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03Y1 - 자동차용 스트럿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트럿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03Y1
KR200488903Y1 KR2020170005429U KR20170005429U KR200488903Y1 KR 200488903 Y1 KR200488903 Y1 KR 200488903Y1 KR 2020170005429 U KR2020170005429 U KR 2020170005429U KR 20170005429 U KR20170005429 U KR 20170005429U KR 200488903 Y1 KR200488903 Y1 KR 200488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r
members
strut ba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연
Original Assignee
이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연 filed Critical 이우연
Priority to KR2020170005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60G2400/61Loa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주행시 노면에 의한 차체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체결용 보스가 모서리에 형성되는 다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 체결용 보스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바;
상기 제1,2고정부재중 어느 하나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일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나머지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타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2탄성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트럿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트럿바{a strut bar of automobile}
본 명세서는 스트럿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시 노면에 의한 차체의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한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차체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현가장치는 주행중 차축 측으로부터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보통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소위 "쇼바"를 말함)가 사용된다.
자동차용 스트럿바(strut bar)는, 차량 현가장치의 마운팅커버위에 좌우로 볼트에 의해 장착되어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주행시 차체(차체는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론트바디(front body), 차실내를 형성하는 센터바디(center body) 및 트렁크를 형성하는 리어바디(rear body)로 분할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짐)가 받는 비틀림 또는 코너링시 쏠림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특히, 과격한 코너링시 또는 비포장 노면을 주행시 스트럿바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 균형을 잡아 차체가 받는 비틀림 또는 쏠림을 차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상쇄시키도록 하여 안전운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사용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스트럿바(일 예로서, 프론트바디에 설치되는 스트럿바를 말함)(A)는
바디(1)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의 마운팅커버(2,3)와,
마운팅커버(2,3)위에 보스(b)가 볼트(4)에 의해 고정되는 삼각형 형태의 장착단(5,6)과,
양단에 나사공(7)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태의 빔으로 이루어지며, 바디(1)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가로부재(8)와,
장착단(5,6)의 단위부재(5a,6a)를 관통하여 나사공(7)에 나사결합되어 가로부재(8) 양단을 장착단(5,6)에 고정시키는 볼트(9)를 구비한다.
종래 기술의 스트럿바(A)는 내부가 빈 사각형태의 빔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성이 약하고 탄성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과격한 코너링시 또는 비포장 노면을 주행시 차량의 흔들림, 쏠림현상, 또는 차체가 받는 비틀림을 줄이기 위해 스트럿바(A)가 고유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신뢰성 및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가로부재(8) 양단에 장착단(5,6)이 볼트(9)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주행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9)가 이완되어 가로부재(8)와 장착단(5,6)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철면을 주행하거나 코너링시 차체의 좌우 불균형으로 인해 차체가 뒤틀리거나 차량의 쏠림현상을 초래하여 승차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가로부재(8)를 장착단(5,6)에 고정하기 위해 가로부재(8) 양단에 나사공(7)을 형성하고, 나사공(7)에 대응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 표기됨)을 단위부재(5a,6a)에 형성한 후, 볼트(9)를 관통공을 통과시켜 나사공(7)에 나사결합시키는 작업공정으로 인해 스트럿바(A)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4588호(2000.06.22.등록)에 차량용 스트럿바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코너링시 또는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 등으로 인해 차체가 요동되는 경우, 차체에 전달되는 비틀림을 차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유도하여 안전운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트럿바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주행시 차체의 비틀림 또는 쏠림방향으로 봉형태의 바디가 절곡되어 강성을 확보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트럿바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체결용 보스가 모서리에 형성되는 다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 체결용 보스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바;
상기 제1,2고정부재중 어느 하나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일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나머지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타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2탄성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트럿바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자동차용 스트럿바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게 된다.
코너링시 또는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 등으로 인해 차체가 요동되는 경우, 차체에 전달되는 비틀림 또는 쏠림을 차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상쇄시킴에 따라 안전운전 및 승차감이 향상되어 운전자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하고, 실용성을 갖게 되므로 동업종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게 된다.
또한, 스트럿바의 바디가 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성을 확보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주행시 차체의 비틀림 또는 쏠림방향으로 바디가 절곡됨에 따라 스트럿바의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바디 및 바디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상호용접하여 연결부가 이완되거나 유격이 발생되지않아 주행시 스트럿바가 탄성력을 발휘하는 고유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럿바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럿바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럿바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트럿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A)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10)(일 예로서, 렌찌볼트가 사용됨)가 고정되는 체결용 보스(11,12,13)가 모서리에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태(일 예로서, 삼각형태를 이룸)의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
제1,2고정부재(14,15)의 일측 체결용 보스(11)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의 임의길이를 갖는 직선부(16)와, 직선부(16)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17,18)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봉형태(일 예로서, 원형, 육각형상을 말함)로 형성되는 제1탄성바(19)(일 예로서, 탄소강(carbon steel)이 사용될 수 있음);
제1,2고정부재(14,15)중 어느 하나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일단의 체결용 보스(20)가 체결부재(10)(일 예로서, 렌찌볼트가 사용됨)에 의해 고정되고, 나머지 제1,2고정부재(14,15)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타단의 체결용 보스(21)가 체결부재(10)(일 예로서, 렌찌볼트가 사용됨)에 의해 고정되며, 중앙의 임의길이를 갖는 직선부(22)와, 직선부(22)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23,24)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봉형태(일 예로서, 원형, 육각형상을 말함)로 형성되는 제2탄성바(25)(일 예로서, 탄소강(carbon steel)이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6은 차체 현가장치의 마운팅커버(2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좌우 대칭형을 이루고, 삼각형태로 형성된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의 모서리에 체결용 보스(11,12,13)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체결용 보스(11,12,13)중 일측 보스(11)에 제1탄성바(19)의 양단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제1탄성바(19)는 주행시 상하 방향으로 발생되는 차체의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호 형태를 이루도록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에 고정된다.
중앙의 직선부(22) 및 좌우 대칭형 경사부(23,24)로 이루어진 제2탄성바(25)의 일단에 체결용 보스(20)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제2탄성바(25)의 타단에 체결용 보스(21)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제2탄성바(25)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용 보스(20)를 제1고정부재(14)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체결부재(10)에 의해 고정하되, 제2탄성바(25)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용 보스(21)를 제2고정부재(15)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체결부재(10)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제2탄성바(25)는 코너링시 전후 방향으로 발생되는 차체의 쏠림을 억제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호 형태를 이루도록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바(19) 및 제2탄성바(25)의 양단을 용접에 의해 제1,2고정부재(14,15)의 체결용 보스(11)에 일체로 고정시킴에 따라, 제1,2고정부재(14,15)에 대한 제1,2탄성바(19,25)의 연결부가 주행시(비포장노면을 장기간 주행하거나 급격하게 코너링하는 경우를 말함) 이완되거나 유격이 발생되지않아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트럿바(A)의 고유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삼각형태의 제1,2고정부재(14,15)와, 제1,2고정부재(14,15)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직선부(16)(22) 및 직선부(16,22) 양단에 연장형성된 좌우 대칭형 경사부(17,18)(23,24)로 이루어진 제1,2탄성바(19,25)를 구비하는 스트럿바(A)를 자동차(일 예로서, 올뉴카니발 기종을 말함)의 현가장치의 마운팅커버(27) 상부에 장착한다.
즉, 제1,2고정부재(14,15)의 관통공(26)에 좌측 및 우측 마운팅커버(27)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스트럿바(A)를 안착시킨 후, 삼각형태의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에 형성된 체결용 보스(11,12,13)를 체결부재(10)에 의해 차체에 장착시킨다.
이때, 자동차의 현가장치(도면부호 미 표기) 및 스트럿바(A)는 이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는 기술내용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스트럿바(A)의 제1,2고정부재(14,15)는 리어바디(후륜측)측 현가장치의 마운팅커버(도면부호 미 표기)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바(A)에 의하면,
자동차의 좌측 및 우측 쇼크업소버의 마운팅커버(27) 상측에 설치되는 스트럿바(A)의 제1탄성바(19)가 상하 방향으로 호 형태를 이루도록 제1,2고정부재(14,15)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비포장 노면을 장기간 주행시 상하 방향으로 발생되는 차체의 되틀림 또는 휨변형됨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현가장치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킴에 따라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럿바(A)를 이루는 제2탄성바(25)가 전후 방향으로 호 형태를 이루도록 제1,2고정부재(14,15)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급격한 코너링시 차체의 좌우 균형을 맞춤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차량의 흔들림, 또는 쏠림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에 따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체결부재
11,12,13; 체결용 보스
14; 제1고정부재
15; 제2고정부재
16; 직선부
17,18; 경사부
19; 제1탄성바
20,21; 체결용 보스
22; 직선부
23,24; 경사부
25; 제2탄성바
26; 관통공
27; 마운팅커버

Claims (2)

  1.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체결용 보스가 모서리에 형성되는 삼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 체결용 보스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져, 상하 방향으로 완만한 호 형태를 이루도록 한,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바;
    상기 제1,2고정부재중 어느 하나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일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나머지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일측변 임의위치에 타단의 체결용 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중앙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 양단에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좌우 대칭형 경사부로 이루어지져, 전후 방향으로 완만한 호 형태를 이루도록 한, 봉형태로 형성되는 제2탄성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트럿바.

  2. 삭제
KR2020170005429U 2017-10-20 2017-10-20 자동차용 스트럿바 KR200488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9U KR200488903Y1 (ko) 2017-10-20 2017-10-20 자동차용 스트럿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9U KR200488903Y1 (ko) 2017-10-20 2017-10-20 자동차용 스트럿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03Y1 true KR200488903Y1 (ko) 2019-04-04

Family

ID=6610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29U KR200488903Y1 (ko) 2017-10-20 2017-10-20 자동차용 스트럿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0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515B1 (en) * 2006-09-11 2009-04-07 Victor O Design, Llc Strut bar
US20150166108A1 (en) * 2013-12-18 2015-06-18 Volvo Car Corporation Front structure arrangement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515B1 (en) * 2006-09-11 2009-04-07 Victor O Design, Llc Strut bar
US20150166108A1 (en) * 2013-12-18 2015-06-18 Volvo Car Corporation Front structure arrangement of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516B1 (ko) 상용차용 캡 마운팅장치
US5558361A (en)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heels of a low-body bus
KR200488903Y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947386B1 (ko) 차량용 가변 롤 제어 장치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JPH0129127Y2 (ko)
KR20070032591A (ko) 리프 스프링 장치
KR200491248Y1 (ko) 자동차용 차축 롤링 방지장치
JP6275992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33731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아 스톱퍼
KR20090055973A (ko) 차량의 토션빔
KR100224438B1 (ko)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장착구조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100391607B1 (ko) 버스의 현가장치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920004848Y1 (ko)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KR100193516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KR20110139605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유닛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0422834B1 (ko) 맥퍼슨식 현가 장치용 스트럿 바 조립체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