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42B1 -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42B1
KR930001642B1 KR1019910001490A KR910001490A KR930001642B1 KR 930001642 B1 KR930001642 B1 KR 930001642B1 KR 1019910001490 A KR1019910001490 A KR 1019910001490A KR 910001490 A KR910001490 A KR 910001490A KR 930001642 B1 KR930001642 B1 KR 93000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terminal
clock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273A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642B1/ko
Publication of KR92001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터 서보계의 블록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 각 부의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셋 입력단자 2 : 클럭 입력단자
PD1 : 회전수 데이터 PD2 :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
C1, C2 : 제1, 제2카운터 D1, D2 : 제1, 제2디코더
DFF1∼DFF3 : 제1, 제2, 제3D-플립플롭
이 발명은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MD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 및 디스크의 크기에 대응해 서보계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컴팩트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비데오, 레이저 디스크등의 다양한 디스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디스크는 종류에 따라 사이즈, 무게, 정상 플레이시의 회전수가 다르고 이에 따라 스핀들 모터에 걸리는 부하도 달라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 서보계의 이득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어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질 및 화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 및 디스크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PWM신호를 발생시켜 서보회로의 이득을 제어하여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질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입력되는 회전수 데이터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제1카운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카운터의 카운팅 값을 체킹하는 제1디코더와, 상기 제1디코더에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1카운터에 입력되는 회전수 데이터에 따라 출력 데이터가 변화되는 제1D-플립플롭과, 상기 제1D-플립플롭의 반전출력단자에 반전된 로드인 에이블 단자가 연결되고, 리셋 입력단자에 리셋단자가 연결되어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입력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제2카운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2카운터의 카운팅 값을 체킹하는 제2디코더와, 상기 제2디코더에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2카운터에 입력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에 따라 출력데이터가 변하는 제2D-플립플롭과, 상기 제1, 제2D-플립플롭의 반전출력 단자에 각각 셋트 단자 및 클럭단자와 연결되고, 리셋 입력단자에 리셋단자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로우" 또는 "하이"의 PWM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 D-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제1도에 나타낸 스핀들 모터(SM)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발생(FG)신호를 이용하여 회전수검출부(10)에서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데이터(PD1)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1카운터(C1)에 제1디코더(D1)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1디코더(D1)는 상기 제1카운터(C1)의 카운팅 값을 체킹한다. 그리고, 상기 제1디코더(D1)에는 클럭 입력단자(2)에 연결된 인버터(INV1)를 통하여 클럭단자(CK)가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1카운터(C1)에 입력되는 회전수 데이터(PD1)에 따라 출력데이터가 변화되는 제1D-플립플롭(DFF1)을 연결시킨다.
한편, 리셋 입력단자(1)에 리셋단자(R)가 연결되고, 상기 제1D-플립플롭(DFF1)의 반전출력단자(
Figure kpo00001
)에 반전된 로드 인에이블(
Figure kpo00002
)단자가 연결되어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마이콤(20)에서 설정되어 입력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2카운터(C2)에는 제2디코더(D2)를 연결시켜 상기 제2카운터(C2)의 카운팅 값을 체킹한다.
또한, 상기 제2디코더(D2)에는 클럭 입력단자(2)에 인버터(INV1)를 통하여 클럭단자(CK)가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2카운터(C2)에 입력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에 따라 출력 데이터가 변하는 제2D-플립플롭(DFF2)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3D-플립플롭(DF3)은 리셋 입력단자(1)에 리셋단자(R)가 연결되고, 상기 제1D-플립플롭(DFF1)의 반전출력단자(
Figure kpo00003
)에 셋트단자(S)가 연결되며 상기 제2D-플립플롭(DF2)의 반전 출력단자(
Figure kpo00004
)에 클럭단자(CK)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로직 "로우" 또는 "하이"의 PWM신호를 출력하여 세보계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있어서, PWM신호 발생기(30)를 초기화하기 위해 리셋 입력단자(1)로부터의 리셋 신호를 로직 "하이"로 한 후 정상 상태에서는 리셋신호를 로직 "로우"로 하여 회로가 정상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제2카운터(C1, C2)는 프리셋터블(Presetable)카운터로서 카운팅할 데이터를 마이콤(20)의 제어에 따라 임의 설정가능하며, 클럭의 폴링에지를 카운트한다. 상기 제1카운터(C1)의 카운트 값이 제1디코더(D1)은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값인 디코딩 값(DV1)이 되면 클럭의 라이징에지에서 PWM신호를 세트하여 제2카운터(C2)를 로드 인에이블 시킨다.
그리고,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제1카운터(C1)에는 회전수가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회전수 데이터(PD1)를 로드시키고 제2카운터(C2)에는 디스크 사이즈가 커질수록 작아지게 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를 로드시킨다.
그런 후, 제1카운터(C1), 제2카운터(C2)는 각각 클럭신호의 폴링에지를 카운트하며, 제2카운터(2)의 카운트값이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값인 제2디코더(D1)의 디코딩 값이 되면 클럭신호의 라이징에지에서 제3D-플립플롭(DFF3)을 통하여 로직 "로우"의 PWM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회전수 데이터(PD1) 및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에 따라 상기 각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PWM신호를 제어 출력함으로써 서보계의 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크 사이즈가 클 경우 마이콤(20)에서 설정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를 작은 값으로 설정하면, 제2디코더(D2)의 디코딩 값(DV2)이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값이므로 PWM신호의 로직 "하이"펄스폭=T(클럭의 주기)×(DV2-PD2+1)-식(1)의 식에 의해 PWM신호의 로직 "하이"구간 즉, 이득 상승 펄스구간이 길어져 모터 서보 증폭기(40)의 이득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를 제3도 제2카운터 및 PWM신호 파형도에 나타내었다.
상기와는 달리 디스크 사이즈가 작은 경우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를 큰 값으로 설정하면 상기 식(1)에 따라 이득 상승 펄스구간이 감소되어 모터 서보 증폭기(40)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의 값에 따라 이득 상승 펄스구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스핀들 모터(SM)에 걸리는 부하에 대응해 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수가 클 경우 회전수 데이터(PD1)가 커지고 제1디코더(D1)의 디코딩 값이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값이므로 PWM신호의 주기는 식(2)에 의해 짧아지게 된다. PWM신호의 주기=T(클럭의 주기)×(DV1-PD1+)-식(2) 또한, 회전수가 작을 경우 회전수 데이터(PD1)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PWM신호의 주기는 식(2)에 의해 길어지게 되며, 이를 제3도 제1카운터 및 PWM신호 파형도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와 같이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PWM신호의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더욱 더 정밀하게 스핀들 모터(SM)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디스크 사이즈 및 회전수에 따른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 및 회전수 데이터에 따라 PWM신호의 출력을 제어하여 스핀들 모터의 구동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스핀들 모터를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질 및 화질을 개선시키게 된다.

Claims (1)

  1.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입력되는 회전수 데이터(PD1)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1카운터(C1)와, 상기 제1카운터(C1)에 연결되어 상기 제1카운터(C1)의 카운팅 값을 체킹하는 제1디코더(D1)와, 상기 제1디코더(D1)에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1카운터(C1)에 입력되는 회전수 데이터(PD1)에 따라 출력 데이터가 변화되는 제1D-플립플롭(DFF1)과, 상기 제D-플립플롭(DF1)이 반전출력 단자(
    Figure kpo00005
    )에 반전된 로드인에이블 단자(
    Figure kpo00006
    )가 연결되고 리셋 입력단자(1)에 리셋단자(R)가 연결되어 클럭의 폴링에지에서 동작하여 입력되는 디스크 크기 데이터(PD2)에 따라 분주율이 변하는 제2카운터(C2)와, 상기 제2카운터(C2)에 연결되어 상기 제2카운터(C2)의 카운팅 값을 체킹하는 제2디코더(D2)와, 상기 제2디코더(D2)에 연결되어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작하여 상기 제2카운터(C2)에 입력되는 디스크 사이즈 데이터(PD2)에 따라출력 데이터가 변하는 제2D-플립플롭(DFF2)과, 상기 제1, 제2D-플립플롭(DFF1), (DFF2)의 반전 출력단자(
    Figure kpo00007
    )에 각각 셋트단자(S) 및 클럭단자(CK)가 연결되고, 리셋 입력단자(1)에 리셋단자(R)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로우" 또는 "하이"의 PWM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D-플립플롭(DFF3)과, 로 구성되는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KR1019910001490A 1991-01-29 1991-01-29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KR93000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490A KR930001642B1 (ko) 1991-01-29 1991-01-29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490A KR930001642B1 (ko) 1991-01-29 1991-01-29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73A KR920015273A (ko) 1992-08-26
KR930001642B1 true KR930001642B1 (ko) 1993-03-08

Family

ID=1931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490A KR930001642B1 (ko) 1991-01-29 1991-01-29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792B1 (ko) * 1997-07-30 2000-09-15 윤종용 전자교환기에서통신프로토콜을이용한유지보수정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792B1 (ko) * 1997-07-30 2000-09-15 윤종용 전자교환기에서통신프로토콜을이용한유지보수정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73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290A (en)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ingle chip microcomputer
US4413350A (en) Programmable clock rate generator
KR930001642B1 (ko) 이득제어를 위한 pwm신호 발생회로
US4815013A (en) Variable speed film transport interlock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JPS5931894B2 (ja) 多相mos回路
US5175482A (en) Stepping motor control circuit
US4837721A (en) Digital divider with integer and fractional division capability
JPH0758892B2 (ja) ディジタルパルス幅変調回路
US5057784A (en) Automatic reading apparatus for capstan reproducing speed mode
US4933881A (en) Variable speed film transport interlock system
JPH01170874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テストモード設定回路
KR950002296B1 (ko) 펄스폭 변조(pwm)방식의 모터 제어시스템의 제어된 pwm신호 발생장치
US39611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ing a device for a preselected interval of time
JPS5910162A (ja) ブラシレス化直流モ−タ
JPS6025097A (ja) ダイナミツクラム駆動回路
JP2754005B2 (ja) 多相パルス発生回路
JPS59183423A (ja) カウンタ制御回路
JPS6379074A (ja) 負荷電流制御回路
JPH09205349A (ja) パルス幅選択信号出力装置
KR19990003676A (ko) 디지탈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 제어장치
JPH0561725A (ja) ウオツチドツクタイマ
JPH01231674A (ja) モータ逆回転時のドライブ防止回路
JPH0317768A (ja) ウェイト制御方式
JPH0786923A (ja) 分周回路
JPH0548438A (ja) 可変分周器の分周比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