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91Y1 -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 Google Patents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91Y1
KR940001491Y1 KR2019910014151U KR910014151U KR940001491Y1 KR 940001491 Y1 KR940001491 Y1 KR 940001491Y1 KR 2019910014151 U KR2019910014151 U KR 2019910014151U KR 910014151 U KR910014151 U KR 910014151U KR 940001491 Y1 KR940001491 Y1 KR 940001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
inverter
gat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4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676U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금성하니웰 주식회사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하니웰 주식회사, 신용균 filed Critical 금성하니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4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491Y1/ko
Publication of KR930007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회로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5,6,7,12 : 인버터 3,11 : 노아게이트
2,10,13 : 스위치 8 : 시간 발생회로
9 : 가변저항
본 고안은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히 온-오프기능의 광전스위치 출력기능을 향상시켜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 연결사용에 유용하도록한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 스위치는 자동문, 자동화기계, 자동화 라인등에 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수광부와 발광부사이에 물체가 놓이게 되었을때 출력을 낼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광전 스위치의 출력기능이 단순히 릴레이나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다른 시스템에 연결하였었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 온-오프신호를 받아들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여러가지 출력을 낼수 있도록 하여 타시스템과 상호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 회로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입력신호는 두개로 나뉘어져 인버터(1)를 통과한 것과 통하지 않는것이 스위치(2)에 연결되고 스위치(2)의 출력은 또다시 두개로 나뉘어져 하나는 노아게이트(3) 일측단에 연결되고 또다른 하나는 인버터(4,5,6)의 직렬구성을 통해 노아게이트(3)의 다른 일측단과 연결되며, 노아게이트(3)의 출력은 인버터(7)를 통하여 시간 발생회로(8)의 입력에 연결되고, 시간 발생회로(8)에는 시간조절용 가변저항(9)이 연결되며, 시간 발생회로(8)의 출력은 노아게이트(11)의 일측입력단과 스위치(10)의 일측단에 동시연결되고 또 상기 인버터(5)의 출력은 스위치(10)의 일측단을 통해 노아게이트(11)의 다른측 입결단과 연결되고 노아게이트(11)의 출력은 두개로 나뉘어져 하나는 스위치(13)의 다른 일측단과 연결되며 스위치(13)의 출력단에서 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제2도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이 들어오면 3개의 인버터(4,5,6)를 통한 것과 직접 노아게이트(3)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시간차이에 의하여 노아게이트(3)는 트리거를 발생한다.
이 트리거신호는 인버터(7)를 통하여 신호 반전되고, 이 반전된 신호는 시간 발생회로(8)를 동작시킨다. 이때 시간 발생회로(8)는 가변저항(9)에 의해서 시간조절이 가능해진다.
가변저항(9)에 의해서 발생된 시간은 스위치(2)에 의해 인버터(5)에서 나온 신호와 조합되어 노아게이트(11)에 입력되고, 이 입력된 신호는 노아게이트(11) 고유의 특성에 따라 출력을 내게된다.
이 노아게이트(11)의 출력은 인버터(12)를 통하여 한번반전되고 이 반전된 신호는 반전되지 않은 신호와 함께 스위치(3)에 연결되어 최종적인 출력을 내도록 된다.
제2도(A)에서 원 쇼트(ONE SHOT)시를 설명하면, 제2도(A)의 (a)와 같은 입력신호는 스위치(2)가 ②번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버터(1)를 통해 반전되어 스위치(2)를 거쳐 제2도(A)의 (b)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된다.
이 스위치(2)의 출력은 인버터(4,5,6)을 거쳐 다시 반전되어 제2도 (A)의 (c)와 같은 파형으로 되어 상기 스위치(2)의 출력파형과 함께 아게이트(3)로 입력되므로 노아게이트(3)의 출력단으로 제2도(A)의 (d)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고 이 파형은 다시 인버터(7)를 통해 반전되어 제2도(A)의 (e)와 같은 파형으로 시간 발생회로(8)로 인가되어 시간 발생회로(8)를 동작시킨다.
가변저항(9)에 의해 시간조절되어 시간 발생회로(8)에 의해 발생된 신호(제2도(A)의 (f)파형)은 노아게이트(11)로 인가되는데(스위치(10)는 ①번단자와 연결되므로 인번터(5)를 통한 출력은 인가되지 않는다) 이때 노아게이트(11)이 반전회로와 같은 동작을 하여 제2도(A)의 (g)와 같은 파형을 출력하고 이 노아게이트(아)의 출력은 스위치(13)가 ①번단과 연결되므로 인버터(12)를 통해 다시 반전되어 제2도 (A)의 (자)와 같은 파형으로 스위치(13)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온 딜레이(ON DELAY)시를 제2도(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도(B) (a)와 같은 입력신호는 스위치(2)가 ②번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버터(1)를 통해 반전된후 스위치(2)를 거쳐 제2도(B)(b)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어 노아게이트(3)의 일측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인버터(4,5,6)를 통해 반전되어 제2도 (B)의 (c)와 같은 파형으로 되어 노아게이트(3)의 다른측 입력단으로 인가되므로 노아게이트(3)의 출력단으로 제2도(B)의 (d)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이 노아게이트(3)의 출력은 인버터(7)를 통해 반전되어 제2도 (B)의 (e)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어 시간 발생회로(8)를 구동시키고 시간 발생회로(8)에서 발생된 신호(제2도(f)파형)는 스위치(10)가 ②번 단자와 연결되므로 제2도(B)의 (라)와 같은 인버터(5)의 출력파형과 함께 노아게이트(11)의 입력으로 인가되어 제2도(B)의 (g)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고 이 노아게이트(11)의 출력은 스위치(13)가 ②번 단과 연결되므로 바로 스위치(13)를 통해 출력단으로 연결된다.
제2도(C)에서 ‘오프’딜레이시를 설명하면, 제2도(C)의 (a)와 같은 입력신호는 스위치(2)가 ①번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위치(2)를 통해 바로 노아게이트(3)의 일측입력으로 인가(제2도(C)의 (b파형)되는 동시에 인버터(4,5,6)를 통해 제2도(C)의 (c)와 같은 파형으로 반전되어 노아게이트(3)의 다른 일측입력으로 인가되므로 노아게이트(3)의 출력단으로 입력된 신호의 시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2도(C)의 (d)와 같은 트리거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는 인버터(7)를 통해 제2도(C)의 (e)와 같이 반전되어 시간 발생회로(8)를 동작시키는데 이때 시간 발생회로(8)는 가변저항(9)의 조정폭만큼 출력을 낸다. 이 시간발생회로의 출력은 스위치(10)가 ②번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도(C)(d)와 같은 인버터(5)의 출력신호와 함께 노아게이트(11)로 인가되고 따라서 노아게이트(11)는 출력단으로 제2도(C)의 (아)와 같은 파형을 출력하고, 이 노아게이트(11)의 출력은 스위치(13)가 ①번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버터(12)를 통해 반전되어 제2도(C)의 (i)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각 동작시 스위치(2,10,13)의 연결상태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광전 스위치의 온-오프신호를 받아들여 스위치조작에 의해 여러가지 출력을 낼수 있도록하여 타시스템과 상호 연결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전 스위치의 출력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1)와, 상기 인버터(1)의 출력과 입력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스위치(2)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스위치(2)의 출력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4,5,6)와, 상기 스위치(2)의 출력과 인버터(4,5,6)를 통해 반전된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의 시간차에 따라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노아게이트(3)와, 상기 노아게이트(3)의 출력을 인버터(7)를 통해 인가받아 구동되어 가변저항(9)에 의해 조절된 시간폭만큼의 출력을 발생시키는 노아게이트(3)와, 상기 노아게이트(3)의 출력을 인버터(7)를 통해 인가받아 구동되어 가변저항(9)에 의해 조절된 시간폭만큼의 출력을 발생시키는 시간발생회로(8)와, 상기 인버터(5)의 출력을 노아게이트(11)의 입력단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치(10)와, 상기 시간발생회로(8)의 출력과 스위치(10)에 의해 출력제어되는 인버터(5)의 출력을 입력받아 노아연산하는 노아게이트(11)와, 상기 노아게이트(1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12)와, 상기 노아게이트(11)의 출력과 인버터(12)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단으로 인가하는 스위치(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스위치 출력 다기능회로.
KR2019910014151U 1991-09-02 1991-09-02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KR940001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151U KR940001491Y1 (ko) 1991-09-02 1991-09-02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151U KR940001491Y1 (ko) 1991-09-02 1991-09-02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76U KR930007676U (ko) 1993-04-26
KR940001491Y1 true KR940001491Y1 (ko) 1994-03-17

Family

ID=1931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4151U KR940001491Y1 (ko) 1991-09-02 1991-09-02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4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76U (ko) 199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556A (ko) 점진적 턴-온 특성의 cmos 구동기
US5995252A (en) Low power digital signal isolator
KR940006348A (ko) D/a 변환장치 및 a/d 변환장치
KR900017298A (ko) 상관된 이중 신호 샘플링을 위한 센서 회로
KR940001491Y1 (ko) 광전 스위치의 출력 다기능회로
JPH11191727A (ja) パルス整形回路
TW334635B (en) Skew logic circuit device
TW245834B (en)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speed nor gate integrated circuit
CA2040134A1 (en) A delay line providing an adjustable delay
KR920019074A (ko)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회로
KR0118495Y1 (ko) 고압 스위칭 회로
JPH02125515A (ja) クロック発生回路
EP0343553A3 (en) Low voltage-controlled, stand-by electronic circuit with delayed switch off
KR960027288A (ko)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930009698A (ko) 레이저 가공기와 cnc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KR910002977Y1 (ko) 프린터의 포트 절환회로
KR0138962B1 (ko) 보드절체회로
JP2523707Y2 (ja) オン・オフディレー回路
JPH02189021A (ja) 制御回路
KR950009456A (ko)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입출력 제어회로
KR970008884A (ko) 가변 구동 능력 출력 버퍼 회로
KR960036334A (ko) 가변형 지연회로
KR970055487A (ko) 가변형 슬루율 제어 로직회로
KR970013702A (ko) 펄스발생기
KR960036046A (ko) Ic 디바이스용 온도 보정 회로 및 그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