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516B1 -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516B1
KR100193516B1 KR1019960071632A KR19960071632A KR100193516B1 KR 100193516 B1 KR100193516 B1 KR 100193516B1 KR 1019960071632 A KR1019960071632 A KR 1019960071632A KR 19960071632 A KR19960071632 A KR 19960071632A KR 100193516 B1 KR100193516 B1 KR 10019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fixed
bush
damping plate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615A (ko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7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5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516B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의 중앙부를 부시에 의해 크로스 멤버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롤링뿐만 아니라 좌우측 바퀴가 동시에 상하진동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쇠하여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 조인트에 의해 양 단부(30a), (30a')는 로어 아암에 고정하며 중앙부(30b)는 부시(32), (32')를 끼워 클램프(34), (34')로 크로스 멤버(42)에 고정하는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는 용접부(44)를 통해 부시(32), (32')사이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30)의 중앙부(30b)에 고정되는 댐핑 플레이트(40)와, 일단은 상부 부시(46)를 개재하여 댐핑 플레이트(40)상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36)와, 일단은 하부 부시(48)를 개재하여 댐핑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38)를 포함하는 구조를 지닌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태빌라이저의 중앙부를 부시에 의해 크로스 멤버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롤링뿐만 아니라 좌우측 바퀴가 동시에 상하진동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쇠하여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감쇠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차감을 좋게 유지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현가장치를 지닌 차량이, 선회하거나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기울기가 심하게 변화됨으로써,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롤링(rolling)현상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는 이러한 차체의 롤링을 감소시켜 가능한 빨리 차량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좌우측 바퀴가 각기 상하로 운동하면 스태빌라이저가 비틀리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켜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통상, 스태빌라이저의 양단은 볼 조인트에 의해 로어 아암에 고정되며 중앙은 부시를 끼워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는 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제1도를 참고로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스태빌라이저(14)에 부시(12)를 끼워 크로스 멤버(10)에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조립 시에는 스태빌라이저(14)에 끼워진 부시를 크로스 멤버(10)상에 배치한 다음, 클램프(16)의 일단(16a)을 크로스 멤버(10)에 걸어 맞춤한 상태에서 타단(16b)에 고정볼트(18)를 끼워 크로스 멤버(10)에 부착된 용접너트(20)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에서는 차량이 주행중에 좌우측 바퀴가 각기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으나, 좌우측 바퀴가 동시에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의 중앙부를 부시에 의해 크로스 멤버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롤링뿐만 아니라 좌우측 바퀴가 동시에 상하진동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쇠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스태빌라이저 32 : 부시
34 : 클램프 36, 38 : 상부, 하부 플랜지
40 : 댐핑 플레이트 42 : 크로스 멤버
44 : 용접부 46, 48 : 상부, 하부 부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볼 조인트에 의해 양 단부는 로어 아암에 고정하며 중앙부는 부시를 끼워 클램프로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는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에 있어서, 용접부를 통해 부시 사이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댐핑 플레이트와, 일단은 상부 부시를 개재하여 댐핑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와, 일단은 하부 부시를 개재하여 댐핑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구정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바퀴가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롤링뿐만 아니라, 양 바퀴가 동시에 요동하는 바운싱의 경우에도 이를 감쇠함으로써,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30)의 양 단부(30a), (30a')는 볼 조인트를 개재하여 로어 아암에 고정되며, 중앙부(30b)에는 2개의 부시(32), (32')를 끼운 다음, 이들 부시(32), (32')에는 각각 클램프(34), (34')를 끼워서 크로스 멤버(42)에 고정한다. 또한, 이들 2개의 부시(32), (32')사이에는 본 발명의 댐핑 플레이트(40)가 고정된다. 댐핑 플레이트(40)는 상부 플랜지(36)를 통해 크로스 멤버(42)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데, 이를 다음의 제 3도에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스태빌라이저(30)의 일측면에는 용접부(44)를 통해 고정된 댐핑 플레이트(40)가 고정되어 있으며, 댐핑 플레이트(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부시(46)와 하부 부시(48)를 개재하여 상부 플랜지(36)와 하부 플랜지(38)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부 플랜지(36)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시(46)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38)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시(46)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부 플랜지(36)와 마찬가지로,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 좌우측 바퀴가 각기 상하로 진동하는 롤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30)의 중앙부(30b)에 설치한 부시(32), (32')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여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좌우측 바퀴가 동시에 상하로 진동하는 바운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30)의 양단부(30a, 30a')는 화살표(P)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중앙부(30b)는 화살표(Q)방향으로 진동한다. 그에 따라, 2개의 부시(32), (32')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댐핑 플레이트(40)와 접촉되어 있는 상부 부시(46)와 하부 부시(48)에 의해 스태빌라이저(30)의 진동을 감쇠함으로써, 신속히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는 좌우측 바퀴가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롤링뿐만 아니라, 양 바퀴가 동시에 요동하는 바운싱의 경우에도 이를 감쇠함으로써,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볼 조인트에 의해 양 단부(30a), (30a')는 로어 아암에 고정하며 중앙부(30b)는 부시(32), (32')를 끼워 클램프(34), (34')로 크로스 멤버(42)에 고정하는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에 있어서, 용접부(44)를 통해 상기 부시(32), (32')사이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30)의 중앙부(30b)에 고정되는 댐핑 플레이트(40)와, 일단은 상부 부시(46)를 개재하여 상기 댐핑 플레이트(40)상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36)와, 일단은 하부 부시(48)를 개재하여 상기 댐핑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며, 타단은 크로스 멤버(42)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
KR1019960071632A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19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632A KR100193516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632A KR100193516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15A KR19980052615A (ko) 1998-09-25
KR100193516B1 true KR100193516B1 (ko) 1999-06-15

Family

ID=6638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632A KR100193516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5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1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5420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ロッド
KR100193516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491248Y1 (ko) 자동차용 차축 롤링 방지장치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452428B1 (ko)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20052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트로크 증가장치
KR0139014Y1 (ko)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9980054178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스테빌라이저
KR100224438B1 (ko)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장착구조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46414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28530U (ko)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장착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KR19980028527U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920004848Y1 (ko)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KR20070017642A (ko)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KR19980013349U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져 바아 고정구조
KR19980028529U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64648U (ko) 각형 파이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