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39B1 -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39B1
KR920005339B1 KR1019880001886A KR880001886A KR920005339B1 KR 920005339 B1 KR920005339 B1 KR 920005339B1 KR 1019880001886 A KR1019880001886 A KR 1019880001886A KR 880001886 A KR880001886 A KR 880001886A KR 920005339 B1 KR920005339 B1 KR 92000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thickness
detection
displacement sensor
conve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378A (ko
Inventor
가즈히로 미즈나가
다까시 오노
다까시 하세
Original Assignee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다떼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다떼이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3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4Irregularities, e.g. in orientation or skew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65H2511/524Multiple articles, e.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1Sequence of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1Edges lead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3Edges trailing 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제1도는 지폐 방출기의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두께 검출기의 평면도.
제3도는 두께 검출기의 단면도.
제4도는 지폐의 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5도는 이송되는 지폐와 검출 롤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좌측 및 우측 변위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제7도는 지폐가 이송되는 다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이송 상태가 유효할 때, 좌측 및 우측 변위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한 파장 파형도.
제9도는 메모리 일부를 도시하는 메모리 맵.
제10도는 변위센서 출력신호를 샘플링 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메모리 맵.
제11도는 지폐에 대한 여러가지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2도는 일부가 접혀진 상태일 때, 이송되는 지폐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이송 상태가 유효할 때 좌측 및 우측 변위 센서중의 하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제14도는 두장의 지폐가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이송 상태가 유효할 때 좌측 및 우측 변위 센서중의 하나로부터 출력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제16도의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저장소 3 : 이송 경로
4 : 피드 롤러 5 : 두께 검출기
6 : 플래퍼 16 : 스프링 앵거
18 : 샤프트 20 : 변위센서
22 : 벨트
본 발명은 지폐를 포함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퍼 시트 처리 장치의 예는 페이퍼 시트의 변수(두께, 길이, 스큐의 존재, 만약 스큐가 존재하면 스큐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와 페이퍼 시트의 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페이퍼 시트 수를 방출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는 예를 들어, 예금 지불기나 (ATM)자동 현듬 지급기(CD)와 같은 은행 거래 처리장치에 제공된다. 이런 장치의 특정 예로서 지폐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가 있다.
지폐 방출기는 주어진 수의 지폐를 방출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방출된 지폐가 정확하게 카운트되도록 하기 위해, 지폐가 이송되고 있는지를 한번에 감지하거나 이송중에 둘 이상의 지폐가 중첩되어 있는가를 감지하는 지폐 두께 검출기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두께 검출기는 캠을 이용하는 기계적 형태나, 광센서에 의존하는 광학적 형태로 이루어진다.
기계적 구성의 한 형태는 단일 지폐의 두께에 대응하는 갭이 있는 대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자유 회전 가능 캠을 갖고 있다. 둘 이상의 중첩된 지폐가 캠을 지나 이송될 때, 캠은 회전하여 이벤트를 감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지폐 한장 또는 그 이상이 통과하는 것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폐방출기는 단지 지폐 한장만이 통과하는 것으로 결정될때만 지폐 방출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둘 이상의 지폐가 중첩되면, 상기 지폐는 방출되지 않고 회수하거나 또는 상기 기계내에서 모여진다. 캠을 사용한 기계적 구성을 다수의 다른 결점을 가진다. 예로서, 상이한 두께를 가진 다수의 지폐에 상기 장치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형태의 지폐에 대해 하나의 장치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로서 한지폐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두께를 가진 경우와 같이, 두께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는 지폐의 마찰계수에 따라 변하며, 감지 에러는 에지부가 접혀지거나 구겨진 지폐 때문에 발생된다. 또, 지폐 이송방향에서의 길이는 측정될 수 없다.
광학적 구성은 지폐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된 광량을 측정함으로서 중첩된 두장의 지폐를 감지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문제점은 훼손된 지폐에 의해 야기되는 낮은 신뢰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얻어질 수 있는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수되거나 기계내에 모여지게 되는 페이퍼 시트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는 페이퍼 시트 방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페이퍼 시트 두께를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얻을 수 있고 그래서 페이퍼 시트 두께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으며, 비록 페이퍼 시트가 훼손되더라도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페이퍼 시트의 어떠한 구부러짐 뿐만 아니라 페이퍼 시트의 이송방향에서의 길이도 감지할 수 있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페이퍼 시트가 휘어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훼손된 상태로 이송된다 할지라도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페이퍼 시트 두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는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된 최소한 두개의 두께 검출기와 이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이송 페이퍼 시트에 관련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페이퍼 시트 두께를 나타내는 신호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간격을 가진 두께 검출기로부터 얻어진다. 따라서,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관련된 정보는 두께 검출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입상부 및 입하부와, 신호의 지속 기간 및 이들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값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페이퍼 시트의 두께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는 페이퍼 시트상의 오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페이퍼 시트에 관련된 정보의 한 항목은 시트의 수이다. 한번에 두께 검출기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의 수의 정확한 검출은 페이퍼 시트의 방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는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나란히 배치된 최소한 두개의 두께 검출기와, 이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이송되고 있는 페이퍼 시트의 수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과, 방출된 페이퍼 시트의 수로서 페이퍼 시트의 계산된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페이퍼 시트의 수는 시트가 한번에 한장씩 이송될 때나, 둘 이상의 시트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될때 모두 정확하게 카운트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하게 시트를 회수하지 않고 가능한한 많은 시트가 지불될 수 있다.
페이퍼 시트에 관련된 정보는 페이퍼 시트 변수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는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나란히 배열된 최소한 2개의 두께 검출기와, 상기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이송되고 페이퍼 시트의 변수를 계산하기 위한 연산수단을 구비한다. 두께 검출기 각각은 페이퍼 시트의 이송 경로의 한편상에 제공되는 수납부재와, 이송 경로의 다른 편상의 수납부재에 대항하여 제공되고 수납부재화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수납부재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검출 롤러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검출 롤러 사이에서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의해 변위되는 검출 롤러의 변위량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변위 센서를 구비한다.
페이퍼 시트가 수납부재와 검출 롤러 사이에 이송될때, 검출 롤러는 페이퍼 시트의 두께와 동등한 양만큼 변위되고, 검출 롤러의 변위량은 변위 센서에 의해 감지되며, 그래서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표시하는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는 페이퍼 시트의 변화를 직접 나타낸다. 이것은 어떠한 두께의 페이퍼 시트도 취급할 수 있게 한다.
두께 뿐 아니라, 길이, 스큐의 존재 및 스큐의 각도도 두께 검출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입상 및 입하부와 상기 신호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값을 사용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는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배치된 최소한 2개의 두께 검출기와, 두 두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입상부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이송된 페이퍼 시트의 스큐각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통과하는 페이퍼 시트가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 주기에 걸쳐 두 두께 검출기중의 최소한 하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과, 검출된 스큐각과 적분된 값 및 페이퍼 시트의 이송방향으로의 기준 길이로부터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계산하기 위한 연산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페이퍼 시트 두께를 나타내는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는 페이퍼 시트의 두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값을 가지며, 페이퍼 시트 두께에서의 변화를 직접 나타낸다. 이것은 어떠한 두께의 페이퍼 시트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최소한 한쌍의 두께 검출기가 제공되는데, 이들 검출기는 폭의 방향으로 규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두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함으로써 이송된 페이퍼 시트가 구부러져 있으면, 스큐각을 나타내는 데이타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두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적분값이 측정되며, 이 값은 페이퍼 시트의 두께와 길이의 곱을 나타낸다. 시트 두께의 계산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의 형태에 따른 표준(기준) 길이는 그 두께가 계산될 페이퍼 시트의 길이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매우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또, 페이퍼 시트가 구부러진 상태로 검출될 때, 검출된 스큐각은 두께의 계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비록, 이송된 페이퍼 시트가 구부러져 있더라도,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두께는 다음의 경우에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비록, 페이퍼 시트가 구부러지거나 접혀진 상태로 이송되어 실제 길이가 상술한 표준길이보다 짧게 된다 할지라도 시트의 두께는 표준길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접혀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부분의 두께가 시트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적분된 값이 두껍게 된 부분의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표준길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두께는 구부러지거나 접혀지지 않은 페이퍼 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러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페이퍼 시트가 접혀진 상태로 이송되어도 두께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TM 또는 CD와 같은 거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 방출기에 적용된다. 지폐 방출기는 지폐 수납 상자에 수납된 지폐를 지령된 수 만큼 전달하여 방출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지폐 카운트 검출 장치는 수납 상자로부터 전달되는 지폐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지폐 변수 검출장치 및 지폐 두께 검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수납 상자로부터 전달되는 지폐의 수를 카운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폐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서는 한장의 지폐가 정확하게 이송되는가의 여부와 둘 이상의 지폐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가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도는 지폐 방출기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지폐 수납 상자(1)는 경사진 상태이지만 거의 수직 상태로 다수의 지폐를 나란히하여 수납한다. 원칙적으로, 지폐 B는 피드 롤러 B에 의해 한번에 1매씩 수납 상자(1)로부터 전달되어, 이송 경로(3)를 따라 이송된다. 이송 경로(3)는 지폐 B를 양면에서 끼는 벨트와, 그 주위에 벨트가 감겨져 있는 롤러의 또는 풀리(pulley)를 구비한다. 2개의 나란히 배치된 지폐 두께 검출기(5)는 이송 경로(3)를 따라 거의 중간에 제공된다. 후술하는 바에 의해 명확해지듯이, 수큐 두께 검출기(5)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지폐의 두께, 길이 스큐 각 및 수는 두께 검출기(5)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측정된다. 만약, 한장의 지폐의 측정값이 허용되는 방출 한계내에 속하면, 절환 플래퍼(6)가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어, 지폐가 시트템의 다음단을 구성하는 일시적인 홀딩 메카니즘(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만약, 측정된 값이 허용되는 한계치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즉, 지폐의 수를 알 수 없거나, (또는 두 지폐가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으로 정해지거나), 또는, 지폐가 규정된 형태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두께 또는 길이의 측정값으로부터 정해지면, 플래버(6)는 제1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절환되어서, 회수 또는 수집 상자(2)에서 적절한 지폐가 회수된다. 비록, 다른 종류의 지폐도 단일 수납 장소(1)에서 혼합 방식으로 수납하는 것도 허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폐의 각 형태마다 하나늬 수납 상자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납 상자로터 전달되는 상이한 형태의 지폐가 동일한 이송경로(3)를 따라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를 지폐 두께 검출기(5)는 다수 종류의 지폐에 적용될 수 있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및 하부 콘베이어 벨트(22)에 의해 끼어지는 지폐 B는 지폐의 종축 방향에 수직이 되는 상태로 이송 경로(3)을 따라 이송된다. 두개의 두께 검출기(5)는 이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송 경로(3)의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떨어진 거리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검출기(5) 아래에는 각각의 롤러(17)가 배치된다. 샤프트(18)는 양쪽의 프레임(23)에 걸려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롤러(17)를 지지한다. 롤러(17)는 하부 벨트(22)와 맞물리는 각각의 홈(17a)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롤러(17)의 주변 표면은 벨트(22)의 에워싸는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되거나 돌출되도록 홈으로부터 연장된다.
두개의 두께 검출기(5)는 구조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단지 하나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두께 검출기(5)는 검출 레버(1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통상 L형 형태이며, 두개의 단부(10a), (10b)를 가진다. 단부(10a)부근의 검출 레버(10)의 곡선부는 보스(11)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3)에 고착된 지지 샤프트(12)를 보스(11)의 내부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레버(10)가 샤프트(12)주위에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검출 레버(10)는 단부(10b)의 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로 뻗어 있으며, 샤프트(14)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통상 중간점에서 검출 롤러(13)를 갖추고 있다. 장력 스프링(15)이 검출 레버(10)의 단부(10a)와 대응 프레임(23)에 고착된 스프링 앵커(16)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검출 레버(15)는 검출 롤러(13)를 눌러서 롤러(17)와 접촉하도록 스프링(15)에 의해 치우쳐진다. 검출 롤러(13)는 롤러(17)가 벨트(22)와 접촉하지 않는 롤러(17)의 주위면과 접촉한다.
지폐 B가 벨트(22)에 의해 죄어진 상태로 롤러(17)와 검출 롤러(13) 사이에 인입될 때, 검출 롤러(13)는 지폐의 두께에 대응하는 양만큼 롤러(17)로부터 이동한다. 그 결과, 검출 레버(10)는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요동한다. 검출 롤러(13)가 단부(10b)와 샤프트(12)사이에 제공되므로, 단부(10b)의 변위량은 검출 레버(10)의 동작에 의해 크게 된다.
검출 레버(10)의 단부(10b)의 변위량은 대응 프레임(23)에 고정된 장착부재(21)에 고착된 변위 센서(20)는 광 투사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와, 이 투사기로부터의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기(포토레지스터와 같은 광 수신소자)를 갖고 있다(제4도 참조). 투사기 및 광 수신기는 검출 레버(10)의 단부(10b)의 양쪽의 상호 대향위치에 제공된다. 지폐가 롤러(17)와 검출 롤러(13)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광 투사기로 부터의 광의 광학적 경로는 검출 레버(10)의 단부(10b)에 의해 거의 방해되지 않아서, 거의 대부분의 광은 광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한장의 지폐가 롤러(13)과 (17)사이에 인입되어, 검출 레버(10)를 요동시키면, 광 경로의 일부가 단부(10b)의 변위에 의해 차단된다. 두장의 지폐가 롤러(13), (17)사이에 동시에 인입되면, 단부(10b)의 변위량이 배가되고 그러므로, 대부분의 광 경로가 단부(10b)에 의해 차단되어, 광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광량이 매우 적어지게 된다. 두장의 지폐 뿐만 아니라 세장의 지폐의 전체 두께도 검출가능 범위내에 있게 되도록 하려면, 투사기로부터의 투사된 광빔의 직경 및 광 수신기의 광 수신 범위는, 3장 또는 그 이상의 지폐가 롤러(13)와 (17)사이에 인입될때 야기되는 레버(10)의 단부(10b)의 변위 커버라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제4도는 전술한 두께 검출기(5)의 변위 센서(20)를 포함하는 지폐 카운트 검출 장치(또는 변수 검출 장치나 두께 검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일반적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변위 센서(20)의 출력, 즉 광 수신시로부터 출력 전기 신호는 일정 주기로 샘플링된다. 샘플 출력값은 A/D콘버터 회로(27)에 의해 디지탈 값으로 변환되며, 상기 디지탈 값은 CPU(24)에 의해 수신된다. CPU(24)는 실행 프로그램 및 다수의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25)를 가진다. 지폐 방출 제어기(26)는 지폐 수납 상자(1)내의 피드 롤러(4)의 구동과, 이송 경로(3)를 구성하는 롤러의 구동 및 플래버(6)의 절환을 제어하며, CPU(24)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이제는, 지폐 두께, 지폐 길이(이송방향,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폭방향에 따른 길이), 스큐의 존재 및 스큐각과 또한 지폐수를 측정하기 위한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비교적 간단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지폐 B가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6도는 변위센서(20)의 출력을 도시한 것이다.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두 변위센서(20)중의 하나는 우측 변위센서로 하며, 다른 센서는 좌측 변위센서로 한다.
제5도에서 1장의 지폐 또는 완전히 겹쳐진 두장의 지폐가 이송되고 있다. 스큐각 θ는 지폐 B의 길이방향이 한 방향(좌측 및 우측 검출 롤러(13)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방향)과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 B가 롤러(13)과 (17)사이에 유입될때 변위센서(20)의 출력신호는 상승하며, 지폐 B가 롤러(13)과 (17)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서의 출력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출력신호는 지폐 B가 롤러를 통과했을때 감쇠된다. t1은 지폐 B가 광 변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안의 시간주기를 나타내고, t2는 지폐 B가 좌측 변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안의 시간주기를 나타내고, t는 좌측 및 우측 변위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연부 사이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자.
좌측 또는 우측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시간 t1, 또는 t2의 주기에서 적분된다. IA1, IA2는 1장의 지폐가 롤러(13), (17)를 통과했을때 유효한, 각각의 적분된 값을 나타낸다. 또한 L은 좌측과 우측 검출 롤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자.
롤러를 통과한 지폐의 두께 및 스큐각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나타난다.
두께 = IA1/t1또는 IA2/t2… (1)
스큐각 θ = tan-1(V.t3/L) ………………………………………… (2)
방정식(2)에 있어서, V는 지폐가 이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며, 이송 경로(3)를 구동시키는 장치에 의해 정해지는 공지된 값이다. 물론, V의 값은 예를들어 롤러(17)의 회전량을 측정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지폐 B의 길이(지폐 B의 이송방향으로의 길이, 즉, 본 실시예에서 지폐 B의 폭방향)는 다음의 방정식에 따라 얻어진다.
길이 = V.t.cosθ 또는 V.t.cosθ …(3)
두 지폐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 이송될때, 좌측 및 우측 변위센서(20)의 출력은 더 커지게 된다. 우측 및 좌측 변위센서로부터의 확대된 출력의 적분값은 제6도에서 IB1및 IB2로 표시되어 있다. 두장의 지폐의 전체 두께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얻어진다.
두께 = IB1/t1또는 IB2/t2…(4)
만약 3장 이상의 지폐가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면, 더큰 적분값이 얻어지며, 3장 이상이 지폐의 전체 두께도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다.
1장의 지폐에서 얻을 수 있는 두께의 범위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두장의 지폐에서 얻어질 수 있는 전체 두께의 범위를 얻을 수 있으며, 방정식(1) 및 (4)에 따라 구해지는 두께가 그 범위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롤러(13)와 (17)사이에서 이송되는 지폐수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여러 형태의 지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술한 범위는 각 형태의 지폐에 대해 설정되는 것이 좋다.
제7도 및 8도는 약간 더 복잡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7도에 있어서, 두장의 지폐 B가 부분적으로만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며, 서행지폐(즉, 이송방향을 따라 멀리 있는 지폐, 이후 "제1"지폐라 칭함)가 경사져 있다. 제8도는 상기 두 지폐를 검출하는 우측 및 좌측 변위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파형이다.
우측 및 좌측 변위센서 출력신호시 적분값을 IC1및 IC2로 각각 놓는다. 또한 우측 변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제1전연부(leading edge) 제1후연부(trailing edge)까지의 시간주기는 t11로 나타내고, 부터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제2전연으로부터 제2후연부 까지의 시간주기는 t12로 나타낸다. 유사하게 좌측 변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제1전연부로부터 제1후연부 까지의 시간주기는 t21로 나타내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제2전연부로부터 제2후연부 까지의 시간주기는 t22로 나타낸다. t3는 우측 변위 센서 출력의 제1전연부로부터 좌측 변위센서 출력의 제1전연부까지의 시간 주기를 나타낸다.
지폐의 두께, 스큐각 및 길이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두께(두장의 지폐의 평균값)=IC1/(t11+t12) 또는 IC2/(t21+t22) ……(5)
스큐각 θ(제1지폐) = tan-1(V.t3/L) …………………………………(6)
길이(제1지폐) = V.t11.cosθ 또는 V.t21.cos ………………………(7)
길이(제2지폐) = V.t12또는 V.t22……………………………………(8)
지폐의 수는 다음의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 한 변위센서로부터의 출력의 전연부 및 후연부가 검출된다. 제8도에 있어서, 변위센서 출력에서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펄스는 좌측 변위센서의 전연부 및 후연부에 대응한다. 지폐의 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지폐수 = 전연부의 수 = 후연수의 수 …(9)
제9도는 메모리(25)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우측 및 좌측 변위센서에 각각에 대해, 메모리(25)는, 샘플링 데이타(각각의 범위센서의 출력값)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과, 가산 처리(여기서 가산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적분값 IA!1?, IA!2? … IC!2?를 나타냄)를 위한 가산(합)영역과, 지폐가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플랙(flag)(이하, "지폐 존재 플랙"으로 칭함)으로 사용되는 영역과, 지폐의 끝을 표시하는 플랙(이하 "플랙"으로 언급됨)으로서 사용되는 영역 및, 샘플링 데이타를 이용하여검출되는 상술한 시간 주기 t1, t2, t3, t11, t12, t21, t22,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비도시)을 갖추고 있다. 지폐 존재 플랙은 지폐가 롤러(13)와 (17)사이를 통과할때 턴온되며, 종단 플랙은 지폐가 롤러(13)과 (17)를 완전히 통과했을 때 턴온된다. 사전에, 메모리(25)에는 기준으로 작용하는 값과, 스큐 체크, 길이 체크, 두께 체크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허용 한계치를 표시하는 값이 저장된다.
제10도는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아들이고, 전술한 롤러를 통해 통과된 지폐에 관련된 스큐각, 길이, 두께 등을 측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두 변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일정한 주기(샘플링 주기)로 샘플링되며, 전술한 바와같이, CPU(24)에 의해 수신되기전에 A/D변환이 이루어진다.
샘플링 주기에 필요한 시간이 단계(31)에서 끝나면, 먼저, 우측 변위센서의 출력값이 샘플링되고, CPU(24)에 의해 판독되어, 단계(32)에서, 메모리(25)의 샘플링 데이타 영역에 기억된다. 샘플링 데이타는 모든 샘플링시 일정한 시퀀스로 샘플링 데이타 영역에 기억된다. 샘플링 데이타에 의해 표시된 값이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가의 여부는 단계(33)에서 체크된다. 상기 임계레벨은 한장의 지폐의 두께보다 작은 적절한 레벨로 세트된다. 먼저 샘플링 데이타 값이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할때, 지폐 B의 전연부는 롤러(13), (17)사이에 방금 유입된 것로 판정된다. 특히, 샘플링 데이타 값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고, 지폐 존재 플랙이 단계(34)에서 오프되면, 지폐가 롤러(13)과 (17)사이에 방금 유입된 것으로 판정되고 프로그램은 단계(35)로 진행되며, 여기서, 지폐 존재 플랙은 턴온되고 샘플링 데이타가 메모리(25)의 가산 영역내의 데이타(초기에 0으로 클리어됨)에 가산된다. 샘플링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처리(단계 32)가 이 시간 이후로 수행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허용된다. 지폐 존재 플랙이 이미 단계(34)에서 온이되면, 지폐는 롤러(13), (17)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단계(36)로 진행되며, 여기서, 샘플링 데이타를 가산하기 위한 처리만이 실행된다.
샘플링 데이타에 의해 표시되는 값이 전술한 임계 레벨아래에 있는 경우에(단계 33에서 아니오) 만일 지폐 존재 플랙이 단계(37)에서 온상태이면, 이것은 지폐가 지폐 롤러(13), (17)를 통해 방금 통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폐 존재 플랙은 단계(38)에서 턴오프되고, 종단 플랙은 단계(39)에서 턴온된다. 만약, 지폐 존재 플랙이 단계(37)에서 오프되면, 이것은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그러므로 어떠한 처리도 행해지지 않는다.
전술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또한 좌측 변위센서에 관해서도 실행된다.
변위센서 모두에 관한 종단 플랙이 오프되거나 또는 플랙중의 하나가 오프되면, 전술된 처리가 모든 샘플 주기마다 반복된다.
종단 플랙 모두가 단계(40)에서 턴온되며, 먼저 종단 플랙 모두가 단계(41)에서 턴온되고, 다음에, 지폐 두께, 스큐각 및 길이가 전술된 방정식(1) 내지 (8)을 이용하여 단계(42)에서 연산된다. 가산 영역에서의 최종 가산결과는 적분값 IA1, IA2…IC2로서 사용된다. 상호 인접 샘플링 데이타 영역내의 데이타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비교된다. 생성되는 차중 어느 차가 어떤 임계치를 초과할 때, 변위센서의 전연부 또는 후연부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 시간주기 t1, t2…t22는 이들 전연부 및 후연부 사이의 샘플링 수와 샘플링 주기를 곱하므로서 계산된다. 전연부와 후연부의 수도 또한 구해진다. 속도 V와 거리 L은 이미 메모리(25)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측정된 값이 속도 V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지폐 두께, 스큐각, 길이 등도 또한 계산될 수 있다.
전술한 종단 검출 처리가 샘플링 데이타 기억 공정(단계 32)이나 또는 단계(35), (36)에서 실행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 시간주기 t1등은 시간 주기 t1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공함으로 클럭킹될 수 있는데, 전연부의 검출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개시하고, 후연부의 검출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정지시킨다. 시간주기 t3는 우측 및 좌측 변위센서중의 하나로부터의 출력 데이타의 한 아이템의 전연부로부터, 상기 변위센서의 다른 것으로부터의 출력 데이타의 한 아이템의 후연부까지의 시간을 클럭킹함으로 구할 수 있다.
제11도는 전술한 여러가지 지폐 데이타(지폐 변수)를 측정한 결과에 근거하여 여러가지 지폐 체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스큐 체크는 처음에 단계(43)에서 실행된다. 만약 스큐각 θ가 너무 크면, 굽혀진 지폐가 이송 경로에 끼일 수도 있다. 따라서, 측정된 스큐각 θ는 메모리(25)에 기존에 기억된 상한각과 비교된다. 스큐각이 상한 값 보다 작으면 지폐가 스큐 테스트를 통과하며(OK), 스큐각이 상한 값을 초과하면, 스큐 테스트를 실패한다(NG).
다음에, 길이 및 두께 체크가 단계(44), (45)에서 각각 수행된다. 허용가능한 길이 한계값 및 허용가능한 두께 한계값(상한값 및 하한값)은 사전에 메모리(25)에 기억된다. 만약 측정된 길이 및 측정된 두께가 각각의 한계값내에 속하면, OK결정이 이루어지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NG결정이 행해진다. 이것은 지폐의 확실성을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며, 오직 지정된 올바른 지폐만이 방출되게 되도록 보장한다. 길이 및 두께에 대한 허용가능된 한계값이 각 형태의 지폐에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같이, 주로 지폐는 한번에 한장씩 전달되며, 한번에 한장씩 일시 홀딩 메카니즘에 공급된다. 따라서, 지폐수에 관한 체크가 수행된다. 만일 두장의 지폐가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겹쳐지면, 방정식(4)에 따라 얻어지는 두께에 근거하여, 지폐의 수가 2장 또는 3장 등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가 실행된다. 만약,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장의 지폐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면, 지폐의 수는 검출된 연부의 수에 의해 감지된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폐의 수가 한장으로 판단될때, 경사, 길이 및 두께 체킹 동작에서 OK결정이 행해지면, 지폐는 방출을 위해 일시 홀딩 메카니즘으로 공급되면, 방출되는 지폐수를 계산하기 위해 지폐수 카운터가 증가된다.(단계 47, 48).
지폐수 체크에 의해, 지폐수가 2장, 3장 또는 그 이상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지폐수가 지폐수 카운터에 가산되고, 이 카드수가 방출된다. 따라서, 회수될 필요가 있는 지폐수가 감소된다. 좌측 변위센서의 출력신호에 의한 결정의 결과가 우측 변위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른 결과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지폐수가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 경우에 따라, 한 변위센서의 출력신호에만 근거하여 설정된 수를 결정하는 것도 허용된다.
만일 스큐, 길이, 두께에 대한 체크중 어느 한 결정이 경사, 길이 및 두께의 어떤 체크에 관해 NG결정이 행해지거나, 지폐의 수가 지폐수 체크에서 구해지지 않는 경우에, 테스트에 실패한 지폐는 단계(49)에서 회수 상자(2)에서 회수된다. 지폐수가 지폐수 체크에서 둘이상이 되는 것으로 되는 경우에 지폐 회수 동작이 수행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샘플링 데이타는 때때로 지폐에 구멍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잘못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좌측 및 우측 변위 센서중의 최소한 하나에 관련된 샘플링 데이타가 전술한 모든 체킹 동작을 통과한다면, 지폐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허용된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만일 구멍이 나타나면 이것은 단지 지폐의 한 부분이 되어, 대부분의 경우, 최소한 한 변위센서가 구멍이 없는 부분의 두께를 검출하게 되기 때문이다.
접착 테이프 등이 지폐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둘 이상의 전연부 또는 둘 이상의 후연부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 이와같은 지폐는 길이 체크에서 NG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결함이 있는 지폐를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가산 처리와는 다른 수단이 적분 수단으로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한 변위센서의 출력 신호가 검출 롤러를 통과하기 위해 지폐에 요구되는 시간 주기에 걸쳐 적분 회로에 의해 적분되고, 그 생성된 적분신호가 A/D 변환되어 CPU에 의해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변위센서의 두께 검출신호를 상기 검출신호의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V/F콘버터 회로와, V/F콘버터 회로의 출력펄스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를 제공하는 것도 허용되는데, 지폐가 검출 롤러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주기에 걸쳐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이 카운터에 의해 기록되는 카운트값에서 CPU가 판독하도록 하게 된다. 적분기 회로의 적분 시간 및 카운터의 카운팅 시간은 변위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오프셋 레벨로 부터의 전연부 및 후연부를 검출함으로써 결정된다. 또, 일반적인 적분기 회로를 이용하여 전술한 연부 검출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폐의 두께는 제5도 및 제6도에서의 다른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안의 방법에 따르면, 기준으로 이용되는 지폐 길이 W를 이용한다.(이 길이는 지폐 B의 이송방향의 길이이다) 특히, 상기 대안의 방법은 사전에 지폐의 형태를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또는, 단지 특정 형태의 지폐만 처리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상기 대안의 방법에 따라, 1장의 지폐 B의 두께는 다음의 방정식을 통해 얻어진다.
두께=IA1/(W/cosθ)또는IA2(W/cosθ)=(IA1/W)cosθ또는(IA2/W)cosθ…(10)
여기서 θ는 방정식(2)에 의해 주어지는 스큐각이다.
겹쳐진 두장의 지폐 두께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두께=IB1/(W/cosθ)또는IB2(W/cosθ)=(IB1/W)cosθ또는(IB2/W)cosθ…(11)
3장 는 그 이상의 겹쳐진 지폐의 두께도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전술한 두께 검출원리가 이용되는 경우에, 지폐 두께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 B의 일부가 접혀지거나 또는 두장의 지폐 B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을 때 조차도 정확하게 얻어질 수 있다.
제12도는 이송되는 지폐 B의 한 연부가 접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을 위해, 스큐각 θ는 0°라 가정한다. 제12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비록 지폐 B의 길이(폭)가 W가 되어도, 외견상의 길이는 보다 작은 길이 즉, W-w(여기서 w는 접혀진 길이)가 되는데, 이것은 지폐의 일부가 그 자체에서 접혀져 있기 때문이다. 제13도는 지폐 B를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변위센서(20)중, 예를들어, 좌측 변위센서의 출력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13도에 있어서, ID1(A에서 B까지의 간격)은 지폐 B의 접혀진 부분에 대응하는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적분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ID2(B에서 C까지의 간격)는 지폐 B의 접혀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변위센서 출력신호의 적분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자.
지폐 B의 두께는 방정식(10) 또는 (11)로부터 유도되는 다음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다.
두께=(ID1+ID2)/W(스큐각 θ=0°, cosθ=1).
집적값 ID1지폐의 이중부분을 나타내므로, 총적분값 ID1+ID2(A에서 C까지의 간격)은 접혀지지 않는 지폐가 검출될 때 얻어지는 변위센서 출력 신호의 적분값과 동일한 값이다. 따라서, 지폐 B의 한장의 두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얻어진다.
제14도는 길이 W인 지폐 B가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겹쳐지는 양은 W1으로 표시)를 도시한 것이다.
제12도에서와 같이, 경사각 θ는 0°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15도는 이들 지폐 B를 검출하는 좌측 변위센서의 출력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15도에 있어서, IE(D에서 E까지의 간격)은 제2지폐 B2와 겹쳐지지 않는 제1지폐 B1의 부분에 관련된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IE3(F에서 G까지의 간격)는 제1지폐 B1과 겹쳐지지 않는 제2지폐 B2의 부분에 관련된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적분값을 나타내고, IE2(E에서 F까지의 간격)는 지폐 B1및 B2의 겹쳐지는 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자.
두께는 방정식(10) 또는 (11)에 따른 다음의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두께=(IE1+IE2+IE3)/W (스큐각 θ=0°, cosθ=1)
총 적분값 IE1+IE2+IE3(D에서 G까지의 간격)은 두장의 지폐 B가 완전히 겹쳐지고, 지폐 B의 접혀지지 않은 부분이 검출될 때 얻어지는 변위센서 출력신호의 적분값과 동일한 값이 된다. 상기 값을 길이 W로 제산되어 얻어지는 두께는 두장의 지폐의 두께를 나타낸다. 따라서, 두장의 겹쳐진 지폐를 감지할 수 있다.
제16도는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전술한 롤러를 통과한 지폐의 스큐각을 측정함으로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두 변위센서(20)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일정한 주기(샘플링주기)로 샘플링되며, CPU(24)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A/D변환이 된다. 샘플링 주기에 요구되는 시간이 종료되면, 먼저 우측 변위센서의 출력값이 샘플링되고, CPU에 의해 판독되어, 단계(51)에서, 메모리(25)의 샘플링 데이타 영역에 기억된다. 샘플링 데이타는 모든 샘플링시 일정한 순차로 샘플 데이타 영역에 기억된다. 샘플링 데이타에 의해 표시되는 값이 예정된 임계레벨을 초과하는가를 체크한다. 상기 임계레벨은 한장의 지폐의 두께보다 작은 적절한 레벨로 세트된다. 먼저, 샘플링 데이타 값이 상기 임계레벨을 초과하면, 지폐 B의 전연부가 롤러(13)와 (17)사이로 방금 유입된 것으로 판정된다. 샘플링 데이타는 메모리(25)의 가산 영역내의 데이타(초기에 0으로 클리어됨)에 가산된다(단계 52).
전술된 바와 동일한 과정이 좌측 변위센서에 관해서도 실행된다. 다음에, 스큐각은 단계(53)에서, 방정식(2)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속도 V 및 거리 L은, 비록 측정값이 속도 V에 관해 사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메모리(25)에 사전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54)으로 이행되는데, 여기서, 지폐의 두께는 단계(53)에서 구해진 스큐각 및 지폐 B의 기준 길이 W를 이용하여 방정식(10) 또는 (11)에 따라 계산된다. 계산된 두께가, 한장의 지폐 두께를 나타내는가를 단계(55)에서 체크한다.
허용가능한 두께 한계값(상한값 및 하한값)은 메모리(25)에 미리 기억된다. 만약, 측정된 두께가 허용 한계값내이면, 한장의 지폐를 표시하는 YES(예)응답이 단계(55)에서 수신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두장 이상의 지폐 시트를 나타내는 NO(아니오)응답이 단계(55)에서 수신된다. 두께에 대한 허용 한계값은 각 형태의 지폐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의 수가 지폐 카운트 체킹 동작에서 한장으로 판정되면, 지폐는 방출을 위해, 일시 홀딩 메카니즘(도시되어 있지 않는)으로 공급되며, 지폐수 카운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방출되는 지폐의 수를 계산하기 위해 증가된다(단계 56).
지폐수를 체크에 의해, 지폐수가 2장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들 지폐는 단계(57)에서 회수된다. 처리과정중에 스큐각 체크를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장 이상의 지폐가 겹쳐지는 것으로 결정이 나는 경우에 겹쳐지는 지폐수가 설정되면, 이 지폐수가 카운터에 가산되고 그 지폐가 회수되지 않고 방출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를 제외하고는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20)

  1. 페이퍼 시트 저장소(1)로부터 전달되어 이송 경로(3)를 따라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B)가 허용 가능한 방출 한계내에서 속하는지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페이퍼 시트의 목적지를 절환하기 위한 페이퍼 시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시트 처리 장치는,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갖고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두께 검출기(5)와, 상기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관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24, 25단계 42)과,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가 허용 가능한 방출 한계내에 속하는지 검사하기 위한 수단(24, 단계 43-4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처리 장치(제1도, 4도, 제9도 내지 제11도 참조).
  2. 페이퍼 시트(B)의 변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검출기(5)와, 상기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의 변수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24, 25, 단계 42)을 구비하며, 상기 두께 검출기 각각은, 페이퍼 시트의 이송 경로의 한편에 제공되는 수납부재와, 이송 경로의 다른편상에서 수납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며 상기 수납부재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수납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검출 롤러(13)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검출 롤러 사이에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검출 롤러의 변위량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제1도 내지 제4도, 제10도 참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롤러(13)는 한단부에서 피봇되는 검출 레버(10)를 따라 중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제공되고 스프링(15)에 의해 바이어스 되며, 상기 변위센서(20)는 상기 검출 레버의 다른 단부의 증대된 변위량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러(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의 변수는 스큐각, 길이 및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35, 단계 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제4도, 9도, 10도 참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 및 후연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35, 단계 36),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로부터 상기 전연부에 대응하는 후연부까지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수단(24, 25)과, 상기 시간 유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의 총합계로 상기 적분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적분값을 나눔으로써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과, 상기 변위센서중 한 변위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로부터 상기 다른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까지의 시간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24, 25)과, 상기 시간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시간을 이동하여 스큐각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위 센서중 한 변위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로부터 그 대응하는 후연부까지의 시간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24, 25)과, 상기 시간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시간 및 상기 스큐각 검출수단에 의해 계산되는 스큐각을 이용하여 페이퍼 시트의 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변수 검출 장치.
  11.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B)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두께 검출기(5)와, 상기 두께 검출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의 수를 연산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6)과, 방출된 페이퍼 시트의 수로서 페이퍼 시트의 연산된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제1도, 4도, 9도, 11도 참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출기(5) 각각은, 페이퍼 시트의 이송 경로의 한편상에 제공되는 수납부재(17)와, 이송 경로의 다른 편상에서 상기 수납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상기 수납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상기 수납부재에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검출 롤러(13)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검출 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검출 롤러의 변위량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변위센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롤러는 한 단부에서 피봇되는 검출 레버(10)를 따라 중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제공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며, 상기 변위센서(20)는 상기 검출 레버의 다른 단부의 증대된 변위량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러(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시트수 연산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 및 후연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과, 검출된 전연부 및 후연부를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24, 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시트수 연산수단은,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35, 단계 36)과, 상기 변위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전연부로부터 상기 전연부에 대응하는 후연부까지의 시간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24, 25)과, 상기 시간 유지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의 총합계로 상기 적분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적분값을 나눔으로써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2)과, 검출된 두께를 주어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페이퍼 시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방출 장치.
  17.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B)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갖고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두께 검출기(15)와, 2개의 두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전연부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의 스큐각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53)과, 페이퍼 시트가 통과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주기에 걸쳐 상기 2개의 두께 검출기중의 적어도 한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24, 25, 단계 52)과, 검출된 스큐각과, 적분값 및 페이퍼 시트의 이송 방향으로의 기준 길이로부터 페이퍼 시트의 두께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두께 검출 장치(제1도, 4도, 9도, 16도 참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출기 각각(4)은, 페이퍼 시트의 이송 경로의 한편상에 제공되는 수납부재(17)와, 이송 경로의 다른 편상에서 상기 수납부재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상기 수납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상기 수납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검출 롤러(13)와,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검출 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페이퍼 시트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검출 롤러의 변위량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변위 센서(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두께 검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롤러(13)는 한 종단에서 피봇되는 검출 레버(10)를 따라 중간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자유롭게 제공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며, 상기 변위센서는 상기 검출 레버(10)의 다른 단부의 증대된 변위량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두께 검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러(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시트 두께 검출 장치.
KR1019880001886A 1987-02-25 1988-02-24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KR920005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40383A JPH0734218B2 (ja) 1987-02-25 1987-02-25 紙葉類の放出装置
JP62-40383 1987-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78A KR880010378A (ko) 1988-10-08
KR920005339B1 true KR920005339B1 (ko) 1992-07-02

Family

ID=1257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886A KR920005339B1 (ko) 1987-02-25 1988-02-24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80147A3 (ko)
JP (1) JPH0734218B2 (ko)
KR (1) KR920005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67568T3 (es) * 1989-03-31 1995-04-01 Tean Ag Maquina para contar y comprobar papel moneda de cualquier tamaño, incluso solapado, esclava de un ordenador.
US5437445A (en) * 1992-10-08 1995-08-01 Pitney Bow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uble fed sheets
JPH10334307A (ja) * 1997-05-30 1998-12-18 Sanden Corp 紙幣受入れ装置
WO1999010847A1 (de) * 1997-08-27 1999-03-04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Geldausgabeautomat
JP2000302289A (ja) * 1999-04-22 2000-10-31 Omron Corp 傾き検知装置、媒体処理装置、磁気カード処理装置及びカード処理システム
FR2799192B1 (fr) * 1999-10-01 2001-11-09 Poste Dispositif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billets de banque ou similaires
US7387236B2 (en) 2001-10-09 2008-06-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Dispensing of currency
JP5325528B2 (ja) * 2008-10-22 2013-10-23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紙類の搬送装置、及び紙類の重送検出方法
JP4694611B2 (ja) * 2008-11-17 2011-06-08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DE102017103755A1 (de) 2017-02-23 2018-08-23 Strothmann Machines & Handling GmbH Dickenmessvorrichtung
CN107085887B (zh) * 2017-05-26 2022-10-14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整叠出钞机的验送钞模块
CN108036754B (zh) * 2017-12-29 2023-12-12 昆山盈达科机电科技有限公司 铜箔测厚机
CN114751238A (zh) * 2022-04-11 2022-07-15 张海燕 一种无纺布折叠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29903B (de) * 1973-05-18 1976-06-10 Oesterr Nationalbank Verfahren zur prufung des erhaltungszustandes und der echtheit von papieren und/oder drucken
US4378109A (en) * 1979-09-19 1983-03-29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a pape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78A (ko) 1988-10-08
EP0280147A3 (en) 1990-01-31
EP0280147A2 (en) 1988-08-31
JPH0734218B2 (ja) 1995-04-12
JPS63208186A (ja)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562A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KR920005339B1 (ko) 페이퍼 시트 처리장치
US20070007707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US9004256B2 (en) Medium storing device
JP3540163B2 (ja) 硬貨包装機
JPH10291691A (ja) 複数の重なり合ったシート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現金支払い機構
JPH0749951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943708B2 (ja) コイン選別装置及びコイン選別方法
JP3732647B2 (ja) 現金自動入出金装置
KR10229470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JPS63208707A (ja) 紙葉類のパラメ−タ検出装置
JPS63208710A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523391B2 (ja) 硬貨判別計数装置
JP2007516911A (ja) オーバラップした扁平な送付物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3188610B2 (ja) 硬貨選別機
JP5286794B2 (ja) 紙幣処理装置
JPH0637959U (ja) 円形物体の外径識別装置
JPS63208708A (ja) 紙葉類の判定装置
JPH0531522Y2 (ko)
JP2004185447A (ja) 紙幣識別装置及び紙幣処理装置
JPH0684042A (ja) 紙幣鑑別装置
JPH10255098A (ja) 紙幣識別装置
JPS63135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