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14Y1 -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14Y1
KR0139014Y1 KR2019960037763U KR19960037763U KR0139014Y1 KR 0139014 Y1 KR0139014 Y1 KR 0139014Y1 KR 2019960037763 U KR2019960037763 U KR 2019960037763U KR 19960037763 U KR19960037763 U KR 19960037763U KR 0139014 Y1 KR0139014 Y1 KR 013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lower arm
head portion
fixe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374U (ko
Inventor
박정도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0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로시험도중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를 갖는 몸체(18)와, 상기 헤드부(14),(16)에 일측이 피봇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일측이 스태빌라이저(10) 및 로어 아암(22)에 삽입고정되는 지지축(14a),(1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본 고안은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로시험도중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감쇠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차감을 좋게 유지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현가장치를 지닌 차량이, 선회 하거나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기울기가 심하게 변화됨으로써,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롤링(Rolling)현상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는 이러한 차체의 롤링을 감소시켜 가능한 빨리 차량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좌우측 바퀴가 각기 상하로 운동하면 스태빌라이저가 비틀리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켜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통상 스태빌라이저의 양단은 볼 조인트에 의해 로어 아암에 고정되며 중앙은 부시를 끼워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는 볼 조인트에 의하여 로어 아암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의 인장강도나 피로시험을 통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하는 볼 조인트가 하중에 의하여 파손됨으로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 이탈되고,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로시험도중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가 스태빌라이저 및 로어 아암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태빌라이저12 : 체결공
14 : 제 1헤드부16 : 제 2헤드부
18 : 몸체22 : 로어 아암
24 : 체결공26 : 너트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 제 1헤드부 및 제 2헤드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헤드부에 일측이 피봇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일측이 스태빌라이저 및 로어 아암에 삽입고정되는 지지축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가 스태빌라이저 및 로어 아암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차체의 롤링을 감소시켜 가능한 빨리 차량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태빌라이저(10)가 구비되고, 이 스태빌라이저(10)의 양측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된다. 양측에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를 갖는 몸체(18)가 구비되고, 이 헤드부(14),(16)에는 일측이 피봇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지지축(14a),(16a)이 구비된다. 지지축(14a),(16a)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에서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지지축(14a),(16a)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구성된다. 제 1헤드부(14)에서 외측으로 돌출성된 지지축(14a)은 스태빌라이저(10)의 체결공(12)에 삽입되어 너트(26)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 2헤드부(16)에서 외측으로 돌출성된 지지축(16a)은 로어 아암(22)의 체결공(24)에 삽입되어 너트(26)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가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제 1헤드부(14)의 지지축(14a)을 스태빌라이저(10)의 체결공(1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 2헤드부(16)의 지지축(16a)을 로어 아암(22)의 체결공(24)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헤드부(14),(16)의 지지축(14a),(16a) 자유단이 스태빌라이저(10)의 체결공(12) 및 로어 아암(22)의 체결공(24)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때 너트(26)를 지지축(14a),(16a)의 자유단에 체결한 상태에서 너트(26)를 소정토오크로 회전시키면 지지축(14a),(16a)이 스태빌라이저(10)와 로어 아암(22)에 고정된다.
일측이 피봇결합된 지지축(14a),(16a)를 갖는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가 양측에 구비된 지그가 스태빌라이저(10) 및 로어 아암(22)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충격에 의하여 스태빌라이저(10)가 로어 아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피로시험도중 볼 조인트로 하중이 전달됨에 볼 조인트의 케이스가 파손됨으로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서 이탈되었지만, 본 고안은 양단에 제 1헤드부(14) 및 제 2 헤드부(16)가 형성되고, 이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에는 일측이 피봇결합된 지지축(14a),(16a)이 돌출구성된 지그가 스태빌라이저(10)와 로어 아암(22)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피로시험도중 스태빌라이저(10)가 로어 아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태빌라이저(10)를 로어 아암(22)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는 양단에 제 1헤드부 및 제 2 헤드부가 형성되고, 이 제 1헤드부 및 제 2헤드부에는 일측이 피봇결합된 지지축이 돌출구성된 지그를 구비하여 피로시험도중 스태빌라이저가 로어 아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태빌라이저를 로어 아암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구성 및 각종 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에 제 1헤드부(14) 및 제 2헤드부(16)를 갖는 몸체(18)와,
    상기 헤드부(14),(16)에 일측이 피봇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일측이 스태빌라이저(10) 및 로어 아암(22)에 삽입고정되는 지지축(14a),(1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KR2019960037763U 1996-10-31 1996-10-31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KR013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763U KR0139014Y1 (ko) 1996-10-31 1996-10-31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763U KR0139014Y1 (ko) 1996-10-31 1996-10-31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74U KR19980024374U (ko) 1998-07-25
KR0139014Y1 true KR0139014Y1 (ko) 1999-05-15

Family

ID=1947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763U KR0139014Y1 (ko) 1996-10-31 1996-10-31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0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73B1 (ko) * 2012-10-31 2014-06-09 대원강업 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내구시험기용 범용 링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73B1 (ko) * 2012-10-31 2014-06-09 대원강업 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내구시험기용 범용 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74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6988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KR0139014Y1 (ko)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JPH11321260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ロッド
KR100193516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224489B1 (ko) 텐션로드의 위치 고정장치
KR10033731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아 스톱퍼
KR101125394B1 (ko) 볼 조인트
KR100410929B1 (ko)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 구조
KR20070032138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9980018232U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235185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KR100362399B1 (ko) 슬립 방지용 오일리스형 스트럿 베어링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90019816U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로워아암 부시
KR20050038725A (ko) 볼조인트형 자동차용 부시
KR19980054438U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구조
KR19990027508A (ko) 자동차용 컨트롤 암 부시 내구성 시험장치
KR19990020006A (ko) 볼조인트 리테이너
KR19980032797U (ko) 현가장치의 부시
KR19980038926A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축의 접합구조
KR19980050529A (ko) 스태빌라이저 고정기구
KR20050060873A (ko)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의 소음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