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70Y1 -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70Y1
KR920004870Y1 KR2019890020598U KR890020598U KR920004870Y1 KR 920004870 Y1 KR920004870 Y1 KR 920004870Y1 KR 2019890020598 U KR2019890020598 U KR 2019890020598U KR 890020598 U KR890020598 U KR 890020598U KR 920004870 Y1 KR920004870 Y1 KR 920004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losing
door
relay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276U (ko
Inventor
심재문
안동렬
Original Assignee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김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김한선 filed Critical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870Y1/ko
Publication of KR910011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
제 2 도는 개문(開門)시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폐문(閉門)시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 제어회로 RY1~RY6 : 릴레이
IGK1 : 이그니션키스위치 MS1 : 모터구동감지센서
DCS1 : 문개폐제어스위치 SS1 : 개폐속도감지센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차량용 자동문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에 설치되는 글라이딩 방식(gliding 方式)의 승항차용 문을 자동으로 개폐제어 하도록 된 차량용 자동문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현재,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에는 승하차용 글라이딩 방식의 문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글라이딩방식의 승하차용 문은 운전자가 조작패널상에 개폐조작용 스위치를 전환함에 따라 부저음이 발생됨에 이어 자동적으로 미끄럼 개폐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글라이딩방식의 차량용 자동문 개폐장치에서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음으로 말미암아 차량의 주행시 문이 열리는 경우가 있어 승객이 추락하는등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승하차시 운전자가 개폐조작용 스위치를 폐문 조작하게되면 승객 또는 하객이 문틈에 끼이게 되어 승하객이 부상을 입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운전자가 다시 스위치를 개문조작해야만 문이 열리게 되어 해제되므로 자동문개폐장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문에 대한 로크(Lock)장치를 설치하여 문의 개방시에만 로크장치가 해제 되도록 하는 반면 문이 닫히게 되면 로크장치를 작동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문의 개폐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개폐시의 효율성을 높여주며, 문의 폐문시 승하객이 문틈에 끼이게 되면 동작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문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폐문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자동문 개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그니션키스위치(IGK1)와 자동문구동용모터(M) 및 문개폐제어스위치(DCS1)를 구비하여 구성된 차량용 자동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자동문개폐용 메인릴레이(RY1)와, 문의 개폐속도를 감지하는 개폐속도감지센서(SS1), 상기 자동문구동용모터(M)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모터구동 감지센서(MS1), 문의 완전개방시에 스위칭접속되는 개방정지스위치(OSW1)와 문의 완전폐쇄시 스위칭접속되는 폐쇄정지스위치(CSW1) 및 문의 작동하중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스위칭접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MSW1)의 상태 신호와 상기 문개폐제어스위치(DCS1)의 선택출력, 상기 개폐속도감지센서(SS1) 및 상기 자동문구동용모터(M)의상태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모터정방향구동신호, 모터역방향구동신호, 모터중속구동신호, 고속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IC1), 이 제어회로(IC1)의 단자(N)로 부터 모터정방향구동신호를 인가 받아 모터(M)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전원(B+)을 인가해주는 릴레이(RY2)와,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H)로 부터의 모터역방향구동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모터(M)에 대해 역방향 구동전압을 인가해 주는 릴레이(RY3),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K,J)로 부터의 고속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저항(R1,R3)에 의한 모터(M)의 구동전압을 형성해 주는 릴레이(RY4,RY5), 상기 제어회로(IC1)이 단자(L)로 부터의 중속구동신호에 의해 접속되어 저항(R1,R2,R3)에 의해 모터(M)의 구동전압을 형성해 주는 릴레이(RY6)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문의 개방시 로크장치를 해제시켜주게 되면서 모터감지센서(SS1)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R.P.M)을 감지해 낸 다음 제어회로에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조정되어 문의 개폐속도가 제어된다. 이 경우, 문의 개방시에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열리게 되고, 폐문시에는 소정구간까지는 일정한 속도로 닫히다가 그 이후에는 속도가 증가하여 로크장치에 의한 2단의 로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문의 폐쇄동작중 승, 하객이 문틈에 끼이게 되면 문의 작동하중이상의 부하가 걸리게 되어 마이크로스위치가 구동되므로 제어회로에 의해 모터 구동전압이 차단되도록 제어되어 안정성이 확보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자동문 개폐제어장치에 대해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자동문 개폐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로서, 먼저 제 2 도에 도시된 개문시의 동작 수순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그니션키스위치(IGK1)가 접속되는 경우 전원(B+; 예컨대 24V)이 퓨우즈(F1, F3)를 매개해서 제어회로(IC1)의 단자(A)에 동작전원으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어회로(IC1)에서는 자동문개폐 제어용 메인릴레이(RY1)의 코일에 하이레벨을 인가해주게 되는데, 이때 문개폐제어스위치(DCS1)는 도어개방측단자(DO)로 접속되어 있게된다. 이어 제어회로(IC1)는 모터(M)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해 내게 되는데, 이러한 차량의 주행속도는 모터(M)측의 주변에 설치된 모터 구동감지센서(MS1)에 의해 모터(M)의 회전수(R,P,M)를 감지해서 제어회로(IC1)에 인가해 주게되면 제어회로(IC1)가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산출해냄으로써 실행되게 된다. 이어, 제어회로(IC1)는 차량속도가 소정치(예컨대 3㎞/h)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자(C)를 통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해서 문의 개방경보를 위해 부저(BZ)을 구동시킴에 이어 에 소정시간 경과후 단자(C)를 통해 하이레벨신호전압을 출력해서 릴레이(RY2)이 코일측에 인가해 주게 되므로 릴레이(RY2)이 공통단자(C)가 단자(a)측으로 절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B+)이 릴레이(RY2)를 통해 모터(M)의 일단에 인가되게 되며, 이때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유성기어와 링기어에 연결된 래크기어가 푸쉬레버를 밀게 되어 로크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로크가 해제된다. 이러한 로크해제후 모터(M)의 다른단측에는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K,J)로 부터 인가되는 고속구동신호에 의해 모터(M)의 구동전압이 결정되게 되고, 이 경우 모터(M)는 상기 저항(R2, R3)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에 의해 정방향구동되어 문을 열어주게 되며, 문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는 개방정지스위치(OSW1)가 접속되므로 제어회로(IC1)는 상기 단자(N)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저하시켜 릴레이(RY2)를 비구동 상태로 만들게 되므로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개방정지스위치(OSW1)가 비접속상태로 되어 문의 개방상태가 정지되게 된다.
이어, 문이 닫히는 동작에 대해 제 3 도에 도시된 동작수순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문을 닫기 위해 문개폐제어스위치(DCS1)를 단자(DC)측으로 하게 되면, 이 스위치절환신호에 의해 제어회로(IC1)가 폐문동작임을 판별해서 단자(A)로 부터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레벨의 출력이 릴레이(RY3)의 코일측에 인가되므로 이 릴레이(RY3)의 공통단자(C)가 단자(b)측으로 절환접속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B+)으로 부터의 전압이 상기 릴레이(RY3)를 통해 모터(M)에 인가되는데, 이 경우 모터(M)에 인가되는 전압치는 제어회로(IC1)의 단자(K,J)로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 신호전압과 단자(L)로 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신호전압에 의해 릴레이(RY4,RY5,RY6)가 모두 구동됨에 따라 저항(R1,R2,R3)이 모두 접속됨으로써 결정되는 전압치가 모터(M)에 공급되어, 모터(M)가 역방향 회전해서 문을 닫아주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문이 소정구간까지 저항(R1,R2,R3)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치에 의해 폐문구동되고 있다가 제어회로(IC1)에서는 단자(L)로 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해서 릴레이(RY6)의 구동을 중지시켜 저항(R1)을 비접속상태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전압치가 상승하게 되어 모터(M)의 회전수가 상승되므로 문의 닫힘속도가 상승되게 되어, 상기한 로크해제장치의 작용과는 반대순으로 문이 로크상태로 된다. 이어, 문의 완전닫힘상태로 되면 폐쇄정지스위치(CSW1)가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제어회로(IC1)는 단자(H)상의 하이레벨출력을 로우레벨로 전환시키게 되므로 릴레이(RY3)가 비접속상태로 되어 모터(M)에는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로크상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치(예컨대 3㎞/h)이하로 되어 차량의 속도센서(SS1)에서 펄스신호가 인가되더라도 로크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성이 보장되게 된다.
한편, 문이 닫히는 도중 사람이나 물체가 끼이게 되어 문의 작동하중이 안전장치하중 이상으로 되면 도시되지 않은 래크기어에 연결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MSW1)가 접속되고, 이 접속신호에 의해 제어회로(IC1)는 즉시 단자(H)의 출력을 중지시키게 되므로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에 따라 문의 닫힘동작은 현위치에서 정지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용 문의 개폐시 로크장치에 의한 안정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문의 개폐동작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자동문 개폐제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이그니션키스위치(IGK1)와 자동문구동용모터(M) 및 문개폐제어스위치(DCS1)를 구비하여 구성된 차량용 자동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자동문개폐용 메인릴레이(RY1)와, 문의 개폐속도를 감지하는 개폐속도감지센서(SS1), 상기 자동문구동용모터(M)의 구동상태를 감지하는 모터구동감지센서(MS1), 문의 완전개방시에 스위칭접속되는 개방정지스위치(OSW1)와 문의 완전폐쇄시 스위칭접속되는 폐쇄정지스위치(CSW1) 및 마이크로스우치(MSW1)의 상태신호와 상기 문개폐제어스위치(DCS1)의 선택출력, 상기 개폐속도감지센서(SS1) 및 상기자동문구동용모터(M)의 상태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모터정방향구동신호, 모터역방향구동신호, 모터중속구동신호, 고속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IC1), 이 제어회로(IC1)의 단자(N)로 부터 모터정방향구동신호를 인가받아 모터(M)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전원(B+)을 인가해 주는 릴레이(RY2)와,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H)로부터의 모터역방향고동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모터(M)에 대해 역방향구동전압을 인가해 주는 릴레이(RY3),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K,J)로부터의 고속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저항(R1,R3)에 의한 모터(M)의 구동전압을 형성해 주는 릴레이(RY4,RY5), 상기 제어회로(IC1)의 단자(L)로부터의 중속구동신호에 의해 접속되어 저항(R1,R2,R3)에 의해 모터(M)의 구동전압을 형성해 주는 릴레이(RY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KR2019890020598U 1989-12-29 1989-12-29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KR920004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98U KR920004870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98U KR920004870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76U KR910011276U (ko) 1991-07-29
KR920004870Y1 true KR920004870Y1 (ko) 1992-07-20

Family

ID=1929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598U KR920004870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76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018A (en) Manually assistable electric driving device
CN110206440B (zh) 一种汽车电动尾门的撑杆跌落保护系统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920004870Y1 (ko) 차량의 자동문개폐제어장치
JPH1025961A (ja) パワーウインドウ閉め忘れ防止装置
KR960009182Y1 (ko) 차속감응형 파워 윈도우장치
JP2527501Y2 (ja) バックドア用パワーウインドウの制御装置
KR970010999B1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구동제어장치
KR0159690B1 (ko) 창문개방시 키탈거방지장치
KR960009187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KR0173634B1 (ko) 중앙집중식 자동도어 잠금시스템의 고장감지 장치
KR100206425B1 (ko) 시동오프시 도어로크상태 자동해제장치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JP3480093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0113593Y1 (ko) 자동차의 속도감응형 자동 도어 중앙잠금장치
JPS5843548B2 (ja) 車輛用ドア−施錠装置
JPS58131283A (ja) 車両用オ−トドア装置
KR19980019343U (ko) 자동차의 도어 로크 컨트롤 시스템 제어회로
JPH1018700A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2000345768A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H08270315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5282245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9980075929A (ko) 자동차 파워윈도우의 안전장치
JPH11334357A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9990084432A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 해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