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68B1 -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68B1
KR920008168B1 KR1019840007323A KR840007323A KR920008168B1 KR 920008168 B1 KR920008168 B1 KR 920008168B1 KR 1019840007323 A KR1019840007323 A KR 1019840007323A KR 840007323 A KR840007323 A KR 840007323A KR 920008168 B1 KR920008168 B1 KR 92000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mido
isoquinoline
oxo
methyl
nuj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538A (ko
Inventor
이꾸오 우에다
요오이찌 시오가와
다까시 마나베
Original Assignee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사와 도모기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38331228A external-priority patent/GB833122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48405776A external-priority patent/GB840577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48425791A external-priority patent/GB8425791D0/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사와 도모기찌로 filed Critical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538A/ko
Priority to KR101991001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07D2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with a hetero atom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신규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 그 약학적으로 가용가능한 염, 그 제조방법,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천식상태와 같은 알러지증상과 관련된 증후군의 치료제로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 알러지제로 유용한 신규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은 다음의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
R2는 아미노, 니트로 또는 아실아미노이며,
R3는 카복시 또는 보호된 카복시이다.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Ⅰ)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염(예 : 소디움염, 포타슘염, 에타놀아민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암모늄염등) 및 산부가염(예 : 염산염등)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Ⅰ) 및 그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은 다음의 공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R2 a는 아실아미노,
R3 a및 R3 b는 각각 보호된 카복시,
R3 c는 아마이드화 카복시,
R3 d는 에스테르화 카복시이며,
R4는 알콕시이다.
출발화합물(Ⅱ) 또는 그 염은 신규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다음에 예시한 제조방법 및 그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및 금후의 기술에서, 여러 정의의 한 예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저급"이란 용어는 다른 지시가 없는한 탄소수 1-6을 의미한다.
"고급"이란 용어는 탄소수 6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을 의미한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취소 및 요드를 포함한다. 적당한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등을 포함한다.
"아실아미노"중 적당한 "아실"잔기는 유기카복실산, 유기설폰산, 유기카본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잔기를 포함한다.
적당한 "아실"은 저급알카노일(예 : 포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3, 3-디메틸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또는 고급알카노일(예 : 헵타노일, 2, 3, -디메틸펜타노일, 라우로일, 미리스토일, 팔미토일, 스테아로일), 탄소수 4-8을 가지는 저급 사이클로알킬-카보닐(예 : 사이클로펜틸카보닐, 사이클로헥실카보닐, 사이클로헵틸카보닐), 저급알콕시카보닐(예 :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프로폭시카보닐), 탄소수 3-9를 가지는 저급알콕사릴(예 : 메톡사릴, 에톡사릴, 프로폭사릴), 저급알칸설포닐(예 : 메실, 에탄설포닐, 프로판설포닐), 아릴카바모일(예 : 페닐카바모일, 톨릴카바모일)등을 포함한다.
앞에 예시한 아실은 하이드록시, 아실옥시(예 : 저급알카노일 옥시), 헤테로사이클릭카복사미도(예 : 니코틴아미도), 등과 같은 1이상의 치환체를 임의로 가질수도 있다.
적당한 "보호된 카복시"는 에스테르와 카복시 및 아마이드화카복시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적당한 "에스테르화 카복시"는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사미드(예 : 니코틴아미도)를 가질 수도 있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를 포함하며, 이들의 예로는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프로폭시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보닐, 부톡시카보닐, 이소부톡시카보닐, t-부톡시카보닐, 펜틸옥시카보닐, 헥실옥시카보닐, 2-니코틴아미도에톡시카보닐 등을 포함한다.
적당한 "아미드화 카복시"는 질소 원자에 적당한 치환체를 가질 수도 있는 카바모일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전술한 치환체는 헤테로사이클릭기, 헤테로사이클릭(저급)알킬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헤테로 사이클릭 카복사미도", "헤테로사이클릭기" 및 "헤테로사이클릭(저급)알킬기"는 상세히는 산소, 유황, 질소등과 같은 복소원자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기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릭기"은 예를 들면 피롤릴, 피롤리닐, 피롤리디닐, 피페라지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딜 및 그 N-옥사이드, 디하이드로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트리아졸릴(예 : 4H-1, 2, 4-트리아졸, 1H-1, 2, 3-트리아졸릴, 2H-1, 2, 3-트리아졸릴, 등), 테트라졸릴(예 : 1H-테트라졸릴, 2H-테트라졸릴등)등과 같은 탄소수 1-4를 함유하는 불포화 3-8원, 더욱 바람직하게는 5-6원 헤테로모노사이클기와 같은 헤테로 사이클기이다.
전술한 "헤테로사이클"은 아르(저급)알킬(예 : 디페닐메틸, 벤질등)과 같은 1이상의 적당한 치환체를 임의로 함유할 수도 있다.
적당한 "아미드화 카복시"는 N-테트라졸릴카바모일(예 : N-1 H-테트라졸릴카바모일, N-2 H-테트라졸릴카바모일), 4-아르(저급)알킬피페라진-1-일(저급)알킬카바모일[예 : N-(4-디페닐메틸피페라진디페닐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카바모일, 등]등이다.
적당한 "알콕시"는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과 같은 저급 또는 고급 알콕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공정은 다음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공정 1 :
목적화합물(Ⅰa) 또는 그 염은 화합물(Ⅱ) 또는 그 염을 화합물(Ⅲ)과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화합물(Ⅱ)의 염은 산부가염(예 : 염산염, 황산염, 등)이다.
이 반응은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프로파놀, 이소부타놀, 디페닐에테르, 톨루엔, 키실렌, 등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용매중에서 가열하에 통상으로 행한다.
공정 2 :
화합물(Ⅰc) 또는 그 염은 화합물(Ⅰb) 또는 그 염을 환원시켜서 제조한다.
환원은 환원제(예 : 철과 염화암모늄의 복합제, 등), 접촉환원 등과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환원방법으로 행한다. 환원은 물, 에타놀, 프로파놀, 이소부타놀,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후란, 크로로포름, 등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용매중에서 냉각내지 가열하의 온도에서 통상으로 행한다.
공정 3 :
화합물(Ⅰd) 또는 그 염은 화합물(Ⅰc) 또는 그 아미노기에서의 반응성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아실화제와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화합물(Ⅰc)의 아미노기에서의 적당한 반응성 유도체는 그 화합물(Ⅰc)와 알데히드, 케톤 등과 같은 카보닐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쉬프 염기 형 이미노 또는 그 호변이성 엔아민 형 이성체; 화합물(Ⅰc)와 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이드 등과 같은 실릴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실리 유도체; 화합물(Ⅰc)와 포스포러스트리클로라이드 또는 포스겐 등에 의하여 형성된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아실화제는 유기산(예 : R2 bOH(Ⅳ), 여기에서 R2 b는 아실이다) 및 그 반응성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합물(Ⅳ)의 적당한 반응성 유도체는 산할라이드(예 : 산클로라이드, 산브로마이드, 등), 산아자이드, 산무수물, 활성화 아마이드, 활성화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통상의 것이다.
유리산을 아실화제로 사용할때는 아실화 반응은 통상의 축합제의 존재하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후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피리딘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용매중에서 통상으로 행한다.
반응은 또한 알카리금속(예 : 소디움), 알카리토금속(예 : 칼슘),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금속하이드라이드(예 : 소디움하이드라이드, 칼슘하이드라이드, 등),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금속하이드록사이드(예 : 가성소다, 가성카리, 수산화칼륨, 등),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금속카보네이트 또는 비카보네이트(예 : 탄산소다, 탄산칼륨, 중조),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금속알콕사이드(예 : 소디움에톡사이드, 리치움메톡사이드, 마그네슘메톡사이드, 등), 트리알킬아민(예 :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비사이클로디아자화합물(예 : 1, 5-디아자비사이클로[3, 4, 0]노넨-5, 1, 5-디아자비사이클로[5, 4, 0]운데센-5, 등]둥과같은 유기 또는 무기염기의 존재하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냉각내지 주위온도의 범위에서 행함이 바람직하다.
공정 4 :
화합물(J e)또는 그 염은 화합물(Ⅰa) 또는 그 염으로 부터 카복시 보호기를 제거시켜서 제조한다.
이 공정의 제거반응은 가수분해. 환원 등과 같은 공정을 포함한다. 가수분해는 무기 또는 유기산(예 : 염산, 황산, 초산, 3불화초산 등), 또는 무기 또는 유기염기(예 : 가성소다, 등)의 존재하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이 공정의 반응은 물, 에타놀, 메타놀, 프로파놀, 초산, 등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용매중에서 냉각내지 가열의 온도범위에서 행한다.
출발화합물(Ⅰa)가 R2로 표시되는 아실옥시로 치환된 아실아미노를 가진때에는 이 아실옥시의 아실기는 반응중에 카복시 보호기의 제거와 함께 때때로 제거되어 수소로 전환된다.
공정 5 :
화합물(Ⅰf) 또는 그 염은 화합물(Ⅰe) 또는 그 카복시기에서의 반응성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아마이드화제와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아마이드화제로 아민(예 : R3 eNH2(V), 여기에서 R3 e는 헤테로사이클기 또는 아르(저급)알킬 헤테로사이클릭(저급알킬, 등)과 같은 적당한 치환체이다) 및 그 반응성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포함한다.
화합물(Ie)의 적당한 반응성 유도체로 산할라이드, 산무수물, 활성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화합물(V)의 적당한 반응성 유도체는 화합물(Ⅰc)에서와 같다.
이 반응은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피리딘, 디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용매중에서 통상으로 행한다. 반응온도는 임계적이 아니며, 반응은 냉각내지 가온하에 행한다.
이 반응은 축합제(예 : 1, 1-카보닐디이미다졸, 등)의 존재하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공정 6 :
화합물(Ⅰg) 또는 그 염은 화합물(Ⅰe) 또는 그 카복시기에서의 반응성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에스테르화제와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에스테르화제는 알콜(예 : R3 fOH(Ⅵ), 여기에서 R3 f는 헤테로사이클릭카복사미드를 가질 수도 있는 저급알킬과 같은 적당한 치환체이다), 그 반응성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포함한다.
화합물(Ie)의 적당한 유도체는 산할라이드, 산무수물, 활성화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화합물(Ⅵ)의 적당한 반응성 유도체는 상응하는 할라이드(예 : 알킬할라이드), 디아조화합물(예 : 디아조알칸), 설포네이트(예 : 알킬설포네이트), 설페이트 또는 알카리금속이나 알카리금속과의 염등을 포함한다.
이 반응은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피리딘, 디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용매중에서 통상으로 행한다.
반응온도는 임계적이 아니며, 반응은 냉각 내지 가열하에서 행한다.
상기 공정 1-6의 목적화합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 및 원하는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Ⅰ) 및 그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은 강한 항알러지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은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비염, 심마진, 화분증, 알러지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궤양성 대장염, 소화관성 앨러지(예 : 밀크 앨러지), 애조가 질환, 아프토스 위염, 등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과 관련된 증후군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을 예시하기 위햐여 본 목적화합물(Ⅰ)의 몇몇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항알러지성 작용을 다음에 나타낸다.
[시험 Ⅰ]
PAC(수동 피부과민증) 반응에 대한 억제효과
(1) 시험 화합물
(a) 시험화합물의 구조식 :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b) 시험화합물의 구조식 :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2) 시험 방법
(a) 항혈청의 제조
비·퍼투시스-디프테리아-테타누스 혼합백신(1㎖)에 용해시킨 난백 알부민(2㎎)의 용액을 프로인트 불완전 부형제(1㎖)와 혼합하여 유제를 얻는다. 이 유제를 동일하게 1로 분할(0.25㎖)한 1회량을 피하로 각각 체중 약 300g의 8주령 숫컷 SD(스프라그-다울리)종 랫트의 4발바닥에 피하 주사한다.
면역후 8일후에 혈액시료를 랫트의 대퇴부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여 빙냉하게 5시간 정치한다. 분리된 상층액을 4℃에서 원심분리(10, 000r.p.m×1시간)한다. 이렇게 얻어진 항혈청을 사용전 -80℃에서 저장한다.
(b) P.C.A.에서의 억제효과
체중 250-300g의 8주령 숫컷 SD-종 랫트를 상기 제조한 균질한 시료 항혈청의 PCA 반응에 사용한다. 32배 희석 항혈청 각 0.1㎖를 털을 깎은 랫트의 등의 분리된 곳에 피하주사한다. 48시간 후 에그알부민과에반스 브루 각 5㎎씩을 함유하는 수용액 1㎖를 정맥내 주사하여 PCA 반응을 일으킨다. 시험화합물을 항원으로 채린지하기 5분전에 동물에 정맥주사한다. 대조군은 부형제만 투여한다. 각 그룹은 4동물로 이루어진다. 항원 채린지 1시간후에 동물을 죽여서 가죽을 벗긴다. 항혈청에 의하여 원인이 되어 생성된 염료 스포트 각각 가죽의 반대편에서 그 크기를 조사한다. 결과는 이들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스포트의 가장 긴 및 가장 짧은 직경의 평균값으로부터 계산하여 억제 % 값으로 나타낸다.
(3) 시험 결과
시험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낸다(시험화합물의 용량 : 1㎎/㎏).
Figure kpo00013
본 발명의 피리미도 이소퀴놀린 유도체(Ⅰ)는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염,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염 및 아미노산과의 염과 같은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이나 유리 형태로 강력한 항알러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목적화합물(Ⅰ)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캡슐제, 마이크로캡슐제, 정제, 과립제, 산제, 트로치, 시럽, 에어로졸, 흡입제, 액제, 주사제, 현탁제, 유제, 좌제, 연고 등과 같은 통상의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부형제(예 : 서당, 전분, 만니트, 솔비트, 유당, 포도당, 셀루로즈, 탈크,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등), 결합제(예 : 셀루로즈, 메틸셀루로즈,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루로즈, 폴리프로필피로리딘,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폴리에틸렌글리콜, 서당, 전분, 등), 붕해제(예 : 전분, 카보시메틸 셀루로즈, 카복시메틸셀루로즈의 칼슘염,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소디움 글리콜-전분, 중조, 인산칼슘, 구연산칼슘, 등), 윤활제(예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소디움라우릴셀페이트, 등), 방향제(예 : 구연산, 멘톨, 글라이신, 오렌지분말, 등), 보존제(예 : 소디움벤조에이트, 소디움비설파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등), 안정제(예 : 구연산, 구연산소다, 초산, 등), 현탁와제(예 : 메틸셀루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등), 분산제, 수용성 희석제(예 : 물), 기제왁스(예 : 카카오버터, 폴리에틸렌글리콜, 백색페트롤라툼, 등)과 같은 약학적 목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여러 유기 또는 무기의 담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활성 성분의 용량은 환자의 체중 및/또는 나이 및/또는 알러지 질환의 상태 및 투여경로와 같은 여러인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용량은 경구 투여로는 약 20-20㎎/일 근육 또는 정맥조사로는 약 2.5-250㎎/일, 피하주사로는 약 10㎎-1000㎎/일 그리고 직장 투여로는 약 120-2000㎎/일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1일 총량은 1일 6-12시간의 간격으로 환자에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본 활성성분의 바람직한 1회 용량은 예를 들면 정제나 캡슐제인 경우 약 10-50㎎, 바이알 또는 앰플인 경우 약 1.25-150㎎, 또는 좌제인 경우 약 60-500㎎, 등이며, 더구나 외형 목적의 약학적 제제는 예를 들면 약 1-10% 연고 액제 또는 유제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리미도 이소퀴놀린 유도체(Ⅰ)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물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제조예 1]
(1) 진한 황산(50㎖)중의 질산칼륨(10㎎)의 용액을 교반하며, 여기에 진한황산(50㎖)중의3, 4-디하이드로-4-메틸이소퀴놀린(12g)의 용액을 -20˚∼ 10℃에서 1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가한다.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30분, 60℃에서 1.5시간 가열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냉각하에 28% 수산화암모늄으로 알칼리성 pH로 조절한다. 결과로 얻어진 갈색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켜서 3, 4-디하이드로-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14.63g)을 얻는다.
IR(Nujol) : 1628, 1504, 1342, 772, 744cm-1
NMR(CDCl3δ) : 1.33(3H, d, J=8.0H), 3.02(1H, m), 3.80(2H, m), 7.46(1H, d, J=8.8Hz), 8.17(1H, d, J=2.8Hz), 8.29(1H, dd, J=8.8 and 2.8Hz), 8.46(1H, s).
Mass : 190(M+)143, 115
(2)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170㎖)중의 3, 4-디하이드로-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딘(14.63g)과 팔라듐 흑(4g)의 혼합물을 교반하며, 6시간 환류시킨다. 반응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하룻밤 방치하고 다음에 여과한다. 여과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한다. 여액과 세척액을 2N 염산(70㎖×3)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고 여기에 드라이아이스-아세톤으로 냉각하며 가송소다 수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밝은 갈색고체를 수집하고, 물론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조생성물을 용출제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6.06g)을 얻는다.
IR(Nujol) : 1620, 1460, 1340, 795cm-1
NMR(CDCl3δ) : 2.70(3H, s), 8.13(1H, d, J=9.6Hz), 8.49(1H, dd, J=9, 6, 2, 4Hz), 8.59(1H, s), 8.91(1H, d, J=2.4Hz), 9.32(1H, s)
Mass : 188(M+), 142, 115
(3) 초산(2㎖)중의 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400㎎)과 30%과산화수소 (0.65㎖)의 용액을 3.5시간 환류시킨다.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에 에테르(50㎖)를 가하고 교반하여 황색 분말을 얻는다. 분말을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 N-옥사이드(360㎎)을 얻는다.
IR(Nuiol) : 3060, 1602, 1524, 1461, 1344, 1179cm-1
NMR(DMSO-d6δ) : 2.60(3H, s), 8.0-8.5(3H, m), 8.88(1H, s), 9.10(1H, s)
Mass : 204(M+)
(4) 피리딘(20㎖)중의 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 N-옥사이드(0.85g)의 현탁액에 빙냉하여 토실클로라이드 0.32g씩을 3회 가한다. 주위온도에서 하룻밤 교반후, 반응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킨다. 결과로 얻어진 잔류물에 주위온도에서 에타놀아민(18㎖)을 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부어서 조 1-아미노-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0.51g)을 침전으로 얻는다.
IR(Nujol) : 3460, 3310, 3360, 3100, 1612, 1329cm-1
NMR(DMSO-d6, δ) : 2.34(3H, s), 7.20(2H, s), 7.90(1H, s), 7.96(1H, d, J=10.0Hz), 8.39(1H, dd, J=10.0 and 2.0Hz), 9.27(1H, d, J=2.0Hz).
Mass : 203(M+)
[제조예 2]
제조예 1(4)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는다.
1-아미노-7-니트로이소퀴놀린
IR(Nujol) : 3460, 3320, 3090, 1500, 1325, 839cm-1
NMR(DMSO-d6, δ) : 7.01(1H, d, J=6.0Hz), 7.37(2H, brs), 7.85(1H, d, J=9.0Hz), 8.01(1H, d, J=6.0Hz), 8.31(1H, dd, J=9.0 and 2.2Hz), 9.27(1H, d, J=2.2Hz).
Mass : 189(M+), 143, 116
[제조예 3]
제조예 1(4)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는다.
1-아미노-5-니트로이소퀴놀린
IR(Nujol) : 3480, 3300, 3105, 1640, 1510, 1332, 790cm-1
NMR(DMSO-d6, δ) : 7.27(2H, s), 7.34(1H, d, J=6Hz), 7.65(1H, d, J=8.1Hz), 8.05(1H, d, J=6.0Hz), 8.44(1H, d, J=8.1Hz), 8.67(1H, d, J=8.1Hz).
Mass : 189(M+)
[제조예 4]
제조예 1(4)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는다.
1-아미노-5-브로모-8-니트로이소퀴놀린
IR(Nujol) : 3475, 3310, 1643, 1597, 1095, 865, 840, 740cm-1
NMR(DMSO-d6, δ) : 6.35(2H, s), 7.33(1H, d, J=6.0Hz), 7.87(1H, d, J=8.0Hz), 8.19(1H, d, J=8.0Hz), 8.21(1H, d, J=6.0H, z).
Mass : 269(M++2), 268, 267(M+), 250, 221, 142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주어진 것이다.
[실시예 1]
N, N-디메틸포름아마드(20㎖)중의 1-아미노-4-메틸-7-니트로이소퀴놀린 (3.87g)과 디에틸에톡시 메틸렌마로네이트(4.538g)의 혼합물을 120℃에서 교반하며 4시간 가열한다. 이 혼합물에 디에틸에톡시메틸렌마로네이트(1g)을 더 가하고,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18시간 환류시키고 냉각하여 침전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을 여과하고 냉에타놀로 세척하여 7-메틸-10-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 -3-카복실레이트(4.21g)을 얻는다.
IR(Nujol) : 1730, 1480, 1336, 1134cm-1
Mass : 327(M+), 282, 255, 227
[실시예 2]
초산(6㎖)와 36% 염산(3㎖)의 혼합물중의 에틸 7-메틸-10-니트로-4-옥 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260㎎)의 현탁액을 50분간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켜서 황색 고체를 얻는다. 황색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켜서 7-메틸-10-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180㎎)을 얻는다.
mp. 301-303℃
IR(Nujol) : 1748, 1498, 1343cm-1
Mass : 299(M+), 255, 227
[실시예 3]
물(0.5㎖)와 에타놀(13㎖)의 혼합물중의 에틸 7-메틸-10-니트로-4-옥소 -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140㎎)과 철분(90㎎)의 혼합물을 교반하며, 여기에 환류하에 물(0.5㎖)중의 염화암모늄(90㎎)의 용액을 가한다. 1시간 50분간 환류시키고, 여기에 물(0.5㎖)중의 염화암모늄(28㎎)과 철분(50㎎)을 가하고, 다음에 혼합물을 1시간 더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지상의 잔류물을 더운 에타놀로 세척한다. 여액을 진공 농축하고 다음에 묽은 증조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조생성물을 얻는다. 용출제로 클로로포름-메타놀을 사용한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하여 순수한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 -3-카복실레이트(100㎎)을 얻는다.
mp. 245-248℃
IR(Nujol) : 3440, 3350, 3230, 1698, 1678, 1480, 1290, 1136cm-1
NMR(DMSO-d6, δ) : 1.34(3H, t, J=6.4Hz), 2.49(3H, s), 4.32(2H, q, J=6.4Hz), 6.05(2H, s), 7.28(1H, dd, J=8.2 and 2.2Hz), 7.27(1H, d, J=8.2Hz), 8.04(1H, d, J=2.2hz), 8.33(1H, s), 8.78(1H, s).
Mass : 297(M+), 252, 225, 197, 157
[실시예 4]
초산(6㎖)와 36% 염산(3㎖)의 혼합물중의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 -4H-피리미도[2, 1-a] 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400㎎)의 현탁액을 55분간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한다. 침전된 고체를 수집하고 1N 가성소다 수용액(6㎖)에 용해시킨다. 결과로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불용물질을 제거한다. 얻어진 여액을 냉각하고 1N 염산으로 pH6으로 조절하고 초산으로 중화시켜서 10-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270㎎)을 얻는다.
mp.>300℃
IR(Nujol) ; 3455, 3340, 3200, 1726, 1613, 1456cm-1
NMR(D2O-NaOH, δ) : 1.62(3H, s), 6.3-6.6(3H, m), 7.10(1H, s), 8.07(1H, s).
Mass : 269(M+), 225, 197, 157
[실시예 5]
피리딘(110㎖)중의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4H-리피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1.5g)의 용액에 빙냉하에 2, 3-디메틸펜타노일클로라이드(1.4g)을 가한다. 주위온도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농축한다. 클로로포름(100㎖)에 용해시킨 잔류물을 물, 냉 1N 염산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에틸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토(1.94g)을 얻는다.
mp.216-218℃(CHCl3-EtOH)
IR(Nujol) : 3250, 3100, 1755, 1742, 1653, 1490, 1122cm-1
NMR(CDCl3, δ) : 0.7-2.5(16H, m), 2.57(3H, s), 4.43(2H, q, J=7.2Hz), 7.79(1H, d, J=8.2Hz). 8.00(1H, s), 8.50(1H, dd, J=8.2 and, 2.2Hz), 8.66(1H, s), 8.90(1H, d, J=2.2Hz), 8.97(1H, s).
[실시예 6]
메타놀(20㎖)중의 에틸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 -4H-피리미드[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500mg)과 1N 가성소다(3.6㎖)의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40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물(30㎖)로 희석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수집하고 건조시켜서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320mg)을 얻는다.
IR(Nujol) : 3320, 1743, 1690, 1515, 1500, 1433cm-1
NMR(DMSO-d6,δ) : 0.7-2.4(13H, m), 2.62(3H, s), 8.02(1H, d, J=8.4Hz), 8.26(1H, dd, J=8.4 and 2.42H, z), 8.59(1H, s), 8.97(1H, s), 9.38(1H, d, J=2.4Hz), 10.37(1H, s), 12.3-13.0(1H, m).
Mass : 381(M+), 337, 309, 269, 251, 197, 85
[실시예 7]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는다.
에틸 10-피발로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410, 3370, 1740, 1288, 1322, 800cm-1
NMR(CDCl3, δ) : 1.42(9H, s), 1.45(3H, t, J=7.0Hz), 2.56(3H, s), 4.44(2H, q, J=7.0Hz), 7.79(1H, d, J=9.0Hz), 8.00(1H, broads), 8.48(1H, dd, J=9.0 and 2.2Hz), 8.65(1H, s), 8.85(1H, d, J=2.2Hz), 8.94(1H, s).
[실시예 8]
메타놀 수용액(19㎖)중의 에틸 10-피발로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400mg)과 1N 가성소다(3.1㎖)의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2일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에 메타놀 수용액을 가하고, 수욕상에서 거의 모든 침전이 용해될때까지 가열한다.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한다.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수집하고, 물과 메타놀로 차례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N, N-디메틸포름아미아이드와 물의 혼합물로 재결정시켜서 순수한 10-피발로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31 g) 얻는다.
IR(Nujol) : 3350, 1730, 1687, 1493, 1430, 1292, 853, 805cm-1
Mass : 353(M+), 309, 281, 251, 224, 197, 157, 57
[실시예 9]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5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사이클로헥실-카바모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340, 1707, 1690, 1679, 1480, 797cm-1
NMR(DMSO-d6, δ) : 1.1-2.8(11H, m), 1.35(3H, t, J=7.4Hz), 2.53(3H, s), 4.33(2H, q, J=7.4Hz), 7.87(1H, d, J=8.8Hz), 8.18(1H, dd, J=8.8 and 2.0Hz), 8.51(1H, s), 8.80(1H, s), 9.21(1H, d, J=2.0Hz), 10.30(1H, s).
[실시예 10]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산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이소부티릴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NMR(DMSO-d6δ) : 1.17(6H, d, J=6.6Hz), 1.32(3H, t, J=7.2Hz), 2.3-2.9(1H, m), 2.52(3H, s), 4.30(2H, q, J=7.2Hz), 7.87(1H, d, J=8.2Hz), 8.21(1H, dd, J=8.2 and 2.2Hz), 8.49(1H, s), 8.79(1H, s), 9.18(1H, d, J=2.2Hz), 10.31(1H, s).
[실시예 11]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3.5㎖)중의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257mg)의 혼합물을 교반하며, 여기에 불활성 분위기중, 주위온도에서 1, 1'-카보닐디이미다졸(142㎎)을 가한다. 다음에 100℃로 가열한다. 반응혼합물에 5-아미노-1H-테트라졸(75㎎)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 가열한 후 냉각한다.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타놀로 차례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N-(1H-테트라졸-5-일)-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0.16g)을 얻는다.
mp.300℃
IR(Nujol) : 3500, 3290, 3100, 1682, 1597, 1470, 800cm-1
Mass : 448(M+), 420, 364, 337, 266, 251, 197, 157, 113, 85, 43
[실시예 12]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10-이소부티릴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 -3-카복실산
mp. >300℃
IR(Nujol) : 3310, 1743, 1550, 1466, 1440cm-1
Mass : 339(M+), 295, 269, 251, 225, 197, 157, 142, 115, 71, 43, 27
[실시예 13]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10-사이클로헥실-카보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300℃
IR(Nujol) : 3310, 1743, 1693, 1496, 1436, 1073cm-1
Mass : 379(M+), 339, 307, 269, 251, 225, 197, 83, 55
[실시예 14]
디메틸포름아마이드(40㎖)중의 7-메틸-10-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 [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300㎎)의 용액을 중조수용액(60㎖)에 가한다. 1시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냉장고중에 방치한다.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이 고체에 메타놀 수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한다. 흡인 여과하여 고체를 수집하여 소디움-7-메틸-10-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29mg)을 얻는다.
mp.>300℃
IR(Nujol) : 3370(br), 1707, 1497, 1342, 811cm-1
[실시예 15]
메타놀 수용액(25㎖)중의 에틸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520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에 메타놀을 거의 모든 침전이 용해할때까지 가하고, 용액을 감압하여 절반량으로 농축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물로 희서하고 냉장고에 방치한다.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수집하고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소디움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210mg)을 얻는다.
mp.>300℃
IR(Nujol) : 3420, 3270, 1700, 1690, 1662, 1490, 1380, 817cm-1
[실시예 16]
피리딘(60㎖)중의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800㎎)의 용액에 빙욕중에서 메실클로라이드(0.28㎖)를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고 진공농축시킨다. 잔류물을 수집하고, 0.1N 염산과 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로 재결정시켜서 에틸 10-메실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76g)을 얻는다.
IR(Nujol) : 3240, 1710, 1660, 1483, 1142, 962, 802cm-1
Mass : 375(M+), 360, 330, 296, 268, 251, 224, 196, 157, 128, 115, 79, 53, 29
[실시예 17]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에틸 10-에톡시카보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289-292℃
IR(Nujol) : 3320, 1723, 1476, 1292, 1222, 1143, 1060, 803cm-1
Mass : 369(M+), 323, 297, 278, 251, 223, 183, 155, 140, 114, 78, 53, 29
[실시예 18]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10-메실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300℃
IR(Nujol) : 3260, 3180, 1728, 1512, 1162, 1142, 802cm-1
Mass : 347(M+), 303, 275, 235, 224, 196, 169, 128, 115, 82, 53, 15
[실시예 19]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에틸 10-에톡사릴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73-275℃
IR(Nujol) : 3320, 1740, 1707, 1480, 1118, 800cm-1
Mass : 397(M+), 352, 325, 296, 278, 251, 223, 183, 157, 140, 115, 77, 53, 29
[실시예 20]
피리딘(60㎖)중의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600㎎)의 용액에서 빙욕 온도에서 페닐이소시아네이트(0.22㎖)를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침전을 수집한 후 메타놀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재결정하여 에틸 10-(3-페닐우레이도)-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58g)얻는다.
mp.>300℃
IR(Nujol) : 3350, 1727, 1704, 1482, 1216, 1138, 798cm-1
Mass : 416(M+), 323, 297, 252, 197, 157, 119, 64, 39
[실시예 21]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060, 1733, 1488, 1350, 1140, 803cm-1
NMR(CDCl3δ) : 1.43(3H, t, J=7.5Hz), 4.47(2H, q, J=7.5Hz), 7.54(1H, d, J=7.95Hz), 8.02(1H, d, J=9.0Hz), 8.72((1H, dd, J=9.0and 3.0Hz), 9.13(1H, d, J=7.95Hz), 9.14(1H, s), 10.0(1H, d, J=3.0Hz)
Mass : 313(M+), 268, 241, 173, 127, 29
[실시예 22]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릴-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450, 3310, 3200, 3100, 1728, 1665, 1113, 830, 803, 780cm-1
NMR(DMSO-d6, δ) : 1.32(3H, t, J=6.8Hz), 4.30(2H, q, J=6.8Hz), 6.09(2H, brs), 7.30(1H, dd, J=8.4 and 2.0Hz), 7.55(1H, d, J=7.2Hz), 7.75(1H, d, J=8.4Hz), 8.03(1H, d, J=2.0Hz), 8.53(1H, d, J=7.2Hz), 8.86(1H, s)
[실시예 23]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350, 1720, 1680, 1483, 1305, 1118, 834cm-1
NMR(CDCl3, δ) : 0.6-2.7(16H, m), 4.44(2h, q, J=7.4Hz), 7.33(1H, d, J=7.8Hz), 7.72(1H, d, J=9.0Hz), 8.33(1H, s), 8.47(1H, dd, J=9.0 and 2.0Hz), 8.81(1H, d, J=7.8Hz), 8.95(1H, d, J=2.0Hz), 9.00(1H, s)
[실시예 24]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 >300℃
IR(Nujol) : 3320, 1740, 1492, 1122, 840cm-1
Mass : 367(M+), 255, 211, 183, 85, 43
[실시예 25]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1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8-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02℃
IR(Nujol) : 1710, 1690, 1490, 1140, 790cm-1
NMR(CDCL3, δ) : 1.44(3H, t, J=6.6Hz), 4.47(2H, q, J=6.6Hz), 7.87(1H, t, J=8.0Hz), 8.22(1H, d, J=8.2Hz), 8.62(1H, d, J=8.0Hz), 9.06(1H, d, J=8.2Hz), 9.07(1H, s), 9.50(1H, d, J=8.0Hz)
[실시예 26]
초산(20㎖)와 36% 염산(4㎖)의 혼합물중의 에틸 8-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400㎎)의 현탁액을 80℃에서 5시간 가열한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킨다. 얻어진 침전된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켜서 8-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320㎎)을 얻는다.
mp. 300℃(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재결정)
IR(Nujol) : 1720, 1640, 1250, 880, 770cm-1
Mass : 285(M+), 241, 127, 53, 18
[실시예 27]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8-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25℃
IR(Nujol) : 3450, 3360, 1735, 1490, 1130cm-1
NMR(CDCl3, δ) : 1.44(1H, t, J=7.3Hz), 4.47(1H, q, J=7.3Hz), 7.20(1H, d, J=7.8H, z), 7.48(1H, d, J=7.8Hz), 7.61(1H, t, J=7.8Hz), 8.58(1H, d, J=7.8Hz), 8.96(1H, d, J=7.8Hz), 9.11(1H, s)
[실시예 28]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8-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300℃
IR(Nujol) : 3450, 3350, 1735, 1630, 1140, 787cm-1
Mass : 255(M+), 183, 143, 18
[실시예 29]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8-(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09-210℃
IR(Nujol) : 3250, 3100, 1738, 1650, 1290, 1118, 798cm-1
NMR(CDCl3, δ) : 0.7-2.9(16H, m), 4, 47(2H, q, J=7.4Hz), 7.36(1H, d, J=7.8Hz), 7.59(1H, t, J=8.0Hz), 8.01(1H, d, J=8.0Hz), 8.26(1H, brs), 8.70(1H, d, J=8.0Hz), 8.76(1H, d, J=7.8Hz), 8.99(1H, s)
Mass : 395(M+), 350, 283, 237, 142, 85, 43
[실시예 30]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8-(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 290-291℃
IR(Nujol) : 3280, 1720, 1654, 1250, 800cm-1
NMR(DMSO-d6, δ) : 0.8-3.0(14H, m), 7.83(1H, d, J=8.4Hz), 7.86(1H, t, J=8.4Hz), 8.15(1H, d, J=8.4Hz), 8.92(1H, d, J=8.4Hz), 9.01(1H, d, J=8.4Hz), 9.06(1H, s), 10.16(1H, s)
Mass : 367(M+), 237, 85, 43
[실시예 31]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2-아세톡시프로피오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IR(Nujol) : 3315, 1738, 1700, 1680, 1480, 1292, 1238, 1130, 803cm-1
NMR(CDCl3, δ) : 1.45(3H, t, J=6.8Hz), 1.64(13H, d, J=6.8Hz), 2.28(3H, s), 2.60(3H, s), 4.46(2H, q, J=6.8Hz), 5.46(1H, q, J=6.8Hz), 7.86(1H, d, J=9.2Hz), 8.53(1H, dd, J=9.2 and 2.2Hz), 8.54(1H, s), 8.72(1H, s), 8.94(1H, d), 8.99(1H, s)
[실시예 32]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2-하이드록시프로피오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 [1, 2-a]이소퀴놀린 카복실산
mp. >300℃
IR(Nujol) : 3300, 1710, 1692, 1493, 1340, 806cm-1
NMR(DMSO-d6, δ) : 1.39(3H, d, J=7.4Hz), 3.50(1H, m), 4.27(1H, m), 7.8-8.7(4H, m), 8.97(1H, s), 9.56((1H, brs), 10.25(1H, brs)
Mass : 341(M+)
[실시예 33]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0-(3, 3-디메틸부티릴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59-260.5℃
IR(Nujol) : 3340, 1705, 1692, 1676, 1481, 1142, 797cm-1
NMR(DMSO-d6, δ) : 1.08(9H, s), 1.36(3H, t, J=6.8Hz), 2.31(2H, s), 3.30(3H, s), 4.33(2H, q, J=6.8Hz), 7.97(1H, d, J=8.2Hz), 8.26(1H, d, J=8.2 and 2.0Hz), 8.60(1H, s), 8.89(1H, s), 9.31(1H, d, J=2.0Hz), 10.36(1H, s)
[실시예 34]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10-(2, 3-디메틸부티릴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300℃
IR(Nujol) : 3300, 1730, 1686, 1500, 1425, 1143, 860, 807cm-1
Mass : 367(M+), 323, 295, 269, 251, 197, 57
[실시예 35]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8-브로모-11-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56-256.5℃
IR(Nujol) : 1743, 1638, 1295, 1138, 1080cm-1
NMR(DMSO-d6, δ) : 1.33(3H, t, J=7.5Hz), 4.33(2H, q, J=7.5Hz), 7.95(1H, d, J=8.1Hz), 8.10(1H, d, J=9.0Hz), 8.52(1H, d, J=9.0Hz), 8.79(1H, s), 9.04(1H, d, J=8.1Hz)
Mass : 393(M++2), 392, 391(M+), 348, 319
[실시예 36]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2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8-브로모-11-니트로-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 287-289℃
IR(Nujol) : 1727, 1642, 1085, 813, 785cm-1
NMR(DMSO-d6, δ) : 7.86(1H, d, J=8.0Hz), 8.00(1H, d, J=8.0Hz), 8.43(1H, d, J=8.0Hz), 8.68(1H, s), 8.93(1H, d, J=8.0Hz), 10.50(1H, brs)
[실시예 37]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에틸 11-아미노-8-브로모-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78-280℃
IR(Nujol) : 3380, 1720, 1586, 1310, 1280, 830cm-1
Mass : 363(M++2), 361(M+)
[실시예 38]
초산(25㎖)와 36% 염산(5㎖)의 혼합물중의 메틸 11-아미노-8-브로모-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500㎎)의 현탁액을 80℃에서 3시간 가열한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로 희석한다. 얻어진 침전된 고체를 수집하고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30㎖)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중조수용액(15㎖)에 가한다 결과로 얻어진 침전을 수집하고 다음에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130㎖)에 용해한다. 용액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한다. 얻어진 여액을 초산으로 산성화하여 11-아미노-8-브로모-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180㎎)을 얻는다.
mp. 283-284℃
IR(Nujol) : 3400, 1730, 1638, 1200, 800, 780cm+
NMR(DMSO-d6δ) : 3.30(2H, brs), 6.92(1H, d, J=9.4Hz), 7.57(1H, d, J=8.0Hz), 7.78(1H, d, J=9.4Hz), 8.55(1H, brs), 8.67(1H, d, J=8.0Hz), 8.92(1H, s)
Mass : 335(M++2), 333(M+)
[실시예 39]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벙으로 얻는다
에틸 8-브로모-11-(2, 3-디메틸아미노펜타노일)-4-옥소-4H-피리미도 [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NMR(DMSO-d6, δ) : 0.5-2.0(16H, m), 4.34(2H, q, J=7.0Hz), 7.74(1H, d, J=8.0Hz), 8.15(1H, d, J=9.4Hz), 8.83(1H, d, J=9.4Hz), 8.89(1H, s), 8.92(1H, d, J=8.0Hz)
Mass : 475(M++2), 474, 473(M+), 390, 388
[실시예 40]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8-브로모-11-(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 238-239℃
IR(Nujol) : 1740, 1660, 1480, 1197, 805, 780cm-1
Mass : 447(M++2), 445(M+)
[실시예 41]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455mg), 트리에틸아민(0.174㎖)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 (70㎖)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교반하며, 여기에 불활성 대기중 0℃에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0.12㎖)를 천천히 가한다. 2시간 교반후, 이 반응혼합물에 무수 디클로로메탄 (10㎖)중의 2-(4-디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틸아민(359㎎)의 용액을 5℃에서 적가한다. 실온에서 12시간 계속하여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클로로포름-메타놀을 사용한 실리카겔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용출액을 진공 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테르로 재결정시켜서 N-[2-(4-디페닐메틸피페라진-1-일)에틸]-7-메틸-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 -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59g)을 얻는다.
mp. 226-230℃
IR(Nujol) : 3370, 1660, 1480, 1290, 1148, 1005, 800cm-1
NMR(CDCl3, δ) : 0.5-2.1(13H, m), 2.1-2.9(5H, m), 3.1(2H, m), 4.25(1H, s), 7.0-7.6(10H, m), 7.81(1H, d, J=9.4Hz), 8.64(1H, s), 8.77(1H, dd, J=9.4 and2.4Hz), 9.03(1H, d, J=2.4Hz), 9.17(1H, s), 9.50(1H, m), 9.70(1H, s)
Mass : 658(M+), 436, 364, 265, 167
[실시예 42]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250mg)과 티오닐 클로라이드(4㎖)의 혼합물을 10℃에서 30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진공 증발시켜서 산클로라이드를 얻는다. 산클로라이드, 피리딘(0.1㎖)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60㎖)의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이 혼합물에 무수 디클로로메탄중의 N-(2-하이드록시에틸) 니코틴아마이드(108㎎)의 용액을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한다.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메타놀로 희석한 후 물 및 염수로 차례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 증류시킨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클로로포름-메타놀을 사용한 실리카겔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용출액을 진공농축시켜서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테르로 재결정시켜서 2-(니코틴아미도)에틸 7-메틸-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0.26g)을 얻는다.
mp. 204-210℃
IR(Nujol) : 3250, 1730, 1650, 1630, 1226, 1120, 1060, 800cm-1
NMR(DMSO-d6, δ) : 0.5-2.0(13H, m), 3.27(3H, s), 3.70(2H, m), 4.42(2H, m), 7.3-9.4(10H, m), 10.32(1H, s)
[실시예 43]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4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2-(니코틴아미도)에틸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메틸-4-옥소 -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00-207℃
IR(Nujol) : 3450, 3230, 1735, 1660, 1280, 1142, 1115, 850, 810cm-1
NMR(CDCl3, δ) : 1.6-2.7(13H, m), 3.90(2H, m), 4.45(2H, m), 7.0-9.3(12H, m)
[실시예 44]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42와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2-(니코틴아미도)에틸 10-피발로일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 [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
mp. 205-210℃
IR(Nujol) : 3400, 3300, 1725, 1650, 1290, 1123, 800cm-1
NMR(CDCl3δ) : 1.43(9H, s), 2.45(3H, s), 3.95(2H, m), 4.50(2H, m), 7.1-9.4(11H, m)
[실시예 45]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200㎖)중의 N-니코틴노일-β-알라닌(g)과 트리에틸아민(1.6㎖)의 혼합물에 빙욕온도에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1.1㎖)를 가한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여기에 에틸 10-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 [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3g)을 가한다. 다음에 반응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가열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진공농축한다. 잔류물을 수집하고, 물, 메타놀로 차례로 세척한 후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로 재결정시켜서 에틸 10-[3-(니코티노일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3.50g)을 얻는다.
mp. 274-278℃
IR(Nujol) : 3340, 3290, 1700, 1672, 1295, 1144, 860, 800cm-1
Mass : 473(M+)
[실시예 46]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얻는다.
10-[3-(니코티노일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7-메틸-4-옥소-4H-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mp. >300℃
IR(Nujol) : 3320, 3160, 3050, 1718, 16801490, 1142, 800cm-1
[실시예 47]
(과립제 또는 미세과립제의 제조)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7-4-옥소-4H
피리미도[2, 1-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500(g)
서 당 9250
하이드록시셀루로즈 200
전 분 50
상기 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 및 과립화하거나 미세과립화하여 과립제 또는 미세과립제로 한다.
[실시예 48]
(캡슐제의 제조)
10-(2, 3-디메틸펜타노일아미노)-4-옥소-4H-
피리미도[2, 3-a]이소퀴놀린-3-카복실산 100(g)
전 분 1987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3
상기 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 10, 000개로 제조한다. 각각의 캡슐은 활성성분 10㎎을 함유한다.

Claims (1)

  1. 다음 구조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가수분해하여,
    Figure kpo00014
    상기식중, R1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 R2는 아미노, 니트로 또는 아실아미노이며, Ra3는 저급알콕시 카보닐기이다. 다음 구조식의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상기식중, R1및 R2는 상기한 바와 같다.
KR1019840007323A 1983-11-23 1984-11-22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2000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712A KR920001673B1 (ko) 1983-11-23 1991-09-25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331228 1983-11-23
GB838331228A GB8331228D0 (en) 1983-11-23 1983-11-23 Pyrimidoisoquinoline derivatives
GB8405776 1984-03-06
GB848405776A GB8405776D0 (en) 1984-03-06 1984-03-06 Pyrimidoisoquinoline derivatives
GB8425791 1984-10-12
GB848425791A GB8425791D0 (en) 1984-10-12 1984-10-12 Pyrimidoisoquinoline derivativ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712A Division KR920001673B1 (ko) 1983-11-23 1991-09-25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538A KR850003538A (ko) 1985-06-20
KR920008168B1 true KR920008168B1 (ko) 1992-09-24

Family

ID=272622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323A KR920008168B1 (ko) 1983-11-23 1984-11-22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10016712A KR920001673B1 (ko) 1983-11-23 1991-09-25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712A KR920001673B1 (ko) 1983-11-23 1991-09-25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673676A (ko)
EP (1) EP0143001B1 (ko)
KR (2) KR920008168B1 (ko)
AR (1) AR243889A1 (ko)
AT (1) ATE62484T1 (ko)
AU (1) AU582554B2 (ko)
CA (1) CA1232605A (ko)
DE (1) DE3484420D1 (ko)
DK (1) DK165789C (ko)
ES (2) ES537928A0 (ko)
FI (1) FI77034C (ko)
GR (1) GR81006B (ko)
HU (1) HU202528B (ko)
IL (1) IL73586A (ko)
NO (1) NO162019C (ko)
PH (1) PH22068A (ko)
SU (1) SU1512482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62019C (no) * 1983-11-23 1989-10-25 Fujisawa Pharmaceutical C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pyrimidoiskinolinderivater.
US4661592A (en) * 1984-06-27 1987-04-28 G. D. Searle & Co. 4H-pyrimido[2,1-a]isoquinolin-4-one derivatives
KR101709141B1 (ko) 2008-01-25 2017-02-22 브이티브이 테라퓨틱스 엘엘씨 TNF-α 합성의 조절자 및 PDE4 억제제로서 3고리 화합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788A (en) * 1970-08-27 1975-04-08 Burroughs Wellcome Co Heterocyclic compounds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of arthritic conditions
US4017625A (en) * 1975-08-01 1977-04-12 Pfizer Inc. Anti-allergic N-(5-tetrazolyl)-1-oxo-1H-6-alkoxypyrimido-[1,2-a]quinoline-2-carboxamid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HU173438B (hu) * 1975-11-27 1979-05-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Sposob poluchenija novykh proizvodnykh 4-okso-1,6,7,8-/tetragidro-4h-pirido/1,2/pirimidina s zaderzhivajuhhejj vozgoranie aktivnot'ju i protivosvertivajuhhem effektom
US4127720A (en) * 1977-09-21 1978-11-28 Bristol-Myers Company Pyrimido[2,1-a]isoquinoline derivatives having antiallergy activity
IE51802B1 (en) * 1979-12-03 1987-04-01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azoline derivatives,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59172472A (ja) * 1983-03-18 1984-09-29 Fujisawa Pharmaceut Co Ltd イソ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塩類、それら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抗アレルギ−剤
JPS59172490A (ja) * 1983-03-18 1984-09-29 Fujisawa Pharmaceut Co Ltd ピリミドイソ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塩類、それら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抗アレルギ−剤
NO162019C (no) * 1983-11-23 1989-10-25 Fujisawa Pharmaceutical C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pyrimidoiskinolinderivater.
US4661592A (en) * 1984-06-27 1987-04-28 G. D. Searle & Co. 4H-pyrimido[2,1-a]isoquinolin-4-o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536184A (da) 1985-05-24
NO162019C (no) 1989-10-25
DE3484420D1 (en) 1991-05-16
AU3540584A (en) 1985-05-30
DK536184D0 (da) 1984-11-09
FI77034B (fi) 1988-09-30
DK165789B (da) 1993-01-18
HUT35674A (en) 1985-07-29
HU202528B (en) 1991-03-28
SU1512482A3 (ru) 1989-09-30
KR920001673B1 (ko) 1992-02-22
AU582554B2 (en) 1989-04-06
FI844406A0 (fi) 1984-11-09
EP0143001B1 (en) 1991-04-10
ATE62484T1 (de) 1991-04-15
ES8602786A1 (es) 1985-12-01
PH22068A (en) 1988-05-20
IL73586A (en) 1988-12-30
IL73586A0 (en) 1985-02-28
FI77034C (fi) 1989-01-10
ES537928A0 (es) 1985-12-01
KR850003538A (ko) 1985-06-20
US4673676A (en) 1987-06-16
CA1232605A (en) 1988-02-09
AR243889A1 (es) 1993-09-30
ES8604220A1 (es) 1986-01-16
EP0143001A3 (en) 1986-03-19
NO162019B (no) 1989-07-17
ES546222A0 (es) 1986-01-16
NO844466L (no) 1985-05-24
DK165789C (da) 1993-06-14
EP0143001A2 (en) 1985-05-29
GR81006B (en) 1985-01-03
FI844406L (fi) 198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3587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anti-inflammatoriska halogenerade 4-hydroxi-2-alkyl-3-karbamoyl-2h-tieno-1,2-tiazin-1,1-dioxidderivat
KR100267802B1 (ko) 치환된티에닐-또는피롤일카르복시산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그를함유하는약제학적조성물
JP3218037B2 (ja) 喘息および呼吸器官の炎症の治療に有用なヘテロサイクリックアミン類
EP0288973B1 (en) Benzothiazolino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00361199B1 (ko) 피롤로피리다진유도체
NO151320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 pyrrolidylmetyl-2-metoksy-4-amino-5-isopropyl-sulfonylbenzamider
US4880819A (en) 4-aminopyridine derivatives for improving impaired brain function
EP3280711A1 (en) Novel pyridinium compounds
KR920008168B1 (ko)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621088A (en) N-acyl derivatives of amino acids and their esters, and drugs in which they are present
KR900003368B1 (ko) 신규한 인데노티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222771A (ja) 5−置換−6−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組成物および使用
US4965266A (en) Heteroarylcarboxamid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0360566A2 (en) Lipoxygenase/cyclooxygenase inhibiting benzoxazolones
DE60015997T2 (de) Indoloazepine als vasopressin rezeptor antagonisten
US4092322A (en) 1-Benzoxepino[4,3-c]pyridines
RU2762189C2 (ru) Соли и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диазабензофлуорантрен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CA2293565A1 (en) Novel n-benzenesulphonyl-l-pr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 in therapy
EP0145304B1 (en) Tetrahydro-beta-carb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553158B2 (ja) ピリダジノインドール誘導体
US3468889A (en) O-and/or s-nicotinoyl diacylthiamines and acyla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0147887B1 (ko) 4-티오퀴놀린 유도체
JPH0347278B2 (ko)
ITMI931897A1 (it) Derivati 1,3,4- benzotriazepin-5(4h)-one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IE913102A1 (en) Therapeutic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