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9074A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 Google Patents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9074A
KR920019074A KR1019920004606A KR920004606A KR920019074A KR 920019074 A KR920019074 A KR 920019074A KR 1019920004606 A KR1019920004606 A KR 1019920004606A KR 920004606 A KR920004606 A KR 920004606A KR 920019074 A KR920019074 A KR 92001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circuit
transist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742B1 (ko
Inventor
요시오 와따나베
다쓰아끼 기따
Original Assignee
세까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까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까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2001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H03K5/1534Transition or edge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개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개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Claims (28)

  1. 입력펄스신호와 다른 시정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b, b1, b2)를 출력하기 위해 입력펄스신호(a)에 응답하는 시정수 설정회로(1, 1a, 1b)와, 서로 공통 접속된 에미터, 입력펄스 신호(a) 또는 상기 시정수설정회로의 출력신호(b1)를 수신하는 한 베이스 및, 제1기준신호(VR1)를 수신하는 다른 베이스를 각각 갖는 제1트랜지스터쌍(21;Q2, Q3;Q13, Q14;Q26, Q27)과 서로 공통 접속된 에미터, 시정수설정회로의 다른 출력신호(b, b2)를 수신하는 한 베이스 및, 제2기준신호(VR2)를 수신하는 다른 베이스를 각각 갖는 제2트랜지스터쌍(22;Q4, Q5;Q15, Q16;Q28, Q29)을 포함하는 에미터 결합논리회로(2, 2a, 2b, 2c)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 입력의 레벨변동에 상응하는 펄스개시간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입력의 레벨변동에 상응하는 펄스 정지 시간으로 정해지는 원쇼트 펄스(C)가 출력되고, 상기 원쇼트 펄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입력이 "L"레벨에 있고, 또한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입력이 "H"레벨에 있을때만 "H"레벨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신호는 입력펄스신호에 상보하는 신호이며, 상기 제2기준신호는 정전압신호인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신호는 정전압신호이고, 상기 제2기준신호는 또다른 정전압 신호인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Q2, Q3; Q13, Q14)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 쌍(Q4, Q5;Q15, Q16)은 직렬 게이트회로형으로 접속된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결합논리 회로(2, 2a)는 제1전원선(VCC)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중 한 트랜지스터(Q2, Q13)와 제2트랜지스터쌍중 다른 트랜지스터(Q5, Q16)의 각 콜렉터간에 접속되는 저항소자(R1, R11)와, 제2트랜지스터쌍의 각 에미터와 제2전원선(VEE)간에 접속되는 정전류원(S2, S13)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설정회로(1)는 그의 출력신호의 시정수를 가변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팅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가변설정수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입력에 결합된 노드(N2)간에 접속된 캐패시터(C1)와, 상기 노브와 상기 제2전원선간에 접속되며 또한 공급전류(IO)를 가변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류설정단자(N3)를 갖는 정전류원(S1)을 포함하며, 상기 시정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원은 전류 미러회로의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 입력에 결합된 노드간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입력 펄스신호에 응답하며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된 콜렉터를 갖는 입력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입력단 회로와,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노드간에서 순 방향으로 접속되는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들(VR1, VR2)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가변적으로 변동되는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기준신호 발생회로(3)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발생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전원신호에 접속된 제1저항(R8)과 상기 제1전항의 다른단과 상기 제2전원간에 접속된 제1제어단자(N14)를 갖는 제1정전류원(Q20, R15)과,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1저항의 다른단의 정전압에 응답하는 제2정전류원(Q18, R12)과, 상기 제2정전류원과 제2제어단자(N15)간에 접속된 제2저항(R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준신호(VR1)는 제1저항의 다른단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1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기준시호(VR2)는 상기 제2정전류원과 상기 제2저항간의 접속점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2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설정회로(1a)는 상기 입력펄스신호에 응답하는 입력트랜지스터(Q11)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간에 직렬로 접속된 정전류원(S11)과,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간에 접속된 캐패시터(C11)와,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의 신호(b1)를 레벨전이시킴과 동시에 신호전송을 지연시켜 주는 레벨전이회로(Q12, D11)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의 신호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의 한베이스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지연 및 레벨전이된 신호(b2)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에 공급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전이회로와, 상기 제2전원선간에 접속된 정전류원(S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전이회로는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의 신호에 응답하며 또한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된 콜렉터를 갖는 트랜지스터(Q12)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정전류원간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D11)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들(VR1, VR2)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가변적으로 변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들을 발생하는 기준신호 발생회로(3)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발생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된 제1저항(R8)과 상기 제1저항의 다른단과 상기 제2전원선간에 접속된 제1제어단자(N14)를 갖는 제1정전류원(Q20, R15)과,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1저항의 다른단의 정전압에 응답하는 제2정전류원(Q18, R12)과, 상기 제2정전류원과 제2제어단자(N15)간에 접속된 제2저항(R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준신호(VR1)는 제1저항의 다른단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1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기준신호는(VR2)는 상기 제2정전류원과 상기 제2저항간의 접속점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2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Q2, Q3;Q26, Q27)과 제2트랜지스터쌍(Q4, Q5;Q28, Q29)은 병렬 게이트형으로 접속된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결합논리회로(2b, 2c)는 제1전원선(VCC)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중 한 트랜지스터(Q2, Q6)와 제2트랜지스터쌍중 다른 트랜지스터(Q5, Q29)의 각 콜렉터간에 접속되는 저항소자(R1a, R21)와, 제2트랜지스터쌍의 각 에미터와 제2전원선(VEE)간에 접속되는 정전류원(S2a, S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설정회로(1, 1b)는 그의 출련신호의 시정수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가변설정 수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입력에 결합된 노드(N2)간에 접속된 캐패시터(C1, C21)와, 상기 노드와 상기 제2전원선간에 접속되며 또한 공급전류(IO)를 가변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류설정단자(N3)를 갖는 정전류원(S1)을 포함하며, 상기 시정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회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원은 전류 미러회로의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 입력에 결합된 노드간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입력펄스신호에 응답하며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된 콜렉터를 갖는 입력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입력단 회로와, 상기 입력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노드간에서 순 방향으로 접속되는 다이오드(D1)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4. 제21항에 있어서, 입력신호(IN)와 상기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간에 직렬로 접속된 정전류원(S22)의 변동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Q22)와, 상기 입력신호의 변동에 응답하며 또한 상기 캐패시터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트랜지스터(Q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출력(a)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출력(b)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쌍의 한 베이스에 공급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신호들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가변적으로 변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들을 발생하는 기준신호 발생회로(3)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발생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된 제1저항(R8)과 상기 제1저항의 다른단과 상기 제2전원선에 접속된 제1제어단자(N14)를 갖는 제1정전류원(Q20, R15)과, 상기 상기 제1전원선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1저항의 다른단의 정전압에 응답하는 제2정전류원(Q18, R12)과, 상기 제2정전류저항(R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준신호(VR1)는 제1저항의 다른단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1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기준신호(VR2)는 상기 제2정전류원과 상기 제2저항간의 접속점으로부터 취출되고 또한 상기 제2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준신호는 동일전압치(VR1)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04606A 1991-03-20 1992-03-2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KR960005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7472A JPH04291811A (ja) 1991-03-20 1991-03-20 ワンショットパルス生成回路
JP91-57472 1991-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74A true KR920019074A (ko) 1992-10-22
KR960005742B1 KR960005742B1 (ko) 1996-05-01

Family

ID=1305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606A KR960005742B1 (ko) 1991-03-20 1992-03-2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13110A (ko)
EP (1) EP0505160A3 (ko)
JP (1) JPH04291811A (ko)
KR (1) KR960005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8952A (en) * 1994-11-08 1996-11-26 Lucent Technologies Inc. Fixed-interval timing circuit and method
US5831464A (en) * 1996-04-29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plified differential single-shot
JP6867632B2 (ja) 2017-01-30 2021-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温度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029A (en) * 1973-05-15 1974-06-25 Halliburton Co Precision voltage control monostable multivibrator
JPS5615168B2 (ko) * 1973-08-28 1981-04-08
JPS5915526B2 (ja) * 1978-03-15 1984-04-1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単安定マルチバイブレ−タ
JPS54121650A (en) * 1978-03-15 1979-09-20 Hitachi Ltd Monostable circuit
JPS5866064A (ja) * 1981-10-15 1983-04-20 Toshiba Corp レベル検出回路
JPS60187120A (ja) * 1984-03-07 1985-09-24 Toshiba Corp 単安定マルチバイブレ−タ回路
JPS62101116A (ja) * 1985-10-29 1987-05-11 Toko Inc パルス遅延回路
JPH02134912A (ja) * 1988-11-15 1990-05-23 Sanyo Electric Co Ltd 単安定マルチバイブレータ回路
JPH0777346B2 (ja) * 1988-12-28 1995-08-16 株式会社東芝 論理レベル変換回路
US4999527A (en) * 1989-05-25 1991-03-12 Cherry Semiconductor Corporation One-spot multivib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91811A (ja) 1992-10-15
US5313110A (en) 1994-05-17
KR960005742B1 (ko) 1996-05-01
EP0505160A3 (en) 1993-03-31
EP0505160A2 (en) 199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1553A (en) Comparator with built-in hysteresis
KR950012313A (ko)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선택선 스캐너로 사용되는 시프트 레지스터
KR940010530A (ko) 에미터 결합 로직(ECL)-바이폴라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BiCMOS)/상보형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트랜슬레이터
KR890017875A (ko)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회로
KR960019994A (ko) 전류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회로 입력회로 및 이들을 사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시스템
KR980700731A (ko) 평활하게 개시하는 고주파용 비교기(Comparator with smooth start-up for high frequencies)
KR920019074A (ko)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KR920019076A (ko) 지연-펄스 발생기
US5012128A (en) High speed push-pull driver having current mirror pull-down
KR900013718A (ko) 수직 퓨즈 어레이용 고속 ecl입력 버퍼
KR910003925A (ko) Ecl/cml 의사-레일 회로, 차단 드라이버 회로 및 래치 회로
US5463343A (en) Adjustable delay circuit of the current intensity having delay as a hyperbolic function
US5068550A (en) ECL-TTL signal level converter
US4791315A (en) Cross-coupled latch
US4721867A (en) High speed logic gate with simulated open collector output
KR940018988A (ko) 어드레스 변이 검출을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버퍼(An address buffer for generating an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US3515904A (en) Electronic circuits utilizing emitter-coupled transistors
KR930003543A (ko) 전류 거울 회로
US4477780A (en) Operational amplifier with multiple switchable outputs
KR920017357A (ko) 지연회로
KR880012011A (ko) 논리회로
KR890003130A (ko) 전압 레벨 변환기
KR940001491Y1 (ko)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US3254242A (en) Delay timing circuit
JP3565358B2 (ja) 出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