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019Y1 - 회동부재 취부기구 - Google Patents

회동부재 취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019Y1
KR920007019Y1 KR2019900010106U KR900010106U KR920007019Y1 KR 920007019 Y1 KR920007019 Y1 KR 920007019Y1 KR 2019900010106 U KR2019900010106 U KR 2019900010106U KR 900010106 U KR900010106 U KR 900010106U KR 920007019 Y1 KR920007019 Y1 KR 920007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otating member
fixed
fix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320U (ko
Inventor
구니오 기도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끼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끼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10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019Y1/ko
Publication of KR920003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3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동부재 취부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와 동상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 : 기판 2,2' : 회동부재
3,3' : 고정부 4,4' : 연결부
5,5' : 가동부
본 고안은 테이프레코더 등에 적용되는 것이고, 회동부재의 동작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제조를 용이하게한 회동부재 취부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수지재의 회동부재를 기판상에 취부하여 되는 회동 부재 취부기구는 기판상에 돌설한 축에, 회동부재로 돌설한 축구멍을 회동자재로 끼워맞춤에 따라 회동부재를 기판상에 회동자재로 취부하여졌다.
이러한 종래의 회동부재 취구기구에 있어서는, 회동부재를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해 축과 축구멍의 사이에 적당한 틈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름이 가공정도 오차나 온도조건등에 의해 변화함에 따라 축과 축구멍의 끼워맞춤 정도가 너무 느슨하여 덜거덕 거리기도 하고, 혹은 너무 흠이 생기고 회동저항이 증대하여 회동부재가 원할하게 회동할 수 없고, 그 동작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다분히 있었다.
이와같은 축과 축구멍의 가공에 고정도가 요구되며 제조가 곤란하여 생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동부재의 동작정도의 향상과 가공정도의 완화를 꾀하고, 게다가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회동부재 취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의 회동부재를 기판상에 취부하여 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기판상에 고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평면을 쫓아 왕복 회동자재인 가동부로부터 되며, 상기 연결부를 상기 일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윽박부로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기판을 금속제로서 그 일부를 절단한 절곡편과 상기 고정부의 압입고정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상기기판상에 고착하면 좋다.
회동부재는 이것을 기판에 위부하기 위한 고정부와, 가동부에 이 가동부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눠져 있으므로 회동부재의 취부부와 회동부가 서로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동부인 연결부에는 종래와 같은 틈에 의한 덜거덕거림이 전혀 생기지 않으므로 회동부재의 동작정도가 높아진다.
또, 높은 가공정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연결부는 윽박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를 형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한 회동부재 취부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동 도면중 1은 금속판으로 되는 테이프 레코더 기판으로 그 상면에는 회동부재(2)가 취부되어 있다.
이 회동부재(2)는 합성수지로 되는 것으로 기판(1)상에 고착되는 고정부(3)와, 이 고정부(3)의 연결부(4)를 중심으로 일평면(기판(1)의 상면)을 따라 왕복회동자재인 가동부(5)로부터 된다. 고정부(3)는 일측면 평탄면으로 타측면이 좌우방향 대략 중간부에 향함에 따르고 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된 평면 대략 삼각형 헝태를 이루고 있고, 그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는폭의 끼워맞춤구멍(6)이 축방향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5)는 수직방향에 따라 중간벽부(7)와, 이 중간벽부(7)의 좌우방향일단에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일체로 연설된 수직방향에 따라 일반의 레버형태부(8)와 중간벽부(7)의 하단에 이것과 직교함과 동시에 일방의 레버형태부(8)과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일체로 연설된 수평방향에따른 타방의 레버형태부(9)로 부터 된다.
타방의 레버형태부(9)의 선단부 상하에는 수직축(11)에 의해 동축 회전 자재로 풀리(12)와 기어(13)가 장착되어 있다.
기어(13)는 기판(1)에 형성된 개구부(14)를 개재하여 기판(1)의 하방에 연출하여 있다.
풀리(12)에는 무단벨트(15)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 일반의 레버형태부(8)의 선단에는 걸어맞춤 레버형체(16)가 일체로 돌설되고, 이 걸어맞춤 레버형체(16)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재에 걸어맞추고 있다. 또한, 타방의 레버형태부(9)의 상면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부에는 그 긴방향을 쫓아 보강리브(17)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일방의 레버형태부(8)의 선단부의 걸어 맞춤레버형체(16)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재에 걸어맞추어 화살표 A, B방향의 힘을 받으면 이 가동부(5)전체가 연결부(4)를 중심으로 화살표 A, B방향으로 회동하고, 기어(13)가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전달기어에 택일적으로 맞물리거나 혹은 단일의 전달기어에 접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부재(2)로서 출리(12)와 기어(13)를 지지한 지지아암에 적용했으나, 이에 한하게 되지 않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부재로서 핀치롤러아암에 적용하여도 좋다. 즉, 이 제2도의 실시예는 회동부재(2')의, 고정부(3')를 세로길이 수직벽부(18)와, 이 수직벽부(18)의 일측면의 상하방향대략 중간부에 일체로 돌설된 수평벽부(19)로 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 회동부재(2')의 가동부(5')를 수직방향을 따른 측벽부(20)와 이 측벽부(20)의 상하단부에 이것과 직교하는 바와같은 일측방향을 향하여 일체로 연설된 상하벽부(21,22)와, 측벽부(20)의 일단부와 상하벽부(21, 22)의 일단부에 걸쳐 일체 형성된 단벽부(23)로 부터 된다. 이 단벽부(23)는 그 좌우방향 대략 중간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륵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되어있다.
이 단벽부(23)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부가 상기 실시예와 같은 연결부(4')를 개재하여 고정부(3')의 수직벽부(18)의 타측면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기판(1)의 소정개소에는 장방형의 끼워넣음구멍(24)이 천설되고, 이 끼워넣음구멍(24)에 고정부(3')의 수직벽부(18)의 하단측을 끼워넣어 수평벽부(19)의 하면을 기판(1)상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수평벽부(19)의 나사삽통구멍(25)을 통하여 나사(26)를 기판(1)의 나사구멍(27)에 나사맞춤하여 조임으로써 고정부(3')가 기판(1)상에 고착된다.
이 고착상태에 있어서는 가동부(5')의 하벽부(22)의 하면은 기판(1)상면보다 이간되어 있다.
가동부(5')의 상하벽부(21, 22)의 타단부 상호간에는 핀치롤러(28)가 회진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28)는 가동부(5')가 연결부(4')를 중심으로 화살표 A, B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캡스턴축(29)에 접리한다.
이 캡스턴축(29)은 기판(1)의 상면에 회전자재로 돌설되어 있다. 캠스턴축(29)의 하단은 기판(1)의 하방으로 연출하고, 그 연출단부에는 풀리부착 플라이횔(30)이 고착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재의 조작에 관련하여 회동부재(2')의 가동부(5')가 연결부(4')를 중심으로 화살표 A,B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펀치롤러(28)가 캡스턴축(29)에 접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부(3')를 테이프레코더 기판(1)상에 나사(26)에 의해 고착했으나, 이에 한가지 않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데이프레코더기판(1)상에 화살표 C, D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설치한 헤드취부기판(31)상에 회동부재(2')의 고정부(3')를 나사(26)및 (26', 26')로 고착하여도 좋다. 고정부(3')에는 헤드받침대(32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받침대(32a)는 헤드취부기판(31)상에 취부한 자기헤드(32)의 하면에 고착된 받침대판(32b)와 함께 헤드취부기판(31)에 나사(26', 26')로 함께 조이게 되어 있다.
33은 헤드취부기판(31)을 정지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34는 가동부(5')를 핀치롤러(28)가 캡스턴축(29)에 압착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압압스프링이다. 또, 35는 헤드취부기판(31)에 설치된 스토퍼이고, 헤드취부기판(31) 이 징지위치측으로 이동하여 핀치롤러(28)가 캡스턴축(29)에서 이간했을매, 가동부(5')가 스토퍼(34)에 당접함에 따라, 압압스프링(34)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가동부(5')의 회동이 저지된다. 또한, 36은 고정부(3')에 일체 형성한 테이프가이도, 37은 자기헤드(32)의 일측에 설치한 테이프 가이드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취부기판(31)이 복귀스프링(33)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때, 도시한 바와같이 핀치롤러(28)가 캡스턴축(29)에 압착하여 있다.
이때 가동부(5')는 스토터(35)에서 이간하여 있으며, 압압스프링(34)의 스프링힘이 핀치압력으로서 핀치롤러(28)와 캡스턴축(29)의 압축부에 작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취부기판(31)이 복귀스프링(33)의 부세력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복귀하면 핀치롤러(28)가 캡스턴축(29)에서 이간하고, 가동부(5')가 압압스프링(34)의 부세력으로, 연결부(4')를 중심으로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35)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헤드취부기판(31)이 복귀스프링(33)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와 역동작을 하여 다시 제3더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의 회동부재를 기판상에 취부하여 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기판상에 고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평면을 따라 왕복회동자재인 가동부로부터 되며, 상기 연결부를 상기 일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육박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회동부재는 이것을 기판에 취부하기 위한 고정부와, 가동부에 이 가동부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눠져 있으므로. 회동부재의 취부부와 회동부가 서로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동부인 연결부에는 종래와 같은 틈에 의한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으므로 회동부재의 동작정도가 높아진다.
또, 높은 가공정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연결부는 육박부로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를 형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한다.
또, 청구항 2에 의하면 금속제의 기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되는 절곡편과 고정부의 압입에 의해 고정부를 기판상에 고착하므로, 고착조작이 원터치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제의 회동부재를 기판상에 취부하여 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기판상에 고착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평면을 따라 왕복회동자재인 가동부로부터 되며, 상기 연결부를 상기 일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육박부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금속재로서 그 일부를 절단한 절곡편과 상기 고정부의 압입고정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상기 기판상에 고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부재 취부기구.
KR2019900010106U 1990-07-10 1990-07-10 회동부재 취부기구 KR920007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106U KR920007019Y1 (ko) 1990-07-10 1990-07-10 회동부재 취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106U KR920007019Y1 (ko) 1990-07-10 1990-07-10 회동부재 취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20U KR920003320U (ko) 1992-02-25
KR920007019Y1 true KR920007019Y1 (ko) 1992-09-28

Family

ID=1930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106U KR920007019Y1 (ko) 1990-07-10 1990-07-10 회동부재 취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0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20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6852A (en) Oldham coupling having grooves with elastic wall portions
KR870001073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절첩 장치
KR920007019Y1 (ko) 회동부재 취부기구
JPH0533542A (ja) アクチユエータ用モータホルダ
US5859485A (en) Bearing structure for stepping motor
WO2020174844A1 (ja) ロボットハンド
JP2505465Y2 (ja) 回動部材取付機構
JPH0632520Y2 (ja) ラックピニオン装置
JP2634413B2 (ja) 部品取付構造
JP4537299B2 (ja) 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機構
KR95000632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레버 가이드장치
JP3194068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装置
JPS6246481Y2 (ko)
JP3327997B2 (ja) ガイドシャフト押圧機構
US5200596A (en) Trip odometer assembly
JP2545108Y2 (ja) レシプロソー
JPH0115236Y2 (ko)
JPH0119465Y2 (ko)
JP2828202B2 (ja) ラッチ受け金具
JP2514434Y2 (ja) コレット装置の回転軸固定構造
JPH0538618U (ja) 移動ステージ
JPH09325257A (ja) レンズ駆動装置
US4306244A (en) Speed recording device
JPS6262485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2156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