (S71∼S76)을 포함하는 흐름도인바, 이것은 제5도의 S27에서 F=1일때 실행된다.
먼저, S61에서 문자 데이터는 문자 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어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그 다음 S62에서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에서의 문자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문자 데이터는 1도트씩좌측으로 편이되며, 편이된 데이터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의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되고, 그 결과는확장문자 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10a도에 도시된 패턴은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된다.
S63에서는 S62에서와 같이, 확장 문자 기억장치(7a)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1도트씩 좌측으로 편이되며, 편이된 데이터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의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되고, 그 결과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따라서, 제10b도에 도시한 패턴은 제10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된다.
이후 S64와 S65에서는 제10c도와 제10d도와 같이 문자 데이터가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확장되며, 그의도트패턴에서 1비트씩 주변적으로 확장된 확장문자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에 형성되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트 표시공간에서의 상측 및 하측 단부의 도트는 이들 도트가 공간 외측(제10c, 10d, 10f 및 10g도의 점선)에 있을때까지 확장된다.
도트가 공간 외측에 있을때까지 확장된 도트는 제l0d도에 흰색원으로 도시하였다. 그들이 공간 외측에 있울때까지 확장된 부위는 타당하지 않다.
그다음 S71에서 카운터"1"(즉 i=1)로 설정되고 S72에서 i번째의 컬럼(제1컬럼으로부터 시작됨)에서 제1블럭으로 정의되는 제1번째로부터 8번째줄까지의 도트 데이더는 문자 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어 반전된다.
반전된 데이터는 제1블럭도트를 포함하여 제1번째줄만이"1"(즉 흑색원) 상수 P(제10e도)와 논리적으로 가산된 다음, 가산된 도트데이터의 합은 확장문자기억장치(7a)의 대응 도트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되고, 그 결과는 확산 문자 기억 장치(7a)에 기억된다.
그런다음 S73에서는 i번째의 컬럼에서 제2블럭으로 정의되는 제9번째로부터 제16번째줄까지의 도트데이터는 문자 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고, 판독된 데이터는 반전되고, 반전된 데이터는 확장문자 기억장치(7a)에서의 대응 도트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되며, 그 결과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끝으로, S74에서는 i번째의 컬럼에서 제3블럭으로 정의되는 제17번째로부터 제24번째줄까지의 도트문자데이터는 문자발생기(1c)로부터 판독되어 반전되고, 반전된 데이터는 제3블럭의 도트를 포함하여 제24번째줄만이"1"인 즉 흑색원인 상수 Q(제10e도)와 논리적으로 가산된다.
그런다음, 가산된 데이터는 확장 문자 기억장치(7a)에서의 i번째 컬럼 데이터의 제3블럭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되고, 그 결과는 확장문자기억장치(7a)에 기억된다.
따라서 i번째 컬럼에서의 윤곽문자의 성형공정은 완료된다.
여기에서 S75에서는 카운터값이 24인가를 결정하는 바, i가 24가 아닐 경우, i는 S76에서 1로 가산되고 공정은 차례로 다음 컬럼으로 진행되여 S72이후의 스텝을 반복한다.전술한 바와같이, S75에서 1=24일때 모든 컬럼을 위한 공정은 완료된다. 즉, 문자 발생기(1c)에 기억된원래의 문자 데이터가 제10f도의 X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도트 표시공간(제1 또는 제24번째줄 도트)의 상단이나 하단에 존재할지라도, 확장된 문자는 삭제되어 상단도트 및 하단도트를 삭제한 원래의 문자의 도트 패턴내에 흰색공간을 형성하도록하며, 제10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윤곽문자는 상단 및 하단에서 하얗지 않으며, 폐쇄산 흑색주변을 갖고서 헝성된다.
끝으로, S75에서 i=24일 경우 공정은 제5도의 S29로 복귀되고 데이터는 라언 버퍼(3c)로 출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원래의 문자의 폭은 1도트이지만 본 발명은 1도트폭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 폭은 1도트 이상일수도 있다
또한, 확장문자가 형성될 경우, 도트 패던은 1 도트 이상으로 주변적으로 확장될수도 있다.
제1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문자 데이터 기억장치로부터 판독된 문자 데이터가 도트 표시공간의 상단이나하단에 존재할 경우, 양단에서의 문자 데이터는 삭제되고, 상단이나 하단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축문자가 얻어진다.
단축문자가 확장될 경우 확장되는 문자의 도트 표시공간에 있는 단축문자에 비해 상, 하측 방향으로 넓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단축문자는 확장 문자로부터 삭제되어 여백을 형성한 다음, 도트 표시공간의 양단에서의문자부위는 삭제되지 않으므로, 확장된 문자의 흑색 페주변이 표시될 수 있다.
제2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기억장치로 부터 판독된 문자 데이터에 의해 확장문자가 형성된다.
원래의 문자 데이터가 도트 표시 공간의 상단이나 하단에 존재할 경우, 확장문자는 도트 표시 공간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 경우, 확장문자는 도트 표시공간내에 한정된다.
그런다음, 확장 문자가 삭제되어 원래의 문자 데이터의 상, 하단을 제외하고 도트패턴에 따라 여백을 형성하도록함으로써 도트표시 공간의 상, 하단이 삭제되지 않게되어 여백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의 양단에서폐주변을 갖는 윤곽 문자가 얻어질 수가 있다.

Claims (9)

  1. 도트페턴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 데이터를 기억하는 문자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원래의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고; 원래의 문자 데이터가 표시공간의 상단이나 하단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존재할 경우 원래 문자 데이터의 도트 표시 공간의 상단이나 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삭세하여 원레 문자 데이터를 단축시키며, 단축된 원레문자를 신장(widen) 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트에 의하여 단축된 원래의 문자의 도트패턴을 주변으로 확장(expand)시며, 여백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단축문자를 신장된 문자로부터 삭제시키는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문자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도트 표시 공간은 24×24도트일때, 상기의 단축 단계는 i번째의 컬럼에서1∼16번째줄을 포함하는 문자 데이터의 제1블럭을 판독하고, 제1번째줄의 도트 데이터와 제 2 번째줄의 도트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제2번째줄의 데이터를 가산 데이터의 합과 교체하고, 제1번째줄의 데이더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와, 제1블럭의 도트데이터를 단축문자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i번째의 컬럼에서 17∼24번째줄을 포함하는 문자 데이터의 제2블럭을 판독하고 제23번째줄의 도트데이터와 제24번째줄의 도트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제23번째줄 데이터를 가산데이터의 합과 교체하고, 제24번째줄의데이터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와, 제2블럭의 도트데이터를 단축문자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 및 제1에서제24번까지의 컬럼을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확장단계가 단축된 문자기억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신장된 문자의기억수단에 저장시키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왼쪽으로 이동된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고,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가산된 합을 저장시키는 단계와,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럭된 데이터를 오른쪽으로 이동된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 가산된 합을 저장시키는 단계와 표시공간의 상측에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상측으로 이동된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와 표시공간의 하측에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하측으로 이동된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가 단축된 문자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역전시키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역전된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곱하는 단계로 구성되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도트패턴에 의하여 표현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원래의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며, 판독된 원래문자를 신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트에 의하여 판독된 원래의 문자 데이터의 도트형태를 주변으로 확장시키고; 원래의 문자 데이터가 표시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존재할때 여백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트표시공간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도트를 제외한 확장된 문자로 부터 원래문자 데이터의 도트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확장단계는 문자발생기에서 출력된 문자 데이터를 확장문자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단계와,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에서 출력된 문자 데이터를 좌측으로 편이 시키고,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서 출력된 문자 데이터를 좌측편이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와,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우측으로 편이시키고,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우측편이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에서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와,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표시 공간의 상측으로 편이시키고,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상측편이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에서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 및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표시 공간의하측으로 펀이시키고,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를 하측편이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며, 신장된 문자기억 수단에서 가산된 합을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문자 형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도트 표시 공간은 24×24도트일때, 상기의 삭제단계는 i번째의 컬럼에서 제1∼제8번째 줄을 포함하는 도트 문자 데이터의 제1블럭을 반전시키는 단계와, 반전데이터를 제1번째줄만이 논리적으로"1"인 상수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고, 가산된 합을 대응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하며, 승산데이터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i번째의 컬럼에서 제9∼제16번째줄을 포함하는 도트 문자 데이터의 제2블럭을 반전시키고, 반전데이터를 대응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하며, 승산데이터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i번째의 컬럼에서 제17∼24번째줄을 포함하는 도트 문자 데이터의 제3블럭을 반전시키고, 반전데이터를 제24번째 줄만이 논리적으로"1"인 상수데이터와 논리적으로 가산하고, 가산된 합을 대응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의 출력인 문자 데이터와 논리적으로 승산하며, 승산데이터를 신장된 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 및, 제1∼24번째까지i를 대신하여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인 기계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자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코드버퍼,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서 도트 패턴에 의한 표준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폰트 데이터를 기억하며 코드버퍼에 의한 신호출력의 수령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문자발생기를 포함하는 메인제어수단과, 메인제어수단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인쇄제어수단과, 인쇄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포함하는 표시수단과; 표준문자의 폰트를 문자발생기로부터 판독하여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윤곽문자용 수정수단과; 수정수단에 연결된 신장문자기억수단; 및 수정수단에 연결된 단축문자 기억수단으로 구성시키되; 상기의 수정수단은 윤곽문자를 출력하는 명령을 메인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하고, 표준문자를 문자발생기로부터 판독하며, 표준문자를 표준문자의 도트패턴이 도트 표시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단이나하단에 존재할 경우 단축시키며, 단축된 문자를 단축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기억된 데이터를 확장시키며, 확장된 데이터를 확장 문자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수정수단은 확장문자 기억수단과 단축문자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윤곽문자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문자 형성장치.
  9.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인기계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자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코드버퍼,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서 도트패턴에 의한 표준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폰트 데이터를 기억하며 코드버퍼의 출력수령시 문자 데이터를 출력 하기 위한 문자발생기를 포함하는 메인제어수단과: 메인제어수단의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인쇄제어수단과, 인쇄제어수단의 신호출력에 따라 인쇄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포함하는표시수단과; 표준문자의 폰트를 문자발생기로부터 판독하여 윤곽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윤곽문자용 수정수단; 및 수정수단에 연결된 신장된 문자기억수단으로 구성시키되; 수정수단은 윤곽문자를 출력하는 명령을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하고, 표준문자를 문자발생기로부터 판독하며, 표준문자를 확장시켜 확장문자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확장된 문자를 수정된 원래 문자 데이터에 따라 처리하여 윤곽문자를 얻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문자 형성장치.
KR1019890019134A 1988-12-21 1989-12-21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KR930002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3156A JPH073635B2 (ja) 1988-12-21 1988-12-21 白抜き文字の作成方法
JP88-323156 1988-12-21
JP63-323156 1988-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99A KR900010599A (ko) 1990-07-09
KR930002344B1 true KR930002344B1 (ko) 1993-03-29

Family

ID=181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134A KR930002344B1 (ko) 1988-12-21 1989-12-21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099230A (ko)
EP (1) EP0375219B1 (ko)
JP (1) JPH073635B2 (ko)
KR (1) KR930002344B1 (ko)
DE (1) DE689100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458A (ja) * 1990-09-17 1993-06-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相対式フォント・デバイスで固定式フォント・データを利用する方法
GB9026253D0 (en) * 1990-12-03 1991-01-16 Esselte Dymo Nv Thermal printer
JP2852390B2 (ja) * 1991-02-16 1999-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5553219A (en) * 1991-05-10 1996-09-03 Fuji Xerox Co., Ltd. Font outline and bit map generator synthesizing filling data with selected outline data or duplicate outline data
US5416898A (en) * 1992-05-12 1995-05-16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xtual lines layouts
US5600772A (en) * 1994-08-17 1997-02-04 Printronix, Inc. Bit map character convertor using chain-codes for the character filling process
US5937420A (en) * 1996-07-23 1999-08-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Pointsize-variable character spacing
JPH11305743A (ja) 1998-04-23 1999-11-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984445B2 (ja) * 2005-07-08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80229370A1 (en) * 2007-03-13 2008-09-18 Zustak Frederick J TV-centric system
JP6755644B2 (ja) * 2015-08-17 2020-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装置、文字処理方法、文字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7616A1 (fr) * 1979-05-23 1980-12-19 Szita Ivan Generateur de contour pour former une bordure encadrant un caractere sur un ecran de television
US4408198A (en) * 1981-09-14 1983-10-04 Shintron Company, Inc. Video character generator
JPS6083851A (ja) * 1983-10-17 1985-05-13 Toshiba Corp 文字パタ−ン強調制御方式
US4680720A (en) * 1983-10-17 1987-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Dot interpolation control system
US4692758A (en) * 1984-04-02 1987-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egibility enhancement for alphanumeric displays
US4749989A (en) * 1985-06-03 1988-06-07 Honeywell Bull Inc. Word processing composite character processing method
US4959801A (en) * 1986-02-07 1990-09-25 Bitstream Inc. Outline-to-bitmap character generator
JPS63116866A (ja) * 1986-11-06 1988-05-21 Sharp Corp 文字フオント変換方式
US4837847A (en) * 1987-02-03 1989-06-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897638A (en) * 1987-02-27 1990-01-30 Hitachi, Ltd.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 patterns with controlled size and thickness
JPH068990B2 (ja) * 1987-03-25 1994-02-02 富士通株式会社 パタ−ン表示信号発生装置
US4979130A (en) * 1987-10-19 1990-12-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reating hollow multistroke characters
US4933866A (en) * 1988-11-17 1990-06-12 Vital Lasertyp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esthetically alterable character desig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99A (ko) 1990-07-09
US5099230A (en) 1992-03-24
JPH02167593A (ja) 1990-06-27
JPH073635B2 (ja) 1995-01-18
EP0375219B1 (en) 1993-10-20
US5289170A (en) 1994-02-22
EP0375219A2 (en) 1990-06-27
DE68910096D1 (de) 1993-11-25
DE68910096T2 (de) 1994-02-10
EP0375219A3 (en) 1990-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238A (en) System, method, and font for printing cursive character strings
KR930002344B1 (ko) 윤곽문자 형성방법 및 장치
US4228507A (en) Methods and means for reproducing non-alphabetic characters
KR830006737A (ko) 표의 문자 발생기
US5367620A (en) Character output device
JPH0613224B2 (ja) フォントの含蓄方法
US5018883A (en) Vector font processing in a printing device
US5638495A (en) Printing apparatus
EP0292726B1 (en) Correction buffer
JP3146771B2 (ja) フォントラスタライ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934434A (ja) 文字生成装置
KR100227178B1 (ko) 문자 생성 장치
JPS61250768A (ja) 変換辞書更新装置
JP3320566B2 (ja) 文字記号変換装置、及びプリンタ
KR910008526B1 (ko) 한,영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방법
KR910007753B1 (ko) 문자 데이타에서 발생된 패턴 데이타를 라인별로 프린팅하는 프린팅 제어시스템
JPH0216068A (ja) 像形成装置
CN113076715A (zh) 一种在Allegro中创建文字块的方法和系统
JPH0721189A (ja) 翻訳支援装置
JP3470926B2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JPH06348889A (ja) 文字認識装置
JPH0916147A (ja) 文字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04342089A (ja) 文字入力処理方法
JPS59106033A (ja) 文書処理装置の振仮名付加方式
JPH02137058A (ja) 漢字仮名混じり文の作成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