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08B1 - 커트지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커트지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08B1
KR920008008B1 KR1019880002159A KR880002159A KR920008008B1 KR 920008008 B1 KR920008008 B1 KR 920008008B1 KR 1019880002159 A KR1019880002159 A KR 1019880002159A KR 880002159 A KR880002159 A KR 880002159A KR 920008008 B1 KR920008008 B1 KR 92000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heet
shaft
drive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909A (ko
Inventor
다다시 야스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샤
요꼬야마 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샤, 요꼬야마 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세이꼬샤
Publication of KR88001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트지 급지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2도는 구동륜 열을 도시한 개략적 확대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5 : 수납 케이스 6 : 가역 구동모터
7, 8 : 구동륜 열
72, 74, 83, 85 :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치차
76, 77, 86, 87 : 커트리지의 송출수단
76, 86 : 송출 로울러 77, 87 : 픽업 로울러
9 : 커트지 카트릿지 10 : 커트지
본 발명은 인자 장치등에 있어서, 커트지를 인자하는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커트지의 급지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원은 예를들면, 플라텐 구동용의 모터를 공통의 구동원으로 하고 있고, 이로 인해 급지장치에 이르는 구동륜 열의 도중에 전자 클러치가 전자 솔레노이드 또는 복잡한 기계식 클러치등에 의한 절환수단을 개재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이 급지장치에 이르는 구동륜 열중에 전자 클러치등의 절환수단을 개재시키는 것은 설계가 대단히 어렵고, 번잡하게 되는 등등 각종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복수의 급지장치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커트지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커트지의 카트릿지가 각각 장착가능한 두군데의 수납 케이스와 커트진 이송전용의 가역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각 카트릿지내의 커트지를 이송하기 위한 2계통의 구동륜 열과, 각 구동륜 열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커트지의 송출수단과, 각 구동륜 열을 거쳐 각 송출수단에 이르는 도중에 개재하여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출수단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인자장치의 외장 케이스(1)내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측판중의 좌측측판(3)의 내면을 도시하고, 2개의 커트지 카트릿지(9)를 각각 장착가능케 하는 두군데의 수납 케이스(4),(5)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4),(5)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4),(5)의 개구부(4a),(5a)는 인자 장치의 정면측 즉, 제1도 좌측을 향해 상하 2단으로 개구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4)는 측판(3)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납 케이스(5)는 후술하는 착탈수단에 의해 측판(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있다.
제2도는 급지장치의 구동륜 열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모터(6)는 커트지 이송전용 모터이며, 정역 회전이 가능한 가역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구동모터(6)에 연동하여, 2계통의 구동륜 열(7 및 8)이 배치되어 있다. 즉, 모터(6)의 피니언(61)에는 구동륜 열(7)측의 치차(71,72,73,74)가 순차적으로 맞물려 있다. 치차(72 및 74)의 축(72a 및 74a)에는 커트지의 송출수단인 송출 로울러(76) 및 픽업 로울러(77)가 고착되어 있다. 치차(72)와 축(72a)사이 및 치차(74)와 축(74a)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개재되어 있다. 또, 모터(6)의 피니언(61)에는 다른쪽의 구동륜 열(8)측의 치차(81,82,83,84,85)가 순차적으로 맞물려 있다. 치차(85 및 83)의 축(85a 및 83a)에는 커트지의 송출수단인 송출 로울러(86) 및 픽업 로울러(87)가 고착되어 있다. 치차(85)와 축(85a)사이 및 치차(83)와 축(83a)와 축(83a)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개재되어 있다.
이로인해 모터(6)가 시동되어 피니언(6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륜 열(7,8)에 전달되지만 이 회전 방향에서는 치차(72)와 축(72a)사이 및 치차(74)와 축(74a)사이에 개재된 원웨이 클러치다 폐쇄되므로 송출 로울러(76) 및 픽업 로울러(77)에 회전이 전달된다. 그러나 이 회전 방향에서는 치차(85)와 축(85a)사이 및 치차(83)와 축(83a)사이에 개재하는 원웨이 클러치가 개방되므로 송출 로울러(86) 및 픽업 로울러(87)에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니언(6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시에는 용지의 송출수단인 로울러(76 및 77)가 회전하고, 수납 케이스(4)내의 후술하는 카트릿지(9)내의 커트지(p)가 급지된다.
또, 이와반대로 피니언(6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륜 열(7),(8)에 전달되지만 이 회전방향에서는 치차(85)와 축(85a)사이 및 치차(83)와 축(83a)사이에 개재하는 원웨이 클러치가 폐쇄되므로 송출 로울러(86) 및 픽업 로울러(87)에 회전이 전달된다. 그러나 이 회전 방향에서는 치차(72)와 축(72a)사이 및 치차(74) 및 축(74a)사이에 개재하는 원웨이 클러치가 개방되므로 송출 로울러(76) 및 픽업 로울러(77)에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니언(61)의 시계방향의 회전시에는 용지의 송출수단인 로울러(86,87)가 회전하고 수납 케이스(5)내의 후술하는 카트릿지(9)내의 커트지(p)가 급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5)는 착탈자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수납 케이스(5)는 전면이 개구부(5a)인 상자형으로 되어 있고, 지지판(57)에 양측면이 고착되어 유니트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57)의 외면에 상기한 치차(82 내지 85)가 피봇되어 있고, 지지판(57)의 내면에 상기한 로울러(86)(87)가 위치하고 있다. 지지판(57)의 후단부에 형성된 凹부(57a)에 치차(81)의 축(81a)이 계지되고, 지지판(57)의 진입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수납 케이스(5)의 후면측에 용지 송출통로(5b)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5)의 후면에는 격리 레버(51)가 축(52)에 의해 요동자재로 또 픽업 로울러(87)와 대접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격리레버(51)의 상면에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의 탄성부재(53)와, 플라스틱제의 안내부재(51a)가 상기한 픽업 로울러(87)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57)의 외면에는 로크레버(55)가 축(56)에 요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로크레버(55)의 후단부에는 후크(55a)가 설치되어 있고, 축(81a)에 계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레버(55)의 전단부에는 조작부(55b)가 설치되어 있고, 수납 케이스(5)를 지지판(57)과 함께 떼어낼때는 이 조작부(55b)를 누르는데 의해 후크(55a)와 축(81a)의 계지를 벗길 수 있도록되어 있다. 로크레버(55)에는 스프링(58)이 걸려 있고, 항상 후크(55a)를 축(81a)에 계지하도록 스프링력이 가해지고 있다.
수납 케이스의 후단면에도 상기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격리 레버(41)가 축(42)에 요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격리 레버(41)의 상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43) 및 안내부재(41a)가 접착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5)를 벗겨내었을 때는 기록지를 손으로 끼워넣기 위한 입구로 된다. 축(20)에는 로울러(24)를 설치하여 수납 케이스(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이것을 지지하는 작용도 하고 있다.
다음에 커트지 카트릿지(9)에 대해 설명한다. 이 카트릿지는 수납 케이스(4 및 5)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카트릿지(9)는 상면 개구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고 후단측의 저면에 구멍(9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9a)을 덮는 호퍼플레이트(91)는 그 전단변에서 축(92)에 의해 요동자재이고 또 전후방향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카트릿지(9)의 후면에는 상기한 격리 레버(41),(51)를 요동시키는 돌기(93)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기는 수납 케이스(4),(5)의 창(4c),(5c)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격리 레버(41)(51)를 요동시킨다. 카트릿지(9)의 측면에는 후단부측에 상하방향의 가이드 구멍(9b)과 전단부측에 전후방향의 가이드구멍(9c)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릿지(9)의 외측면에는 누름 레버(94)가 축(95)에 의해 요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누름레버(94)의 후단부에는 호퍼플레이트(91)의 하방 위치에서 가이드 구멍(9b)내를 상하로 요동자재로, 가이드핀(9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구멍(9c)내에 가이드핀(97)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자재로 또 탈출불능으로 설치되어 있고, 눌름레버(94)의 전단부와 가이드핀(97)사이에는 스프링(98)이 걸려 있다. 이로 인해 누름레버(94)에는 가이드핀(96)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가이드핀(96)은 호퍼플레이트(91)의 하면에 탄성 접촉상태로 되어 있다.
카트릿지(9)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타크릿지(9)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각이드핀(97)은 가이드 구멍(9c)의 후단부로 이동되어 있고, 스프링(98)의 인장력은 작아지게 되어 있다. 이때문에 카트릿지(9)내에 커트지(p)를 상면의 개구로부터 삽입하면 커트지(p)의 무게에 의해 호퍼플레이트(91)가 하강한 상태로 되어 용지가 수납된다. 카트릿지(9)를 수납 케이스(4,5)에 삽입하면 가이드핀(97)이 측판(3) 또는 외장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는 계지부(a)에 의해 그 이상의 진입이 저지되고, 카트릿지(9)를 더우기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함에 따라 스프링(98)이 인장되어 그 인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때문에 누름레버(94)가 요동하고, 가이드핀(96)이 상승하며, 호퍼플레이트(91)가 요동하며 커트지(p)가 송출 로울러(76)(86)에 탄성접촉한 상태로 된다.
또, (4b)는 수납 케이스(4)로부터 송출되는 커트지의 통로이고, 수납 케이스(5)의 통로(5b) 또는 수동급지에 의한 커트지의 통로(15) 및 연속지의 통로(16)가 합류하는 통로(17)를 통해 플라텐(18)과 인자헤드(19)사이의 인자부에 이어진다.
수납 케이스(4 및 5)에 수납된 카트릿지(9)로부터 카트릿지(p)를 송출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수납 케이스(4)내의 카트릿지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모터(6)를 구동하여 피니언(61)을 제2도 반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회전에는 송출 로울러(76) 및 픽업 로울러(77)만이 연동회전한다. 송출 로울러(76)의 회전에 의해 카트릿지(9)내의 커트지(p)의 상부에 위치하는 2,3매가 송출되고, 그 최상부의 1매가 픽업 로울러(77)에 의해 송출된다. 더우기, 수납 케이스(5)내의 카트릿지(9)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모터(6)를 구동하여 피니언(61)을 제2도 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회전에는 송출 로울러(86) 및 픽업 로울러(87)만이 연동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출 로울러(86)의 회전에 의해 카트릿지(9)내의 커트지(p)의 상부에 위치하는 2,3매가 송출되어 픽업 로울러(87)에 의해 최상부의 1매가 송출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트지 이송전용 가역 구동모터를 사용하므로 전자클러치등의 절환수단이 불필요하여 설계가 용이해지며 구성이 간단해진다. 1개의 구동모터에 연동하는 2계통의 구동륜 열을 거쳐 두군데의 커트지 송출수단에 이르는 각각의 도중에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두군데의 송출수단이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커트지의 송출동작을 별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커트지의 카트릿지를 각각 장착가능한 두군데의 수납 케이스와, 커트지 이송전용의 가역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동하여 상기 각 카트릿지내의 커트지를 이송하기 위한 2계통의 구동륜 열과, 상기 각 구동륜 열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커트지 송출수단과, 상기 각 구동륜 열을 거쳐 상기 각 송출수단에 이르는 도중에 개재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송출수단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지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의 한쪽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지 급지장치.
KR1019880002159A 1987-03-02 1988-03-02 커트지 급지장치 KR92000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7061 1987-03-02
JP62047061A JPS63212633A (ja) 1987-03-02 1987-03-02 カツト紙の給紙装置
JP47061 1987-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09A KR880010909A (ko) 1988-10-25
KR920008008B1 true KR920008008B1 (ko) 1992-09-21

Family

ID=1276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159A KR920008008B1 (ko) 1987-03-02 1988-03-02 커트지 급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S63212633A (ko)
KR (1) KR920008008B1 (ko)
GB (1) GB2202208B (ko)
HK (1) HK8493A (ko)
SG (1) SG1158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2736U (ko) * 1987-04-10 1988-10-24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557A (en) * 1978-05-16 1980-09-16 Wang Laboratories, Inc. Printer feeding and st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2208B (en) 1990-11-07
JPS63212633A (ja) 1988-09-05
GB2202208A (en) 1988-09-21
GB8804828D0 (en) 1988-03-30
SG115892G (en) 1993-01-29
HK8493A (en) 1993-02-12
KR880010909A (ko) 198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5344Y2 (ko)
US4986525A (en) Sheet feed device for use in a printer or the like
JP2567236B2 (ja) 記録紙正逆送り装置
KR920008008B1 (ko) 커트지 급지장치
US5009532A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different lengths of recording media for use with a printer
JPH0125713B2 (ko)
JPH0462552B2 (ko)
JPH05124276A (ja) 印字装置
JPH0616766Y2 (ja) プリンタトップカバー
JPS6015472B2 (ja) 用紙給送装置
JPH06179273A (ja) 印字装置
JP2646534B2 (ja) 記録装置
JPH0646688Y2 (ja) 印字装置
JPS62164551A (ja) ライン熱転写プリンタ
JP2649593B2 (ja) 自動給紙装置
JP3747727B2 (ja) 記録装置
EP0446840B1 (en) Automatic paper feed apparatus
JP4154846B2 (ja) 記録装置
JPH06336064A (ja) プリンタの用紙搬送機構および用紙搬送制御方法
KR900007004Y1 (ko) 프린터용 급지장치
JPH11170682A (ja) 印刷装置
JP2779820B2 (ja) プリンタ
JPS63282040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1076724A (ja) プリンタ
JPS61169266A (ja) 印字機の排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