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749B1 - 코오드레스 아이론 - Google Patents

코오드레스 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749B1
KR920002749B1 KR1019880010854A KR880010854A KR920002749B1 KR 920002749 B1 KR920002749 B1 KR 920002749B1 KR 1019880010854 A KR1019880010854 A KR 1019880010854A KR 880010854 A KR880010854 A KR 880010854A KR 920002749 B1 KR920002749 B1 KR 92000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temperature
signal
heating
pul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025A (ko
Inventor
신이찌 이또오
케이이찌 오기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9/00Accessories for hand ir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9/00Accessories for hand irons
    • D06F79/02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 D06F79/023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with means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iron
    • D06F79/026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with means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iron for cordless ir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2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6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 G05D23/190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whose output amplitude can only take two discrete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r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오드레스 아이론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코오드레스 아이론의 블록도.
제2도는 동 아이론의 회록블록도.
제3도는 동 아이론의 온도검지회로부의 구체회로도.
제4a∼c도는 제3도의 회로의 요부전압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온도와 검지시간의 특성도.
제6a∼c도는 동 아이론의 신호검지회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회로도.
제7도는 온도제어회로부의 동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제8도는 종래의 코오드레스 아이론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이론 본체 11 : 베이스
12 : 히이터 13 : 감열소자
14 : 온도검지회로부 15 : 스탠드부
16 : 신호검지회로부 17 : 온도제어회로부
20 : 릴레이 회로 P1∼P8: 전극
SW : 스위치
본 발명은 아이론 본체부에 전원 코오드를 갖지 않고, 아이론 본체부를 스탠드부에 세트하면, 아이론 본 체부에 내장된 히이터에 스탠드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코오드레스 아이론은, 아이론 본체부에 내장된 감열소자(感熱素子)로부터의 신호를 스탠드부의 온도제어부로 전송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을 제8도에 도시한다. (1)은 아이론의 베이스, (2)는 아이론의 베이스(1)를 가열하는 히이터, (3)은 베이스(1)의 온도를 검지하는 감열소자, (4)는 아이론 본체부로서, 전원 코오드는 붙어있지 않으며, 히이터(2)는 전극(P1), (P2)에 의해서 스탠드부(6)의 전극(P3), (P4)에 접속되고, 온도제어회로(5)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어 온도가 제어된다.
스텐드부(6)에는 전원 코오드(7)가 붙어 있으며, 이에 의해 히이터(2)에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아이론 본체부(4)에 내장된 감열소자(3)의 신호는, 전극(P5), (P6)에 의해서 스탠드부(6)의 온도제어회로(5)의 전국(P7), (P9)에 접속되어, 아이론 본체부(4)의 온도신호가 스탠드부(6)의 온도제어회로(5)에 입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것은, 감열소자(3)에 흐르는 전류가 미약(수 μA)하고, 전압도 작은 것(5V정도)이기 때문에, 온도신호를 정송하는 전극(P5), (P7)과 (P6), (P9)의 도통이 불량하게 되어, 정상적인 온도제어를 행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도통불량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온도제어를 행할 수 있는 코오드레스 아이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수단은, 아이론 본체부에 감열소자와 감열소자의 출력에 의해 펄스간격이 변화하는 온도검지회로부를 가지고, 스탠드부에는 펄스신호를 검지하는 신호검지회로부와 신호검지회로부의 출력펄스의 간격을 계시하여, 온도제어하는 온도제어회로부를 배설하고, 아이론 본체부의 온도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스탠드부쪽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기술적 수단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아이론 본체부에 있어서는 베이스의 온도를 감열소자로 검지하고, 이 온도신호에 따라서 온도검지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회로부의 스위칭주기가 변화하며, 스위치 온 하였을 때의 임피이던스 변화에 의한 전류변화를 신호검지회로를 구성하는 전류검지회로부에서 검지하고, 이에 의해 스위칭의 주기를 검출하여 온도검지를 행하는 것으로서, 도통불량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온도제어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0)은 아이론 본체부로서, 아이론의 베이스(11)를 가열하는 히이터(12)와, 베이스온도를 검지하는 감열소자(13)와, 감열소자(13)의 신호에 의해 회로임피이던스가 변화하는 스위칭회로로 구성되는 온도검지회로부(14)와, 스탠드부와 접속하며 히이터(12) 및 온도검지회로부(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P1)∼(P4)을 가지고 있다. (15)는 아이론 본체부(10)가 자유롭게 붙이고 땔수 있도록 접속되어 세트되는 스탠드부로서, 아이론 본체부(10)의 전극(P1)∼(P4)에 접속되는 전극(P5)∼(P8)과, 상기 온도검지회로부(14)의 임피이던스가 변화하는 것으로 인한 전류변화를 검지하는 신호검지회로부(16)와, 이 신호검지회로부(16)의 신호를 받아, 상기 히이터 (12)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온도제어회로부(17)를 가지고 있다. (18)은 스탠드부(15)의 전원 코오드이다.
제2도는 아이론 본체부(10)와 스탠드부(15)의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아이론 본체부(10)를 스탠드부(15)에 설치하여 온도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감열소자(13)는 베이스(11)의 온도를 검지하여 온도검지회로부(14)에 온도신호를 입력시키고 있다. 온도검지회로부(14)는 스위칭회로로 구성되어, 감열소자(13)의 온도신호에 따라서 스위칭주기가 변화하여, 스위치온시에 회로임피이던스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감열소자(13)의 신호에 대응한 주기에서 온도검지회로부(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는 커지고, 이 전류를 스탠드부(15)의 신호검지회로부(16)에서 검출한다. 이 신호검지회로부(16)의 신호는, 온도제어회로부(17)에 입력되어 있다. 온도제어회로부(17)는, 전류변화의 주기를 검출하고, 아이론 본체부(10)의 베이스(11)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낮은지 판정해서, 낮을 경우에는 온도제어회로부(17)에 내장하고 있는 릴레이를 온해서 스위치(SW)를 닫고, 높을 경우에는 릴레이를 오프해서 스위치(SW)를 연다. 이에 의해 히이터(12)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베이스(11)의 가열이 끝나면 아이론 본체부(10)를 스탠드부(15)로부터 떼어서 다리미질을 행하고, 베이스온도가 저하되면 아이론 본체부(10)를 재차 스탠드부(15)에 놓고 베이스(11)를 가열하는 것이다.
제3도에 온도검지회로부(14)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교류전원(VAC)은, 스탠드부로부터 전극(P5), (P6), (P1), (P2)을 거쳐 아이론 본체부로 공급된다. 다이오우드(D2), 콘덴서(C2)는 직류전원을 만드는 전원회로이다.
여기서 감열소자(13)의 온도가 상승하면 그 저항치는 작아진다. 저항(R5), (R6), 트랜지스터(Q1)에 의해 감열소자(13)에 정(定)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하고, 콘덴서(C4)에 충전전류를 흐르게 한다. 저항(R7)은 저온시에 감열소자(13)의 저항치가 매우 크게 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오우드(D3)는 온도보증을 위하여 사용한 것이다. 연산증폭기(IC1)는 그 (-)입력단자에 콘덴서(C4)의 단자 전압을 입력하고 있다.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는 저항(R8), (R9), (R10)을 도면과 같이 접속하여, 기준전압을 만들고 있다. 지금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전압(e1)이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전압(e2)보다 낮을 때,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전압은 하이레벨이고, 이때의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전압(e2)을 e2H라고 하면
Figure kpo00001
V : 연상증폭기(IC1)의 전원전압이다.
콘덴서(C4)의 충전이 진행되고 (e1)이 높아져서, (e1)이 (e2H)를 넘으면,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e2)의 전압은 작아진다. 이때의 (e2)를 (e2L)라고 하면,
Figure kpo00002
으로 된다.
또한, 비교기(IC2)는, 그 (+)입력단자에 저항(R11), (R12)으로 만드는 기준전압을 입력하고 있다. (-)입력단자에는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전압을 입력하고 있다. 즉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전압이 하이레벨일때는 비교기(ZC2)의 출력전압(e3)은 로우레벨,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전압이 로우레벨일때는 비교기(IC2)의 출력전압은 하이레벨로 된다.
비교기(IC2)의 출력단자에는, 저항(R14), (R15)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2)가 구동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저항(R16), (R17)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3)가 구동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13)을 통해서 콘덴서(C4)에 접속되고, 비교기(IC2)의 출력레벨이 하이레벨일 때 트랜지스터(Q2)를 온시켜, 콘덴서(C4)의 충전전하를 저항(R13), 트랜지스터(Q2)를 통해서 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비교기(IC2)의 출력이 하이레벨일 때, 트랜지스터(Q2)을 온시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접속된 저항(R18)(저항치 작음)에 전류를 흐르게하여, 전극(P1), (P2) 사이의 임피이던스가 크게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저항(R2)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있을때는 온도검지회로부의 전원전류에 상당하는 소전류가 흐르고,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트랜지스터(Q3)의 온시간만큼 온도검지회로부의 전원전류에 저항(R16)으로 결정되는 전류를 가한 큰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저항(R2)의 양단전압(e4)은, 트랜지스터(Q3)가 오프일때는 작은 전압, 온때는 큰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저항(R4), 제너다이오우드(ZD1), 콘덴서(C3)는 트랜지스터(Q3)의 온, 오프동작에 의해서 연산증폭기의 전원전압(V)이 변동하지 않도록 배설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방식에서는 아이론 본체부(10)의 온도 검지 회로부(14)에 스탠드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에 중첩해서 온도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이고 신뢰성이 높은 회로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온도검지회로부(14)로서, 적외선발광다이오우드를 사용하고, 신호검지회로부(16)로서 수광소자를 사용해서 온도신호를 전달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3도의 회로도에서 트랜지스터(Q3), 저항(R18)의 사이에, 적외선발광소자에 전류를 흐르게하여 적외선을 발광시켜, 신호검지회로부(16)의 수광소자로 이것을 검지한다.
제4도에 제3도의 요점부분의 전압파형을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콘덴서(C4)의 단자전압(e1)을 표시한다. 충전지(전압상승시) 정전류이므로, 직선적으로(e1)은 상승한다. 전압(e1)이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e2H)보다 낮을 때, 비교기(IC2)의 출력전압(e3)은 로우레벨이어서 트랜지스터(Q3)는 오프이고 저항(R2)에는 작은 전류밖에 흐르지 않아, 저항(R2)의 양단전압(e4)은 작다. 단자전압(e1)이 상승하여, 연산증폭기(IC1)의 (+)입력단자(e2H)에 도달하면, 제4도 (b)와 같이 비교기(IC2)의 출력전압(e3)은 하이레벨로 되고, 트랜지스터(Q3)는 온되어, 저항(R2)에 큰 전류가 흐르고, 저항(R2)의 양단의 전압(e4)은 커진다. 동시에 출력전압(e3)이 하이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콘덴서(C4)의 충전전하는 저항(R13), 트랜지스터(Q2)를 통해서 방전된다. 단자전압(e1)이 방전에 의해 저하하여 (e21)에 도달하면, 재차 연산증폭기(IC1)의 출력이 하이레벨, 비교기(IC2)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되고, 트랜지스터(Q3)는 오프로 되어, 콘덴서(C4)의 충전이 개시된다. 제4도(C)의 파형은 저항(R2)의 양단전압(e4)의 파형이다.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양단전압(e4)은 커지고(e4H), 트랜지스터(Q3)가 오프일때는 전압(e4)은 작어진다(e41). 이 전압(e4)의 로우레벨의 시간(t1)을 측정하여, 아이론 본체부(10)의 베이스온도를 검지하는 것이다. 베이스 온도가 상승하는데 따라서 감열소자(13)의 저항치는 작아지므로, 콘덴서(C4)에의 충전시간이 짧아지고, 따라서, 양단전압(e4)의 로우레벨시간(t1)이 짧아져 간다. 이 시간(t1)은 근사적으로 이하의 식으로 표한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V : 연산증폭기(IC1)의 전원전압
Vε: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전압
Rth: 감열소자(13)의 저항치
Rth//R7: Rth와 R7의 병렬접속의 합성저항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Figure kpo00004
제5도에 횡축으로 아이론의 베이소온도, 종축으로 (e4)의 로우레벨의 시간(t1)을 취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온도에 의해서 (t1)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이 시간 (t1)을 읽어내어 아이론 베이스의 온도를 검지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하고, 베이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히이터(12)에 전류가 흐르도록하고, 베이소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히이터(1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단절해서 온도제어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회로예로서, 무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의 회로소자의 일부에 감열소자를 사용하고, 온도에 의해서 발진주기가 변동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다음에 제6도에, 신호검지회로부(16)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제6a도는, 저항(R2)에 흐르는 전류가 작을 때, 저항(R2)의 양단전압(e4)은 작으며, 저항(R2)의 양단간에 접속한 제너다이오우드(ZD3) 및 포토커플러(IC3)를 구성하는 LED(L1)에 전류는 흐르지 않고, 따라서 포토커플러(IC3)를 구성하는 포토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와 어어드사이에 접속한 저항(R20)에 전류는 흐르지 않아서, 포토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전압은 0이다. 반대로 저항(R2)에 대전류가 흐르면, 전압(e4)은 크게되며, 따라서 LED(L1)에 전류가 흐르고, 포토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에는 하이레벨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이 포토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 전압을 온도제어회로부(17)에 입력하여, 포토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전압의 로우레벨의 시간을 계측하고 온도를 검지해서 온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제6b도는, 저항(R2)을 사용하지 않고, 저항(R2)의 대신에, 펄스트랜스(PT)를 접속한 예이다. 이 펄스트랜스(PT)의 2차쪽으로부터 전류변화분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6c도는 저항(R2)의 일단으로부터 콘덴서(C5)를 접속하여,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려고 하는 것이다.
온도제어회로부(17)는 신호검지회로부(16)의 출력펄스를 검지하고 제4도(C)에서 표시한 펄스간격(t1)을 개시해서 아이론 베이스 온도를 검지하여 온도제어하나, 신호검지회로부(16)의 출력펄스의 펄스간격이 길어져서, 어떤 규정시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단해서 히이터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 온도제어회로부(17)는 펄스폭(t2)을 검지한다. 펄스폭(t2)은 제3도에서 트랜지스터(Q2)가 온되었을 때, 콘덴서(C4)의 충전전하가 저항(R13), 트랜지스터(Q2)를 통해서 방전되고, 콘덴서(C4)의 단자 전압이 (e2H)로부터 (e2L)에 도달할때까지의 시간에 의해서 결정되며 일정하다. 즉,
Figure kpo00005
따라서 온도제어회로부(17)는 이 펄스폭(t2)을 개시하고, 어떤 규정시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히이터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 펄스폭(t2)은, 외래노이즈가 온도제어회로부에 들어왔을 경우등에 있어서, 신호로서 검지되고 펄스폭이 이상하게 짧은 경우가 있으나, 이때는, 이 단시간펄스를 무시한다.
그러면, 상술한 온도제어회로부(17)의 동작을 플로우차아트를 사용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7도는 온도제어회로부(17)의 동작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이다. 플로우차아트의 스텝(101)에서, 발생된 전압(e4)의 펄스신호가 하이레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 스텝(101)은 하이레벨로 될 때 까지 반복된다. 스텝(101) 다음의 스텝(102)에서는, 펄스신호가 로우레벨인지 아닌지가 판정되며, 이 스텝(102)은 로우레벨로 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들 스텝(101) 및 (102)에서, 펄스신호의 개시가 판정된다. 스텝(102) 다음의 스텝(103)에서, 시간주기(t1)의 측정을 위한 변수(ta)를 0으로 하여 측정될 시간간격의 초기치를 설정한다. 스텝(103) 다음의 스텝(104)에서, 펄스신호가 로우레벨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만일 펄스가 로우레벨이면, 프로그램은 스텝(105)으로 진행하고, 만일 펄스가 하이레벨이면, 프로그램은 스텝(108)으로 진행한다.
스텝(105)에서, 루우프(A)에 요구되는 실행시간주기를 나타내는 상수(S1)가 현재의 변수(ta)에 가산된다. 스텝(105) 다음의 스텝(106)에서, 발생된 변수(ta)가 비정상적으로 긴 시간주기(t1)로써 판정되는 시간주기를 나타내는 소정의 상수(tx)보다 큰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만일 변수(ta)가 소정의 상수(tx)보다 크면, 즉 변수(ta)가 비정상적으로 크면, 프로그램은 스텝(107)으로 진행한다.
스텝(107)에서, 릴레이회로(33)가 제어되어 스위치(SW)가 열린다. 만일 변수 (ta)가 상수(tx)보다 적으면, 프로그램은 다시 스텝(104)으로 가서, 시간주기(t1)의 검출을 위한 하나의 루우프(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만일 시간주기(t1)가 소정의 시간주기(tx)보다 과잉으로 길면, 히이터(12)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즉, 코오드레스 아이론의 안전한 동작을 위해 히이터(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스텝(108)에서, 시간주기(t2)의 측정을 위한 변수(tb)을 0으로 하여 측정될 시간간격의 초기치를 설정한다. 스텝(108) 다음의 스텝(109)에서, 펄스신호가 하이레벨인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만일 펄스가 하이레벨이면, 프로그램은 스텝(110)으로 진행하고, 만일 펄스신호가 로우레벨이면, 프로그램은 스텝(112)으로 진행한다. 스텝(110)에서, 루우프(B)에 요구되는 실행시간 주기를 나타내는 상수(S2)가 현재의 변수(tb)에 가산된다. 스텝(110) 다음의 스텝(111)에서, 발생된 변수(tb)가 비정상적으로 긴 시간주기(t2)로써 판정되는 시간주기를 나타내는 소정의 상수(t2)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해서, 만일 변수(tb)가 소정의 상수(t2)보다 크면, 즉 변수(tb)가 비정상적으로 크면, 프로그램은 스텝(107)으로 진행하고, 만일 변수(tb)가 상수 (tz)보다 적으면, 프로그램은 다시 스텝(109)으로 가고, 이에 의해 시간주기(t2)의 검출을 위한 하나의 루우프(B)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펄스폭, 또는 시간주기(t2)는 트랜지스터(Q2)가 온으로 되었을 때 콘덴서(C4)의 단자전압(e1)이 전압레벨(e2H)로부터 전압레벨(e2L)로 감소하는 시간주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수이다. 펄스폭(t2)은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kpo00006
이와 같이 하여, 펄스폭(tz)이 소정의 시간주기(tz)보다 과잉으로 넓으면, 히이터(12)에의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즉, 히이터(12)에는 코오드레스 아이론의 안전한 동작을 위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펄스폭(t2)이 온도제어회로(17)에 의해 원하지 않는 잡음이 검출되고 매우 좁은 경우에는, 이 매우 좁은 펄스폭은 스텝(112)에서 무시되고, 이 스텝(112)에서는, 발생된 변수(tb)가 이렇게 무시되는 펄스의 판별시간주기를 나타내는 소정의 상수(ty)보다 적은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변수(tb)가 소정의 상수(ty)보다 적으면,프로그램은 스텝(103)으로 진행하고, 변수(tb)가 상수(Ty)보다 크면, 프로그램은 스텝(113)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113)에서, 시간주기(ta)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온도를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주기(tw)와 비교되고, 그후 만일 소정의 시간주기(tw)가 시간주기(ta)보다 짧으면, 프로그램은 스텝(114)으로 진행하고, 그때 스위치(SW)는 릴레이 회로(33)에 의해 온으로 된다. 만일, 소정의 시간주기(tw)가 시간주기(ta)보다 길면, 프로그램은 스텝(115)으로 진행하고, 그때 스위치(SW)는 릴레이 회로(33)에 의해 오프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113)에서, 아이론(10)의 베이스온도가 소정의 온도와 비교된다. 즉, 시간주기(t1)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온도가 시간주기(t1)사이의 관계에 의해 소정의 시간주기(tw)와 비교된다. 베이스온도가 소정치보다 낮으면, 스위치(SW)는 릴레이회로(33)가 작동되어 닫히고, 베이스온도가 소정치보다 높으면, 스위치(SW)는 릴레이 회로(33)의 동작으로 열린다.
다시 말해서, 간격(t1)이 소정의 시간주기(tw)보다 길면 히이터(12)에는 전류가 흐르고, 간격(t1)이 소정의 시간주기(tw)보다 짧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제어회로부(17)는 신호검지회로부(16)의 출력신호를 검지해서, 히이터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해서 온도제어를 하나, 이상 상태도 검지해서 히이터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여 안정성도 확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코오드레스 아이론은, 아이론 본체부의 온도신호에 의해 온도검지를 행하는 것으로서, 전극에 도통불량이 없는 극히 신뢰성이 높은 온도제어를 행할 수 있는 코오드레스 아이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아이론 본체부와, 이것을 세트하는 스텐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론 본체부는 아이론 베이스와, 상기 아이론 베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아이론 베이스의 온도를 검지해서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감열수단과, 상기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펄스간격이 변화하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검지회로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제1의 전극 수단과,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제1의 전극수단과 접속가능하고 상기 제1의 전극수단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제2의 전극수단과, 상기 신호 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아이론 본체부가 스탠드부에 취부되어 있을 때, 상기 신호출력수단과 상기 신호입력수단의 접속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펄스신호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검지회로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펄스신호를 받는 온도제어회로수단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펄스간격을 소정의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펄스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긴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이 구동되고, 짧을 때에는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또한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펄스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간 다른 소정의 시간보다 긴때에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제어하고, 그 결과,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펄스신호의 폭의 다른 소정 시간보다 클 때 그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4. 아이론 본체부와, 이것을 세트하는 스탠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론 본체부는 아이론 베이스와, 상기 아이론 베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아이론 베이스의 온도를 검지해서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감열수단과, 인접하는 펄스 간격이 상기 온도신호에 따라서 변화하는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온도신호에 응답하는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받고, 또한 상기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전극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제1의 전극수단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펄스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의 전극수단과 접속 가능한 제2의 전극수단과, 상기 아이론 본체부가 상기 스탠드에 취부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전극을 개재해서 수신되는 상기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펄스신호검지 회로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펄스신호에 응답하는 온도제어회로수단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온도신호는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의 전원전압 공급선상에 중첩되고, 상기 펄스간격은 소정의 시간과 비교되어 상기 펄스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긴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이 구동되고, 짧을 때에는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5. 아이론 본체부와, 이것을 세트하는 스탠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론 본체부는 아이론 베이스와, 상기 아이론 베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아이론 베이스의 온도를 검출해서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감열수단과, 상기 온도신호에 의거해서 펄스간격이 변화하는 펄스신호를 발생하고, 그 오프시간이 상기 펄스간격에 따라서 변화하는 스위칭회로를 가지는 온도검지회로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제1의 전극수단과, 상기 온도검지 회로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텐드는 상기 제1의 전극수단과 접속가능하고, 상기 제1의 전극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의 전극수단과, 상기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아이론 본체부가 상기 스탠드에 취부되어 있을 때 상기 신호출력수단과 신호입력수단의 접속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펄스신호를 검지하는 펄스신호검출회로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펄스신호에 응답하는 온도제어회로수단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오프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오프시간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긴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을 구동하고, 짧을 때에는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6. 제5항에 있어서, 사익 아이론부가 상기 베이스수단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이 통신링크(communication link)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링크는 떼어낼 수 있는 전기적 콘텍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링크는 방사에너어지 통신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에너지를 통신링크는 적외선파장 통신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0. 아이론 본체부가 상기 아이론부의 베이스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아이론베이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감열수단 및 온도검지회로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스탠드부는 상기 아이론 본체부의 가열수단과의 접속을 위한 전극수단과, 펄스신호검지회로수단과, 온도제어회로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과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이, 상기 아이론 본체부가 상기 스탠드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놓여 있을 때, 통신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은 상기 감열수단에 응답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펄스신호의 인접하는 펄스의 간격은 상기 감열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서 변화하고, 또한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아이론 본체부의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의 인접 펄스간격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간격을 소정의 시간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가지고, 상기 간격이 상기 소정시간보다 긴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을 구동하고, 짧을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간격을 소정의 시간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긴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코오드레스 아이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소정시간보다 긴 다른 소정시간과 상기 간격을 비교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온도제어회로 수단은 상기 간격이 상기 다른 소정시간보다 긴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비교수단에 응답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4. 제6항에 있어서, 펄스신호를 꺼내는 수단으로써 펄스트랜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5. 제6항에 있어서, 펄스신호를 꺼내는 수단으로써 콘덴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16. 아이론 본체부가 이 아이론 본체부의 베이스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아이론 본체부의 베이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수단과, 온도검지회로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스탠드부가 상기 아이론 본체부의 상기 가열수단에 접속되는 전극수단과, 펄스신호검지회로수단과, 온도제어회로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된 코오드레스 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과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아이론 본체부가 상기 스텐드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놓여 있고 그것으로부터 떼어져 있을 때, 통신링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도검지회로수단은 펄스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감열수단에 응답하고, 상기 펄스신호의 인접하는 펄스간격은 상기 감열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온도제어회로수단은 상기 아이론 본체부의 상기 가열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접펄스간격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레스 아이론.
KR1019880010854A 1987-08-28 1988-08-26 코오드레스 아이론 KR920002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5626A JP2574318B2 (ja) 1987-08-28 1987-08-28 コ−ドレスアイロン
JP62-215626 198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25A KR890004025A (ko) 1989-04-19
KR920002749B1 true KR920002749B1 (ko) 1992-04-02

Family

ID=1667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854A KR920002749B1 (ko) 1987-08-28 1988-08-26 코오드레스 아이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39838A (ko)
EP (1) EP0305221B1 (ko)
JP (1) JP2574318B2 (ko)
KR (1) KR920002749B1 (ko)
DE (1) DE38880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1020T2 (de) * 1994-04-05 2000-02-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iderstandsmessschaltung, und thermische vorrichtung, elektrischer temperaturfühler und kälteerzeugung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messschaltung
WO1996014982A1 (en) * 1994-08-30 1996-05-23 Gics & Vermee, L.P. Method of making a food package and an associated apparatus
US5842295A (en) * 1997-06-30 1998-12-01 U. S. Philips Corporation Ironing machine having an iron and a stand
FR2778679B1 (fr) * 1998-05-12 2002-01-18 Moulinex Sa Fer a repasser electrique
US6172335B1 (en) * 1999-08-27 2001-01-09 Orcon Corporation Carpet seaming iron with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
KR100473870B1 (ko) * 2002-06-21 2005-03-10 조호봉 파워 레귤레이터의 안전 장치
JP4735754B2 (ja) * 2009-11-04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レスアイロン
WO2011055506A1 (ja) * 2009-11-04 2011-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レスアイロン
KR101821904B1 (ko) 2010-04-08 2018-01-24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os 유도성 시스템 및 방법
CN106679161A (zh) * 2015-11-09 2017-05-1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无绳液体加热装置
CN105803747B (zh) * 2016-05-19 2018-01-02 上海飞科电器股份有限公司 自动识别状态信息的无绳熨斗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96036A (ko) * 1968-11-27 1972-11-15
FR2335996A1 (fr) * 1975-12-18 1977-07-15 Radiotechnique Compelec Procede de controle de l'alimentation d'une charge electrique et dispositif thermostatiqu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YU244779A (en) * 1979-10-09 1982-06-30 Antim Antimovski Accumulation flatiron
JPS60880B2 (ja) * 1980-07-08 1985-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イロン装置
US4423344A (en) * 1981-02-23 1983-12-27 Litton Industrial Products, Inc. Liquid cooled eddy current coupling having rotor extension ring
US4540877A (en) * 1982-03-04 1985-09-10 Sys-Tec, Inc. Constant current closed loop controller for rotating system
JPS6056000A (ja) * 1983-09-07 1985-04-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ドレスアイロン
US4827104A (en) * 1986-10-16 1989-05-02 Dart Industries Inc. Phototransistor relay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 for cordless irons
CH678866A5 (ko) * 1987-02-10 1991-11-15 Jura Elektroapparate F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5221A3 (en) 1990-02-28
JP2574318B2 (ja) 1997-01-22
EP0305221B1 (en) 1994-03-02
JPS6458300A (en) 1989-03-06
EP0305221A2 (en) 1989-03-01
KR890004025A (ko) 1989-04-19
DE3888049D1 (de) 1994-04-07
DE3888049T2 (de) 1994-09-08
US5039838A (en) 199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749B1 (ko) 코오드레스 아이론
US4590363A (en) Circuit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electric soldering tool
US559808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JP4479760B2 (ja)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US5198743A (en) Battery charger with microprocessor control
US6114839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with error detection
JPH084678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H084677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2679286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H0448080B2 (ko)
CN218497636U (zh) 烟雾报警器的检测设备及烟雾报警器
JPH0351200B2 (ko)
JP2675794B2 (ja) 充電器の制御回路
JP3049664B2 (ja) 発熱素子を用いた定着器の制御装置
JP3227745B2 (ja) 温度制御装置
JPH0644280Y2 (ja) 充電池の充電装置
KR900009791Y1 (ko) 연소기기의 연소 검지 회로
KR950008711Y1 (ko) 전기 찜질기의 자동온도 제어장치
JPH0515080A (ja) 充電回路
SU809109A1 (ru) Регул 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KR200233534Y1 (ko) 침구류용 온도 조절기
JPH03106398A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H03106400A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H0736953B2 (ja) 電気ごての温度制御装置
JPS63311998A (ja) コ−ドレスアイ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