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59B1 - 다이 캐스트기용 자동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 캐스트기용 자동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8559B1 KR920008559B1 KR1019900009225A KR900009225A KR920008559B1 KR 920008559 B1 KR920008559 B1 KR 920008559B1 KR 1019900009225 A KR1019900009225 A KR 1019900009225A KR 900009225 A KR900009225 A KR 900009225A KR 920008559 B1 KR920008559 B1 KR 9200085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ten metal
- sleeve
- injection
- supply
- suppli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직 다이 캐스트기 및 사출장치의 기본 장치들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제3도는 사출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을 따라 자른 사출장치의 종단면도.
제5도는 사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용융 금속공급장치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7a도 내지 7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용융금속공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용융금속공급장치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부분절결단면도.
제9도는 사출슬리브내의 용융금속레벨의 조정기능을 하는 써모커플의 검출온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11도는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의 용융금속배출부를 변형시킨것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직선형 가이드
3 : 사출장치 6 : 볼
9 : 볼홀더 10 : 고리모양상부프레임
11 : 원반모양하부프레임 13 : 상승샤프트
17 : 사출슬리브 21 : 나사 샤프트
27 : 모터 34 : 플런저
34a : 플런저팁(plunger tip) 38 : 수냉도관
41, 241 : 용융금속부세실린더 44 : 피스톤
45, 245 : 오일통로 140 : 유압장치
100 : 머신 베이스(machine base)
102 : 고정금형 103 : 고정플래튼
104 : 결합봉 105 : 가동플래톤
106 : 가동금형 107 : 캐비티
200 : 고정베이스 246 : 스플라인샤프트
244 : (하부)피스톤 250 : 실린더
384 : D/A변환기 301 :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
302 : 로 305, 306 : 열 절연실
307 : 필터 308, 308a, 308b, 308c : 용융금속
310 : 베이스 311, 316, 317 : 에어실린더
306 : 용융금속공급실 309 : 용융금속주입구
313 : 샤프트 314 : (좌우)지지아암
315 : 핀 318 : 피스톤 로드
319 : 개/폐로드 320 : 씰 링
321 : 슬리브 324a, 324b : 써모커플
381 : 증폭기
본 발명은 수직 다이캐스트기의 수직슬리브속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트기는 체결(clamping)방향에 따라서 수평체결형기계와 수직체결형기계로 구분된다.
그들은 또한 주조방향에 따라서 수직주조형기계와 수평주조형기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형태의 기계중에서, 수평체결/수직 다이캐스트주조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한쌍의 고정 플래튼이 서로 대향하도록 머쉰베이스위에 직립으로 배치되고 그들의 네 모서리에서 결합봉에 의하여 연결된다.
가동플래튼이 한 고정플래튼으로부터 멀리 또는 그쪽으로 가깝게 움직이도록 하기위해 전/후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결합봉들 위에 지지된다. 가동 및 고정금형들이 각각 가동플래튼 및 고정 플래튼위에 설치된다.
체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고정플래튼의 측면상에 체결실린더에 의하여 가동플래튼과 더불어 이동되는 가동금형 및 고정금형의 접합부속에 캐비티(cavity)가 형성된다.
캐비티와 연통하는 고정슬리브는 아래로 개방되도록 고정금형에 맞추어진다.
사출장치가 직립/경사 또는 횡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도록 고정금형아래에 지지된다.
사출장치는 사출프레임에 고정된 사출실린더와,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고 사출프레임위에 배치된 수직가동사출 슬리브속에 맞추어진 플런저팁을 가지는 플런저를 구비한다.
용융금속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사출장치에 공급될때, 전체 사출장치는 경사되고, 용융금속공급작동이 용융금속공급장치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급작동은 플런저팁이 최고 위치에 설정되어있을때 시작된다.
작동이 진행됨에 따라서, 소정의 용융금속은 사출슬리브의 위치를 변동함이 없이 플런저팁만이 하강된때 주입되거나, 또는 플런저팁이 최저 위치에 설정될때 주입된다.
공급작동이 이런식으로 완료되면, 사출장치는 사출슬리브를 고정슬리브와 접촉시키기 위해 직립 설치된다.
사출실린더의 플런저팁은 고정슬리브를 통하여 캐비티속으로 용융금속을 사출하기위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용융금속이 고화되어 주조제품이 획득된다.
그러나, 플런저팁 만이 사출슬리브속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강된다면, 이형제(離型劑)가 코팅된 용융금속접촉면이외에, 비-코팅부가 노출되어 눌어붙음을 초래한다.
또는, 용융금속이 높은 위치로부터 공급된다면, 가스 또는 산화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용융금속이 사출슬리브속으로 주입되어서 이형제가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접촉될때 초래되는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다이캐스트기용 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슬리브로 용융금속공급작동중에 가스 또는 산화물이 포함되는 것을 종래의 장치보다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금속 공급용기의 저부상에 하향으로 면하는 용융금속공급슬리브의 하단부 속에 형성된 용융금속 방출구가 사출장치의 사출슬리브내의 하부에 위치한 플런저팁의 바로 위에 위치된 후에 용융금속의 공급 작동이 시작되는 단계 및 용융금속의 공급동작에 따라서 사출 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을 동시에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융금속공급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 저부상에 하향으로 면하는 용융금속공급슬리브를 가지는 용융금속공급용기와, 사출장치의 사출슬리브내의 하부위치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된 플런저팁 바로 위에 용융금속공급슬리브의 하단부내에 용융금속 배출구를 배치하고, 용융금속공급작동에 따라서 사출슬리브와 플런저팁을 동시에 하강시키는 기구(mechanism)를 구비한 용융금속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수직 다이캐스트기와 그 기계용 사출장치의 기본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를 보면, 이 다이캐스트기는 그 머쉰베이스(100)위에, 고정금형(102)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플래튼(103), 고정플래튼(103)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컬럼이나 결합봉(104)을 따라서 움직이는 가동플래튼(105)과, 캐비티(107)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플래튼(105)으로부터 고정플래튼(102)쪽으로 움직이는 가동금형(106)등을 구비한다.
참조번호 109는 분할슬리브를 표시하며, 111 및 112는 각각 금형(102 및 106)의 수직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키이며; 114는 가동금형(106)으로부터 주조제품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슬리브이다.
이 부품들은 다이캐스트기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들이다.
한쌍의 직선형 가이드(2)(제2도 참조)는 다이 캐스트기 아래에 설치된 프레임(1)에 고정된다.
전체를 참조번호(3)으로 표시하는 사출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아래에 위치한 사출위치와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금형 사슬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직선형 가이드(2)에 의하여 안내된다.
즉, 각 직선형 가이드(2)는 프레임(1)측에서 지지판(4)에 의하여 지지되고 사실상 정사각단면을 가지는 긴 레일(5)(제4도 참조)을 구비한다.
제4도에 명백히 표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볼(6)은 레일(5)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 홈속에 지지되고 그속에서 전동(轉動)한다.
각각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볼 홀더(9) 및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방호되는 측면은 보강부재(8)를 통하여 사출실린더(3)의 실린더형 부재(7)에 고정된다.
볼(6)을 지지하기 위한 볼홈은 각 볼홀더(9)의 내면속에 형성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사출장치(3)가 프레임(11)에 고정된 실린더를 가지는 구동장치(130)에 의하여 구동되면, 볼(6)이 볼홈속에서 전동하면서 장치(3)는 원활하게 움직인다.
상술한 것처럼 지지된 사출장치(3)는 실린더형 부재(7)의 상단에 고정된 고리모양 상부프레임(10)과 그의 하단에 고정된 원반모양 하부프레임(11)을 구비한다.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승샤프트(13)의 램부분(13a)은 하부 프레임(11)의 외주부가 원주방향으로 두부분으로 나뉘어진 위치에 설치된 상승실린더(12)의 램 공(12a)속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추어진다.
오일공급원(135)은 유연성이 있는 파이프를 통하여 상승 실린더(12)의 램공(12a)에 연결된다.
상승샤프트(13)는 직선형 볼베어링(14)을 통하여 상부프레임(1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사실상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슬리브프레임(15)은 복수의 볼트(16)에 의하여 상승 샤프트(13)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실린더형 사출슬리브(17)는 사출슬리브(17)위에 설치된 금형 고정슬리브 (109)와 동심이 되도록 슬리브프레임(15)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오일이 오일공급원(135)으로부터 상승실린더(12)의 램 공(12a)의 하부에 공급되면, 사출슬리브(17)는 사출슬리브(17)와 더불어 상방으로 이동되어서 고정슬리브 (109)에 연결된다.
참조번호 18은 그의 외주부분이 원주방향으로 두부분으로 나뉘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직선형 볼베어링(19)을 통하여 상승샤프트(13)에 의하여 지지된 보스(boss) 부분(18a)을 가지는 지지프레임을 표시한다.
지지프레임(18)의 하강한도는 상승샤프트(13)의 나사낸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너트(20)에 의하여 조정된다.
지지프레임(18)은 상승샤프트(13)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사실상 60°위상 차를 가지는 한 쌍의 평행 나사샤프트(2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접시-모양 중간 프레임(22)은 지지프레임(18)과 하부프레임(11)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하향으로 열리고, 한쌍의 베어링 공(孔)이 나사샤프트(2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나사샤프트(21)의 소직경 부분은 베어링(23) 및 트러스트(thrust)베어링(24)을 통하여 베어링공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중간프레임(22)에 대해 축방향에서 나사샤프트(21)의 이동은 그의 턱진 부분, 키에 의하여 소직경부분에 고정된 스프로켓(25), 및 나사낸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너트(26)에 의하여 조정된다.
브레이트(27A)를 가지는 모터(27) 및 한쌍의 아이들러(idler)(28 및 29)는 중간프레임(22)위에 설치된다. 체인(31)은 모터(27)의 스프로켓(30), 아이들러(28 및 29)와 나사샤프트(21)상의 스프로켓(25)사이에 감긴다.
따라서, 나사샤프트(21)는 체인(31)을 통하여 모터(27)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볼트에 의하여 지지프레임(18)의 홀더공(18b)에 맞추어져 고정된 볼홀더(33)는 나사샤프트(21)상에 맞춰지고, 볼(32)은 그것의 내부 공에 형성된 나선형 볼홈속에 지지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나사샤프트(21)가 회전하면, 볼(32)이 볼홈속에서 전동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지지프레임(18)이 움직인다. 커플링(35)에 의하여 결합된 플런저(34)는 지지프레임(18)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플런저(34)의 머리부분인 플런저팁(34a)은 내측 공속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사출슬리브(17)의 내측 공속에서 주입된 용융금속은 플런저(34)의 상방 이동시에 플런저팁(34a)에 의해 밀리고 고정슬리브를 통하여 다이캐비티속으로 사출된다.
참조번호 36은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커버(37)와 더불어 나사샤프트(21)를 피복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8)에 고정된 커버(37)에 의하여 지지된 커버이다.
커버(36)는 상부프레임(15)위에 지지프레임(18)을 따라 일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수냉도관(38)은 플런저(34)의 중심부를 통하여 뻗고, 지지 프레임(18)의 외주부분으로 개구한다.
개구부분에 장치된 호스가 냉각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중간 프레임(22)의 하부개구단은 오일수취판(39)에 의하여 폐쇄된다.
접시-모양 오일 팬(40)이 나사 샤프트(21)를 둘러싸도록 오일수취판(39)의 내면속에 형성된다.
전체를 참조번호 41로 표시하는 부재는 각 나사 샤프트(21) 아래에 배치된 용융금속 부세(付勢)실린더이다.
용융금속부세실린더(41)는 커버부재(42 및 43)에 의하여 폐쇄되고 하부프레임(11)속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부분을 갖는 실린더공(11a)과, 실린더공(11a)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추어진 피스톤(44)을 구비한다.
피스톤(44)의 하부에 있는 실린더실은 오일통로(45) 및 도관을 통하여 유압장치에 연결된다.
참조부호 t로 표시된 약 1mm의 간격은 나사샤프트(21)의 하단 하강한도와 피스톤(44)의 상단 하강한도사이에 형성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플런저팁(34a)이 상방으로 용융금속이 캐비티속에 충진된 후에, 오일이 피스톤(4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피스톤(44)의 하부에 공급된다.
피스톤(44)은 나사샤프트(21)와 접촉하도록 되며 약 5mm까지 상방으로 더욱 이동된다.
결국, 플런저(34)는 용융금속부세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8)을 통하여 상방으로 작동된다.
상기 장치를 가지는 사출장치의 동작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장치(130)에 의하여 전체 사출장치(3)가 제2도에서 우측으로(제4도의 깊이까지)밀리면, 직선형 가이드(2)의 볼(6)이 볼홈속에서 전동하면서 제1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된 용융금속주입위치로 사출장치(3)가 이동함으로써, 용융금속을 사출슬리브(17)속으로 주입한다.
이러한 작동을 제6도를 참고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주입후에, 사출장치(3)는 사출위치의 하부위치(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됨)로 복귀된다.
오일이 오일공급원(135)으로부터 상승실린더(12)의 램 공(12a)으로 공급되면, 상승 샤프트(13)는 직선형 볼베어링(14 및 19)의 볼이 전동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승실린더(12)와 일체로 형성된 사출슬리브(17)가 상방으로 이동되어서 금형고정슬리브(109)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프레임(18)은 너트(20)를 향하여 부세되어서 나사샤프트(21), 볼(32), 및 볼홀더(33)로 구성된 볼나사장치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며, 플런저팁(34a)은 사출슬리브(17)와 동시에, 즉 사출슬리브(17)에 대하여 똑같은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융금속은 사출슬리브(17)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는다.
사출슬리브(17)가 그의 하강한도까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다음에, 플런저(34)가 상향이동을 개시한다.
먼저, 모터(29)가 제어장치(145)의 제어하에 두 나사 샤프트(21)가 체인(31)을 통하여 서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시동되면, 지지프레임(18)은 볼(32)이 홈속으로 전동하고, 직선형 볼베어링(19)이 상승샤프트(13)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나사샤프트(21)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지지프레임(18)과 더불어 플런저(34) 및 플런저팁(34a)은 슬리브 프레임(15)에 비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결국, 플런저팁(34a)은 사출슬리브(17)속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용융금속은 제1도에 도시된 고정슬리브(109)를 통하여 다이캐비티(107)속에 사출된다.
용융금속이 다이캐비티(107)속에 충진된 후에, 모터(27)는 제어장치(145)의 제어하에 정지된다.
사출중에는, 중간프레임(22)이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계속 정지된다.
용융금속이 완전히 캐비티속에 충진되면, 오일이 피스톤(4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융금속 부세실린더(41)의 피스톤(44)의 하부에 공급된다.
피스톤(44)은 중간프레임(22)와 더불어 나사샤프트(21)를 약 5mm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나사샤프트(21)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8)은 플런저팁(34a)가 더불어 상방으로 이동하며, 캐비티(107)속의 용융금속은 용융금속부세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압축된다. 이와 같은 사출작동주에, 플런저(34)는 냉각수가 수냉도관(제4도)으로 공급되어 순환되기 때문에 냉각된다.
사출작동이 종료되면, 사출제품이 냉각되어 고형화된 후에 다이개방이 수행되며, 용융금속부세실린더(41)의 피스톤(44)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모터(27)와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27A)는 풀려지고, 모터(27)는 볼나사장치를 통하여 지지프레임(18)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됨으로써, 플런저팁(34a)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플런저팁(34a) 및 지지프레임(18)이 소정의 위치로 후퇴하면, 지지프레임(18)은 그것을 밀기위하여 너트(20)와 접촉하고, 상승샤프트(13), 지지프레임(18), 및 사출슬리브(17)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출장치(3)는 제2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용융금속주입위치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하나의 주기가 종료된다.
제5도는 사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는 용융금속부세실린더가 플런저(34)와 일체로 이동되지 않으나 고정베이스(200)에 고정된 것이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사이의 차이만을 아래에 설명한다.
즉, 참조번호 248은 이 실시예의 특징인 중간 방출부분을 표시한다.
중간 방출부분(248)는 각 나사샤프트아래에 배치되고, 커버부재(245)에 의하여 폐쇄되고 하부프레임(11)속에 형성된 구멍부분(247)과 구멍부분(247)속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추어진 하부돌출부분 및 하부프레임(11)속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추어진 상부부분을 가지는 스플라인 샤프트(246)를 구비한다.
전체를 참조번호 241로 표시한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중간 방출부분(248)의 스플라인 샤프트(246)를 움직이는 구동원으로서의 부세수단이다.
이 실시예에서, 용융금속부세실린더(241)는, 예를 들면, 부세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사출장치(3)가 사출위치에 설정될때 동작을 개시하도록 고정베이스(249)위에 위치한다.
실린더(250)는 커버부재(242 및 243)에 의하여 폐쇄된 상부 및 하부부분을 가지는 상부실린더공(211a)과 실린더공(211a)속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추어진 하부피스톤(244)을 갖는다.
피스톤(244)아래에 위치한 하부실린더실은 커버부재(243)내에 형성된 오일통로(245) 및 도관을 통하여 유압장치(140)에 연결된다.
약 1mm의 폭을 가지며 제5도의 참조부호 t1으로 표시되는 간격은 나사샤프트(21)의 하단 하강한도와 스플라인 샤프트(246)의 상단하강한도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약 3mm의 폭을 가지며 제5도에서 참조부호 t2로 표시되는 간격은 스플라인 샤프트(246)의 하단 하강한도와 피스톤(244)의 상단하강한도사이에 형성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용융금속을 캐비티(107)속에 충진하기 위하여 플런저팁(34a)이 상방으로 움직인후에 피스톤을 상방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오일이 유압장치(140)로부터 피스톤(244)의 하부에 공급되면, 피스톤(244)은 스플라인 샤프트와 접촉하도록 된 다음, 상방으로 약, 예를 들면 5mm만큼 더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스플라인 샤프트(246)가 나사샤프트(21)와 접촉하도록 된 다음에, 나사샤프트(21)는 지지프레임(18)을 통하여 플런저(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약, 예를 들면, 5mm만큼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용융금속부세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장치를 가지는 사출장치의 작동을 아래에 설명한다.
전체 사출장치(3)가 구동장치에 의하여 하부인출면방향으로 밀리면, 사출장치(3)는 직선형 가이드(2)의 볼(6)이 볼홈속에서 전동하면서 용융금속주입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융금속은 사출슬리브(17)속에 주입된다.
주입후에 사출장치(3)는 사출위치의 하부위치로 복귀한다.
오일이 상승실린더(12)의 램공(12a)에 공급되면, 상승샤프트(13)는 직선형 볼베어링(14 및 19)속의 볼이 전동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승샤프트(13)와 일체로 형성된 사출슬리브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금형의 고정슬리브에 연결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8)은 너트(20)에 의하여 밀려서, 나사샤프트(21), 볼 (32), 및 볼홀더(33)로 구성된 볼나사장치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결국, 플런저팁(34a)은 사출슬리브(17)에 대하여 똑같은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융금속은 사출슬리브(17)에 대하여 똑같은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융금속은 사출슬리브(17)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는다. 모터(27)는 체인(31)을 통하여 두개의 나사샤프트(21)를 서로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시동된다.
결국, 볼(32)이 홈속에서 전동하고 직선형 베어링(19)이 상승샤프트(13)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지지프레임(18)은 나사샤프트(21)의 작용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며, 플런저(34) 및 지지프레임(18)과 일체로 형성된 플런저팁(34a)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출슬리브(17)속의 용융금속은 고정슬리브를 통하여 다이캐비티속으로 사출된다.
용융금속이 다이캐비티(107)속에 충진된후에, 모터(27)가 정지한다.
사출중에, 중간프레임(22)은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계속 정지한다.
용융금속이 캐배티속에 완전히 충진되면, 오일이 피스톤(24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융금속부세 실린더(241)의 피스톤(244)의 하부에 공급된다.
피스톤(244)은 스플라인 샤프트(246)와 접촉하도록 되고, 스플라인 샤프트(246)는 나샤샤프트(21)와 접촉하도록 됨으로서, 나사샤프트(21)를 중간프레임(22)과 더불어 약, 예를 들면, 5mm만큼 이동시킨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8)은 캐비티속에 용융금속을 압축시키기 위해 플런저팁(34a)과 더불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용융금속부세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사출작동중에 냉각수가 수냉도관(38)에 공급되고 순환되기 때문에 플런저(34)는 냉각된다.
사출작용이 종료되고 사출제품이 냉각되어 고형화된 다음에, 금형이 개방되고, 용융금속부세실린더(241)의 피스톤(244)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브레이크가 풀린 모터(27)는 볼나사장치를 통하여 후방으로 지지프레임(18)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됨으로써, 플런저팁(34a)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플런저팁(34a) 및 지지프레임(18)이 소정의 위치로 후퇴할때, 지지프레임(18)은 너트(20)를 밀고, 상승샤프트(13) 및 사출슬리브(17)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후, 사출장치(3)가 금형주입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하나의 주기가 종료된다.
이 실시예에서, 용융금속부세실린더는 사출장치본체로부터 분리되어서 사출장치가 용융금속부세위치로 이동할때 활성화된다.
결국, 나사샤프트는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플런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플라인샤프트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용융금속부세작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위에 작동하고, 용융금속부세시에 횡으로 움직이는 반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지지부재의 두께는 장치의 중량을 감소키기 위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없는 도관이 용융금속실린더에 압력오일도관으로서 사용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샹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를 제6도, 7a도 내지 7c도 및 8도를 참고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6도는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를 표시한다. 제7a도 내지 7c도는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로부터 사출슬리브속으로 용융금속이 공급될때의 사출슬리브 및 플런지팁의 동작순서를 표시한다.
제7a도는 용융금속공급동작 직후의 상태를 표시하며, 제7B도는 공급동작의 진행중 상태; 그리고 제7c도는 동작후의 상태를 표시한다.
제8도는 전체장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를 하기에 설명한다. 제6도를 보면,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의 로(302)는 전체가 사실상 직사각 상자-모양으로 만들어 진다. 히터(303)는 로(303)이 이중구조의 외벽속에 매몰된다. 로는 격벽(304)에 의하여 열절연실(305)과 용융금속공급실(306)로 나뉘어진다. 필터(307)는 두개의 실(305 및 306)이 서로 연통하도록 격벽(304)의 중앙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히터(303)에 의하여 가열된 용융금속(308a)은 열절연실(303)속에 저장된다.
또한, 핀터(307)에 의하여 딱딱한 불순물 및 산화물이 제거된 용융금속(308b)은 용융금속공급실(306)속에 저장된다. 실(306)속의 용융금속표면은 실(305)속의 그것과 똑같은 레벨에 있다. 필터(307)의 메쉬치수는 용융금속(308)의 통과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용융금속 1kg의 사출이 20초의 주기로 수행된다면, 용융금속유량은 1kg/20초로 설정된다.
참조번호 309는 로(302)의 상단부로 열린 용융금속주입구를 표시한다. 에어실린더(317)는 로(302)의 선단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에어실린더(317)의 피스톤로드(318)는 용융금속공급실(306) 속에 부유되어있다. 세라믹재료류로 만든 개/폐로드(319)는 피스톤로드(318)의 동작말단에 동심적으로 결합된다. 씰링(seal ring)(320) 및 슬리브(321)가 실(306)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속에 맞추어진다. 슬리브(321)는 개/폐로드(319)의 전/후 방향 운동시에 그것의 말단밸브부분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시트(valve seat)(321a)를 구비한다. 씰링(320)은 개/폐로드(319)가 사고로 파괴될때 그것의 상단 밸브부분에 의하여 밀봉되는 밸브시트(320a)를 구비한다. 슬리브(321)의 길이는 그의 말단이 사출플런저팁 바로 위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슬리브(321)를 가열하기위한 히터(327)는 슬리브를 포위하고 있는 부분(A)에 배치된다.
밸브시트(321a)가 개/폐로드(319)에 의하여 열리면, 용융금속공급실(306)속의 용융금속(308b)은 사출슬리브(17)속으로 공급된다. 참조번호 324a 및 324b는 슬리브(321)속의 용융금속(308b)의 표면을 검출하기 위하여 써머커플(thermocouple)로 구성된 검출봉을 표시한다. 용융금속표면검출은 다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 써머커플(324a)은 다른 써머커플(324b)보다 약간 길다.
실제에 있어서, 차이는 약 3mm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사출슬리브(17)속의 용융금속(308b)의 상부표면위치는 주입동작 동안에 두 써모커플의 길이간의 차이 이내에서 유지될수 있으며, 따라서 용융금속의 동요을 취소화한다. 특히. 용융금속(308b)이 한 써모커플(324b)과 항상 접촉하면서 다른 써모커플(324a)로 부터는 떨어져있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용융금속(308b)이 써모커플(324b)과 저촉하도록되면, 개/폐로드(319)는 사출슬리브(17)에 매시간당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한다. 써모커플(324a)이 용융금속(308b)으로부터 멀어진다면, 공급된 용융금속의 양은 증가된다. 이 작동은 반드시 공급될 용융금속의 증가/감소하는 양에 의하여 수행되어져야할 필요는 없으나, 슬리브(17)및 플런저팁(34a)의 하강속도를 증가/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로(302)는 제8도의 2점쇄선(Q)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자유롭게 경사되도록 베이스(310) 및 에어실린더(311)에 의하여 지지된다. 특히, 베어링(312)이 베이스(310)의 후단부의 좌우측(제8도에서 상하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샤프트(313)는 이 좌우 베어링(312) 속에서 선회하도록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한쌍의 좌우지지아암(314)이 샤프트(313)에 고정된다. 로(302)의 선단부의 좌우단부는 핀(315)에 의하여 지지아암(314)의 자유단부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310)측면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에어실린더(311)의 피스톤로드(316)의 동작말단은 길이 및 폭방향에 있어서, 로의 하면의 중간부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에어실린더(311)의 피스톤로드(316)가 제8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면, 로(302)가 핀(315)위에서 선회하여서, 지지아암(314)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제8도의 2점쇄선(P)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그것의 선단이 하강된 방향으로 경사된다.
에어실린더(311)의 피스톤로드(316)가 제8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며, 로(302)는 샤프트(313)위에서 선회하여, 지지아암(314)을 회전시키면서, 제8도의 2점쇄선(P)으로 표시된 위치로 경사되면, 용융금속표면은 참조번호 308L1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필터(307)의 하단의 그것과 똑같은 레벨로 설정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로(302)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2점쇄선(Q)로 표시된 위치로 경사되면, 용융금속표면은 참조번호 308L2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필터(307)의 하단의 그것과 똑같은 레벨로 설정된다. 따라서, 용융금속은 용융금속공급실(306)속에 남아있지 않는다.
상술한 장치를 갖는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의 작동을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수평위치로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의 로(302)를 설정함으로써 용융금속주입구(309)로 부터 공급된 용융금속(308a)이 열전연실(305)속에 저장되면, 이 용융금속(308a)은 필터(307)를 통과하고 또한 용융금속공급실(306) 속에 저장됨으로써 그의 용융금속표면이 열절연실(305)속에 저장된 용융금속의 그것과 똑같은 레벨로 설정된다. 수직 다이캐스트기 사출장치(3)에 있어서, 스프로켓(25)은 소망한 위치로 플런저팁(34a)을 움직이기 위하여 체인(31)을 통하여 모터(27)에 의하여 회전되며, 따라서 다이캐비티속에 충진될 용융금속량에 상응하는 부피를 확보한다. 그런다음, 이형제가 용융금속접촉면상에 코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출장치(3)는 직선형 가이드의 볼이 볼홈속에서 전동하면서 제1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된 용융금속주입위치로 이동되며, 사출슬리브(17)의 말단부는 자동용융금속 공급장치(301)의 용융금속공급실(306)의 하부에서 용융금속공급구와 접촉하도록 된다.
에어실린더(317)가 개/폐로드(319)를 상승시키도록 작동되면, 용융금속 (308b)이 사출슬리브(17)속으로 공급된다.
제7a 내지 7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용융금속은 다음방식으로 공급된다. 제7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융금속의 공급은 플런저팁(34a)이 최하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시작된다. 공급작동이 진행됨에 따라서,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 (34a)은 제7a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제7b도에 표시된 위치로 동시에 하강한다. 공급작동은 제7c도에 표시된 최하위치에서 완료된다. 공급될 용융금속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9 및 10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함께, 예를 들면 5 내지 10mm/초의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동안에, 용융금속은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로 부터 사출슬리브(17)속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출슬리브(17)의 말단부가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 (301)의 용융금속공급실(306)의 하부에서 용융금속지지구와 접촉되도록 된후에,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의 동시하향이동은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시작된다.
제9도를 보면, 참조부호 C는 사출슬리브(17) 속의 용융금속레벨이 써모커플 (34a)의 말단부와 접촉하도록 된때의 위치를 표시하며;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3 내지 8℃/mn의 값을 가지는 온도기울기(a)는 용융금속의 경계면이 써모커플(32a)의 말단부에 더욱 접근할 때 얻어진 것이며; 예를 들면, 20 내지 40℃/mm의 값을 가지는 온도기울기(β)는 용융금속의 경계면이 써모커플(324a)의 말단부와 접촉하도록 된때에 얻어진 것이다.
온도기울기(α 및 β)는 각각 영역 I 및 II로 표시된다.
영역 I에서, 사출슬리브(17)속으로 용융금속의 공급이 시작되면, 용융금속레벨은 낮고, 용융금속의 경계면은 써모커플(324a)의 말단부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소정의 온도기울기와 측정된 온도기울기 사이에 차이가 없으면, 따라서 사출슬리브(17)에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에 대해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공급작동이 계속되면, 용융금속레벨은 점전적으로 증가하여, 용융금속표면이 써모커플(324a)의 말단부에 점진적으로 접근한다. 결국, 온도곡선은 영역 II에 도달한다. 영역 II에서는, 측정된 온도기울기가 증가되므로, 소정의 온도기울기와 측정된 온도 기울기사이에 차이가 나타난다. 결국,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로 부터 사출슬리브(17)로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은 제10도에 표시된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감소된다.
특히, 써모커플(324a)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는 전압치로 바뀌고, 증폭기(381)에 의하여 획득된 전압치에 비례하는 증폭된 값이 아날로그값에서 디지탈값으로 A/D변환기(381)에 의하여 변환된다. 디지탈값은 연산처리장치에서(383)에서 계산처리된다.
그다음에, 그 값은 D/A변환기(84)에 의하여 출력신호로서 아나로그 값으로 변환된다. 이 출력신호를 사용하여 에어실린더(317)에 공급될 압축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개/폐로드(319)는 피스톤로드(318)를 통하여 하강하고, 밸트시트(321a)와 로드(319)사이의 간격은 슬리브(321)로 부터 흐르는 용융금속의 양을 감속시키도록 조정된다.
영역 III에서는, 사출슬리브(17) 속의 용융금속레벨의 상승속도는 사출슬리브 (17) 및 플런저팁(34a)이 동시에 하강하는 속도에 증가되며, 써모커플(324a)은 용융금속의 경계면이 써모커플(324a)의 말단부와 접촉하도록 되는 점(C)에서 용융금속온도를 검출한다. 이때, 소정의 온도기울기와 측정된 온도기울기의 차이는 영역 II에서의 차이보다 더 크다. 따라서, 에어실린더(317)에 공급될 압축공기의 양은 상술한 제어장치를 통하여 제어된다. 결국, 개/폐로드(319)는 슬리브(321)로 부터 사출슬리브(17)로 용융금속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해 밸브시트(321a)와 개/폐로드(319) 사이의 간격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강한다. 용융금속의 공급이 이런식으로 정지되기는 하지만,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은 계속적으로 또한 동시에 일정속도로 하강한다.
이러한 이유로써, 용융금속의 경계면은 하강하는 거리에 따라 써모커플(324a)로 부터 멀어지며, 써모커플(324a)의 검출온도는 영역 II 또는 영역 I의 우측부분에 해당하는 온도기울기를 나타낸다. 결국, 약간 더 많은 양의 용융금속이 제어장치를 통하여 사출슬리브(17)로 공급된다.
이러한 작동으로써, 용융금속의 상승속도는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동시에 하강하는 속도를 능가하며, 용융금속의 경계면은 영역 II 내의 온도기울기(α)가 얻어지는 위치로 복귀한다.
제어는 항상 영역 II에서 써모커플(324a)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기울기를 설정하도록 수행되기때문에, 용융금속의 하강거리는 항상 최소가 되도록 유지되고, 용융금속은 매우 조용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용융금속은 동요하지 않는다.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의 한쪽끝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켜지면,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의 하강이 최하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때, 에어실린더(317)는 개/폐로드(319)를 하강시키기 위해 작동되며, 밸브시트(321a)는 용융금속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폐쇄된다.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이 이런식으로 수행된 후에, 사출장치(3)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사출위치로부터 수평으로 이동된다. 오일이 상승 실린더에 공급되면, 사출슬리브(17)는 상승샤프트와 더불어 상승해서, 다이의 고정슬리브와 결합한다.
그런다음, 플런저팁(34a)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사출슬리브(17)속의 용융금속은 고정슬리브를 통하여 다이캐비티속으로 사출된다.
사출작동이 종료되고, 사출된 제품이 냉각 및 고형화된 후에, 금형이 열리며, 플런저팁(34a)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승샤프트 및 사출슬리브(17)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된다.
사출장치(3)가 용융금속주입위치로 이동되면, 하나의 주기가 완료된다.
이 실시예에서, 에어실린더(317)는 용융금속(308C)이 두개의 용융금속표면 검출봉, 즉 검출봉(324a)중의 하난의 말단부와 항상 접촉되는 식으로 개/폐로드(319)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작동되며, 따라서 용융금속의 소정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사출슬리브(17)속의 용융금속(308C)의 상면위치는 공급작동의 개시부터 종결까지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동시에 하강하는 속도가 슬리브 (321)로부터의 용융금속의 공븍속도와 비교된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면,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로 부터의 용융금속의 공급속도가 바람직한 공급속도보다 낮으면, 용융금속의 비교적 저하되며, 사출슬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일정속도로 하강하더라도, 용융금속은 검출봉(324a)으로부터 멀어진다.
결국, 에어실린더(317)는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폐로드 (319)를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이와는 반대로,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로부터의 용융금속의 공급속도가 바람직한 공급속도보다 더 빠르면, 용융금속(308C)의 상면위치는 비교적 상승되며,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일정속도로 하강하더라도, 용융금속(308C)은 다른 검출봉(324b)과 접촉하도록 된다.
결국, 에어실린더(317)는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을 감소기키기 위해 개/폐로드 (319)를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이런 방식으로 사출슬리브(17)속의 용융금속의 상면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순서가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에 사용된다. 이 제어방법은 그 일례이다.
다음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1)슬리브가 하강되는 속도를 제어함; 그리고 (2)용융금속공급실내의 압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용융금속표면의 높이를 제어함. 피스톤(44)의 한단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켜지면,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의 하강이 정지된다.
동시에, 에어실린더는 개/폐로드(319)를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하기위해 작동된다. 결국, 밸브시트(321a)는 용융금속의 공급을 정지시키기위하여 폐쇄된다.
산환가 방지되어야 한다면, 이 기간동안 불활성가스가 사출슬리브속에 충진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용융금속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사출장치(3)는 제1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사출위치의 하부위치로 복귀하도록 수평으로 이동된다.
제11도는 용융금속공급장치의 용융금속배출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변형예는 밸브시트(320)와 슬리브(321)사이의 위치관계가 각 구성부품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변형시킨것이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참조번호 330 및 331은 밸브시트(320) 및 슬리브(321)상에 장착된 부재들을 표시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써모커플은 사출슬리브속의 용융금속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공지의 용융금속표면검출봉이 그 말단이 용융금속표면과 접촉하게 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용융금속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두개의 써모커플이 하기의 방식으로 사출슬리브속의 용융금속의 레벨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양 써모커플이 공급작동이 개시된 후 잠시동안 용융금속으로부터 멀어진다.
하부 써모커플이 용융금속과 접속하게 되고, 이어서 양 써모커플이 용융금속과 접속하게 되면, 밸브의 열림은 감소된다.
양 써모커플이 용융금속으로부터 멀어지면, 밸브의 열림은 증가된다. 이러한 제어로써, 용융금속의 표면은 두 써모커플의 하부단 사이에서 유지된다.
밸브의 열림을 제어하는 대신에, 사출슬리브 및 플런저팁의 하강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사출장치(3)는 제1 내지 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볼나사장치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구동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금형(102 및 106)아래의 사출위치에 대해 횡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사출슬리브(17) 및 플런저팁(34a)이 하강하면서 자동용융금속공급장치(301)의 슬리브(321)로부터 공급되는 용융금속을 받음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어떤형의 사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사출장치 또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특허 제4,088,178호, 제4,287,935호, 제4,655,274호 제4,690,197호, 및 제4,741,379호에 기재된것과 같은 기울어진 채로 횡으로 이동되는 장치, 또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특허 제4,842,03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회전하면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장치등에도 적용될수 있다. 또한, 금형형체(型諦)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것과 같은 수평금형형제장치에 국한되는것이 아닌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특허 제4,088,178호 제4,287,93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수직금형형체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출장치(3)가 기울어진 채로 이동되어져야 한다면, 용융금속공급장치 역시 장치(3)의 경사각도에 따라 경사되므로, 사출슬리브(17)와 슬리브(321)를 동축(同軸)으로 설정한ㄴ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볼나사장치가 모터의 운동을 지지프레임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직선 운동전달기구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볼나사장치는 나사샤프트 및 나타샤프트와 나사식 으로 맞물리는 너트로 구성된 통상 나사장치 또는 랙과 피니온으로 구성된 전달기구일 수도 있다.
상기 볼나사장치 또는 통상 나사장치가 사용될 것이라면, 나사샤프트 또는 볼홀더 또는 너트측 어느것이든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직 다이캐스트기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평 다이캐스트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똑같은 효과를 얻기위하여 플라스틱사출성형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금속이 수직 다이캐스트기의 사출슬리브속으로 사출되어야할때, 플런저팁이 하부위치에 설정되어있는 동안에 자동용융금속공급 장치로부터 용융금속의 공급이 시작된다. 용융금속의 공급이 진행됨에 따라, 사출슬리브 및 플런저팁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작동에 대해서, 용융금속접촉면상에 코팅된 이형제가 유지되므로 눌어붙음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용융금속이 하강거리기가 항상 최소로 유지되기때문에, 용융금속은 매우 조용히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및 산화물의 혼입이 종래장치에 비하여 억제되어질수 있으며, 찌꺼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것은 제품의 품질을 대단히 향상시킨다.
Claims (17)
- 용융금속공급용기의 하부에 하향으로 면하는 용융금속공급 슬리브의 하단부 속에 형성된 용융금속배출구가 사출장치의 사출슬리브내의 하부위치에 위치한 플런저팁 바로위에 위치된 후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및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에 따라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동시에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한 용융금속공급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이 단위시간당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에 관련되고,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사출슬리브속으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공급용기가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와 연통하는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과, 필터를 가진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과 연통하는 후면의 열절연실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내의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용융금속공급용기를 경사시킴으로서 조정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이 용융금속 표면검출봉에 의하여 검출되고,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상기 용융금속표면검출봉의 용융금속표면검출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밸브의 열림 또는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하강하는 속도를 변동시킴으로서 상기 용융금속공급용기의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로 부터 배출된 용융금속을 조정함으로써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조정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이 용융금속 배출구 근방에 배치된 온도감지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변동을 기초로 하여 검출되고,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상기온도감지기의 용융금속표면검출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이 용융금속 배출구 근방에 배치된 온도감지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변동을 기초로 하여 검출되고,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지팁이 상기 온도감지기의 용융금속표면검출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고, 상기 온도감지가가 용융금속공급작동이 개시될때 용융금속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두개의 써모커플로 구성되며,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로 부터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용융금속공급작동이 진행되어 상기 써모커플중 긴쪽이 용융금속에 잠긴후에 상기 두개의 써모커플이 용융금속에 잠길때 감소되고,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두개의 써모커를이 용융금속으로 부터 멀어질때 증가되어, 그것에 의해 상기 두개의 써모커플의 말단 사이에 용융금속의 표면이 설정되는 방법.
- 용융금속공급용기의 저부에 하향으로 배치된 용융금속공급 슬리브를 갖는 용융금속공급용기와, 사출장치의 사출슬리브내의 하부위치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된 플런저팁 바로위에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의 하단부내에 용융금속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하고, 용융금속공급작동에 따라서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을 동시에 하강시키기 위한 기구(mechanism)를 포함한 용융금속공급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이 단위시간당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에 관련되고,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사출슬리브속으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되는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공급작동이 단위시간당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에 관련되고,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사출슬리브속으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되는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공급용기가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에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한,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 후면의 열절연선, 및 상기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과 상기 후면의 열절연실 사이에 형성된 필터를 가진 통로를 포함하는 것.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공급용기가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에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을 제어하기위한 밸브를 구비한, 전면의 용융금속공급실, 후면의 열전열실, 및 상기 전면의 용융금속 공급실과 상기 후면의 열절연실사이에 형성된 필터를 가진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금속공급장치가 그것의 한 단측의 하부상에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용융금속공급장치가 그것의 다른 단측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것의 중심부 근방의 하부상에 후방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된 것.
- 제9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이 용융금속 표면검출봉에 의하여 검출되고, 상기 사출 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상기 용융금속표면검출봉의 용융금속표면검출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는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표면레벨의 변동이 용융금속 배출구 근방에 배치된 온도감지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변동을 기초로하여 검출되고,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팁이 상기 온도감지기의 용융금속표면검출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는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서로 연결된, 상기 용융금속공급슬리브상에 형성된 소-직경 밸브부를 가진 제1밸브와 항상 열려 있는 큰-직경 밸브부를 가진 제2밸브를 포함한 장치.
- 제14항에 잇어서, 상기 온도감지기가 용융금속공급작동이 개시될때 용융금속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두개의 써모커플로 구성되며, 상기 용융금속공급스리브로 부터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용융금속공급작동이 진해되어 상기 써모커플중 긴쪽이 용융금속에 잠긴후에 상기 두개의 써모커플이 용융금속에 잠길때 감소되고, 공급될 용융금속의 양이 상기 두개의 써모커플이 용융금속으로부터 멀어질때 증가되어, 그것에 의해 상기 두개의 써모커플의 말단사이에 용융금속의 표면이 설정되는 장치.
-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플런저팁을 갖는 사출슬리브가 사출위치와 용융금속공급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팁이 상기 사출슬리브와 더불어 또는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용융금속공급용기의 저부상에 하향으로 면하는 용융금속공급슬리브의 하단부내에 형성된 용융금속배출구가 상기 사출장치의 상기 사출슬리브내의 하부위치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팁 바로위에 위치되고, 용융금속의 공급이 용융금속배출구상에 설치된 밸브를 개구함에 따라 개시되며, 상기 사출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가 용융금속공급작동에 따라서 동시에 하강하는, 다이캐스트 수직사출장치용 용융금속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59747 | 1989-06-23 | ||
JP15974789A JPH07121444B2 (ja) | 1989-06-23 | 1989-06-23 | 自動給湯装置 |
JP16660689A JPH0757414B2 (ja) | 1989-06-30 | 1989-06-30 | 自動給湯装置 |
JP1-166606 | 1989-06-30 | ||
JP1-177212 | 1989-07-11 | ||
JP17721289A JP2734658B2 (ja) | 1989-07-11 | 1989-07-11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JP1-214115 | 1989-08-22 | ||
JP21411589A JPH0757415B2 (ja) | 1989-08-22 | 1989-08-22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0273A KR910000273A (ko) | 1991-01-29 |
KR920008559B1 true KR920008559B1 (ko) | 1992-10-01 |
Family
ID=2747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9225A KR920008559B1 (ko) | 1989-06-23 | 1990-06-22 | 다이 캐스트기용 자동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127467A (ko) |
EP (1) | EP0404138B1 (ko) |
KR (1) | KR920008559B1 (ko) |
CA (1) | CA2019444C (ko) |
DE (1) | DE69016275T2 (ko) |
NO (1) | NO180156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45879C (en) * | 1991-06-27 | 2003-11-11 | Guido Perrella | Die casting machine |
US5660223A (en) * | 1995-11-20 | 1997-08-26 | Tht Presses Inc. | Vertical die casting press with indexing shot sleeves |
US5632321A (en) * | 1996-02-23 | 1997-05-27 | Prince Machine Corporation | Die casting machine with compound docking/shot cylinder |
FR2745736A1 (fr) * | 1996-03-07 | 1997-09-12 | Hugot Pierre | Four de maintien en temperature ou de fusion-maintien d'un metal ou d'un alliage non ferreux, et d'alimentation d'une machine a mouler sous pression |
DE19626175C2 (de) * | 1996-06-29 | 2000-01-13 | Honsel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Bremstrommel oder einer Bremsscheibe |
US6209431B1 (en) * | 1998-10-14 | 2001-04-03 | John L. Wickham | Automated degate and trim machine |
JP3921513B2 (ja) * | 2002-04-17 | 2007-05-30 | 株式会社木村工業 | 成型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型ユニット |
US6953079B2 (en) * | 2002-11-06 | 2005-10-11 |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 Die casting machine |
DE102006057786A1 (de) * | 2006-12-06 | 2008-06-12 | Almecon Entwicklungs-, Beratungs- Und Beschaffungsgesellschaft 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Metall mittels einer Pressvorrichtung und Press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WO2012088580A1 (en) | 2010-12-29 | 2012-07-05 | Imac Inc. | Die casting machine and method |
CN106180628B (zh) * | 2016-09-22 | 2018-12-28 | 昆山江鸿精密电子有限公司 | 一种卧式冷压室压铸机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368325A1 (fr) * | 1976-10-25 | 1978-05-19 | Novatome Ind | Appareil de dosage de metal fondu |
US4088178A (en) * | 1977-02-03 | 1978-05-09 | Ube Industries, Ltd. | Vertical die casting machines |
CA1149579A (en) * | 1979-07-26 | 1983-07-12 | Toyoaki Ueno | Vertical die casting machine |
JPS5842781B2 (ja) * | 1979-09-27 | 1983-09-21 | 宇部興産株式会社 | 成形機の射出装置 |
JPS57169592A (en) * | 1981-04-10 | 1982-10-19 | Nippon Mining Co | Flow rate regulation of molten metal |
JPS58107263A (ja) * | 1981-12-18 | 1983-06-25 | Sugitani Kinzoku Kogyo Kk | 溶湯の定量供給装置 |
JPS59153563A (ja) * | 1983-02-22 | 1984-09-01 | Ube Ind Ltd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US4505307A (en) * | 1982-06-29 | 1985-03-19 | Ube Industries, Ltd. | Method of pouring molten metal into injection sleeves of die cast machines |
JPS59215259A (ja) * | 1983-05-19 | 1984-12-05 | Ube Ind Ltd | 竪型ダイカスト機における射出装置 |
CA1231825A (en) * | 1984-05-23 | 1988-01-26 | Sadayuki Dannoura | Die-casting apparatus |
US4655274A (en) * | 1984-10-26 | 1987-04-07 | Ube Industries, Ltd. | Horizontal mold clamping and vertical injection type die cast machine |
AU581966B2 (en) * | 1985-02-20 | 1989-03-09 | Ube Industries, Ltd. | Vertical injection apparatus for die casting machine |
DE3640370A1 (de) * | 1985-11-26 | 1987-05-27 | Ube Industries | Spritzverfahren einer spritzgussmaschine |
GB2198977A (en) * | 1986-10-01 | 1988-06-29 | Thomas Robb Coughtrie | Melting and die-casting metal |
US4741379A (en) * | 1987-07-08 | 1988-05-03 | Ube Industries, Ltd. | Horizontal mold clamping and verticle injection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
US4860818A (en) * | 1987-09-21 | 1989-08-29 | Ube Industries, Ltd. | Die casting apparatus |
JPH0667545B2 (ja) * | 1988-06-10 | 1994-08-31 | 宇部興産株式会社 | 射出成形機 |
JPH0722813B2 (ja) * | 1989-01-30 | 1995-03-15 | 宇部興産株式会社 | 射出装置 |
-
1990
- 1990-06-20 CA CA002019444A patent/CA201944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6-21 DE DE69016275T patent/DE6901627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6-21 EP EP90111718A patent/EP040413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6-22 NO NO902799A patent/NO180156C/no unknown
- 1990-06-22 US US07/542,429 patent/US512746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6-22 KR KR1019900009225A patent/KR92000855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016275D1 (de) | 1995-03-09 |
NO180156C (no) | 1997-02-26 |
EP0404138A3 (en) | 1992-09-02 |
EP0404138B1 (en) | 1995-01-25 |
NO902799D0 (no) | 1990-06-22 |
CA2019444C (en) | 1995-05-16 |
NO902799L (no) | 1990-12-27 |
CA2019444A1 (en) | 1990-12-23 |
US5127467A (en) | 1992-07-07 |
DE69016275T2 (de) | 1995-09-28 |
NO180156B (no) | 1996-11-18 |
KR910000273A (ko) | 1991-01-29 |
EP0404138A2 (en) | 1990-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8559B1 (ko) | 다이 캐스트기용 자동용융금속공급방법 및 장치 | |
KR101070972B1 (ko) | 다이 캐스팅에 의해 금속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
CA1149579A (en) | Vertical die casting machine | |
US20070023159A1 (en) | Molten Metal Molding Machine | |
KR920009589B1 (ko) | 사출장치 | |
JP7324576B2 (ja) | ダイカストマシン | |
US7165599B2 (en) | Melting and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of metallic material in metal molding machine | |
JP3439434B2 (ja) | 金属材料の射出成形における材料供給及び溶解方法 | |
JP3624885B2 (ja) | 金属成形機 | |
JP3812820B2 (ja) | ダイカスト鋳造機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 |
KR101340268B1 (ko) | 금속 성형기의 재료 용융 유지 장치 및 봉형 재료 용융방법 | |
JP2022166587A (ja) | 軽金属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 |
JP4175602B2 (ja) | 鋳造用注湯装置 | |
JP2000061605A (ja) | 金属射出成形機の脱気装置 | |
JPH0757415B2 (ja)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
JP7254617B2 (ja) | 給湯装置及び成形機 | |
JP2734658B2 (ja)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
JP3593098B2 (ja) | 金属成形機 | |
JPS61144256A (ja)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溶湯鋳込方法 | |
JP5041852B2 (ja) | 溶融金属成形装置 | |
JP3677735B2 (ja) | 金属材料の射出成形方法 | |
JPH0315246Y2 (ko) | ||
JPH0390266A (ja) | 射出装置 | |
JPH07121444B2 (ja) | 自動給湯装置 | |
JPS59202150A (ja) |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自動給湯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