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74Y1 -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 Google Patents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74Y1
KR920003674Y1 KR2019890020451U KR890020451U KR920003674Y1 KR 920003674 Y1 KR920003674 Y1 KR 920003674Y1 KR 2019890020451 U KR2019890020451 U KR 2019890020451U KR 890020451 U KR890020451 U KR 890020451U KR 920003674 Y1 KR920003674 Y1 KR 920003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rque sensor
shaft
fixe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538U (ko
Inventor
김성국
이민규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674Y1/ko
Publication of KR910011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상부브라켓
3 : 하부브라켓 4 : 유니버셜죠인트
5 : 축 6, 13 : 기어
7 : 토크센서 피동축 8 : 피동기어
9 : 토크센서 11 : 액츄에이터
14 : 구동축 15 : 구동기어
16 : 스프로켓 17 : 모터
본 고안은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크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조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전동지게차의 조향장치로서 파우어 스티어링(Power Steering)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하이드록릭 파우어 스티어링(Hydraulic Power Steering)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록릭 파우어 스티어링 시스템은 토크발생기, 펌프, 펌프용모터, 및 요압라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동지게차에 있어서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를 사용한 경우도 있으나 지금까지는 입승식 전동지게차에만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를 사용하였고 또한 그 구조도 다소 복잡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좌승식 전동지게차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강력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과, 유니버셜 죠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축의 하부에 고정되는 기어와, 상기 상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크센서 피동축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와,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토크센서와, 상기 토크센서에 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된 동력증폭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동력증폭용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을 고정된 기어와, 상기 상·하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축의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부브라켓(2)과 하부브라켓(3)이 고정되어 있고, 통상의 핸들(도시안됨)이 설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4)에는 상부 브라켓(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5)의 하부에는 기어(6)가 고정되어 있고, 상부 브라켓(2)에는 토크센서 피동축(7)이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7)의 상부에는 상기 기어(6)와 맞물리게 되는 피동기어(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6)와 상기 피동기어(8)는 소음과 진동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한 기어비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7)의 하부에는 통상의 토크센서(9)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토크센서(9)에는 콘트롤러, 커넥터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크센서(9)는 작업자(운전자)의 핸들 회전력을 감지하게 되는 바, 핸들 회전력이 유니버셜 죠인트(4), 기어(6) 및 피동기어(8)를 통해 토크센서 피동축(7)에 전달되는 경우 토크센서 피동축(7)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크센서(9)가 토크센서 피동축(7)의 회전을 감지하게 되면 이 감지된 신호를 토크센서(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통상의 콘트롤러(도시안됨)를 통해 모터(1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토크센서(9)에는 커플링(10)을 개재하여 통상의 동력증폭용 액츄에이터(1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11)는 하부 브라켓(3)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모터(17)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7)에 전달된 회전력을 증폭시켜서 액츄에이터축(12)을 상기 증폭된 힘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축(12)의 하부에는 기어(1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라켓(2), (3) 사이에는 구동축(14)이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4)의 하부에는 상기 기어(13)에 맞물리게 되는 구동기어(1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14)에는 스프로켓(16)을 고정하여 동일형상의 조향장치를 구동하는 체인(도시안됨)이 연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면 유니버셜죠인트(4)가 회전하고 이어서 기어(6)와 피동기어(8)의 맞물림에 의해서 토크센서 피동축(7)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핸들 회전력이 토크센서 피동축(7)을 회전시키는 순간 토크센서(9)가 핸들 회전력과 방향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를 통해 모터(17)에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모터(17)가 구동하여 액츄에이터(11)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1)는 핸들 회전력을 증폭시켜 액츄에이터축(12)에 큰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축(12)의 큰 회전력이 기어(13), 구동기어(15), 구동축(14)의 스프로켓(16)에 전달되어 상기 스프로켓(16)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이 조향장치를 큰 힘으로 구동시키게 되므로 용이하게 조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11)에 의해 증폭된 힘은 토크센서 피동축(7), 피동기어(8), 기어(6), 축(5), 유니버셜 죠인트(4)를 통해 핸들에 전달되므로 극히 작은 힘으로 전동지게차의 구동륜을 조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토크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좌승식 전동 지게차에 적용함으로써 좌승식 전동 지게차의 조향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2), (3)과, 유니버셜죠인트(4)에 연결되어 있는 축(5)의 하부에 고정되는 기어(6)와, 상기 상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크센서 피동축(7)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피동기어(8)와,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토크센서 피동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토크센서(9)와, 상기 토크센서에 커플링(10)을 개재하여 설치된 동력 증폭용 액츄에이터(11)와, 상기 동력증폭용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모터(17)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12)에 고정된 기어(13)와, 상기 상·하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4)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13)에 맞물리는 구동기어(15)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켓(16)을 포함하는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장치.
KR2019890020451U 1989-12-29 1989-12-29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KR920003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451U KR920003674Y1 (ko) 1989-12-29 1989-12-29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451U KR920003674Y1 (ko) 1989-12-29 1989-12-29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38U KR910011538U (ko) 1991-07-29
KR920003674Y1 true KR920003674Y1 (ko) 1992-06-08

Family

ID=1929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451U KR920003674Y1 (ko) 1989-12-29 1989-12-29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38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42330A (ja) 自動車の舵取り装置
EP1072498A3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0810142A3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CN112606900A (zh) 一种电转向系统、转向控制方法及电动叉车
KR920003674Y1 (ko) 좌승식 전동지게차의 일렉트릭 파우어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장치
EP2370341B1 (en) Articulated vehicles
EP1167161A3 (en) Hydraulically powered steering apparatus with electrically powered backup
JPH0714109Y2 (ja) 動力舵取装置
JP3922934B2 (ja) 車両の操舵装置
JPH1023632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16805584U (zh) 一种谐波助力转向系统
CN216269506U (zh) 一种电动堆垛车电助力转向装置
RU2721452C1 (ru) 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JP2952910B2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100349396B1 (ko) 와이어 스티어링장치용 조향 보조장치
KR100408775B1 (ko)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CN114013502A (zh) 一种电动堆垛车电助力转向装置
CN114408017A (zh) 一种谐波助力转向系统
KR200285629Y1 (ko) 자동 조향장치
JPS63112270A (ja) 電動式動力操舵装置
JP2522902Y2 (ja) 四輪操舵装置
JPH10674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旋回角度検出装置
JP2561427Y2 (ja) リーチ式リフトトラックのロードホイール駆動装置
JPS641855Y2 (ko)
JPS62225468A (ja) 4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