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01B1 -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01B1
KR920001501B1 KR1019880010992A KR880010992A KR920001501B1 KR 920001501 B1 KR920001501 B1 KR 920001501B1 KR 1019880010992 A KR1019880010992 A KR 1019880010992A KR 880010992 A KR880010992 A KR 880010992A KR 920001501 B1 KR920001501 B1 KR 92000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l
black matrix
glass
soften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801A (ko
Inventor
하지메 모리시다
노부아끼 하야시
사부로 노노가끼
테루기 스즈끼
마사히로 니시자와
키요시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16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609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731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1724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9000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30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 H01J29/32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with adjacent dots or lines of different luminescent material, e.g. for colour television
    • H01J29/327Black matrix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1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8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phosphor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4Supports for 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phot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8Application of light absorbing material, e.g. between the luminescent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2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particl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컬러브라운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모시적 부분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컬러브라운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모식적 부분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반사율을 표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 종래법에 의해서 얻은 비발광성 분체층 5°정반사의 스펙트럼을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사광 2,2′ : 반사광
3 : 페이스플레이트 4 : 블랙매트릭스층
5 : 형광체층 6 : 블랙매트릭스층
31 : 종래의 청색형광면 32 : 종래의 적색형광면
33 : 종래의 녹색형광면 34 : 본 발명의 청색형광면
35 : 본 발명의 적색형광면 36 : 본 발명의 녹색형광면
41 : 종래의 블랙매트릭스면 42 : 본 발명의 블랙매트릭스면
본 발명은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 콘트라스트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블랙매트릭스형 컬러브라운관의 형광면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위에, 형광체층을 부분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비발광성 광흡수성 분체층(블랙매트릭스)이 형성되고, 그 개구부(매트릭스호울)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광면의 형성방법은, 크게 습식법과 건식법의 2가지로 나누어지며, 그중 첫째로 습식법의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포토레지스트의 도막을 형성하고, 형광체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의 포토레지스트를 경화시키고, 현상후, 그위에 카아본 현탁액을 도포해서 카아본도막으로하고, 이어서 박리액을 주입하여,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그위의 카아본층과 함께 제저해서 매트릭스호울을 형성한다. 이어서 형광체를 함유하는 포토레지스트슬러리를 도포해서 도막으로하고, 형광체가 배치되어야할 위치의 도막을 경화하고, 현상해서 형광체층을 매트릭스호올 내에 형성한다. 3종의 즉 적, 녹, 청의 발광색을 가진 형광체층을 형성할때는 이것을 3종의 형광체에 대해서 반복한다. 최종적으로는 소성시켜 유기물을 제거한다.
그 두 번째를 건식법(이하, 드라이프로세스라 기재함)으로서, 본원 발명자들중의 일부에 의해서 개발되었다(일본국 특공소 57-20651호). 이 대표적인 방법은, 페이스플레이트위에 노광에 의해서 점착성을 나타내는 방향족디아조늄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하고, 광을 조사햐여, 노광된 부분에 형광체를 피착시키는 방법이다. 3종의 발광색을 가진 형광체층을 각각 형성할때는, 광조사 이후의 공정을 3회 반복한다. 이어서 도막전체면에 노광을 하여, 형광체층이외의 부분에 카아본을 피착시켜서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들층을 물에 용해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폴리머수용액등에 의해 정착시킨다. 또한, 형광체 패턴이 스트라이프 형상일때는, 형광체층형성전에 블랙매트릭스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방법으로 형광면을 형성하여도 형광체층 및 블랙매트릭스층과 페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는 부분적으로 빈틈이 생기고 있다. 지금, 외부(시청자가 시청하는쪽)로부터 광이 진입하였을 때, 페이스플레이트 바깥쪽의 표면에서 일부의 광이 반사되나, 그곳을 통과해서 온 광도 상기 빈틈 때문에 안쪽의 표면에서 또 그 일부가 반사된다. 이 내면반사광은, 페이스플레이트의 굴절률등에도 의하지만, 외래광의 3∼5%에 까지 달한다. 그 때문에 이 내면반사광을 저감시키는 일이 요망되고 있다.
내면반사광저감의 한방법으로서, 페이스플레이트와 블랙매트릭스층과의 사이의 빈틈에 물유리등 페이스플레이트의 재질과 거의 똑같은 굴절률을 가진 재료를 함침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블랙매트릭스층에 함침시킨 물유리가 형광체층에도 함침되어, 형광체의 발광휘도를 저하시킨다고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배려되어있지 않았다.
물유리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형광체표면에 부착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형광체를 조사하는 전자선이 물유리에 의해 방해되기 때문에 휘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형광체층의 부분에는 물유리가 다량으로 존재하지 않고 기포가 남아서, 이부분이 내면 반사광을 완전히 ;막는 일이 불가능하였다. 또 물유리와 페이스플레이트의 유리의 굴절률도 일치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반사광을 저감시킨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형광체층 및 블랙매트릭스층을 가진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형광체층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층과의 사이에 저연화점유리(Glass of low softening point)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블랙매트릭스층과 형광체층이 페이스플레이트와 옵티컬콘택트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으로부터의 반사율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여, 고 콘트라스트의 브라운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하나는,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저연화점유리층을형성하는 공정과, 이 유리층위에 블랙매트릭스층 및 형광체층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가열에 의해서 상기 유리층을 연화하는 공정에 의해 형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해 블랙매트릭스층과 페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만 저연화점 유리층을 형성할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된다. 이 방법은,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포토레지스트의 도막을 형성하는공정, 새도우마스크를 개재해서 상기 도막에 노광하여, 현상해서 소망의 도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도막패턴 위에 저연화점 유리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유리층위에 블랙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공정, 박리제를 사용해서 상기 도막의 패턴을, 그위에 형성된 상기 유리층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층과 함께 제거하는 공정, 가열에 의해서 상기 유리층을 연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노막의 패턴이 제거된 부분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형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발광색이 다른 3종의 형광체층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있으면, 형광체층의 형성공정에 대해서는, 3종의 형광체에 대해서 3회 행하는 것으로 된다. 또 이 방법은, 습식법으로도 드라이프로세스로도 된다.
최초에 설명한 방법에 의하는 경우, 블랙매트릭스층의 형성은 습식법으로, 형광체층의 형성은 드라이프로세스로 행할 수도 있으며, 양층 모두 습식법 또는 드라이프로세스 형성해도 된다.
저연화점유리로서는, 200∼450℃의 온도범위에서 연화점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200∼430℃의 온도범위로 연화점을 가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컬러브라운관 제조에 있어서의 프릿베이킹(frit baking)의 온도가 450℃를 약간 상회하는 온도이므로, 그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유리가 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저연화점유리는 비수용성 또는 난수용성일 것이 필요하다.
저연화점유리의 일례로서 붕인산유리가 있다(Glass Technology, 제17권, No. 2,4월(1976) 66∼71페이지).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조성의 것의 일례는 P2O530∼70몰%, B2O32∼10몰%를 함유하고, 나머지 성분으로서 알칼리토금속 및 알칼리금 속의 산화물을 함유한 것이다. P2O5의 양은 많아도 적어도 유리가 결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 P2O5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형광체를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MgO 및/또는 CaO가 조성에 함유되어 있는 편이 형광체의 흑화를 방지한다. 그러나, MgO의 양이 많으면 연화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CaO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MgO또는 CaO를 많이 함유하는 편이 내수성이 향상된다. 또, 전자선에 의한 유리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성중에 0.01∼1몰%의 CeO2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특히 발람직한 저연화점유리의 일례의 조성을 표시한다.
Figure kpo00001
이들 유리의 굴절률은, 1.50∼1.55의 범위에 있다.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반사를 거의 없애기 위해서는, 이들 유리의 굴절률이 1.52∼1.5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P.b, Bi와 같은 중금속을 함유하는 유리는, 이들 중금속이 형광체를 열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저현화점유리는 분체로해서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며, 또 그때 평균입자직경 0.5∼2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범위이외의 크기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유리층의 두께는, 형광체층이나 블랙캐트릭스층의 하부의 요철을 메울만큼의 두께가 있으면 되나, 유리층만의 부분이 0.1∼50㎛정도 존재해도 지장없다.
유리층은 가열에 의해서 연화하여, 페이스플레이트와 형광체층 및 블랙매트릭스층과의 사이를 메운다. 이 경우 유리층의 굴절률과 페이스플레이트의 재질의 굴절률이 동등하면,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반사를 없앨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양자의 굴절률은 크게 다르지 않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특수한 유리를 제외하고, 저연화점유리의 굴절률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재질의 굴절률과 그다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페이스플레이트의 연화점유리의 굴절률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재질의 굴절류과 그다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반사율을 실질적으로 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종래의 컬러브라운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다. 입사광(1)의 일부는 페이스플레이트(3)의 표면에서 반사하나. 대부분은 내부로 입사된다. 페이스플레이트(3)와 형광체층(5) 또는 블랙매트릭스층(4)과의 사이에 빈틈이 있으면 입사광(1)의 일부는 페이스플레이트(3)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반사광(2),(2′)으로 된다. 그러나, 제1도에 본 발명의 컬러브라운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모식적인 부분단면도를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빈틈이 저연화점 유리(6)로 채워져 있으면 페이스플레이트(3)의 내면에서의 반사는 없어지고, 입사광(1)은 블랙매트릭스층(4)에 흡수된다. 또, 형광체층(5)의 표면에서는 유리층의 굴절률과 형광체의 굴절률이 같은 정도이므로, 작은 난반사가 일어날 뿐이고 반사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유리층은, 상기한 처리온도에서는 거의 용해하지 않으므로, 형광체층의 상부를 덮는 일이 없이, 형광체의 휘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다음에, 드라이프로세스에 의해서, 블랙매트릭스막을 형성하는 일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목적은, 기체표면에, 노광의 의해 점착성을 나타내는 감광성 재료를 도포하여 박층으로하는 공정, 이 박층에 도형상(圖形狀)의 노광을 행하고, 노광부에 점착성을 발생시키는 공정 및 이 노광부에 비발광성 분체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는 저연화 점유리분체와 혼합하여 상기 노광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 또는 기체표면에 형성된 감광성재료의 박막에 패턴형상의 노광을 행하고, 이어서 현상해서 감광성재료의 박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이 감광성재료의 박막의 패턴상에 비발광성 분체층을 형성하는공정 및 상기 감광성 재료의 박막을 그위의 비발광성 분체층과 함께 제거하는 공정 및 상기 감광성재료의 박막을 그위의 비발광성 분체층과 함께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층의 형성은 비발광성 분체와 저연화점유리분체와의 혼합물을 상기 감광성재료의 박막의 패턴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드라이프로세스에 있어서,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은, 형광체패턴의 형성전 또는 형광체패턴형성 후이어도 된다. 그러나, 형광체패턴이 도트형상일때는, 노광패턴작성의 편의상 형강체패턴을 먼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체패턴이 스트라이프형상일때는 어느 패턴을 먼저 형성해도 좋다.
습식법일 때, 통상적으로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을 먼저 형성한다.
비발광성 분체와 유리분체와의 혼합비는, 비발광성 분체가 혼합물의 0.1∼7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3∼4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발광성 분체의 양이 01중량%미만에서 블랙매트릭스로서의 효과가 저하하여, 핀호울등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 다음의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7중량%를 넘으면 내면반사율 저감의 표과가 저하된다. 표 1은 후술하는 제1도와 마찬가지조건에서 카아본블랙의 함유량을 변화시켜서 측정한 결과를 표시한 것으로서, 내면반사율은 5′의 정반사율의 550mm의 파장의 값이다.
[표 1]
Figure kpo00002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의 원료를 침량해서 취하여, 마노유발에서 잘 혼합하여, 도가니(crucible)로 옮겨, 실온에서부터 서서히 가열하여, 800℃에서 1시간 공기중에서 소성하여, 45P2O5·5B2O3·11MgO·11CaO·9Li2O·19Na2O인 조성(몰%)의 붕인산유리를 얻었다. 연화점 400℃(통상 ±10℃ 정도의 오차가 있다. 이하같음). 이 유리를 분말로 하였다.
Figure kpo00003
한편,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1%의 폴리비닐알코올, 2%의디에틸렌글리콜, 2%의 디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회전도포에 의해, 약 1㎛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면에 상기 유리분말을 더스팅하여, 유리의 분체층을 형성하였다. 페이스플레이트를 실온에서부터 서서히 가열하여, 450℃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두께 약 10㎛의 붕인산유리층이 형성되었다. 이 페이스플레이트에 포토레지스트의 도막을 형성하고, 새도우마스크를 개재해서 R,G,B 3종의 형광체도트가 형성되어야할 위치에 광조사하여, 현상해서 경화된 포토 레지스트도트를 형성하였다.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콜로이드상 흑색카아본 현택액을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박리액을 붓고,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도트를 그 상부의 카아본과 함께 박리하여, 매트릭스호올을 형성하였다.
이하 종래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포토레지스트형광체슬러리를 사용해서, 도포, 노광, 현상을 3종의 형광체에 대해서 순차 행하여, 형광체층을 형성하였다.
또 알루미나이징, 프릿베이킹, 전자총장착을 하여, 컬러브라운관으로 하였다. 상기 유리층을 프리베이킹시 연화된다.
한편, 비교를 하기위하여, 붕인산유리층을 형성하지 않고 다른 것은 마찬가지방법으로 종래의 컬러브라운관을 제조하였다.
양자의 브라운관에 대해서, 적, 녹, 청 각형광체층의 5°정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제3도에 표시한다. (31),(32),(33)는 종래의 청색형광면, 적색형광면, 녹색형광면의 반사율을 표시하며, (34),(35),(36)은 본발명의 그것을 표시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형광면은 모든 형광체층에 대해서 넓은 파장범위에서 그반사율은 거의 인지할 수 없다. 또 블랙매트릭스층에 대한 마찬가지의 반사율을 제4도에 표시한다. 이 경우도 본 발명의 컬러브라운관의 블랙매트릭층에 대해서는, 반사율이 거의 인지되지 않는다.
또, 형광체의발광인출효율은, 종래의 그것에 비교하여 108∼112%이었다.
[실시예 2]
하기 원료를 사용하여, 40P2O5·5B2O3·12MgO·12CaO·10Li2O·21Na2O인 붕인산유리를 얻은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처리하였다. 유리의 연화점은 410℃이다. 이 경우도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3]
표 2의 붕인산유리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처리하였다. 이 경우도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었다.
[표 2]
Figure kpo00005
[실시예 4]
페이스패널의 내면에 감광성중합체 조성물을 회전도포한다. 새도우마스크를 장착하고, 초고압수은등은 광원으로해서, 적, 녹, 처의 3색의 형광체도트를 붙이는 위치에 노광하였다. 물로 현상하고, 광경화레지스트의 3색상당 도트를 얻었다. 이것은 건조시킨후, 하기 조성의 점착세를 균일하게 얇게 도포하였다.
Figure kpo00006
이어서, 표 2의 붕인산유리의 분체를 더스팅해서 분체층을 형성하였다. 암모니아증기중에 록로시킨 후, 물세척하였다. 붕인산유리가 고정된 층이 형성되었다. 이위에, 흑색카아본콜로이드액을 도포, 건조시켰다. 광경화레지스트도트를 박리제를 사용해서 처리한 후, 온수스프레이에 의해, 도트 및 그 도트위의 붕인산유리, 카아본을 박리제거해서 블랙매트릭스호올을 얻었다. 이어서, 종래 방법에 의해 순차 3원색의 형광체를 도포, 노광, 현상, 건조를 행하여, 형광막을 형성하였다. 또, 종래방법에 의해, 알루미나이징, 프릿베이킹, 전자총장착을 행하여, 블랙매트릭스 컬러수상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은 유리를 분말로해서, 이것과 카아본블랙을 하기의 비율로 혼합하여, 흑색의 혼합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7
감광성재료로서 하기 조성의 조성의 막을 유리기판위에 도포하여 형성하였다.
Figure kpo00008
초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마스크를 개재해서 자외광을 조사하였다. 노광을 받은 부분이 광점착화하였다. 실시예 5에서 얻은 흑색분말을 더스팅하여, 에어블로우로 현상하였다. 광점착화된 개소에 흑색분말이 부착하여 도형상비발광성 분체층이 형성되었다. 암모니아증기로 처리후 물세척하여, 분체층이 형성되었다. 암모니아증기로 처리후 물세척하여, 분체층을 고정화한 후 430°에서 30분간 소성하였다. 내면반사율이 저감된 비발광성 분체층의 패턴을 얻을수 있었다.
또한, 미리 감광성재료의 도막에 자외광의 패턴을 노광하여, 노광부에 형광분체를 부착시킨 다음, 이어서 전체면에 노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실시예 5에서 얻은 흑색분말을 더스팅하고, 현상후, 암모니아처리하여, 물세척하고, 430°에서 30분간 소성하였던바, 형광체의 휘도열화는 전혀 없고, 한편 내면반사율은 저감 되었다.
내면반사율의 저감결과를 제5도에 표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1)은 종래법(습식법), (2)는 본 발명법으로 만든 비발광성 분체층의 5° 정반사율스펙트럼을 표시한다. 즉 표면에 수직인 선보다5°경사진 광을 입사시켜, 그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 도면은 유리표면의 반사율이 공재되어 있다. 본 발명법으로 만든 막이 기판에 밀착된 것과 마찬가지 결과가 되어, 어느 파장에서도 내면반사율이 영으로 되어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은, 페이스플레이트내면의 반사율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또, 형광체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페이스플레이트(3)내면에 형광체층(5) 및 블랙매트릭스층(4)을 구비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형광체층사이 그리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층사이에 저연화점 유리층(6)을 구비하고, 상기 저연화점유리층은 P2O530∼70몰%, B2O32∼10몰%를 함유하고, 나머지 성분으로서 알칼리토금속 및 알칼리금 속의 산화물을 함유하는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2. 페이스플레이트(3)내면에 형광체층(5) 및 블랙매트릭스층(4)을 구비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형광체층사이 그리고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블랙매트릭 스층사이에 저연화점 유리층(6)을 구비하고, 상기 저연화점유리층은, P2O535∼50몰%, B2O33∼7몰%, MgO 5∼15몰%, CaO 5∼15%, Li2O55∼25몰%, Na2O 5∼25몰%, BaO 0∼10몰%, K2O 0∼10몰%, CeO20.01∼1몰%의 조성을 가진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3.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저연화점유리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 유리층위에 블랙매트릭스층 및 형광체층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 및 가열에 의해서 상기 유리층을 연화하는 공정에 의해, 형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연화점유리층은, P2O530~70몰%, B2O32~10몰%를 함유하고, 다른 성분으로서 알칼리토금속 및 알칼리금속의 산화물을 함유하는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연화점유리층은, P2O535∼50몰%, B2O33∼7몰%, MgO 5∼15몰%, CaO 5∼15몰%, Li2O55∼25몰%, Na2O55∼25몰%, BaO 0∼10몰%, K2O 0~10몰%, CeO20.01∼1몰%의 조성물을 가진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6. 유리패널위에 감광성 중합체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새도우마스크를 개재해서 노공을 행하여, 상기 감광성중합체조성물막의 소망부분을 경화시키는 공정과, 현상해서 상기 감광성중합체조성물막의 미경화부분을 제거하여 중합체도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현상에 의해서 노출된 부분의 상기 유리패널 및 상기 중합체도트위에 붕인산지연화점유리분체층을 형성하는공정과, 그위에 콜로이드형상의 카아본블랙 현탁액을 도포해서 비발광성 광흡수물질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박리제를 사용해서, 상기 중합체도트와 그 위에 있는 저연화점유리분체층 및 카아본블랙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그후 가열해서 상기 저연화점붕인산유리를 융해하여, 유리패널과 옵티컬콘택트를 가진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7. 기체표면에, 노광에 의해 점착성을 나타내는 감광성재료를 도포해서 박층으로하는 공정과, 이 박층으로 도형상의 노광을 행하고, 노광부에 점착성을 발생시키는 공정 및 이 노광부에 비발광성 분체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를 저연화점유리분체와 혼합해서 상기 노광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와 저연화점유리와의 혼합은, 양자의 합계에 대하여 비발광성 분체가 0.1∼7중량%의 범위의 양이 되도록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9. 기체표면에 형성된 감광성재료의 박막에 패턴형상의 노광을 행하고, 이어서 현상해서 감광재료의 박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이 감광성재료의 박막의 패턴위에 비발광성 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감광성재료의 박막을 그위의 비발광성 분체층과 함께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발광성 분체패턴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층의 형성은 비발광성 분체와 저연화점유리분체와의 혼합물을 상기 감광성재료의 박막의 패턴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성 분체와 저연화점유리와의 혼합물은, 양자의 합계에 대하여 비발광성 분체가 0.1∼7중량%의 범위의 양이 되도록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의 제조방법.
  11. 페이스플레이트(3)내면에 형광체층(5) 및 블랙매트릭스층(4)을 구비하고, 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층사이에 유리층(6)을 구비하여 소정온도에서 프릿베이킹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층(6)은 연화점이 상기 소정온도보다 낮으며, P2O530∼70몰%, B2O32∼10몰%를 함유하고 나머지 성분으로서 알칼리토금속 및 알칼리금 속의 산화물을 함유하는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릿베이킹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12. 페이스플레이트(3)내면에 형광체층(5) 및 블랙매트릭스층(4)을 구비하고, 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내면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층사이에 유리층(6)을 구비하여, 소정온도에서 프릿베이킹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층(6)은 연화점이 상기 소정온도보다 낮으며, P2O535∼50몰%, B2O33∼7몰%, MgO 5∼15몰%, CaO 5∼15몰%, Li2O55∼25몰%, Na2O 5∼25몰%, BaO 0~10몰%, K2O 0∼10몰%, CeO20.01∼1몰%의 조성을 가진 붕인산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릿베이킹한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KR1019880010992A 1987-09-01 1988-08-29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KR920001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6426 1987-09-01
JP62216426A JPS6460940A (en) 1987-09-01 1987-09-01 Method for forming pattern of pulverized substance of no light emission type
JP62-26426 1987-09-01
JP62273141A JPH01117246A (ja) 1987-10-30 1987-10-30 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カラーブラウン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73141 198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01A KR890005801A (ko) 1989-05-17
KR920001501B1 true KR920001501B1 (ko) 1992-02-15

Family

ID=2652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992A KR920001501B1 (ko) 1987-09-01 1988-08-29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81394A (ko)
KR (1) KR920001501B1 (ko)
CN (1) CN1015845B (ko)
IT (1) IT12269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6736A1 (en) * 1992-06-08 1993-12-23 Harry C. Mcdaniel Luster pigment application methods
JP3145827B2 (ja) * 1993-03-18 2001-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0161938B1 (ko) * 1995-04-17 1998-12-01 구자홍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막
EP0740183B1 (en) * 1995-04-24 2002-02-20 DAINICHI 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Composition for black matrix, formation of black matrix and article provided with black matrix
US5756241A (en) * 1996-04-08 1998-05-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lf-aligned method for forming a color display screen
US6776792B1 (en) * 1997-04-24 2004-08-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oated endovascular stent
FR2766173B1 (fr) * 1997-07-18 1999-08-20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obtention d'un motif decoratif sur un substrat transparent
JP3587339B2 (ja) * 1997-09-18 2004-11-10 ソニー株式会社 反射型扁平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90228B2 (en) * 1999-12-23 2004-09-1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oating for implantable devic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783793B1 (en) * 2000-10-26 2004-08-3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elective coating of medical devices
US6565659B1 (en) * 2001-06-28 2003-05-2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mounting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coat a stent
US7198675B2 (en) * 2003-09-30 2007-04-0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Stent mandrel fixture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ating surfaces of a stent
US7563324B1 (en) 2003-12-29 2009-07-2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at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553377B1 (en) 2004-04-27 2009-06-3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static coating of an abluminal stent surface
US20050265960A1 (en) * 2004-05-26 2005-12-01 Pacetti Stephen D Polymers containing poly(ester amides) and agents for use with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50288481A1 (en) * 2004-04-30 2005-12-29 Desnoyer Jessica R Design of poly(ester amides) for the control of agent-release from polymeric compositions
US7648727B2 (en) * 2004-08-26 2010-01-1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a coated stent-balloon assembly
US7632307B2 (en) * 2004-12-16 2009-12-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Abluminal, multilayer coating constructs for drug-delivery stents
KR20060094271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US20060216431A1 (en) * 2005-03-28 2006-09-28 Kerrigan Cameron K Electrostatic abluminal coating of a stent crimped on a balloon catheter
US7867547B2 (en) 2005-12-19 2011-01-1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electively coating luminal surfaces of stents
US20070148251A1 (en) * 2005-12-22 2007-06-28 Hossainy Syed F A Nanoparticle releasing medical devices
US8003156B2 (en) * 2006-05-04 2011-08-2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otatable support elements for stents
US8603530B2 (en) * 2006-06-14 2013-12-1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Nanoshell therapy
US8048448B2 (en) * 2006-06-15 2011-11-0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Nanoshells for drug delivery
US8017237B2 (en) 2006-06-23 2011-09-13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Nanoshells on polymers
US8048441B2 (en) 2007-06-25 2011-11-0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Nanobead releasing medical devices
US10647962B2 (en) 2016-05-27 2020-05-12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aluminoborate glasses
US20170342383A1 (en) 2016-05-27 2017-11-30 Corning Incorporated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10751367B2 (en) 2016-05-27 2020-08-25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microspheres
US10676713B2 (en) * 2016-05-27 2020-06-09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borophosphate glasses
WO2019108558A1 (en) 2017-11-28 2019-06-06 Corning Incorporated High liquidus viscosity bioactive glass
CN111417601A (zh) 2017-11-28 2020-07-14 康宁股份有限公司 化学强化的生物活性玻璃陶瓷
EP3717030A1 (en) 2017-11-28 2020-10-07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compositions and dentin hypersensitivity remediation
WO2019108557A1 (en) 2017-11-28 2019-06-06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borate glass and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2804A (en) * 1965-05-17 1968-01-09 Mc Donnell Douglas Corp Method of making cathode ray tube with integral light trapping filter
JPS53126861A (en) * 1977-04-13 1978-11-06 Hitachi Ltd Formation method of pattern-type powder substance coating layer
JPS57115749A (en) * 1981-01-07 1982-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Color picture tube
JPS57174826A (en) * 1981-04-20 1982-10-27 Hitachi Ltd Phosphor face forming method of color picture tube
JPH06101301B2 (ja) * 1983-11-07 1994-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粉体層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81394A (en) 1992-01-14
CN1015845B (zh) 1992-03-11
IT8821793A0 (it) 1988-08-31
IT1226974B (it) 1991-02-28
KR890005801A (ko) 1989-05-17
CN1032265A (zh) 198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501B1 (ko)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TW406283B (en) Anode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187860B1 (en) Cathode ray tube
JP3479133B2 (ja) カラー陰極線管の蛍光面
KR100238906B1 (ko) 형광면의 형성방법
KR860000435B1 (ko) 컬러수상관 형광면의 형성방법
KR860000436B1 (ko) 음극선관 형광면의 형성방법
KR100197579B1 (ko) 이중층 형광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29597A (ko) 칼라필터층을구비한칼라디스플레이장치
US6103432A (en) Method for forming black matrix
KR100258916B1 (ko) 칼라음극선관과 그 형광막 형성방법
JPH01117246A (ja) 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カラーブラウン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05634A (ja) カラー陰極線管用蛍光膜の製造方法
JPS61183843A (ja) 光学的接着性を向上させた粉体塗布層の形成方法
KR930007125B1 (ko) 칼라 브라운관 형광면의 제조방법
JPH06101301B2 (ja) 粉体層の形成方法
KR100468424B1 (ko) 칼라 음극선관
KR940007644B1 (ko) 칼라브라운관의 노광방법
KR100303843B1 (ko) 음극선관용 형광막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형광막을 갖는 음극선관
KR100298386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막 제조방법
JPH08293251A (ja) カラー陰極線管の蛍光膜の製造方法
KR20020028009A (ko) 음극선관의 스크린 제조 방법
JPS636728A (ja) カラ−陰極線管の蛍光面
JPH07230763A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及び水溶性ポリマ含有組成物膜の積層体の形成方法
KR20010018039A (ko) 칼라 음극선관용 형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