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214B1 -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 - Google Patents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9214B1 KR920009214B1 KR1019900015507A KR900015507A KR920009214B1 KR 920009214 B1 KR920009214 B1 KR 920009214B1 KR 1019900015507 A KR1019900015507 A KR 1019900015507A KR 900015507 A KR900015507 A KR 900015507A KR 920009214 B1 KR920009214 B1 KR 920009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weft
- yarn
- gripper
- gripper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8—Weft pattern mechanism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125—Weft hold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70—Devices for cutting weft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정면도.
제4도는 위입 장치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캠선도.
제6도는 요부의 배치 상태의 사시도.
제7도는 2색(色) 1월(越) 위입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동작 설명도.
제9도는 2색 2월의 위입시의 동작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직물 조직의 동작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동수단의 설명도.
제12도는 파지체, 슬라이더 및 급사 커터의 동작 설명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신호 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구동수단 정면도.
제16도는 회전제어 회로의 블록선도.
제17도는 실 가이드의 다른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입장치 2 : 제1의 파지체
3 : 제2의 파지체 4 : 슬라이더
5 : 구동수단 6 : 제1브라켓트
7 : 제2브라켓트 8a, 8b : 위사선택 장치의 핑거
9 : 직포 9a, 9b : 위사
10 : 슬라이드 샤프트 11 : 파지부
12 : 가동날 13 : 고정날
14 : 급사커터 15 : 슬라이드 피이스
16 : 연결핀 17 : 캠 레버
18 : 레버축 19 : 인장 스프링
20 : 캠 보올 21 : 캠축
22 : 캠 23, 24 : 안내 샤프트
25, 26 : 압축 스프링 27, 28 : 안내구멍
29, 30 : 스톱링 31 : 고정날 브라켓트
32 : 실 가이드 33 : 도사구
33a : 흠부 34 : 스레이
35 : 바디 36 : 훅
37 : 레피어 38 : 급사체
39 : 구동부 40 : 레버
41, 42 : 솔레노이드 43 : 변환신호 출력회로
44 : 직기의 주축 45 : 엔코더
46 : 온·오프 제어회로 47 : 회전 제어회로
48 : 변환회로 49 : 설정회로
50 : 구동회로 51 : 펄스 모우터
52 : 래크 53 : 피니온
54 : 슬라이드 55 : 레일
K1내지 K3: 변환신호 S1내지S3: 구동신호
본 발명은,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입운동 과정에서, 위사의 파지 및 절단을 하는 부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피어 직기에서는, 직포 끝안의 바깥쪽에 접결사(接結絲; Binding Yarn)를 형성하고, 위입된 위사를 그 접결사로 유지 하면서 급사체에 연결한 상태로 해두고, 다음번의 그 위사의 위입 개시시에 비로소 접결사와 레피어와의 사이에서 급사커터에 의하여 절단하고, 그후 위입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접결사에 유지되고 있는 위사 끝단은 직포의 버림변폭(邊幅)으로서 그대로 옷감 끝단으로부터 변폭 커터에 의하여 절단되고, 그 구실을 끝내고 버려진다.
상기와 같이, 레피어 직기의 위입 과정에서 위사의 유지를 위하여, 접결사가 필요하며, 이 결과, 접결사에 의하여 유지되는 위사부분, 즉, 버림 변폭 부분이 위사의 손실로 되어 있으며, 또한 비교적 고장나기 쉬운 커터로서 급사커터와 변폭커터가 있기 때문에 그들의 보존 점검에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결사를 없애고, 버림 변폭 부분을 없게하여 위사의 손실을 최소로 억제함과 동시에, 1개의 커터로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에, 본 발명은 위사 선택 장치와, 급사 커터와의 사이에서 2개의 파지체를 중간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상하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이들 상하 파지체 사이에서 파지부를 가지는 슬라이더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슬라이더의 파지부와, 윗쪽의 파지체 또는 아래쪽의 파지체와의 사이에서, 여러개의 위사를 옷감 조직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지함과 동시에, 파지증인 위사를 상기 급사 커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옷감 조직에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은, 슬라이더를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슬라이더의 파지부를 한쌍의 파지체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상하 운동 과정에서, 슬라이더의 파지부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서, 윗쪽의 파지체와, 또는 아래쪽의 파지체와 붙고 떨어짐 함으로써, 그들 사이에서 위사를 선택적으로 파지해 나간다.
그리고, 위사의 파지중에 급사 커터는, 위입전에 그 위사를 절단 함으로써, 직포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급사 커터의 가동날(可動刃)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상하 운동에 의하여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절단 기능도 실행해간다.
또한, 슬라이더의 중간위치는, 슬라이더의 파지부와 양쪽의 파지체가 맞닿는 상태로 있는 위치, 바꾸어 말하면 파지부와 양쪽의 파지체와의 사이에서 2개의 위사를 동시에 파지할수 있는 상태에 있는 위치를 말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1)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파지체(2),(3) 슬라이더(4) 및 구동수단(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제1브라켓트(6) 및 제2브라켓트(7) 부분에 조립되어있다.
즉, 제1브라켓트(6)는, 위사 선택장치의 핑거(8a),(8b)와 직포(9)와의 사이에서, 도시하지 않은 직기 프레임등에 붙임고정되어 있으며, 전방의 개구부내에 상하 방향으로 붙임고정된 슬라이드 샤프트(10)에 따라 블록현상의 슬라이더(4)를 상하 동작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4)는, 앞면의 거의 중앙 부분에서 파지부(11)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 파지부(11)의 직포(9)쪽 측면에서 가동날(12)을 가지며, 후술하는 고정날(13)과 함께 급사 커터(14)를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위사 선택장치쪽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홈안에서,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로운 슬라이드 피이스(15) 및 이 슬라이드 피이스(15)에 삽입된 연결핀(16)을 개재하고, 캠레버(17)의 한쪽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캠레비(17)는 거의 "L"자 형이며, 기초 끝단부의 레버축(18)에 의하여 제1브라켓트(6)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또한, 인장 스프링(19)에 의하여, 제1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되고 있으며, 그 중간 부분의 캠 보울(20)에 의하여 캠축(21)과 함께 회전하는 판형상의 캠(22)의 윤곽에 접하고 있다.
이 캠(22)의 윤곽 곡선은, 직기의 주축의 회전각에 대하여 제5도와 같이 설정되어있다.
또한, 이 캠축(21)은 이 실시예의 2색 1월의 옷감 조직과 대응하며, 직기의 주축에 대하여 1/2의 감속비로 동기 상태로 회전한다. 이들 캠레버(17), 캠(22)등은, 상기 구동수단(5)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2의 브라켓트(7)는 제1의 브라켓트(6)의 앞끝단면쪽에 붙임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파지체(2),(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의 파지체(2),(3)는 서로 각각 안내 샤프트(23),(24)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중간에 슬라이더(4)의 파지부(11)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마주보고 있어서, 각각의 안내 샤프트(23),(24) 부분에서 압축 스프링(25),(26)을 개재시키면서 제2브라켓트(7)의 안내구멍(27),(28)에 대하여 상하 동작이 자유로우며, 동시에 압축 스프링(25),(26)에 의하여 중간 파지부(11)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 되고 있다.
또한, 윗쪽의 안내 샤프트(23)의 하강 한도는 위끝단에 붙임고정된 스톱링(29)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으며, 또한 아래쪽의 안내 샤프트(24)의 상승 한도는 아래끝의 스톱링(30)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다.
또한, 제2브라켓트(7)의 측면쪽, 즉, 위사 선택 장치의 핑거(8a),(8b)쪽에 실 가이드(32)가 붙임고정되어 있으며, 직기의 송출쪽으로 개구하는 도사구(導絲口)(33)가 형성되어있다.
이 실가이드(32)는, 도사구(33)가 파지체(2),(3)와 파지부(11)와의 개방부와 수평방향에서 일치 하도록 붙임고정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트(7)는 앞면쪽에서 제1브라켓트(6)의 열린 곳과 같은 크기로 열려 있으며, 그 열린 부분에서 고정날 브라켓트(31)와 일체화하고 있다.
즉, 이 고정날 브라켓트(31)는 내측면 전방에서 "V"자 형상으로 여는 고정날(13)을 가지고 있으며, 제2브라켓트(7)의 직포(9)쪽 측면에 붙임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날(13)과, 가동날(12)과의 사이에서 잘라끊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트(6)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사커터(14)를 직포(9)의 끝단부에 접근시키고, 직포(9)를 짜기전의 연장선 위에서 도사구(33)을 일치시킨 상태로 붙임고정 되어 있다. 이 결과, 제1의 파지체(2), 제2의 파지체(3)는 짜기전의 연장선에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하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위입장치(1)는, 제2도와 같이 스레이(34)위의 바디(35)와 마주 향하게 되지만, 실 가이드(32)로부터 고정날 브라켓트(31)와의 사이에서 바디(35)의 바디 날개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과 마주 향하고 있다.
캠축(21)이 직기의 주축과 연이어 움직여서 회전하고 있을 때, 캠레버(17)는 캠(22)의 윤곽에 맞추어서 요동 운동을 하고, 슬라이더(4)를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그 파지부(11)를 상하의 제1의 파지체(2)와 제2의 파지체(3)의 상이에서 상하 동작시킨다.
이들 파지체(2),(3)는 각각 압축 스프링(25),(26)에 저항하여 파지부(11)의 상하 동작에 따라 상항 방향으로 따르면서 상하 운동을 한다.
슬라이더(4)가 가장위쪽 위치에 있을 때, 제1의 파지체(2)와 파지부(11)가 맞닿는 동시에, 제2의 파지체(3)와 파지부(11)와의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4)가 가장 아래쪽 위치에 있을 때, 상기와 반대의 사태로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 및 파지체(2),(3)는 닿지 않을 때에 그들의 개방부를 짜기전에 연장선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슬라이더(4)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 파지부(11)는 양쪽의 파지체(2),(3)와 맞닿고 있다.
슬라이더(4)가 중간위치로부터 가장 윗쪽 위치 또는 가장 아래쪽 위치로 이동할 때, 급사 커터(14)는, 그파지상태의 위사를 절단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슬라이더(4)의 중간위치는 이미 기재한 바와 같이 파지부(11)와 2개의 파지체(2),(3)와의 접촉 상태에 있어서, 그들의 사이에 2개의 위사(9a),(9b)를 파지할수 있는 상태에 있는 위치이며, 제7도에서 1점쇄선에 의하여 표시되어있다.
제7도는, 2색 1월(1×1)의 위입에 대하여 직기의 회전각에 대한 위입장치(1)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1) 슬라이더(4)가 가장 아래쪽 위치에 있고, 파지체(3)와 파지부(11)와의 사이에서 위사(9b)를 파지하고 있다. 위사(9b)는 이미 급사 커터(14)에 의하여 절단되고, 직포(9)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위입된 위사(9a)가 바디치기(筬打)와 함께 파지체(2)와 파지부(11)와의 사이의 개방부내로 안내된다. 또한, 위사(9a) 안내 동작은 위입에 간섭하지 않도록, 바디(35)의 바디 날개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근방의 바디날개에 의하여 또는, 바디날개에 대신하여 스레이(34)상에 붙임고정된 "L"자형의 실 안내용의 훅(36)등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이때, 위사(9a)는 급차체(38)에 연속해 있으며, 실 가이드(32)에 따라 도사구(33)로 인도된다.
(2) 바디를 친후, 슬라이더(4)는, 중간위치로 되돌아와서 파지부(11)의 상하에서 제1의 파지체(2) 및 제2의 파지체(3)와 함께 위사(9a),(9b)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위사(9a)는 직포(9)에 연속한 상태에 있다. (3),(4)위사 선택 장치의 핑거(8b)가 강하하여 위사(9b)를 선택한다. 직기의 회전각 80도 가까이에 레피어(37)가 위사(9b)를 유지하며, 유지상태인 위사(9b)를 넘겨 받아서 위입을 개시한다. 물론 위사 선택 장치의 핑거(8a),(8b)는 2색 1월의 옷감 조직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5) 회전각 165도 부근에서, 슬라이더(4)가 가장 위쪽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급사커터(14)가 위사(9a)를 직포(9)쪽으로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4)의 파지부(11) 아래쪽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6),(7) 위사 (9b)가 바디치기 운동에 따라 개방부로 이동된다.
(8) 위사(9b)의 바디치기후, 슬라이더(4)가 중간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위사(9a),(9b)는 각각 제1의 파지체(2)와 파지부(11)와의 사이에서, 제2의 파지체(3)와 파지부(11)와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위사(9b)는 직포(9)와 연속되어 있다.
(9), (10) 위사 선택 장치의 핑거(8a)가 위사(9a)를 선택하는 회전각 80도 가까이에서 위사(9a)가 레피어(37)에 의해서 넘겨 박게되고 이것을 의하여 그 위입이 개시된다.
(11), (12) 슬라이더(4)가 가장 아래쪽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급사 커터(14)는 가동날(12)과 고정날(13)과의 사이에서 위사(9b)를 절단한다. 이때, 파지부(11)의 윗쪽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그후, 바디치기 부근에서(1)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하여, 위사(9a),(9b)가 번갈아 위입되며 (1×1)의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제8 내지 제10도에 나타내어져 있으며, 예를 들면 2색 2월(2×2) 또는 2색 1월(2×1)등의 옷감 조직과 같이 적어도 2개의 위사(9a),(9b)중 어느쪽인가를 연속하여 위입하는 경우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슬라이더(4)의 파지부(11)에 형성된 가동날(12)과 고정날 브라켓트(31)에 형성된 고정날 (13)과의 사이에서 급사 커터(14)를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더(4)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도의 것과 다른 윤곽의 캠(22)에 의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하로 5단계의 상하운동을 한다.
이 5단계의 상하 운동중 (2)로부터 (4)의 단계를 중간 위치로 한다.
(1) 및 (5)의 상태에서는, 파지부 (11)의 윗쪽 또는 아래쪽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2)로부터 (4)까지의 단계에서는 쌍방의 위사(9a),(9b)를 파지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3)이외의 단계에서는, 위사(9a),(9b)의 어느 쪽인가를 절단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있다.
즉, (1)로부터 (3)의 어느쪽인가의 상태로부터 (4) 또는 (5)의 단계로 이동할 때, 위사(9b)가 절단되고 (5)로부터 (3)의 어느 쪽인가의 상태로부터 (1) 또는 (2)의 단계로 이동할 때, 위사(9a)가 절단된다.
고정날(13)의 열린곳과 파지체(2),(3)의 개방부와의 위치관계는, (1'),(5')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파지체(2),(3)의 앞면에 실 안내면(2'),(3')이 개방부로 향하여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9a),(9b)는 확실하게 개방부내로 안내된다.
이때 실가이드(32)의 도사구(33)도 고정날(13)의 열린곳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제9도는 2색 2월(2×2)의 옷감 조직의 위입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2×2)에서는 캠 축(21)의 회전은, 직기의 주축인 1/4의 감속비로 설정되어있다.
(1) 내지 (9) : 이 과정에서 위사(9b)가 2회 연속하여 위입되고, 바디치기 된다.
또한, 바디치기후, 위사(9b)는 각각 (5),(11)의 단계에서 절단된다.
(10) 내지 (17)의 과정에서 위사(9a)가 2회 연속하여 위입되고, 바디치기되어 (13),(3)의 단계에서 절단 된다.
다음에, 제10도는 2색 1월·2월의 번갈아된 (2×1) 옷감 조직의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2×1)의 경우에 캠축(21)은, 직기의 주축 1회전에 대하여 1/3의 감속비로 설정되어있다.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위사(9b)에 대하여 (1)부터 (5) 및 (6)부터 (8)의 단계에서 2회의 위입이 행하여 진후에, 위사(9a)에 대하여 (9)부터 (13)의 단계에서 위입이 1회만 행하여지고, 1반복을 완료한다.
이 사이에, 위입장치(1)는, 절단, 바디치기와 대응하고, 위사(9a),(9b)의 파지, 개방부로의 받아들임등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해간다. 이 실시예 2의 슬라이더(4)의 동작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르며, 한쪽의 위사(9b)가 연속하여 위입될때에, 2회째의 위입이 개시되기전에, 다른 위사(9a)를 파지하면서 1회째의 위입이 행하여지고, 그 위사(9b)를 회전각 30도 가까이에서 절단하고, 2회째의 위입 개시까지 중간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위사(9a) 또는 위사 (9b)의 위입개시까지, 슬라이더(4)는 중간위치(3)에 있으나, 중간위치는(3) 이외의 (2) 또는 (4)라도 좋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수단(5)을 솔레노이드등에 의하여 구성하고,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사 커터(14)를 위입장치(1)와 별도로 형성하고, 2색의 자유로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예이다.
급사 커터(14)는, 위입장치(1)와 별도로 위입장치(1)에 대하여 직포(9)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위입되기전, 즉, 바디치기후부터 위입개시 까지의 사이에 1회의 절단 동작을 하도록 구동부(3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는 위입 개시시에 중간 위치에 있으며, 양쪽 방향의 위사(2a),(2b)를 파지하고, 바디치기시에 가장 윗쪽 위치 또는 가장 아래쪽 위치의 어느쪽인가의 쪽에 있어서, 위입된 위사(9a),(9b)를 받아들이도록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직기의 회전각 6도부터 126도의 기간에서 슬라이더(4)가 중간위치에 설정된다.
그 이외의 회전각의 기간에서 슬라이더(4)는 윗쪽 또는 아래쪽에 있어서 바디치기되는 위사(9a),(9b)의 받아들임에 대비한다.
급사 커터(14)는, 직기의 회전각 30도 가까이에서 동작하고, 어느 쪽인가의 위사(9a),(9b)를 절단한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솔레노이드(41),(42)는 로드의 앞끝단 부분에서 레버(40)에 연결되어있다.
이 레버(40)의 중간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연결된(16)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11도에 기재되어 있는 연결핀(16)의 위치(1),(2),(3)은 제12도의 슬라이더(4)의 파지부(11)의 위치(1),(2),(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2개의 솔레노이드(41),(42)의 "온", "오프" 제어에 의하여 슬라이더(4)는 제13도와 같이 3단계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9a→9b→9a→9b→9b)으로 자유 교환의 위입을 할 때, 변환신호 출력회로(43)에 미리 변환신호(K1) 내지 (K3)의 출력패턴이 입력되고 기억되어있다.
변환신호 출력회로(43)는 직기의 주축(44)에 연결된 엔코더(45)로부터 제직중에 직기의 회전각 신호를 입력하면서 대응하는 변환신호를 그 출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온", "오프"제어회로(46)로 출력하게 된다.
"온", "오프" 제어회로(46)는, 변환신호(K1)로부터 (K3)에 대응하여 2개의 솔레노이드(41),(42)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고, 레버(40)를 수평 또는 어느 쪽인가의 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서, 연결핀(16)의 높이를 3단계로 이동시킨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제15 및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4)를 전동에 의하여 구동하고, 2색의 자유로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예이다.
변환신호 출력회로(43)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회전제어 회로(47)내의 변환회로(48)는 변환신호 출력회로(43)로 부터의 변환신호(K1) 내지 (K3)에 의거 대응하는 구동신호(S1) 내지 (S3)를 설정회로(49)로부터 입력하고, 다시 이것을 출력함으로써 구동회로(50), 펄스 모우터(51)를 개재하여 슬라이더(4)를 제12도의 3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펄스 모우터(51) 회전은 레크(52)가 피니온(53)에 의하여 슬라이드(54)의 연결핀(16)에 레일(55)에 따라 높이 방향의 이동량으로서 주어지므로 슬라이더(4)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는, 모두 2색의 위입을 예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위입장치(1)는 예를 들면 4색의 위입에도 이용할 수 있다. 4색의 위입인 경우에 2개의 위입장치(1)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열되고, 이 위입장치(1) 그 자체를 위사의 선택에 맞추어서 상하로 동작시킴으로써, 작업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물론, 이 상하 방향의 구동 수단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캠이나, 레버기구, 모우터의 회전량 제어장치등에 의하여 실현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입대상인 위사에 대응하는 위입장치(1)는, 작업위치에서 그 파지체(2),(3) 및 파지체(11)의 개방부를 짜기전에 연장선상에 위치시킴으로서, 필요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느것이나 파지체(2),(3)가 상하로 직선 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상하로 원호 운동을 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파지체(2),(3)는 1점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하는 2개의 레버의 앞 끝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4)의 파지부(11)와 양쪽 파지체(2),(3)는 그 파지면이 짜기전의 연장상(上)을 교차하는 것과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것이 위사 손실을 최소로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하지 않고, 짜기전의 연장선 보다도 약간 감는쪽 혹은 송출하는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파지면이 전자의 쪽에 위치할때는 스레이(34)에 실 안내용의 훅(36)을 형성하여 강제적으로 위사끝단을 파지부(11)와 파지체와의 개방부에 안내 하도록 해도좋다.
또한, 실가이드(32)의 도사구(33)의 내부에서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훅 형상의 홈부(34)를 형성하면, 도사구(33)에 들어간 위사(9a),(9b)가 파지될 때에, 그 홈부(33a)로 들어가므로, 위사(9a),(9b)에 앞방향의 힘이 걸리더라도 거기에서 빠져 나올수 없으므로, 위사 (9a),(9b)의 파지 및 절단이 안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사가 그 위입쪽의 끝단부에서 제1의 파지체 또는 제2의 파지체와 파지부에 의하여 유지되고, 그것과 직포와의 사이에 형성된 급사 커터에 의하여 적절한 타이밍으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접결사가 필요하게 되지않고, 버림 변폭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위사의 손실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외에 위사의 변폭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폭 커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1개의 급사 커터만으로 위사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수 점검의 번잡한 커터를 1개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러한 노력이 반감하게 된다.
Claims (2)
- 위사 선택 장치의 핑거(8a),(8b)와 급사 커터(14)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동작이 가능하며 중간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또한 상하 운동 방향으로 대향하게 형성된 2개의 파지체(2),(3)와, 2개의 파지체(2),(3) 사이에서 상기 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파지부(11)를 가지는 슬라이더(4)와, 이 슬라이더(4)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구동수단(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4)의 파지부(11)는, 양쪽의 파지체(2),(3)로부터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양쪽의 파지체(2),(3)에 맞닿고, 한쪽의 파지체쪽에 위치할 때, 다른쪽의 파지체와의 사이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사 커터(14)는, 위사(9a),(9b)의 위입 개시까지 그위사(9a),(9b)를 절단하고, 상기 구동수단(5)은 위사(9a),(9b)의 바디치기시에 슬라이더(4)를 한쪽의 파지체쪽으로 위치시켜 위입 개시시에 슬라이더(4)를 중간에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4) 측면에 급사 커터(14)의 가동날(12)을 붙임고정하고, 상기 파지체 유지용으로 브라켓트(31)에 고정날(13)을 붙임고정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용인 위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58999 | 1989-10-04 | ||
JP1258999A JP2762132B2 (ja) | 1989-10-04 | 1989-10-04 | レピア織機用のよこ入れ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199A KR910008199A (ko) | 1991-05-30 |
KR920009214B1 true KR920009214B1 (ko) | 1992-10-15 |
Family
ID=1732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5507A KR920009214B1 (ko) | 1989-10-04 | 1990-09-28 |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090456A (ko) |
EP (1) | EP0421349B1 (ko) |
JP (1) | JP2762132B2 (ko) |
KR (1) | KR920009214B1 (ko) |
DE (1) | DE69015091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06953C2 (de) * | 1998-02-19 | 2000-03-02 | Dornier Gmbh Lindauer | Schneideinrichtung in Webmaschinen |
CN102277679B (zh) * | 2011-06-20 | 2013-02-27 | 陈仲纪 | 一种剑杆织机的省料剪纬装置 |
BE1019807A3 (nl) * | 2011-07-12 | 2012-12-04 | Picanol |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klemmen van een inslagdraad. |
WO2013112684A1 (en) | 2012-01-24 | 2013-08-01 | Nike International Ltd. | Intermittent weaving splicer |
CN104169480B (zh) | 2012-01-24 | 2017-09-19 |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 三维编织系统 |
CN104126040B (zh) * | 2012-01-24 | 2017-06-09 |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 编织修整装置 |
BE1024401B1 (nl) | 2016-07-04 | 2018-02-13 | Picanol N.V. Naamloze Vennootschap | Inrichting voor het klemmen van inslagdraden |
US11299827B2 (en) | 2018-05-17 | 2022-04-12 | James Tolle | Nanoconductor smart wearable technology and electronic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710291B2 (de) * | 1967-04-22 | 1973-10-04 | Fa. S. Lentz, 4060 Viersen | Einrichtung zum Schneiden und Klemmen von Schußfäden an Greiferwebmaschinen |
CH520217A (de) * | 1971-02-17 | 1972-03-15 | Fischer Ag Brugg Georg | Schussfadenschneide- und -Klemmvorrichtung an einer Webmaschine |
CH540365A (it) * | 1971-06-21 | 1973-08-15 | Somet Soc Mec Tessile | Dispositivo di taglio dei fili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
AT317801B (de) * | 1972-09-18 | 1974-09-10 | Voest Ag | Schußfadenschere für Webmaschinen |
NL8600857A (nl) * | 1986-04-03 | 1987-11-02 | Picanol Nv | Werkwijze voor het klemmen, vasthouden en presenteren van inslagdraden bij grijperweefmachines en inrichting hiertoe aangewend. |
DE3812960A1 (de) * | 1987-10-06 | 1989-04-20 | Textilma Ag | Greiferwebmaschine |
-
1989
- 1989-10-04 JP JP1258999A patent/JP2762132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9-28 KR KR1019900015507A patent/KR9200092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10-02 DE DE69015091T patent/DE69015091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10-02 EP EP90118873A patent/EP042134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10-04 US US07/593,014 patent/US509045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21349B1 (en) | 1994-12-14 |
EP0421349A1 (en) | 1991-04-10 |
DE69015091D1 (de) | 1995-01-26 |
KR910008199A (ko) | 1991-05-30 |
DE69015091T2 (de) | 1995-04-27 |
JP2762132B2 (ja) | 1998-06-04 |
JPH03124844A (ja) | 1991-05-28 |
US5090456A (en) | 1992-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9214B1 (ko) | 레피어 직기용의 위입장치 | |
JP3078979B2 (ja) | 外科用ミシン | |
US3948194A (en) | Sewing machine accessory apparatus | |
JPH01314591A (ja) | 工業用ミシンにおける自動設定機構用の電子装置 | |
JP4660017B2 (ja) |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 |
US6119486A (en) | End yarn insert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JP3897641B2 (ja) | ミシン | |
CN100447327C (zh) | 切线装置 | |
CZ303599B6 (cs) | Hnací mechanizmus odstrihovace šicího stroje | |
JP3704332B2 (ja) | 織物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H0451991A (ja) | 刺繍ミシン | |
US4781226A (en) | Driving and control mechanism for clamping, presentation and fastening of weft threads in gripper weaving looms | |
US4132249A (en) | Weft selection and retention mechanism for shuttleless looms | |
CN101275340B (zh) | 钉扣缝纫机 | |
RU1794116C (ru) | Ткацкий станок | |
CN118636205B (zh) | 芋艿茎头切断分离传动结构 | |
EP0036897B1 (en) | Control device for reciprocating grippers in shuttleless looms | |
JP3693323B2 (ja) | 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ッダーの駆動装置 | |
JPH05239757A (ja) | 刺繍ミシン | |
EP0286619A1 (en) | Device for forming a selvedge or selvedges on woven cloth | |
JPH11333175A (ja) | ミシンの糸切り装置 | |
CN105463717B (zh) | 缝纫机 | |
CN118480911A (zh) | 缝纫机 | |
JP3775437B2 (ja) | 刺繍ミシン | |
JPS6128052A (ja) | ジエツトル−ムのよこ入れ選択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