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48Y1 -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48Y1
KR920004848Y1 KR2019900008875U KR900008875U KR920004848Y1 KR 920004848 Y1 KR920004848 Y1 KR 920004848Y1 KR 2019900008875 U KR2019900008875 U KR 2019900008875U KR 900008875 U KR900008875 U KR 900008875U KR 920004848 Y1 KR920004848 Y1 KR 920004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stabilizer
leaf spring
leaf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564U (ko
Inventor
김희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848Y1/ko
Publication of KR920000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48Y1/ko

Links

Landscapes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 실시예에 의한 와인드업 진동의 감쇠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통상적인 라이프스프링의 와인드업 진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b)는 본 고안에 의해 와인드업 진동이 감쇠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아이 2 : 새클
3 : 차축 4 : U볼트
5 : 리이프 스프링 6 : 휭치리이프
7 : 보조리이프 8 : 러버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이프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측 리이프스프링에 휭치되어 조정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는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중에서 특히 리이프스프링형식의 것은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리이프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는 쇽업쇼버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가 주행중에 일으키는 고유진동에는 상하진동(BOUNCING), 앞뒤진동(PITCHING), 옆진동(ROLLING), 뒤흔들기(YAWING)등이 있으며, 상술한 리이프스프링은 주로 상하진동에 대한 완충작용을 행한다.
그런데 다른 형식의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자동차가 선회할 때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인한 옆진동 및 차체 기울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테이빌라이저를 채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스테이빌라이저는 토션바아의 특성을 이용하여 좌 우측 차륜이 동시에 상하로 같이 움직일때는 작용하지 않고, 좌 우측 차륜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상하운동할때에 비로소 상기한 토션바아가 비틀리면서 차륜의 위치차이로 인한 차체의 기울기를 완화시켜서 조정안정성을 좋게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토션바아형식의 스테이빌라이저는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는 완충작용을 하는 리이프스프링에 의해 차체가 현수되어 있는 것이므로 스테이빌라이저는 결국 좌 우측 리이프스프링 사이에 횡치될 수 밖에 없고, 이런 경우에 노면 조건에 의한 양 리이프스프링의 높낮이 차이로 인한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게 흡수할 수는 있지만, 조향시에 발생하는 양 리이프스프링의 배치간격 변화에 대처할수 없어서 조정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리이프스프링형식의 차축현가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용 횡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를 제공하여 이 방식의 자동차에 조정안정성을 부여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통상적인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 리이프스프링의 일단부 사이로 리베팅 연결되고, 중앙부에 "U"자상으로 만곡된 신축부가 형성된 횡치리이프에 의해 양 리이프스프링의 작용이 상호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상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스테이빌라이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양단에 스프링아이(1)가 형성되고, 이들 스프링아이(1)로 새클(2)이 연결되어서 도시하지 않은 차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중앙부는 U볼트(3)에 의해 차축(4)으로 고정된 좌 우측 리이프스프링(5)은 통상적인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를 묘사한다.
상기한 양 리이프스프링(5)의 일측단 사이에는 본 고안의 주요부로 되는 횡치리이프(6)가 연결된다.
이 횡치리이프(6)는 그 중앙부에 "U"자상으로 절곡된 신축부(60)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양단은 해당리이프스프링(5)에 리벳팅되어 연결된다.
상기한 횡치리이프(6)는 양 리이프스프링(5)의 완충작용을 엇갈리게 나타날 때 이로 인한 충격이 차체로 가해지지 않도록 변형 흡수한다.
즉, 노면을 통한 충격이 가해져서 양 리이프스프링(5)의 완충작용이 상하방향으로 나타날 때, 그 작용방향이 동일하면 리이프스프링(5)의 차체 탄성력으로 노면의 충격이 흡수되게 작용하고, 그 작용방향이 다르게 나타나면 횡치라이프(6)가 비틀려지면서 양 리이프스프링(5)의 탄성작용이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차체의 흔들림을 감쇠시켜 주게 된다.
또한 조향시에 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양 리이프스프링(5)의 배치간격이 좁혀지거나 넓어짐과 동시에 어느 한쪽 리이프스프링(5)만이 제 2 도의 1 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급격히 펴져서 차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횡치리이프(6)의 신축부(60)가 양 리이프스프링(5)의 사이의 배치간격 변화를 흡수함과 동시에 여기에 연결된 횡치라이프(6)의 한쪽단부는 도면의 화살표 "가" 방향으로 비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반대쪽에 펴지지 않은 다른쪽 리이프스프링(5)은 횡치리이프(6)의 다른쪽 단부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비틀어지려는 힘을 받아서 펴지게 되므로 차체가 급격히 한쪽으로 치우져 기울어지는 현상이 완화되어 조종안정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양 리이프스프링(5)은 각각 하단에 보조리이프(7)를 갖추고 있으며, 상술한 횡치리이프(6)는 이 보조리이프(7)의 일측단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보조리이프(7)는 그 상측이 리이프스프링(5)이 갖는 탄성계수를 보강하여 주는 것이므로 무거운 하중이 차체에 실려 있는 경우에 스테이빌라이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 1 도에 예시된 실시예를 기본으로 하되, 양 리이프스프링(5)과 횡치리이프(6)사이로 완충고무(8)를 개재시킨 예를 묘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에서는 제 5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상반된 위상의 A,B로 와인드업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술한 완충고무(8)는 제 5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동의 상한부 A를 감쇠시키는 매스 댐퍼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 리이프스프링의 작용방향이 달라짐에 따른 차체의 상하진동은 물론, 조향시에 발생하는 양 리이프스프링의 배치간격 변화를 흡수완화할수 있어서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유지하여 주는 실용성을 얻을수 있다.

Claims (2)

  1. 양단의 스프링아이(1)로 연결되는 새클(2)을 개재하여 차체를 지지하고, 그 중앙부는 U볼트(4)에 의해 차축(3)으로 고정되는 양 리이프스프링(5)으로 이루어진 리이프스프링형식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양 리이프스프링(5)의 일단부 사이로 리베팅 연결되고, 중앙부에 "U"자상으로 만곡된 신축부(60)가 형성된 횡치리이프(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횡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횡치리이프(6)의 양단부에 완충고무(8)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횡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KR2019900008875U 1990-06-22 1990-06-22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KR920004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875U KR920004848Y1 (ko) 1990-06-22 1990-06-22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875U KR920004848Y1 (ko) 1990-06-22 1990-06-22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64U KR920000564U (ko) 1992-01-27
KR920004848Y1 true KR920004848Y1 (ko) 1992-07-20

Family

ID=1930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875U KR920004848Y1 (ko) 1990-06-22 1990-06-22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64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712A (en) Dual trailing arm vehicle suspension
JP2959958B2 (ja) 懸架装置の板ばねの共振振動を吸収する方法及び装置
KR920004848Y1 (ko)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US6431532B1 (en) Variable geometry dampen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 including same
JPH01190515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KR100302714B1 (ko) 차량의차축식현가장치
KR10020052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트로크 증가장치
KR200488903Y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00655331B1 (ko) 지게차의 액슬빔 지지장치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0580486B1 (ko) 이중 작용 요소를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52428B1 (ko)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KR10045228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200174692Y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100193516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KR20015027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90012402U (ko) 차량의 현가장치
JP2895384B2 (ja) チルトキャブトラックのキャブマウント装置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980007139U (ko) 자동차의 현가 장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