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887B1 - 4-티오퀴놀린 유도체 - Google Patents

4-티오퀴놀린 유도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887B1
KR0147887B1 KR1019940022748A KR19940022748A KR0147887B1 KR 0147887 B1 KR0147887 B1 KR 0147887B1 KR 1019940022748 A KR1019940022748 A KR 1019940022748A KR 19940022748 A KR19940022748 A KR 19940022748A KR 0147887 B1 KR0147887 B1 KR 014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lkoxy
alkyl
phen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628A (ko
Inventor
박영준
서귀현
김영훈
강대필
김영희
윤희선
Original Assignee
김종인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101994002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887B1/ko
Publication of KR96001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6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18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티오퀴놀린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으로 위산분비에 관련된 각종 소화성 궤양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신규한 4-티오퀴놀린 유도체는 일반식I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일반식 I에서 R1은 수소원자, C1-6알킬, C1-6알콕시, C3-C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C1-C4알킬아민기, 페닐아민기, 페닐, C1-6알킬페닐이며 페닐기는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알킬아민, C1-6알킬티오중 선택된 1-3개를 포함하는 페닐유도체이며; R2는 수소원자,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N, S 또는 O중 서로 같거나 다른 원자가 1개이상 포함되어 있음), 페닐, 타프틸, C1-6알킬페닐이며 앞에 예시된 고리화합물들은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저급알킬아민, C1-6알킬티오, 할로겐, 시아노, 카바모일, 카르복실, C1-6알칸노일,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중 1-3개의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유도체이며; R3와 R4는 C1-6알킬페닐, C1-6알콕시, C1-6알킬티오, C1-6알칸노일, 아미노, C1-6알킬아미노중에서 선택한 1-3개의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n은 0, 1, 2이다.

Description

4-티오퀴놀린 유도체
본 발명의 신규한 4-티오퀴놀린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화합물은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일반식 I에서 R1은 수소원자, C1-6알킬, C1-6알콕시, C3-C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C1-C4알킬아민기, 페닐아민기, 페닐, C1-6알킬페닐이며 페닐기는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저급알킬아민, C1-6알킬티오, 카바모일 중 선택된 1-3개를 포함하는 페닐유도체이다.
R2는 수소원자,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N, S 또는 O중 서로 같거나 다른 원자가 1개이상 포함될 수 있음), 페닐, 나프틸, C1-6알킬페닐이며 앞서 예시된 고리화합물들은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알킬아민, C1-6알킬티오, 할로겐, 시나오, 카바모일, 카르복실, C1-6알칸노일,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중 1-3개의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유도체이다.
R3와 R4는 C1-6알킬페닐, C1-6알콕시, C1-6알킬티오, C1-6알칸노일, 아미노, C1-6알킬아미노중에서 선택한 1-3개의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n은 0, 1, 2이다.
R1은 C1-6알킬과 C1-6알콕시이며 이중 가장 적당한 것으로는 n-프로필과 에톡시기를 들 수 있다.
R2은 하나 이상의 치환체가 치환된 고리화합물로 페닐그룹 또는 헤테로고리화합물이며 가장 적당한 것은 2-위치가 아미노, C1-4알킬아미노,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 그룹에 의하여 치환된 페닐그룹으로 치환체의 예를 들면 메틸, 메톡시, 아미노이다.
R3치환체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콕시중에서 메톡시 그리고 C1-6알킬중에서는 메틸기이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적당한 유기 또는 무기산에 의하여 염의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숙신산, 메탈설폰산, 말레인산, 시트릭산, 말론산, 글루콘산, 프말산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염산과 시트릭산이 가장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위장의 염증질환은 균체독소, H-파이로리와 같은 병원성 세균 및 미생물, 인도메탄신과 같은 항염성 약물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유독성 화학물질등이 원인체로 작용하여 염증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필요이상 분비된 위산 자체가 가장 중요한 발명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위산분비의 효과적인 억제가 위궤양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여 라니티딘으로 대표되는 히스타민 길항제(참고문헌 : 미국특허 4 128 685)가 임상에 성공적으로 사용중이다. 최근에는 위산분비의 마지막 단계에 작용하는 위산분비효소인 H+/K+-ATP효소에 작용하는 약물로 임상에 사용중이지만, 효소와 비가역적인 결합으로 야기되는 부작용등의 문제점이 있음을 Scand. J. Gastroenterol. 1986, 21, 18.과 Scand. J. Gastroenterol. 1986, 21, 39에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역적으로 효소를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는 퀴놀린 유도체를 연구하여 강력한 위산분비저해 효과 및 항궤양 작용을 가지는 유용한 화합물이다. 퀴놀린 유도체들은 여러 가지 흥미있는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C.A. Leach, R. J. Ife등이 발표한 논문 Joumal of Medicinal Chemistry, Vol 35, 3413(1992)와 Joumal of Medicinal Chemistry, Vol 35, 1845(1992)에 따르면 퀴놀린 유도체드이 위산분비억제 및 궤양치료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는 유럽특허 259174, 330485, 331357, 336544, 339768, 342775호에 명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신규한 4-티오퀴놀린 유도체들이며 이 화합물들은 지금까지 연구 및 발표되지 않았으며 강력한 H+/K+-ATP효소 저해효과와 위산분비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신규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제조반응식 1에서 처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의 R1,R2, R3, R4및 n은 진술한 바와 같으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적당한 용매에서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아래 용매와 반응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의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콜용매를 사용하거나 아세톤, 에틸메틸케톤, 프로피오니트릴,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4-디옥산, 테트라 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 반응조건은 무기염기 또는 유기염기를 1.0당량에서 1,5당량을 사용하고 상온내지 용매의 비등점온도에서 5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환류할 수 있으며 가장 적당한 염기로는 1,8-디아자비사이클로[5, 4, 0]운데크-7-엔이며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클로로메탄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얻었다.
일반식 I에서 n=1의 화합물은 3-클로로페벤조산 및 여러 산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반응의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등의 유기용매 및 이들의 수용액과의 혼합용매로 가능하다.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양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에 의하여 염의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숙신산, 메탄설폰산, 말레인산, 시트릭산, 말론산, 글루콘산, 프말산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 반응조건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 적당한 용매에서 용해시키고 적당한 산을 에탈올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적가하여 이의 산부가염을 만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염산과 시트릭산이 가장 적당하다.
화합물 II는 하기 제조반응식 2에 의하여 제조할수 있다.
일반식 II의 제조방법은 두가지 경로로 제조할 수 있다. 경로1은 용매 및 시약으로 POCl3를 사용하여 1시간 내지 5시간동안 가열환류하여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경로1에서는 R1이 알콕시 치환체 일 때 반응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경로 2에서 3-아실퀴놀론 및 4-클로로-3-아실-퀴놀린 유도체는 공지의 방법 (참고문헌 :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 35, 3413-3422 및 미국특허 4806549호 및 4806550호)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화합물들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로 1]
[참고실시예 1. 에틸4-클로로-8 메톡시-3-퀴놀린-카복실레이트]
POCl3(150ml)에 에틸 2-에톡시카보닐-3-(2-메톡시페닐아미노)아크릴레이트(29g)을 가하여 용해하고 1시간동안 교반환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과량의 POCl3은 감압농축하여 제거하고 잔유물을 얼음물에 조심스럽게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 및 건조시킨후 감압농축한다. 관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분리정제하여 목적화합물21g(수율 : 72%)을 얻었다.
[경로 2]
[참고실시예 2. 에틸2-부티릴-3-에톡시아크릴레이드]
에틸 부티릴아세테이트 (79.0ml, 0.5mol)와 트리에틸오르토포름에이트(166.3ml, 1.0mol)에 아세트산(47.2ml, 0.5mol)을 가하고 2시간동안 가열환류후 감압농축한다. 정량적으로 수득된 노란색 액체화합물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직접이용하였다.
[참고실시예 3. 에틸2-부티릴-3-[(2-메톡시페닐)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2-부티릴-3-에톡시아크릴레이트에 O-아닐린(56.4ml, 0.5mol)을 가하고 물중탕에서 2시간 교반후 반응이 완결되면 0℃ 석유에테르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108.4g(수율 : 75%)을 얻었다.
[참고실시예4. 3-부티릴-4(1H)-8-메톡시 퀴놀론]
디페닐 에테르(300ml)을 교반환류하면서 에틸2-부티릴-3-[(2-메톡시페닐)아미노]아크릴레이트(108.4g, 0.37mol)을 소량씩 가하고 1시간 교반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되면 빠르게 교반하는 석유에테르에 가한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에틸에테르로 세척 및 건조하여 목적화합물63.8g(수율 : 70%)을 얻었다.
[참고실시예5. 3-부티릴-4-클로로-8-메톡시퀴놀린]
POCl3(76ml)에 3-부티릴-4(1H)-8-메톡시 퀴놀론(20.2g, 81.5mmol)을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되면 과량의 POCl3을 감압농축하여 제거한다. 잔유물을 얼음물에 천천히 적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추출 및 건조시킨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16.8g(수율 : 78%)을 얻었다.
상기 경로 1과 2에 의하여 제조된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다음 표1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1]
3-부티릴-4-(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
3-부티릴-4-클로로-8-메톡시퀴놀린(0.53g, 2.00mmol)과 티오페놀(o.24g, 2.20mmol)을 건조시킨 아세트니트릴(10ml)에 용해하고 0℃에서 1,8-디아자바사이클로[5, 4, 0]운데-7-켄(0.34g, 2.24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15분 교반한다. 반응 종료 후 감압농축하고 잔유물을 클로로포름(20ml)을 가하여 용해하고 증류수로 세척후 건조 및 감압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0.56g(수율 : 88%)의 목저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3-부티릴-4-(페닐)설핀닐-8-메톡시퀴놀린
3-부티릴-4-(페닐)티오-8-메톡시 퀴놀린(0.32g, 1.0m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가하고 -30℃에서 70-75% 3-클로로퍼벤조산(0.17g, 10mmol)을 가하고 30분간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료되면 감압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0.13g(수율 : 40%)의 목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3-부티릴-4-(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 염산염.
3-부티릴-4-(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1.00g, 3.15mmol)을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포화염산 에탄올 용액 2ml가하고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0.66g(수율 : 60%)의 목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3-메톡시카보닐-4-(2-피리딘닐)티오-8-메톡시퀴놀린
4-클로로-3-메톡시마보닐 -8-메톡시퀴놀린(1.00g, 3.76mmol), 2-머캅토피리딘(0.50g, 4.52mmol)과 탄산칼륨(0.78g, 5.65mmol)을 메탄올(20ml)에 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유물에 클로로포름(30ml)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증류수(20ml x 2)와 포화중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한 다음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0.51g(수율 : 41%)의 목적물을 수득하였다.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실시예 1에서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실시예 5에서 실시예 53까지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의 종류와 물리적 성질은 표2에 나타내었으며, NMR스펙트럼은 표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4]
H+/K+-ATP효소저해 효과
포르테(Forete)등의 방법[J. Applied Physiol, 32, 714-717(1972)]에 따라 토끼 위점막의 위산분비세포를 분리하고, 이 세포를 불연속 밀도구배의 피콜(Ficoll)내에서 원심분리하여 H+/K+-ATP효소를 포함하는 소포를 제조한다. 이 효소를 각 시험화합물 2 x 10-4M 및 이미다졸 완충물(pH6)5mM을 포함하는 용액 0.5ml내에서 실온에서 25분간 배양한 후, 이 혼합물을 37℃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5분간 정치시킨다. 영화마그네슘 4mM, 이미다졸 완충물(pH 7.4)80mM, 염화칼륨 20mM 및 ATP4mM을 함유하는 용액 0.5ml를 혼합물에 첨가한다. 결과 생성된 혼합물 37℃에서 15분간 가열하고 삼염화초산 25% 용액 1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다. 분리된 무기인은 Fiske & Subbarow법 [J. Biol. Chem. 66, 375-440(1925)]에 따라 측정하여 효소활성도를 계산하였다. 본 발명화합물 및 그의 염은 H+/K+-ATP효소에 대하여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므로 위산분비에 관련된 각종 소화성 궤양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발명화합물의 시험관내 효소저해 효과에 대한 결과는 비참사의 SKF-96067을 대조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이 화합물에 대한 상대값으로 표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5]
Shays rat model을 이용한 위산분비 억제효과
Sprague Dawley계 웅성 흰쥐(180-250g)를 24시간 물만 공급하고 절식시킨후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복강을 절개하여 유문부(pylorus)결찰하고 시험물질은 30% polyethylene glycol(PEG)400 수용액에 현탁 또는 용해시켜 25mg/kg의 용량으로 십이지장에 주사하였다. 다시 복강을 Auto clip으로 재봉합한 뒤 5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경추 탈골법으로 치사시켜 위를 적출하여 위액을 수거하였다. 이 위액을 10,000 rpm으로 10분간 4℃에서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뒤 위액의 양(Volume)과 pH를 측정하고 자동화확분석기를 이용하여 산도(acidity=μEq H /ml)를 pH 7.0당량점 순도방법을 이용, 적정해서 전체 산분비율(μEq H /ml x total volume of secteted gastric juice)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위 표4에 나타내었다.

Claims (5)

  1. 다음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상기 일반식 I에서 R1은 수소원자, C1-6알킬, C1-6알콕시, C3-C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C1-C4알킬아민기, 페닐아민기, 페닐, C1-6알킬페닐이며 페닐기는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알킬아민, C1-6알킬티오중 선택된 1-3개를 포함하는 페닐유도체이며; R2는 수소원자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C3-6헤테로고리화합물 (N, S 또는 O중 서로 같거나 다른 원자가 1개이상 포함되어 있음), 페닐, 나프틸, C1-6알킬페닐이며 앞에 예시된 고리화합물들은 C1-6알킬,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미노, C1-4저급알킬아민, C1-6알킬티오, 할로겐, 시아노, 카바모일, 카르복실, C1-6알칸노일,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중 1-3개의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유도체이며; R3와 R4는 C1-6알킬페닐, C1-6알콕시, C1-6알킬티오, C1-6알칸노일, 아미노, C1-6알킬아미노중에서 선택한 1-3개의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n은 0, 1, 2이다.
  2. 제1항에서 R1은 수소원자, 메톡시, 에톡시, 메틸, 에칠 및 프로필 중 하나이며 이중 가장 적당한 것으로는 n-프로필과 에톡시기이며; R2은 하나 이상의 치환체가 치환된 고리화합물로 페닐 또는 헤테로고리화합물이며 가장 적당한 것은 R2가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 그룹에 의하여 치환된 페닐그룹으로 치환체의 예를 들면 메틸, 메톡시, 아미노 및 브롬원자이며; R3치환체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콕시중에서 메톡시, C1-6알킬중에서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2항에서 3-브티릴-4-(2-아미노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 3-에톡시-4-(2-아미노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 3-메틸-4-(2-아미노페닐)티오-8-메톡시퀴놀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특징으로 한 화합물.
  4.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클로로메탄 용매와 무기염기 또는 유기염기를 1.0당량에서 1.5당량을 사용하고 상온내지 용매의 비등점온도에서 5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환류하여 얻을 수 있으며; 적당한 염기로는 1,8-디아자비사이클로[5, 4, 0]운덱-7-엔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일반식 I에서 n=1의 화합물은 3-클로로퍼벤조산 및 여러 산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반응의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등의 유기용매 및 이들의 수용액과의 혼합용매로 가능하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산의 예로; 염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숙신산, 메탄설폰산, 말레인산, 시트릭산, 말론산, 글루콘산, 프말산)에 의하여 염의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이 반응조건은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등 적당한 용매에서 용해시키고 적당한 산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적가하여 이의 산부가염을 만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 염산과 시트릭산에 의하여 부가된 염화합물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KR1019940022748A 1994-09-09 1994-09-09 4-티오퀴놀린 유도체 KR014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748A KR0147887B1 (ko) 1994-09-09 1994-09-09 4-티오퀴놀린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748A KR0147887B1 (ko) 1994-09-09 1994-09-09 4-티오퀴놀린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28A KR960010628A (ko) 1996-04-20
KR0147887B1 true KR0147887B1 (ko) 1998-08-17

Family

ID=1939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748A KR0147887B1 (ko) 1994-09-09 1994-09-09 4-티오퀴놀린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8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28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802B1 (ko) 치환된티에닐-또는피롤일카르복시산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그를함유하는약제학적조성물
KR102417830B1 (ko) 1-(5-(2,4-다이플루오로페닐)-1-((3-플루오로페닐)술포닐)-4-메톡시-1h-피롤-3-일)-n-메틸메탄아민의 신규한 산부가염
EP241270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yrone and pyridone derivatives
CZ20003981A3 (cs) Imidazopyridinové deriváty inhibující sekreci žaludeční kyseliny
UA43841C2 (uk) Імідазопіридини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на їх основі
CN111132984A (zh) 凋亡信号调节激酶1抑制剂的盐及其晶型
CZ458390A3 (en) Diamides of pyrimidine-4,6-dicarboxylic acid,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medicaments based thereon
DE3035086C2 (ko)
JP4564713B2 (ja) 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ならびに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中間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CA1240332A (en) Py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285454B1 (ko) 비스테로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정제
JPH07278148A (ja) イミダゾピラゾール誘導体
KR0147887B1 (ko) 4-티오퀴놀린 유도체
JPS6222771A (ja) 5−置換−6−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組成物および使用
NO160367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pyrazolopyridiner.
JPH07252260A (ja) 新規チエノチア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900004694B1 (ko) 신규 α-아릴-α-피리딜 알카노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N117479934A (zh) 用于治疗肾纤维化的噁二唑基二氢吡喃并[2,3-b]吡啶的HIPK2抑制剂
EA029788B1 (ru) Новая соль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ислоты 1-(5-(2,4-дифторфенил)-1-((3-фторфенил)сульфонил)-4-метокси-1h-пиррол-3-ил)-n-метилметанамина
KR920001673B1 (ko) 피리미도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NO174928B (no) Analogi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enoletere av 6-klor-4-hydroksy-2-metyl-N-(2-pyridyl)-2H-tieno(2,3-e)-1,2-tiazin-3-karboksylsyreamid-1,1-dioksyd
RU2068415C1 (ru) 5,7-диокси-2-метил-8-/4-(3-окси-1-(1-пропил)пиперидинил/-4н-1-бензопиран-4-он или его стереоизомеры или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кислотно-аддитивные соли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WO2022022678A1 (zh) 一种吡嗪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I6071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6-(m(6-halogennikotinoylamino)fenyl)-eller 6-(m-(6-halogenisonikotinoylamino)fenyl)-2,3,5,6-tetrahydroimidazo-(2,1-b)tiazol anvaendbar som maskmedel
CS203934B2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derivatives of 1,3 thiazino/ /3,4-b/isoquino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