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00Y1 - 공심코일 - Google Patents

공심코일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00Y1
KR920008500Y1 KR9217318U KR920017318U KR920008500Y1 KR 920008500 Y1 KR920008500 Y1 KR 920008500Y1 KR 9217318 U KR9217318 U KR 9217318U KR 920017318 U KR920017318 U KR 920017318U KR 920008500 Y1 KR920008500 Y1 KR 920008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ir core
core coil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7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오오이시
도꾸오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시즈오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995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47806A/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시즈오,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시즈오
Priority to KR9217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심코일
제1A 및 1B도는 본 고안의 공심 코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2A, 2BA 및 2C도는 제1A 및 1B도의 공심 코일의 납땜 방법 설명도, 제3A, 3B, 3C 및 3D도는 제1 및 제1B도의 공심 코일을 납땜한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의 제1실시예와 다른 예의 비교 설명도.
제4도는 제1A 및 제1B도의 공심 코일을 납땜한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공심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A, 6B 및 6C도는 제5도의 공심 코일의 납땜 방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공심코일 3, 4 : 단부
5, 5', 6, 6' : 단자부 8, 8", 9, 9', 9" : 랜드부
10, 10", 11, 11', 11" : 땜납 12, 12' : 용융 땜납 공급부
본 고안은 평판형 무브러시 모터등에 사용하는 공심코일 및 그 공심 코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평판형 무브러시 모터의 전기자등에 사용하는 공심 코일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으로의 부착시의 부착 및 납땜의 용이화를 위해서, 이 코일의 감기시작 및 감기 끝의 단말부에 리드선을 드러내지 않는 리드레스 방식이 공지이다.
제5도는 종래의 공심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다.
제5도에 있어서, 종래예의 공심코일(1')은, 절연 피막을 갖는 절연피복 동선을 서로 밀착시켜서 소정의 형상으로 소정 회수를 감은 후, 가열에 의해 이 절연 피막의 외주에 코팅된 접착 피막을 경화시킴으로서 고착한 것이다.
이 공심 코일(1')의 한측면(2')에서 그 내주 및 외주 위치에는, 이 코일(1')의 절연피복 동선의 시단과 종단 또는 시단과 종단 부근에 상기절연 피막을 박리한 동선의 외주에 땜납을 코팅한 단자부(5'), (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심 코일(1')을 평판형 무브러시 모터등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자부(5'),(6')의 납땜으로 전기적 접속이 이뤄진다.
제6A, 6B 및 6C도는 제5도의 공심 코일의 납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6A도는 이 코일의 단자부와 프린트 기판의 랜드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B도는 납땜후의 사시도, 제6C도는 제6B도의 Z-Z선의 확대 단면도 이다.
제6A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공심 코일(1')의 단자부(5'), (6')에 대홍하여, 이 코일(1')이 부착되는 프린트 기판(7")에는 랜드부(8"), (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심 코일(1')의 상기 한측면(2')를 이 프린트 기판(7")에 위치시킨후, 제6B 및 제6C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단자부(5'), (6')와 랜드부(8"), (9")를 이 시작단의 단자부(5')의 내측 및 종단의 단자부(6')의 외측에서 납땜함으로서, 땜납(10"), (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이 공심 코일(1')은 프린트 기판(7")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접착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종래예의 공심 코일(1')에 있어서 이 코일(1')의 한측면(2')을 상기 프린트 기판(7")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단자부(5'), (6')에 코팅한 땜납한 요철부에 의해 이 기판면으로부터의 코일 높이 치수가 변동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6B 및 6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단자부(5'), (6')와 땜납(10"), (11")과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전지적 접속의 신뢰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점에 착안하여 이뤄진것이며, 프린트 기판에 부착시의 상기 코일 높이 치수가 변동하지 않으며 또한, 이 프린트 기판의 랜드부와의 납땜시의 상기 전기적 접속의 신회성이 높은 공심 코일 및 이 고심 코일을 납댐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공심 코일은, 절연 피막을 갖는 절연 피복 도선을 서로밀착시켜서 소정회수만큼 감은 공심 코일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한측면과 이 코일의 내주 및 외주와의 각부에 이 한측면으로부터 이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절연 피복도선 수개분이 없는 단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내주 및 외주의 상기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이 코일의 시단 및 종단인 1쌍의 단자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고안의 공심 코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는, 상기 공심 코일을 사용하고, 프린트 기판에 상기 한측면을 위치 시키고, 땜납 공급부에 대해서 상기 단자부측의 면적이 크게되는 형상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형성한 랜드부의 이 땜납 공급부에 용융 땜납을 공급함으로서, 상기 단자부와 상기 랜드부를 납땜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공심 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는, 상기 프린트 기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 상기 랜드부가 접하도록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절연 기판붕 상기 한측면을 위치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평판형 무브러시 모터등에 사용하는 상기 리드레스 방식의 공심 코일의 단자부를 개선하고, 또, 이 코일의 프린트 기판으로의 납땜 방법을 개선한 것이다.
제1A 및 1B도는 본 고안의 공심 코일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조도로서, 제1A도는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X-X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A 및 1B도에 있어서, 본 고안의 공심 코일(1)은, 절연피막을 갖는 절연피복 동선을 서로 밀착시켜서 소정의 형상으로 소정회수감은 다음, 가열에 의해 이 절연 피막의 외주에 코팅된 접착 피막을 경화시킴으로서 고착한 것이다.
이 공심 코일(1)의 단면 형상은, 이 공심 코일(1)의 권선기의 감기틀의 형상에 의해, 이 코일(1)의 내주 및 외주의 한측면(2)의 각부에, 이 한측면(2)으로부터 이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절연 피복동선 수개분(본 실시예에 1개)분이 각각 없는 단부(3),(4)를 형성함으로서, 凸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A, 2B 및 2C도는, 제1A 및 1B도의 공심 코일의 납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제2A도는 이 코일의 단자부와 프린트 기판의 랜드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B도는 납땜후의 사시도, 제2C도는 제2B도의 Y-Y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2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심 코일(1)의 단자부(5), (6)에 대응하여, 이 코일(1)이 부착되는 프린트 기판(7)에는 랜드부(8), (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심 코일(1)의 상기 한측면(2)을 이 프린트 기판(7)에 위치시킨 후, 제2B 및 제2C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5), (6)와 랜드부(8), (9)를, 이 시작단의 단자부(5)의 내측 및 종단의 단자부(6)의 외측에서 납땜함으로서, 땜납(10), (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공심 코일(1)의 한측면(2)을 이 프린트 기판(7)에 위치시킨 경우에, 이 단자부(5, 6)는, 상기 단부(3, 4)를 통해 이 랜드부(8, 9)와 대향하므로, 이 단자부(5, 6)에 코팅한 땜납의 요철부가 있어서, 이 기판면으로부터의 코일 높이 치수가 변동하지 않는다.
이 공심 코일(1)은 이 프린트 기판(7)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접착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프린트 기판(7)의 랜드부(8), (9)의 형상을 제2A도, 제3A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저변이 상기 단자부(5), (6)에 평행이며, 이 단자부(5), (6)에 납땜에 하는 축에 정점을 갖는 2등변 삼각형으로 형성한다.
제3도 제1도의 공심 코일을 납땜한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의 제1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비교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3A 및 제3B도는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의 제1실시예인 2등변 삼각형 랜드의 경우, 제3C 및 3D도는 비교를 위한 원형 랜드의 경우이며, 제3A, 3C도는 공심 코일과 랜드의 관계를 도시하는 주요 부분의 평면도, 제3B, 3D도는 납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제3A, 3B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2등변 삼각형의 랜드부(9)의 저변부의 상기 공심 코일(1)의 한측면(2)을 위치시키고, 상기 단자부(6)를 이 랜드부(9)와 대향시킨다. 이 2등변삼각형의 정점부(12)에 용융한 땜납을 공급하면, 이 용융 땜납은 표면 장력에 의해, 보다 면적이 넓은 이 랜드부(9)의 상기 저변부를 향해 흐르며, 상기 단부(4)에도 흘러들어 감으로써, 상기 단자부(6)는 그 표면의 절반 이상이 납땜된다.
이 납땜은, 상기 단자부(5)와 이에 대응한 랜드부(8)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한편, 제3C, 제3D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 랜드부의 경우에는, 이 원형 랜드부(9')의 한단(12')에 용융된 땜납을 공급하면, 이 용융 땜납은 이 원형랜드부(9')의 중앙부에 모이며, 상기단(4)로 흘러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상기 단자부(6)와 땜납(11')이 접하는 면적은 적어진다.
또한, 상기 랜드부(8), (9)의 형상은 상기 2등변 삼각형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용융 땜납 공급부(12)에 대해서 상기 단자부(5), (6)측의 면적이 크게되는 것같은 형상이면 된다.
본 고안의 공심 코일(1)을, 칩형 회로 부품의 자동부착을 행하는 자동 칩 마운트 장치에 의해 프린트 기판(7)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융땜납 공급부(12)에 크림형태의 땜납을 도포하고, 다음에 가열에 의해 이 크림형태 땜납을 용융함으로서, 상기 단자부(5), (6)와 랜드부(8), (9)를 납땜함으로서, 상기 본 고안의 랜드 형상에 의한 납땜 방법은 특히 유리해진다.
제4도는 제1도의 공심 코일을 납땜한 본 고안의 프린ㅌ 기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에 있어서, 이 공심 코일(1)의 상기 단부(4)에 이 랜드부(9)가 접하도록, 이 프린트 기판(7)의 절연 기판부에 상기 한측면(2)을 위치시킨 것이다. 이것으로, 이 랜드부(9)와 상기 단자부(6)와의 거리는 가까워지며 납땜시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술과 같이 본 고안의 프린트 기판 조립체는, 본 고안의 공심 코일(1)의 상기 프린트 기판(7)으로의 납땜시의 전기적 접속 신회성이 향상함과 더불어 부착의 자동화에 적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상기 절연피복 동선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각형인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응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공심 코일 및 이 공심 코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는, 프린트 기판에 부착시의 이 코일 높이 치수가 변동되지 않고, 또한, 이 프린트 기판으로의 납땜시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부착의 자동화에 적합하고 있다.

Claims (1)

  1. 절연 피막을 갖는 절연 피복 도선을 서로 밀착시켜서 소정회수 감은 공심 코일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의 한측면과 이 코일의 내주 및 외주의 각부에 상기 한측면에서 이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절연피복 도선 수개분이 없는 단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내주 및 외주의 상기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이 코일의 시작단 및 종단인 1쌍의 단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심 코일.
KR9217318U 1988-08-10 1992-09-14 공심코일 KR920008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7318U KR920008500Y1 (ko) 1988-08-10 1992-09-14 공심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9529A JPH0247806A (ja) 1988-08-10 1988-08-10 空芯コイル及びそのはんだ付け方法
JP199529 1988-08-10
KR1019890011079A KR900004230A (ko) 1988-08-10 1989-08-03 공심코일 및 그 공심 코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
KR9217318U KR920008500Y1 (ko) 1988-08-10 1992-09-14 공심코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079A Division KR900004230A (ko) 1988-08-10 1989-08-03 공심코일 및 그 공심 코일을 납땜한 프린트 기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500Y1 true KR920008500Y1 (ko) 1992-11-30

Family

ID=2732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7318U KR920008500Y1 (ko) 1988-08-10 1992-09-14 공심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562Y1 (ko) 브러시레스 모터
KR920008500Y1 (ko) 공심코일
JPS642411Y2 (ko)
US4745682A (en) Method of connecting coil
US6018285A (en) Wire-wound component to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H0514493Y2 (ko)
JP2703862B2 (ja) 表面実装型コイルの接続構造
JPH05258941A (ja) チップ型コイル
JPH06275446A (ja) ボビン端子及びボビン端子付コイル装置
JPH11233351A (ja)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06553A (ja) 電子部品
JPH08236363A (ja) 電気回路部品の端子板
JPH056422B2 (ko)
JPH0120522B2 (ko)
JPH0611309U (ja) コイル
JPH0670221U (ja) コイル
JP3275512B2 (ja) プリント基板及び端子
JP2546082B2 (ja) チップ型コイル
JPH0645154A (ja) ロータリートランス
JPH0778723A (ja) 鉄芯への巻線形成方法
JPH0247806A (ja) 空芯コイル及びそのはんだ付け方法
JPS62122110A (ja) コイル装置
JPH1074614A (ja) コイル装置
JPH0739099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H0864468A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