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98B1 -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98B1
KR920001298B1 KR1019870008290A KR870008290A KR920001298B1 KR 920001298 B1 KR920001298 B1 KR 920001298B1 KR 1019870008290 A KR1019870008290 A KR 1019870008290A KR 870008290 A KR870008290 A KR 870008290A KR 920001298 B1 KR920001298 B1 KR 920001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detection device
power failure
cage posi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735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까다
요시오 사까이
쓰도무 사노
요오이찌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가 포함된 유압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배열을 표시한 약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를 표시한 개략적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에 유용한 정전시간 검출장치의 구조를 표시한 개략도.
제4도는 제2도에 표시된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의 작동 공정도.
제5도는 타 실시예의 정전시간 검출장치의 구조를 표시한 약도.
제6도는 타 실시예의 작동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케이지 2 : 피스톤
3 : 실린더 5 : 파이프
7 : 체크밸브 9 : 전자력 밸브
11 : 오일펌프 13 : 모우터
15 : 오일탱크 P : 전원
23 : 마이크로 프로세서 25 : 정전시간 검출장치
27, 29 : 선 31 : 펄스발생장치
33 : 하부활차 35 : 상부활차
37 : 로우프 41 : 특정층 검출장치
45 : 자석 51 : 총검출장치
131 : 베터리 137 : 입력앤드 게이트
143 : 수정발진기 145 : 2진 계수장치
본 발명은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의 전체 왕복운행에 걸쳐 수 밀리미터의 정확성을 가진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위치 검출장치로서 특히 전원 회복 후 정상운행을 재개하기 위하여 정전으로 정지되고, 정전시 발생하는 유압잭으로 부터의 오일 유출로 인하여 침하하는 케이지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케이지의 모든 예정된 운행거리에 대해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 장치를 사용한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층수가 일반적으로 그리많지 않았고 또 속도제어의 간단성 때문에 그 이상의 케이지의 정확한 위치가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유압 엘리베이터에는 상기 유형의 위치 검출 장치가 사용되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유압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소위 로우프(rope)식 같은 유형의 엘리베이터가 가지고 있는 제동장치가 없으며 케이지 정지시 케이지는 유압오일로 채워진 유압잭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케이지가 만일 장시간 정지하면 유압 시스템내에 포함된 여러 밸브에서 오일의 누출로 인해 유압오일이 점차 유압잭으로부터 유출되기 때문에 조금씩 침하한다. 오일누출을 완전히 방지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침량이 예정치수에 도달하면 케이지가 올라오게 하도록 전원정상 상태에서 유압펌프가 작동되었다. 그러나, 정전시 펌프가 작동될 수 없으므로 케이지가 점차 계속 침하한다.
심지어 정전으로 인해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가 검출되고 기억된다 하더라도 잠시후 케이지의 실제 위치는 기억된 위치와 다르다.
전원 회복시 케이지 위치를 확실히 알아내기가 매우 어려웠다. 케이지의 현위치를 읽어버린다면 엘리베이터는 더 이상 정상으로 제어될 수 없다. 끝으로 정전이 발생할 때마다 케이지는 전원회복 케이지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특정층으로 움직여 갔다. 이것은 전원회복 후 정상운행 작동재개의 준비호 향해졌다. 즉, 엘리베이터는 전원회복 후 항상 특정층으로부터 정상 작동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예비작동의 수동제어로 유압잭으로부터 유압오일을 유출함으로서 가능하다. 따라서 예비작동은 아래로 움직였고 그러므로 특정층은 일반적으로 최하층으로 선택되었다. 로우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정전시 수반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검출장치는 정전발생시부터 케이지가 실제로 정지할 때 까지의 케이지의 운행거리를 검출한다. 일단 제동장치에 의해 케이지가 정지되면 제동력이 유효할 동안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검출장치는 정전발생시부터 케이지 실제정지시까지의 아주 단시간 동안만 작용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이렇게 검출된 위치는 약간의 백업(backup) 전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유압 엘리베이터의 적용은 재삼 넓어진다. 결과로 유압 엘리베이터로 서비스되는 층수가 증가하고 그래서 케이지의 정확한 위치검출에 대한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그다음 로우프식 엘리베이터를 위해 개발된 이러한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를 유압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검출장치가 유압 엘리베이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한 바와같이 정진기간 내에 케이지가 계속 침하하기 때문에 정전기간 동안 검출장치가 작동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전기간 동안 검출장치 작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전력을 마련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고 경제 지향성 유압 엘리베이터에는 불리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움직이는 케이지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고 비록 정전시 케이지가 침하한다 할지라도 전원 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운행 작동을 재개하게 되는 케이지 위치를 상세히 알아낼 수 있는 유압 엘리베이터를 위한 경제적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모든 예정된 케이지의 운행거리에 대해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 케이지 위치를 얻어내기 위해 펄스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펄스계수를 위한 수단, 얻어진 케이지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내에 정전시간 검출을 위한 수단이 또한 마련되어 있고, 전원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동작을 재개하게 되는 위치가 검출수단에 의해 측정된 정전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구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 중 하나에 의하면 정전으로 인해 케이지 정지시 기억수단에 기억된 케이지 위치가 검출수단에 의해 측정된 정전시간을 기준으로 보정되고 전원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작동을 재개하게 되는 위치가 보장된 케이지 위치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특징에 의하면, 검출수단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판단되고 정원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작동을 재개하게 되는 위치가 그 판단결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분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4개의 층을 운행하는 유압 엘리베이터를 위한 제어장치의 전체배열이 표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1)는 피스톤(2)과 실린더(3)로 구성된 유압잭의 이동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측 이내에서 운행한다.
피스톤(2)은 파이프(5)를 통하여 체크밸브(7)와 전자력 밸브(9)에 연결된 실린더(3)에 공급된 유압오일에 의해 움직인다.
체크밸브(7)는 또한 오일펌프(11)에 연결되어 있다. 펌프(11)가 모우터(13)에 의해 구동될 때, 유압오일이 오일탱크(15)로부터 체크밸브(7)를 통하여 실린더(3)로 공급되어서 케이지(1)가 위로 움직인다. 전자력밸브(9)가 열리기 위해 여자되면 실린더(3)내의 유압오일이 오일탱크(15)로 유출되고 케이지(1)는 밑으로 움직인다.
적정한 전력이 도면에 미도시된 전원(P)으로부터 모우터(13)로 공급된다.
또한, 모우터(13)에 공급된 전력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3)의 출력을 근거로 제어한다.
그러나 그 사이의 연결은 종래의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에서 또한 빠져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는 후술된 여러 가지 입력신호들이 입력되어 있다. 정전시간 검출장치(25)는 전원(P) 전압을 감지하고 정전발생을 검출한다. 정전발생시, 상기 검출장치(25)는 백업전력에 의해 그안에 포함된 계수장치를 작동시키고, 정전시간을 측정하도록 그안에 또한 포함된 클럭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클럭펄스를 계수한다. 클럭발생 장치와 계수장치는 정전시에만 작동하므로 큰 백업전력이 필요치 않다. 전원회복시 측정된 정전시간은 입력신호의 하나로서 선(27)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들어간다. 케이지(1) 위치는 펄스발생장치(31)에 의해 검출되고 그 출력은 선(29)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들어간다. 케이지(1) 위치는 펄스발생장치(31)에 의해 검출되고 그 출력은 선(29)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또한 인입된다. 펄스발생장치(31)는 하부필차(33)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필차(33)와 상부필차(35)사이에 로우프(37)가 마련되고 그 양단은 케이지(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펄스발생장치(31)는 케이지(1)가 승강하는 수밀리미터마다(일반적으로 매 2.5mm)하나의 펄스가 발생되도록 케이지(1)의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이 펄스들은 케이지(1)가 상행시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가산되고 케이지(1)가 하행시 감산되어서 케이지(1)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특정층 검출장치(41)의 리이드 스위치가 특정츠으이 예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층을 의미한다 : 한편 케이지(1)가 1층에 정확히 도착할 때에는 자석(45)이 리이드 스위치에 대향하는 그 부분에서 케이지(1)는 자석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케이지(1)가 1층에 도착할 때에는 특정층 검출장치(41)가 출력신호를 내도록 리이드 스위치는 자석(45)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 신호는 특정층에 케이지(1)의 도착을 나타내는 입력으로서 선(43)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인입된다. 또한 층검출장치(51)의 미이드 스위치가 케이지(1)위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층의 적정위치에 자석(55), (59), (63), (67)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지(1)가 각 층에 정확히 도착 할 때마다 총검출 장치(51)가 출력신호를 내도록 대응하는 자석(55), (59), (63), (67)과 대향한다. 출력신호는 각 층에 케이지(1)의 도착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선(53)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인입된다. 또한, 펄스발생장치(31)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장치는 클리어 되고 아울러 층검출장치(51)가 출력을 낼때마다 각 층에 특별히 설정된 적절한 값으로 리세트 된다. 각층의 설정된 조정수치는 케이지(1)의 시운전으로 미리 얻는다.
다음 제2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의 배열이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참조 숫자는 제1도에서와 같은 동일 구성요소를 표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PU)(101)와, MPU(10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롬(ROM)(103)과, 여러 가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램(RAM)(105)로 구성된다. MPU(101), (ROM)(103) 및 RAM(105)은 입출력 포트(109)에 연결된 버스(bus)(107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정전시간 검출장치(25), 특정층 검출장치(41) 층검출장치(51) 및 펄스발생장치(31)와 같은 외부 수단은 입력선(27), (43), (53), (29)을 통하여 각각 입출력 포트(109)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몇 개의 출력선이 모우터(13) 제어를 위한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입출력구(109)에 연결되어 있지만, 도면에서는 빠져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는 또한 백업전력으로서 배터리(111)를 가진 다른 램(RAM)(113)이 마련되어 있다. RAM(113)에는 펄스발생장치(31)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가산 또는 감산하기 위한 계수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RAM(113)은 항상 케이지(1)의 현재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RAM(113)은 또한 펄스발생장치(31)에 의해 발생된 펄스수에 의해 각층과 특정층간의 거리를 기억한다. 이로인해 케이지 위치검출에 오차가 생기면 그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RAM(105)이 정전을 위해 백업도면 상기 RAM(113)의 기능이 RAM(105)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RAM(113)은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 제3도를 참조하여 정전시간 검출장치(25)의 상세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배터리(131)는 검출장치(25)의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로인해 검출장치(25)는 정전시라도 작동할 수 있다. 전압검출장치(133)는 항상 전원(P) 전압을 감지하고, 만일 그 전압이 예정치보다 높으면 어떠한 출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전원전압이 소멸할 때, 검출장치(113)는 출력을 발생한다. 상기 검출장치(133)의 출력은 선(135)을 통해 두 개의 입력 앤드게이트(137)의 단자중 하나에 인입된다. 클럭발생장치(139)는 수정발진기(143)를 가지고 있고 일정 주파수의 클럭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클럭펄스 주기는 1msec이다. 클럭펄스는 선(141)을 통해 앤드게이트(137)의 다른 단자에 인가된다. 앤드게이트(137)출력은 2진 계수장치(binary counter)(145)의 클럽입력단자(T)에 인입된다.
상기 계수장치(145)는 반전된 리세트 입력(R)이 논리신호 “0”일 때 모든 클럭(Q0∼QN)을 논리신호 “0”으로 만든다. 출력단자(Q0∼QN)와 리세트 입력단자(R) 선(27)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연결된다.
또한 리세트 입력단자(R)는 저항(147)을 통해 배터리(131)에 연결되고 이로인해 계수장치(145)는 정전으로 인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 부터의 리세트 입력이 “0”이 될지라도 저항(147)을 통하여 배터리(131)로부터 가해진 전압에 의해 리세트 입력(R)이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클리어 되지 않는다. 상기 구조의 정전시간 검출장치(25)는 정상전력시 작동하지 않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 부터의 리세트 입력(R)은 “1”로 유지된다. 정전되면 검출장치(133)가 출력을 냄으로써 선(141)위의 클럭펄스는 앤드게이트(137)을 통하여 계수장치(145)로 제공된다.
상기 계수장치(145)는 클럭펄스를 계수하기 시작하고, 그 결과 출력(Q0∼QN)이 연속적으로 나온다. 전원회복시 검출장치(133)D의 출력은 소멸하고 그러므로 클럭펄스는 앤드게이트(137)에 의해 차단된다. 그후 계수장치(145)의 내용은 변하지 않고 출력(Q0∼QN)은 전원회복시의 상태로 유지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가 전원회복으로 인해 프로세스 작동을 재개할 때에는 그안의 계수장치(145)의 출력(Q0∼QN)을 수용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니트(101)는 그안에 수용된 Q0∼QN을 근거로 정전시간(T)을 계산하고 그것을 RAM(105)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한편, 단위시간당 케이지의 평균 침하량(K)이 미리 구해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3)의 RAM(105)에 기억된다. 시간(T)과 평균 침하량(K) 모두가 독출된 다음 서로 곱함으로써, 정전시 케이지(1)의 총 침하량을 구할 수 있다.
제4도의 공정계통도를 참조하여 전원회복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3)의 프로세스 단계가 아니라 정전에서 전원회복까지 엘리베이터에서의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정전발생기(단계 201), 엘리베이터 케이지(1)는 정지하고 유압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한다. 정전시 전술한 바와같이 케이지(1)는 오일 누출로 인해 계속 침하한다(단계203). 그동안 정전시간 검출장치(25)는 전술한 바와같이 정전시간을 계속 측정한다. 전원이 회복된 때(205), 아래 프로세스 작동이 정전시 침하한 케이지(1) 현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시작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가 전원회복으로 인해 그 작동을 시작할 때 정전시간 검출장치(25)의 계수장치(145)로부터 수용된 수치를 근거로 정전시간(T)을 계산하고, RAM(105)에 기억한다(단계 207).
계수장치(145)의 내용을 판독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3) 계수장치(145)를 지우기 위해 리세트 입력(R)을 “1”에서 “0”으로 바꾸고 다음 작동준비를 위해 다시 “1”로 돌아온다(단계 209). 그다음 시간(T)과 RAM(105)로부터 판독한 단위 시간당 평균 침하량(K)를 곱해서 정전시 케이지(1) 총 침하량(P)을 구할수 있다(단계 211).
정전전의 백업전력(111)에 의해 RAM(113)에 유지된 케이지 위치(P)가 판독된다(단계213). 케이지(1) 총 침하량(△P)은 정전전의 케이지 위치(P)에서 감해지고 결과 보정된 케이지 위치(P′)를 구할 수 있다(단계 215). 이렇게 구한 보정된 케이지 위치(P′)가 RAM(113)에 기억된 후(단계 217) 프로세스 작동은 끝난다.
정상운행 작동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 보정된 케이지 위치(P′)에 의해 구분된 위치를 잡음으로서 재개된다.
이런식으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지의 정확한 현위치가 즉시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전원회복 후 즉시 정상작동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회복 후 정상작동 재개를 위한 케이지 현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실시된 것과 같은 예비동작이 필요치 않다.
이제 정전시간과 실제의 엘리베이터 작동상태에 대해 몇가지점들을 아래에 논한다. 만일 정전시간이 예를 들어 10분 정도로 그리 길지 않다면 케이지 침하량은 적어서 만일 유압 엘리베이터가 정상유지 규정과 일치하게 잘 유지되기만 한다면 전원회복시 정상동작 재개를 위해 보정될 필요가 없다.
반대로 정전시간이 30∼40분을 초과할 정도로 길어질 경우에 케이지에 남은 승객들이 보통 약 30분 이내에 구조되기 때문에 승객들이 전원회복시까지 케이지에 남아있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실제 작동상태와 작동 제어능률을 고려하여 정전시간을 몇가지 경우로 나누어 논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세가지 경우, 즉 시간이 10분 정도 이하인 첫 번째 경우, 10분에서 30∼40분 사이의 두 번째 경우, 그리고 두 번째 경우보다 더 긴 세 번째 경우 또한 정전시간을 분류하기 위한 전술한 시간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여러 가지 요인, 그중 주요인인 상기 엘리베이터의 유지상태에 크게 달려있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첫 번째 경우에 케이지 침하량이 매우 적어서 케이지 위치를 조금도 보정하지 않고 전원회복시 엘리베이터가 즉시 정상작동을 재개할 수 있다. 정전시간이 만일 더 길어져서 두 번째 경우로 된다면 케이지 위치는 전술한 방법과 일치하게 보정할 필요가 있다. 정전시간이 훨씬 더 길어질 경우에 전술한 세 번째 경우와 일치한 결과가 되어 상기한 바와같이 구조작업이 실시된다. 승객구조를 위해 케이지는 수동제어에 의해 가장 가까운 층으로 하행하고 그후 케이지는 미리 예정된 특정층으로 더 하행하여 정상작동 재개를 위해 거기서 대기한다. 이 경우에 케이지에 승객들이 없기 때문에 정상작동 재개를 상기 케이지 예비동작이 실시되어도 아무도 불편을 겪지 않는다. 또한 케이지가 승객없이 이동할 시 정전될 경우의 정확성은 같다. 그러므로 다음 실시예를 고려한다.
즉 측정된 정전시간이 미리 마련된 몇가지 기준에 의해 판단된다. 만일 그것이 예정수치보다 더 짧으면 케이지 위치를 조금도 조정하지 않고 전원회복 후 즉시 엘리베이터는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에서 정상작동에 들어간다.
측정시간이 예정수치보다 더 길지만 타 예정수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케이지 위치는 전원회복시 측정된 정전시간을 근거로 보정되고 그후 케이지는 보정된 케이지 위치에 의해 구분된 위치에서 정상작동을 시작한다.
또한 측정된 시간이 다른 소정수치를 초과하고 승객들이 구조된 경우에 케이지가 특정층에 이동하여 거기에서 대기하기 때문에 그때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에서 케이지는 정지가동에 들어간다.
다음 정전시간이 다른 소정수치를 초과하고 케이지가 특정층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5도는 이경우에 사용된 정전시간 검출장치(25)의 상세구조를 표시한다. 동일한 참고숫자는 제3도에서와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 검출장치(25)에 두 입력 오어게이트(301)가 구비되어 있어서 검출장치(133)의 출력이 상기 게이트(301)의 단자 입력중 하나에 인가된다. 오어게이트(301)의 출력은 세입력 앤드게이트(303) 입력단자중 하나에 인입된다. 클럽발생 장치(139)로부터 나온 클럭펄스는 타 입력으로써 앤드게이트(303) 에 인가된다. 앤드게이트(303) 출력은 그 출력(Q)이 오어게이트(301)의 타입력에 인가되게 하는 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305) 단자(IN) 뿐만 아니라 2진 계수장치(145) 클럭단자(T)에도 인가된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 또한 선(27)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3)에 인가된다. 계수장치(145)의 단자중 하나인 실시예에서 표시된 Q11은 인버터(307)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계수장치(145)에서 계수작동 시작부터 30분후에 출력이 단자(Q11)로부터 출력된다. 인버터(307)의 출력은 앤드게이트(303)의 제3입력단자에 가해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부터 나온 리세트 신호는 상기 계수장치(145) 및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역리세트 단자(R)에 가해진다.
이 정전시간 검출장치(25)에 있어서 도면에서 명백하듯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3)와의 연결은 단지 두선으로 한다. 정전이 발생하면 상기 전압 검출장치(133)의 출력은 오어게이트(301)를 통해 앤드게이트(303)에 가해진다. 인버터(307)의 출력은 이미 앤드게이트(303)에 가해지고 그러므로 클럭펄스는 검출장치(133)의 출력이 앤드게이트(303)에 가해질 때 계수장치(145)의 단자(T)에 인입된다. 계수장치(145)가 클럭펄스를 가산하기 시작하고 계수장치(145)의 내용이 30분에 대응하는 수치와 같아질 때 계수장치(145)는 단자(Q11)에 출력한다. 인버터(307)의 입력은 단자(Q11) 출력에 의해 고레벨로 변해서 그 출력 즉 앤드게이트(303)의 입력은 클럭펄스가 계수장치(145)에 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멸한다. 즉, 계수장치(145)는 단지 30분 이내에 계수작동을 계속한다.
한편, 클럭펄스가 멀티바이브레이터(305) 단자(IN)에 가해질동안 그 출력(Q)은 높게 유지된다.
그러나 가해진 클럭펄스가 소멸하면 멀티바이브레이터(305)는 일정시간 이후 그 상태를 바꾸고 그 출력(Q)은 낮아진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23)가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을 감지하면 정전이 30분이상 지속되는지 않는지 식별될 수 있는데, 즉 고레벨의 출력(Q)은 정전시간이 30분 이하였음을 의미하고 저레벨은 정전이 30분 이상 더오래 지속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이 인버터(307)에 유도되는 계수장치(145)의 단자가 바꾸어지면 검출장치(25)로 검출되는 기간이 제멋대로 선택된다. 다음 제6도의 공정 계통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작동을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정전시간이 30분 이하이면 케이지 위치 보정이 실시되지 않고 정전으로 인해 케이지가 정지한 위치가 전원회복 후 정상작동을 재개하기 위해 실시예로서의 경우를 든다. 그러나 이 실시예가 전술한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6도의 공정 계통도에서 단계들(601), (603), (605)은 제4도의 단계들(201), (203), (205)과 유사하게 프로세스 작동단계를 나타내지 않고 정전발생시 부터 전원회복시 까지 엘리베이터에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전력이 정상인 동안 계수장치(145)와 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305) 모두가 클리어되고,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3)로 부터의 리세트 신호에 의해 리세트 된다.
만일 정전되면(단계 601), 케이지가 침하하기 시작하고(단계 603) 계수장치(145)는 클럭발생 장치(139)로부터의 클럭펄스를 가산하기 시작하고 30분 후 그 단자(Q11)에 출력을 낸다. 30분 이내에 전원회복이 되면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은 고레벨로 유지된다. 정전이 30분 이상 지속하면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은 저레벨로 변한다. 전원회복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3)는 제6도의 프로세싱을 시행하기 시작하고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상태는 처음으로 식별된다(단계 607).
만일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이 “1”이면 제6도의 프로세스 작동은 정전시간이 30분 이내의 경우이고 그러므로 케이지 침하량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끝난다. 만일 멀티바이브레이터(305)의 출력(Q)상태가 “0”이면 특정층으로의 운행명령이 케이지에 주어진다(단계 611). 케이지는 특정층 검출장치(41)가 특정층을 검출할때까지 계속 운행한다(단계 613).
만일 케이지가 특정층에 도착하여 정지하면 RAM(113)에 기억된 케이지 위치는 특정층을 나타내는 수치로 바꾸어진다(단계 615). 즉, RAM(113)내의 케이지 위치가 골자화 된다. 그 다음 제6도의 프로세싱이 끝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움직이는 케이지 위치가 명확히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정전으로 인해 케이지가 침하한다 할지라도 전원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작동을 재개할 위치를 쉽게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케이지(1)의 예정된 모든 운행거리에 대해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31)과, 백업용 배터리(111)를 구비하되 케이지 위치를 구하기 위해 상기 펄스발생 수단(31)에 의해 발생될 펄스를 계수하고 아울러 구해진 케이지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113)를 구비한 유압 엘리베이터용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정전시 정전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25)를 포함하며, 전원회복 후 상기 엘리베이터가 정상작동을 재개할 케이지(1) 위치는 상기 측정수단(25)에 의해 측정된 정전시간을 근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시 상기 케이지(1) 침하량은 상기 측정수단(25)에 의해 측정된 정전시간을 근거로 구해지고, 정전직전 상기 기억수단(113)에 기억된 케이지 위치는 상기 구해진 케이지(1) 침하량에 의해 보정되고, 그리고 전원회복 후 엘리베이터가 정상작동을 재개할 케이지 위치는 그 보정된 케이지 위치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은 미리 구한 단위 시간당 평균 침하량과 상기 측정수단(25)으로 측정된 정전시간을 곱하므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13)에 기억된 케이지 위치 보정은 상기 측정수단(25)으로 측정된 정전시간이 제1소정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13)에 기억된 케이지 위치 보정은 상기 측정수단(25)으로 측정된 정전시간이 상기 제1소정 수치를 초과하고, 상기 제1소정수치보다 큰 제2소정수치 보다 적을 경우에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25)으로 측정된 정전시간이 상기 제2소정수치를 초과할 때, 케이지가 미리 결정된 특정층으로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KR1019870008290A 1986-08-01 1987-07-29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KR920001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79889A JPS6339131A (ja) 1986-08-01 1986-08-01 磁気記録媒体
JP179989 1986-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35A KR880002735A (ko) 1988-05-11
KR920001298B1 true KR920001298B1 (ko) 1992-02-10

Family

ID=1607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290A KR920001298B1 (ko) 1986-08-01 1987-07-29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6739A (ko)
JP (1) JPS6339131A (ko)
KR (1) KR920001298B1 (ko)
DE (1) DE3725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500A (en) * 1988-01-22 1994-05-10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o-optical disk
CA2047163C (en) * 1990-07-20 1995-05-16 Kenji Ohta Optical disk
JP2641662B2 (ja) * 1991-11-19 1997-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テープ用バックコート層塗料及び磁気記録テープ
US5589263A (en) * 1993-12-28 1996-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a dry etched layer, a carbonaceous film, and a lubricant fil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769B2 (ko) * 1974-02-15 1982-06-24
JPS5737737A (en) * 1980-08-15 1982-03-02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819474A (ja) * 1981-07-27 1983-02-04 Victor Co Of Japan Ltd 機能性メツキ膜の製法
JPS5965929A (ja) * 1982-10-06 1984-04-14 Tdk Corp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29227A (ja) * 1984-04-27 1985-11-1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JPS60263318A (ja) * 1984-06-09 1985-12-26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
JPS6265233A (ja) * 1985-09-17 1987-03-2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JP3398986B2 (ja) * 1992-09-24 2003-04-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金属精錬炉羽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35A (ko) 1988-05-11
DE3725526A1 (de) 1988-02-11
US4826739A (en) 1989-05-02
JPS6339131A (ja) 198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46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everal pumps
US6170614B1 (en) Electronic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s
US54214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command for deceleration/stoppage of the cage of a lift or a hoist in accordance with variations in the operating data of the system
KR930000588B1 (ko) 엘리베이터제어장치
KR920001298B1 (ko) 유압 엘리베이터 케이지 위치 검출장치
KR10137441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6337088A (ja) 油圧エレベ−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KR92000683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S61169468A (ja) エレベ−タ装置
CN110668272A (zh) 电梯防捣乱的控制方法
US4317506A (en) Elevator system
JPH0823115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2205982A (ja) エレベ−タ制御装置
JP695848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203755A (ja) 油圧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KR0129275B1 (ko) 유압엘리베이터의 누유량 검출방법
KR850000749Y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EP0514782A1 (en) Hydraulic circuit for passenger and freight elevators and the like
JPH0336756B2 (ko)
JPS629515B2 (ko)
KR100335981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리레벨링 운전방법
CN117775908A (zh) 电梯平层控制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JPH06247658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0157960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JPH04191264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