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91B1 -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91B1
KR920001591B1 KR1019890006634A KR890006634A KR920001591B1 KR 920001591 B1 KR920001591 B1 KR 920001591B1 KR 1019890006634 A KR1019890006634 A KR 1019890006634A KR 890006634 A KR890006634 A KR 890006634A KR 920001591 B1 KR920001591 B1 KR 92000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composition
density
dsc
flow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298A (ko
Inventor
조한네스 조제프 하셀리에르 프란시스커스
Original Assignee
스태미 카본 베.뷔.
더블유.씨.알.후그스트라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 카본 베.뷔., 더블유.씨.알.후그스트라텐 filed Critical 스태미 카본 베.뷔.
Publication of KR89001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2도는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3도는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4도는 실시예 4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5도는 실시예 5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6도는 실시예 6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7도는 실시예 7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8도는 실시예 8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9도는 실시예 9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0도는 실시예 10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1도는 비교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2도는 비교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경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3도는 비교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4도는 비교 실시예 4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5도는 비교 실시예 5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제16도는 비교 실시예 6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물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폴리에틸렌 조성물로부터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발포체는 오랫동안 공지되어온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Plastic Foams Part 1, Kurt C. Frisch와 James H. Saunders(Eds.) pp.281-292참조).
이러한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915-940kg/m3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디칼 개시제의 도움으로 고압 공정에서 제조된다. 이런 LDPE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예를들어 셀을 원하는 바대로 열리게 또는 닫히게 또는 크게 또는 작게 만듦으로써 매우 다양한 거품 밀도 및 거품 형태로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마음대로 조절될 수 있는 뛰어난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발포된 LDPE로부터 제조된 물건은 예를들어 절연 물질로서 이용되는 등 그 응용범위가 넓다. 예를들어 오픈-셀 거품은 음향 절연체로, 클로즈드-셀 거품은 열절연체로 이용된다. 더 나아가 LDPE거품은 에너지 흡수성이 넓고 화학 약품에 대한 내성이 일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깨지기 쉽거나 취급시 신중을 기해야 하는 물건의 포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여러 가지 각각의 응용분야에서 요구되는 성질은 서로 달라서 예를들어 연성, 유연성, 냉각 메짐성, 외부 응력에 대한 내균열성(ESCR)등을 들 수 있다. 거품이 저밀도 및/또는 예를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 레이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극성 코모노머가 많이 혼입된 LDPE로 만들어질 경우에 이러한 성질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극성 코폴리머가 사용되면, 전술한 성질을 지닌 LDPE거품은 호모폴리머 LDPE의 경우에서보다 양호하게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극성 코폴리머 거품의 단점은, 혼입되는 코모노머의 양에 따라 유연성이 증가한다하더라도, 거품의 내열성은 감소된다는 것이다. 극성 코폴리머의 연화 및 용융온도 범위는 LDPE호모폴리머의 연화 및 용융 온도 범위보다 낮다. 이것이 다양한 거품의 응용분야를 제한한다. 더 나아가 극성 폴리머는 (발포된) 물건으로 전환되는 과정중에 스티킹(sticking)문제를 일으키기가 더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체로 제조되었을 때 유연성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큰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얻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밀도가 915-940kg/m3이고 용융 플로우지수가 0.05-40dg/min이며 고압 라디칼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분지된 폴리에틸렌 a) 20-98wt.%, 밀도가 850-915kg/m3이고 용융 플로우지수가 0.05-25dg/min이며, 23℃에서의 DSC결정화도가 적어도 10%인 거의 선형인 폴리에틸렌 b) 2-80wt.%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지된 폴리에틸렌 a)의 최고 DSC결정화 온도와 선형 폴리에틸렌 b)의 최고 DSC결정화 온도의 차이가 10℃이하이고 이 혼합물의 탄성 모듈러스가 280N/mm2이하이며 전이 금속 촉매의 도움으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용융 물질의 최대 용융 신장비 뿐만 아니라 용융 신장력이 높을 때 바람직한 성질을 지닌 LDPE거품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식으로 물리적인 발포제를 이용한 발포 공정에서 용융된 거품으로부터 결정화된 거품으로 전이되는 동안 또는 화학적 발포제를 이용한 발포 공정에서 팽창되는 동안 거품이 터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서는 용융 신장비가 10cN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cN이상이어야 하며, 최대 용융신장비는 3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0이어야 한다. E-모듈러스(탄성 모듈러스)는 발포되지 않은 출발 물질의 견고성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LDPE 호모폴리며에서 물질이(발포된) 물건으로 가공될 때 양호한 유연성을 얻기에 바람직한 수치보다 흔히 더 높다. 양호한 유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E-모듈러스가 280N/mm2이하, 바람직하기로는 250N/mm2이하, 특히 230N/mm2이하이어야 한다. LDPE밀도가 915kg/m3인 LDPE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100℃이상의 온도에 대해 내성이 있으나 이 LDPE의 E-모듈러스는 약 350N/mm2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10cN이상, 특히 15cN이상의 용융 신장력과 30이상 특히 40이상의 용융 신장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발포체로 가공될 때 내열성이 양호한(100℃이상)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거품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GB-A-1, 552, 435 및 EP-A-0016348에는 밀도가 915-935kg/m3인 분지된 폴리에틸렌과 밀도가 918-940kg/m3인 선형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공지된 LDPE의 양호한 성질을 지니고 있으나 역시 유연성 및 연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지닌 폴리에틸렌 a)는 밀도가 918-928kg/m3, 특히 922-928kg/m3인 폴리에틸렌 호모폴리머(LDPE)인 것이 바람직하며 : 용융 플로우지수는 바람직하기로는 0.1-30dg/min. 특히 10dg/min미만이다. 이것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디칼 개시제의 도움으로 고압 공정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공정을 통해 측쇄가 길어서 때로 분지된 폴리에틸렌이라 불리우는 폴리에틸렌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a)는 또한 혼입된 극성 코모노머의 비율이 2몰%이하인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등의 코폴리머 또는 LDPE와 극성 코폴리머(이 경우에도 코폴리머 혼입 비율이 2몰%이상, 예를들어 8몰%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LDPE호모폴리머 중량 비율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의 폴리에틸렌 b)는 밀도가 바람직하기로는 880-912kg/m3, 특히 910kg/m3이고, 용융 폴로우지수는 바람직하기로는 0.1-20dg/min, 특히 15dg/min미만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다.
이것은 에틸렌과 에틸렌에 대해 10-50wt.%의 양으로 3-18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1-알켄 및 가능하기로는 소량의 디엔과의 코폴리머이다.
특히 1-부텐, 1-헥센, 4-메틸펜텐-1 및 1-옥텐과 같이 탄소 원자가 4-12개의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주로 짧은 분지쇄와 LDPE보다 상당히 적은 량의 긴 분지쇄를 가지고 있는데 이 때문에 선형 폴리에틸렌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또한 시차 주사 열량(DSC)법에 의해 측정된 결정화도가 23℃에서 10% 이상인데 바람직하기로는 15%이상, 특히 20%이상이다. 이것은 바람직하기로는 소위 지글러-나타(Ziegler-Natta)촉매라고 불리워지는 전이 금속 촉매, 특히 적어도 티타늄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및/또는 바나듐 화합물 및/또는 클로라이드와 같은 촉매의 도움으로 제조된다. 이 공정은 공지되어 있으며 고압 또는 저압 및 고온 또는 저온에서 일어날 수 있다.
압력이 200바, 특히 100바를 초과하지 않게하고 온도를 110℃이상, 특히 135℃이상으로 하여 분산제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성분 a)와 b)의 양은 응용 분야에 따라 약간 다르다.
일반적으로 30-90wt.%의 폴리에틸렌 a)와 10-70wt.%의 폴리에틸렌 b)가 바람직하며 특히 40-85wt.%의 폴리에틸렌 a)와 15-60wt.%의 폴리에틸렌 b), 더욱 특히 50-85wt.%의 폴리에틸렌 a)와 15-50wt.%의 폴리에틸렌 b)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은 예를들어 입자형 폴리에틸렌을 뒤섞어줌으로써, 분말형 폴리에틸렌은 헨첼 믹서 또는 반부리 믹서 또는 압출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a)와 b)는 또한 적절한 비율로 미리 혼합되는 일 없이 폴리에틸렌을 물건으로 전환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직접적으로 매우 잘 공급될 수 있다.
통상 시간 및 온도 범위내에서 혼합 방법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사출 성형, 회전성형, 블로우 성형, 프로파일 압출, 필름 제조등과 같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발포체로 전환시키는 응용 분야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화학적 발포제와 물리적 발포제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화학적 발포 공정에서는, 어떤 조건(예 : 온도 상승)하에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사람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압력을 발생시키면서 기체 성분으로 분해되어 폴리에틸렌이 거품으로 되는 것을 야기시키는 발포제가 폴리에틸렌 혼합물에 첨가된다. 물리적 발포 공정에서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보통 압출 장치내의 상승된 압력 및 온도에서 정상적인 압력 및 실온에서는 기체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포제와 혼합된 다음 저압 및 저온에 노출되고 그 결과 혼합물이 팽창하여 폴리에틸렌이 거품으로 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폴리에틸렌도 냉각되고 결정화된다. 물리적인 발포 공정에서는, 보통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혼합물), 기체성 알칸(의 혼합물)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100부당 0.01-0.6g몰의 발포제가 보통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적용되는 조건(발포제의 유형, 접종제의 유형, 온도, 압력, 첨가제등)에 따라 밀도가 5-400kg/m3로 변화될 수 있다.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사람들은 각 분야의 요구에 따라 이러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거품 제조시에 얻어지는 거품의 질은 폴리에틸렌의 결정화 양상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폴리머의 결정화 양상은 시차 주사 열량(DSC)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측정된 결정화 곡선은 데스트되는 물질의 분자 구조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크를 보여준다.
이런 피크들의 정점이 결정화도라고 불리운다. 분지된 폴리에틸렌 a)의 최고 DSC결정화 온도와 선형 폴리에틸렌 b)의 최고 DSC결정화 온도간의 차이는 아마도 10℃이하인데, 10℃이상이면 형성된 혼합물의 결정화 범위가 너무 넓어져서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 차이가 8℃이하, 특히 7℃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DSC결정화 곡선은 125-95℃사이에 한 개 이하의 피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피크는 숄더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넓거나(베이스에서 약 10℃이상) 좁을 수도 있다(베이스에서 약 10℃이하).
숄더가 없는 피크, 특히 좁은 피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펜탄, 클로로 플로우로-탄화수소, 이상화탄소, 질소, 이들의 혼합물등과 같은 물리적인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디카본아미드 또는 아조디포름아미드와 같은 화학적인 발포제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내열성은 유기과산화물, 산소, 다관능성 알릴-및/또는 비닐 모노머, 아지도- 및 비닐-관능성 실란과 같은 가교제가 사용될 경우에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가교는 원하는 대로 다소 일어날 수 있는데, 가교제의 양을 총 조성물의 양에 대해 예를들어 0.005-5.0wt.%범위에서 변화시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폴리 에틸렌 조성물은 접종제, 거품 안정화제, 열안정화제, UV-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항산화제, 항블록킹제, 충전제, 안료, 공정조제 등과 같은 그 밖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물리적인 발포 공정을 위해서는 윤활제, 예를들어 0.05-1.5wt.%의 올레아미드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적인 발포 공정에서는, 소위 킥커(kecker)가 존재하는 것도 흔히 바람직한데, 이것은 가교제와 발포제가 동시에 분해되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아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는 프로파일(예, 로드, 튜브)입자, 필름, 다른 물질 필름 상의 층 등과 같은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열처리에 의해 발포된 입자를 달라붙게 하거나 함께 용융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를 만들 수도 있다.
이 방법은 그 자체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몇 개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 범위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러 가지 폴리에틸렌 혼합물이 실시예에서 나타난대로 만들어졌다.
모든 코폴리머가 옥텐-1 코폴리머였고 23℃에서 DSC 결정화도가 10%이상이었다.
제1도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의 DSC 결정화 곡선이 나타나 있고, 실시예 2,3,4,5,6,7,8,9,10의 조성물의 결정화 곡선은 제2,3,4,5,6,7,8,9,10도에 각각 나타나 있으며 비교실시예 1,2,3,4,5,6의 조성물의 결정와 곡선은 제11,12,13,14,15,16도에 각각 나타나 있다.
밀도(d)는 ISO 1183(D)에 따라 측정되었고 용융 플로우 지수(MFI)는 ISO 1133(A/4)에 따라 측정되었다.
용융 신장력(MDF)과 최대 용융 신장비(MDR)는 폴리에틸렌을 높이가 8.0mm이고 직경이 2.0mm인 다이를 통해 130℃에서 0.25g/min의 수율로 압출시키고 쓰레드가 파괴될 때까지 압출물을 쓰레드로 신장시킴으로써 측정되었다.
신장에 필요한 힘과 파괴시의 신장비가 각각 용융 신장력(N), 최대 용융 신장비이다.
E-모듈러스는 DIN 53457(N/mm2)에 따라 측정되었다. DSC 측정을 위해 테크트로닉스 4052 컴퓨터, 휴렛-팩카드 3495A 스캐너-멀티 플렉서와 HP 3455 A 디지털전압계(51/2-51/2 디지트)를 온-라인으로 연결시킨 퍼킨-엘머 DSC-2로 구성된 측정 장치를 이용했다.
측정은 V.B.F.Mathot외 다수의 J.Thermal Anal. vol.28,349-358(1983)의 '연속'측정 방법에 따라서 이루어졌으며 적절한 스케일로 재현시험했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측정 했는데, 180℃로 가열하여 5분 동안 정치시킨 다음 5℃/min의 주사 속도로 45℃로 냉각했다.
샘플은 5mg이었고 메틀러 Me 22/36 미량 전자 저울로 1㎍까지 측정되었다.
0.2㎍마다 그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및 측정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에 나타나 있는 결정화 온도는 이런 DSC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1
[실시예 2]
Figure kpo00002
[실시예 3]
Figure kpo00003
[실시예 4]
Figure kpo00004
[실시예 5]
Figure kpo00005
[실시예 6]
Figure kpo00006
[실시예 7]
Figure kpo00007
[실시예 8]
Figure kpo00008
[실시예 9]
Figure kpo00009
[실시예 10]
Figure kpo00010
[비교실시예 1]
Figure kpo00011
[비교실시예 2]
Figure kpo00012
[비교실시예 3]
Figure kpo00013
[비교실시예 4]
Figure kpo00014
[비교실시예 5]
Figure kpo00015
[비교실시예 6]
Figure kpo00016
[실시예 11]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수많은 폴리에틸렌 조성물중에서, 압출에 통상 사용되는 압출기의 도움으로 둥근 형태의 거품 프로파일을 만들었다.
압출기 헤드의 온도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의(최고) 결정화 온도보다 3(Ω0.5)℃ 높게 셋팅되었다.
블로잉제로서는 프레온 12(디클로로 데트라 플루오로에탄)와 프레온 114(디클로로 플루오로 메탄)의 50/50(m/m)혼합물을 폴리머 85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했다.
0.2%의 접종제를 마스터 배치(masterbatch, 20wt.% 탄산수소나트륨과 시트르산을 지닌 LDPE)의 형태로 폴리머에 첨가했으며 윤활제도 역시 첨가했다(0.2wt.%의 올레아미드).
이렇게 하여 형성된 둥근 형태의 거품 프로파일은 가요성 및 유연성 면에서 손으로 굽히고 압착시킨 것에 각각 견주어졌다.
내열성은 둥근 형태의 거품 프로파일을 100℃에서 6주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측정되었다.
프로파일이 6주후에 점성이 있었으면 “-”로, 점성이 없었으면 “+”로 평가했다.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나 있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Claims (11)

  1. 고압 라디칼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밀도가 915-940kg/m3이고 용융 플로우 지수가 0.05-40dg/min인 분지된 폴리에틸렌 a)가 20-98wt.%, 전이금속 촉매에 의해 제조되며 밀도가 850-915kg/m3이고, 용융플로우 지수가 0.05-25dg/min이며, 23℃에서의 DSC 결정화도가 적어도 10%인 거의 선형인 폴리에틸렌 b)가 2-80wt.%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지된 폴리에틸렌 a)의 최고 DSC 결정화 온도와 선형 폴리에틸렌 b)의 최고 DSC 결정화 온도간의 차이가 10℃이하이고 이 혼합물의 탄성 모듈러스가 280N/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a)의 밀도가 918-928kg/m3이고, 폴리에틸렌 b)의 밀도가 880-912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a)의 용융 플로우 지수가 0.1-30dg/min이고, 폴리에틸렌 b)의 용융 플로우지수가 0.1-20d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30-90wt.%의 폴리에틸렌 a)와 10-70wt.%의 폴리에틸렌 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DSC 결정화도 곡선이 125-95℃사이에서 한 개 이하의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건.
  7. 상승된 압력 및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포제와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혼합하고 압출 오프닝을 통해 압출기를 경유하여 압력과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 조성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발포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항에 따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물리적인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풀리에틸렌 조성물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제와 추가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윤활제와 추가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폴리에틸렌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KR1019890006634A 1988-05-19 1989-05-18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92000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801297A NL8801297A (nl) 1988-05-19 1988-05-19 Polyetheensamenstelling, voorwerpen daaruit vervaardigd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geschuimde voorwerpen.
NL8801297 1988-05-19
NL88,01297 1988-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298A KR890017298A (ko) 1989-12-15
KR920001591B1 true KR920001591B1 (ko) 1992-02-20

Family

ID=1985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634A KR920001591B1 (ko) 1988-05-19 1989-05-18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066725A (ko)
EP (1) EP0342750B1 (ko)
JP (1) JPH0297540A (ko)
KR (1) KR920001591B1 (ko)
CN (1) CN1038661A (ko)
AT (1) ATE74370T1 (ko)
AU (1) AU612258B2 (ko)
DE (1) DE68901107D1 (ko)
ES (1) ES2030967T3 (ko)
GR (1) GR3005044T3 (ko)
NL (1) NL8801297A (ko)
NZ (1) NZ2290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7121A3 (en) * 1988-12-03 1992-03-25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Medical bag
JP3097168B2 (ja) * 1991-05-13 2000-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U1944692A (en) * 1991-09-03 1993-03-11 Rexene Products Company 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t polyethylene blends
US5288762A (en) * 1993-04-28 1994-02-22 The Dow Chemical Company Cross-linked ethylenic polymer foam structures and process for making
US5318866A (en) * 1993-04-23 1994-06-07 Pall Corporation Battery separators
US5723507A (en) * 1996-03-11 1998-03-03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ed gaskets made from homogeneous olefin polymers
WO1996020878A1 (en) * 1994-12-29 1996-07-11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A substantially linear polyethylene sealing liner for a closure
CN1054387C (zh) * 1996-12-29 2000-07-12 中国石化齐鲁石油化工公司 一种包覆金属管用聚乙烯组合物及制备工艺和用途
US6020434A (en) * 1997-02-19 2000-02-01 Eastman Chemical Company Synergistic blends of polyethylenes exhibiting enhanced gloss properties
BR9914069A (pt) * 1998-09-25 2001-06-12 Pirelli Cavi E Sistemi Spa Cabo de auto-extinção, composição retardante de chama, e, método para produzir cabo de auto-extinção
US6924031B2 (en) * 1998-09-25 2005-08-02 Pirelli Cavi E Sistemi S.P.A. Low-smoke self-extinguishing electrical cable and flame-retardant composition used therein
JP5078536B2 (ja) * 1998-10-30 2012-11-21 三井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架橋発泡体およびその架橋発泡体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
CA2381788A1 (en) 1999-08-17 2001-02-22 The Dow Chemical Company Free-flowing polymer composition
US6359072B1 (en) * 2000-02-16 2002-03-19 Univation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film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PL1655338T3 (pl) * 2004-11-03 2007-07-31 Borealis Tech Oy Wielomodalna kompozycja polietylenowa do wytwarzania wtryskiwanych opakowań do transportowania
DE102006014235A1 (de) * 2006-03-28 2007-10-04 Brugg Rohr Ag, Holding Mantel für wärmeisolierte Leitungsrohre
CN103314049B (zh) * 2010-09-30 2016-03-3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改进击穿强度的可回收热塑性绝缘体
JP6961411B2 (ja) * 2017-07-20 2021-11-05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エチレン系無架橋押出発泡体
WO2019069391A1 (ja) * 2017-10-04 2019-04-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スペーサに使用するためのポリエチレン樹脂及びこれを使用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スペーサ
IL255505B (en) * 2017-11-07 2019-11-28 Tosaf Compounds Ltd Polymeric particles and plastic products containing them
JP7252805B2 (ja) * 2019-03-26 2023-04-05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エチレン系無架橋押出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06377A (ko) * 1968-04-25 1969-10-28
US4223567A (en) * 1978-04-03 1980-09-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S56152853A (en) * 1980-04-30 1981-11-26 Nippon Oil Co Ltd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JPS5893741A (ja) * 1981-11-30 1983-06-03 Dainippon Printing Co Ltd 押出しコ−テイング用樹脂組成物
JPS59149941A (ja) * 1983-02-15 1984-08-28 Sumitomo Chem Co Ltd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用樹脂組成物
JPS6099639A (ja) * 1983-11-04 1985-06-0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壜体の螺子口筒成形方法
JPS60148989A (ja) * 1984-01-10 1985-08-06 原田 芳朗 二重ケ−シング工法
GB8417053D0 (en) * 1984-07-04 1984-08-08 Dow Chemical Iberica Sa Foam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JPS61258849A (ja) * 1985-05-13 1986-11-17 Showa Denko Kk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S6210150A (ja) * 1985-07-05 1987-01-19 Sumitomo Chem Co Ltd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用樹脂組成物
JPS6264846A (ja) * 1985-09-18 1987-03-2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ポリエチレン延伸成形体の製造方法
JPS6339942A (ja) * 1986-08-05 1988-02-20 Nippon Oil Co Ltd 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
JPS63154753A (ja) * 1986-12-18 1988-06-28 Nippon Oil Co Ltd ポリエチレン系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2750A1 (en) 1989-11-23
US4939181A (en) 1990-07-03
AU612258B2 (en) 1991-07-04
ATE74370T1 (de) 1992-04-15
NZ229034A (en) 1991-02-26
AU3490889A (en) 1989-11-23
NL8801297A (nl) 1989-12-18
CN1038661A (zh) 1990-01-10
JPH0297540A (ja) 1990-04-10
GR3005044T3 (ko) 1993-05-24
EP0342750B1 (en) 1992-04-01
US5066725A (en) 1991-11-19
DE68901107D1 (de) 1992-05-07
ES2030967T3 (es) 1992-11-16
KR890017298A (ko) 198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591B1 (ko)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38843B1 (ko) 폴리프로필렌계수지조성물,폴리프로필렌계수지발포물및이의제조방법
US6204335B1 (en) Compositions of linear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propylene polymers and films therefrom
KR20070115922A (ko) 기계적 특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 폴리에틸렌 성형조성물
KR20070115923A (ko)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US5147936A (en) LLDPE films by blending with specific polypropylenes
US6153702A (en) Polymers, and novel compositions and films therefrom
US5346732A (en) Performance super high flow 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AU9118998A (en) Cross-linking of polymers and foams thereof
JP3703846B2 (ja) Lldpe−ベースの伸縮性多層フィルム
US6197887B1 (en) Compositions having particular utility as stretch wrap cling film
US6197841B1 (en) Crosslinked ethylene-olefin copolymer foams
JPS58113237A (ja) 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
USH1656H (en) Polyolefins and methods to produce polyolefins having increased melt properties at low shear rates
BR112021007533A2 (pt) artigo de fabricação, e, método para se fabricar uma composição de polímero de espuma de extrusão
JP3581412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859356B2 (ja) 多孔性フイルム
JPH03231936A (ja) 発泡フィルム
JP342039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JP3494497B2 (ja) 中空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JP3535259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100727895B1 (ko) 압출중공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4238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