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49Y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49Y1
KR850000749Y1 KR2019830011292U KR830011292U KR850000749Y1 KR 850000749 Y1 KR850000749 Y1 KR 850000749Y1 KR 2019830011292 U KR2019830011292 U KR 2019830011292U KR 830011292 U KR830011292 U KR 830011292U KR 850000749 Y1 KR850000749 Y1 KR 850000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floor
power failure
car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04U (ko
Inventor
가즈히로 사까다
다께오 유미나까
마사오 나까자또
겐지 요네다
고다로오 히라사와
마스미 이마이
소시로오 구즈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30011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49Y1/ko
Publication of KR840006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카아 위치 보정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카아 위치 검출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동작타임 챠트.
제5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구동 검출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6도는 제1도의 카아 위치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메인프로그램의 일 실시예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8도는 제6도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테이블 구성도.
제9도∼제13도는 제7도의 각 스텝의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낼 플로우챠트.
제14도는 정전개입 중단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5도는 타이머 개입 중단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고안은 엘리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리베이터카아 위치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디지탈 플로어콘트로울러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정전상태가 지나고 다시 전원이 복구된 후 정상 운전으로 효과적인 복귀를 행하는데 가장 알맞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아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을 대별하면, 기계식 플로어 콘트로울러를 사용하는 것과, 전기식 플로어 콘트로울러를 사용하는 장치 두가지가 있다.
전자는 카아와 기계적으로 연등하여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소형 모의장치를 설치하고 이 모의장치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카아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한편, 후자는 카아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기계식과 마찬가지로 모의 장치를 카아의 이동과 연동하게한 전동에 의해 구동되어 카아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과, 모두 전기적으로 구성한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 방법이다.
이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 방법의 장점은 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면적 점유율이 양호하게 되고, 그리고 반도체 제품 값이 싸므로 낮은 가격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반면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이 되면 카아 위치를 알 수가 없게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즉, 수초동안 정전이되더라도 전기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상실되어 버려 카아 위치가 불명하게 된다. 따라서 정전 상태에서 전원이 복구되었을때 카아내의 승객이 바라는 층으로 갈수가 없게 되는 등의 불편이 생긴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로 동작하는 장치의 전원으로서 일상의 전원외에 배터리 전원을 병설하여 정전시에도 대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값비싼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목적 즉, 초 고층(超高層)건축물용의 엘리베이터처럼 승강 행정이 길고, 기계식 플로어 콘트로울러에서처럼 모의 장치 자체의 높이가 모의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서, 정전후 정상상태로 전원이 복구될때, 층상값이 전기적으로 판별될 수 있는 기준층으로 엘리베이터를 강제적으로 운전하도록 하고, 기준층에서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서 초기값을 설정하고, 그 후에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수초 동안 정전이 되더라도 그때마다 엘리베이터를 기준층까지 운전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승객에 대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를 사용하면서도 값비싼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정전때마다 카아를 기준층으로 운전하지 않으며, 전원이 단시간에 정상상태로 복귀되게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서의 기능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정전시에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도록하고, 정상 전원으로 복구된 후에는 최소한 일층만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면 정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제1도, 제3도, 제5도∼제15도에 나타낸 실시예 및 제2도, 제4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는 펄스 발생기로서 값싼 교류속도 발전기(이하 ACPG 라고 약칭한다) 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ACPG를 엘리베이터 구동용 전동기에 직접연결하도록 한 경우,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첫째는, 초저속으로 엘리베이터가 주행하고 있을때는 ACPG발생전압이 너무 적어서 펄스를 발생할 수 없게 되고 이에따라 검출 속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고, 둘째는 반복하고 있는 동안에 구동 장치상에서 슬립되기 때문에 정확한 카아 위치를 카운트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들의 해결하기 위하여 검출 속도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위치 보정으로 속도를 검출하고, 슬립이 있는 점에 관해서는 슬립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을 대책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대책의 방법에 관해서도 언급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 1∼5는 각 층을 나타내고 있으며 1은 1층 2는 2층 이하 마찬가지로 5층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6은 엘리베이터 카아, 7은 균형추로서 카아(6)와 균형추(7)는 로우프(8)에 의해 구동장치(9)에 두레박 모양으로 매달려져 있다. 각 층(1~5)은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간막이판(자기 차폐판등)(1FS~5FS)이 설치되고 1층(1)에는 기준층임을 나타내는 간막이판(1BS)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아(6)에는 정지 간막이판(1FS∼5FS)을 검출하는 층검출기(6CS)와, 기준층 간막이판 (1BS)을 검출하는 기준층 검출기(6CBS)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검출기(6CS),(6CBS)로 부터의 신호(CS),(CBS)는 테일코오드(tail corcl)(10)를 통하여 카아 위치 처리장치에 입력된다.
카아위치 처리장치(13)는 카아 위치 검출회로(11)와 엘리베이터 구동검출회로(12)간에 데이터버스(BUS1), (BUS2)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보교환을 행하고 있다. 구동장치(9)의 축에는 ACPG(14)가 설치되어 있으며, ACPG(14)의 출력신호(PG)는 카아위치 검출회로(11)에 입력된다. 한편, 공지의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생략)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ES)는 엘리베이터 구동검출회로(12)로 입력된다.
또한, 교류전원(AC)에 접속되어 있는 직류 전원장치(15)의 출력인 직류전압(Vcc)은 각 회로로 공급된다. 배터리(16)는 정전시 역류방지 다이오드(17)를 경유하여 전류가 충전되게 구성된다.
이 배터리(16)의 배터리 전압(VccR)은 카아위치 처리장치(13)의 정보 기억장치(후술함)에 공급된다.
또한, 직류전원 장치(15)에는 정전검출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출력은 정전신호 NMI로서, 카아위치 처리장치(13)로 입력된다.
다음에 제1도의 동작의 개략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ACPG(14)에서 검출 속도를 검출하지 못할 경우 카아위치를 보정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금, 카아(6)가 1층에 도달하여 있고 이후 5층을 향하여 주행하기 위해 구동신호(ES)를 출력하면, 이 신호(ES)는 엘리베이터 구동검출회로(12)에 의해 검출되고 다시 이 신호가 카아 위치 처리장치(13)로 전달되고, 카아 위치 처리장치(13)내에서는 카아위치 검출회로(11)에서 먼저 입력된 카아위치의 내용과 비교하고 미검출속도에 따른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소정값을 가감산하여 그 결과를 카아위치의 검출회로(11)내의 카운터를 프리세트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카운터는 보정된 새로운 내용으로 다시 카운트를 시작한다. 이러한 관계를 나타낸 것이 제2도로서, 횡축이 카아 위치를 나타내고 이 위치 검출회로(11)의 카운트값을 나타낸다. 1층에서 카아가 주행을 시작하면서, 어느 일정한 소정 시간후에 보정(R)을 행하므로, 도면의 점선으로 나타낸 이상적인 곡선(a)에 가깝게 한다. 보정후의 곡선(d)은 그후 슬립에 의한 보정(s)을 2층의 정지위치신호 [제1도의 층 검출기(bcs)가 정지 간막이판(2FS)을 검출한 때 출력된다]가 출력된 시점에서 행한다. 이와같은 보정을 각 층상에 도달할 때마다 행하여 이상적 커브(a)가 되도록 항상 보정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보정처리는 카아위치 처리장치(13)에 의해 행하고, 보정후의 카아위치는 카아위치 신호(POS)로서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생략)의 정보가 된다. 그리고 카아위치 처리장치(13)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련하여 정전시 본 고안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지금 교류전원(AC)이 정전했다고 하면 직류전원장치(15)에서 정전신호(NMI)가 출력된다. 이때, 카아위치 처리장치(13)는 정전신호(NMI)에 의하여 개입중단되면서, 카아위치 검출회로(11)의 카운터의 내용이나 카아방향 그리고 정지된 것을 알려주는 정보를 배터리에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에 기억시켜 처리를 중지한다. 정전신호(NMI)는 평상시의 교류전원 전압이 80%쯤 하강한 시점에서 발생하므로 직류전압(Vcc)이 떨어질때까지에는 약간의 시간이 있으며, 이러한 짧은 시간에 처리장치는 최우선적으로 상기 한번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처리장치는 직류전압(Vcc)이 90%정도까지 한강한 시점에서는 베터리에 접속시킨 메모리내로 기입 금지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이때 카아는 비상 정지되지만, 비상 정지후 교류전원(AC)이 복구됐을때 카아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견출속도[ACPG(14)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저속도]로 주행시켜 그 때의 카아위치 검출회로(11)의 카운터의 내용을 미리 준비한 층 테이블(엘리베이터 설치시 기준층에서 각층까지의 펄스 카운트값을 측정하고 각 층에 대한 정확한 값을 기업시킨 테이블의 내용과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값 이내라면 카아위치 처리장치(13)에 기억시킨 층 테이블의 값을 카운터에 세트시켜 그 시점에서 엘리베이터를 정상운전하게 한다.
이 경우 만약 그 차가 소정값 이상이라면 엘리베이터의 카아위치는 보정 불가능한 범위, 즉 엘리베이터가 어느 층에 있는가를 알 수 없는 상태로 기준층인 1층까지 주행시켜 카아위치 검출회로(11)내의 카운트 값이 다시 세트된후 정규상태로 복귀된다.
이와같이 엘리베이터 카아 위치를 알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는 정전시에는 수동 조작으로 카아(6)를 이동시켜 승객을 구출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카아위치 처리장치(13)가 동작하지 않으며 통상의 정전시와 비교하여 카아위치가 상당히 달라져 버린다. 이 외에 대단히 드문 일이지만 정전시에 있어서 승객수는 로우프(8)의 상당한 슬립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상을 제1도의 동작의 개략적인 설명이지만 이를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드웨어에 관하여 설명한 후 카아 위치 처리장치(13)에 있어서의 처리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1도의 카아위치 검출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ACPG(14)로 3상 방진기를 사용하고 그 출력(u,v,w)에는 저항(R1, R2, R3)을 별모양으로 접속시키고, 저항(R1∼R3)의 양단은 저항(R4∼R6),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전압제로 크로스 검출기와 이들과 동일하게 구성시킨 2조의 전압저로 크로스 검출기에 접속된다. 각각의 전압제로 크로스 검출기의 출력(Suw),(Svu),(Swv)은 앤드케이트(AND1∼AND3)의 입력으로 입력되며 앤드케이트(AND1∼AND3)의 출력 (u),(v),(w)은 후술하는 카아위치 처리장치(13)와 인터페이스 작동을 하는 패리 패럴 인터페이스 어댑터 (이하 PI어뎁터라고 약칭한다) (PIA1)의 B포트에 입력시킴과 동시에 OR게이트(OR)의 입력으로 입력시키며, OR게이트의 출력은 프리세트 가능한 가역카운터(CT)의 클록입력단자(CL)로 입력되게 한다. 그리고 가역카운터(CT)는, PI어뎁터(PIA1)의 포트와 인터페이스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카아위치 검출회로(11)의 동작을 제4도에 나타낸 타임 챠아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ACPG(14)의 출력은 3상으로서, 제4(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상의 전압은 정현파이며, 각 파형의 위상차는 120도이다. 이러한 전압 파형을 저항과 연산 증폭기로 구성하고 있는 3조의 상기 전압제로 크로스 검출기에 입력시키면 그 출력(Suw),(Svu),(Swv)은 제4(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된다. 지금 전압제로 크로스 검출기의 입력측에 u상의 전압과 w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그 출력(Suw)은 u상의 전압이 w상의 전압보다 커지는 점에서 상승하며, 그 반대인 때 하강한다. 따라서 출력(Suw)의 파형은 제4(b)도의 Suw에 나타낸 바와같이 된다. 다른 것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신호(Suw), (Suv), (Swv)가 엔드게이트(AND1~AND3)을 통과하면 각각 제4(c)도에 나타낸 신호(u),(v),(w)와 같이되고 120도의 위상차에서 60도의 펄스폭의 신호가 얻어진다.
OR게이트(OR)의 출력은 신호(u),(v),(w)의 논리합 신호로 되기 때문에 제4(d)도의 신호 X와 같이 펄스폭 60도, 펄스간격 60도의 신호 파형으로 된다.
가역 카운터(CT)의 단자(UP/DN)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는 카운터(CT)의 가산, 감산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카운터(CT)는 단자(ST)에 대한 입력신호에 따라 스타트, 스텝이 제어되는 단자(PE)에 대한 입력신호에 따라 프리세트되며, 프리세트 데이터는 PI어뎁터(PIA1)의 A포트 단자에 의해 단자(DIN)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역 카운터(CT)의 상태를 항상 독출 가능하도록 단자(DOUT)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자(DOUT)로 부터의 데이터는, PI어뎁터(PIA1)의 A포트로 입력되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서입된다.
ACPG(14)로서 3상 발전기를 사용한 것은 보수가 용이하고 값이 싸다는 점 또, 회전 방향에서 위상의 순서가 바꿔지기 때문에 위상의 순서를 판별함에 따라 카아(6)의 주행방향의 검출을 할 수 있는 점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제5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구동검출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의 구동신호(ES)는 카아위치 처리장치(13)와 인터페이스하기위한 LSI로 이루어진 PI어뎁터(PIA2)의 A포트로 입력되며, 데이터 버스(BUS2)를 거쳐 카아 위치 처리장치(13)에 공급된다.
제6도는 제1도의 카아위치 처리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 장치(13)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연산처리의 중심이 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PU),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읽기전용 메모리(ROM),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랜 덤 억세스 메모리(RAM1), (RAM2), 와 인터페이스하는 PI어뎁터(PIA3)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간의 정보교환은 버스(BUS1), (BUS2)를 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에는 정전시의 개입중단을 하기 위한 정전 개입중단 신호(NMI), 일정주기마다 개입중단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회로(도시하지 않음)로 부터의 타이머 개입중단 신호(IRQ)가 입력된다. 여기서 정전개입중단신호(NMI)는 최우선적으로 처리를 행하는 단자로 입력된다.
다음에 이 마이크로 컴퓨터의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PU)와 PI어뎁터PIA2)의 제품을 소개하여 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히다찌 제작소제의 HMCS 6,800시티즈중의 HD 46800D를 사용하고, PI어댑터(PIA1)로서는 HD 46821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3도의 가역카운터(CT)의 단자(DIN), (DOUT)는 각각 4비트로서 PI어댑터(PIA1)의 8비트의 A포트에 접속되어 있으나, 카운터(CT)의 비트수를 증가시킬때는 그에따라 PI어댑터를 증설한다. 또, PI어댑터(PIA3)로 부터의 신호(POS)(상세한 것을 후술한다)의 비트수를 증가시킨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원으로서는 일상 전원의 직류전압(Vcc)을 사용하고 있지만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의 전원으로서는 전압(VCCR)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는 정전 상태가 아닐때는 전원에서 전압이 공급되며 정전시에는 데이터의 상실이 일어나지 않는 불 휘발성 메모리로 된다. 그리고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로서 예를들면, CMOSRAM과 같은 저소비 전력의 LSI를 사용하면 배터리(16)의 용량을 상당히 작게할 수 있다.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2개 설치한 이유는, 정전 이후 정상전원으로 복구 되었을때 필요한 최저한의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인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되게 하고 그 이외의 통상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일반적인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1)에 기억되게 하면서도, 베터리(16)의 용량을 적게하고 싼값으로서 장시간의 정전에 견뎌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메인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그리고 이밖에 후술하는 제14도, 제15도는 개입중단처리를 카아 위치 처리장치(13)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6도에 나타낸 카아위치 처리장치(13)즉,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원이 투입되면 먼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 상승에 필요한 초기값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100).
다음에 각 회로에서의 신호를 서입하는 데이터 입력처리를 행한다(스텝 200)
입력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PIA1관계 : (가) 펄스신호 u,v,w, (나) 카운터(CT)의 카운터내용.
(2) PIA2관계 : 엘리베이터 구동신호(ES).
(3) PIA3관계 : (가) 층 검출기(6CS)에서의 신호(CS), (나)기준층 검출기(6CBS)에서의 신호(CBS).
그 다음 카아위치 검출회로(11)의 가역카운터(CT)의 카운트 방향을 결정하고 엘리법이터 구동시에 있어서의 보정방향을 결정하며, 엘리베이터의 실제의 운전 방향을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300). 이상의 처리가 종료하면 정전표식(후술하는 정전 개입중단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다)을 판정하여, 이전에 정전이 있었으면 표식이 나와있기 때문에 정상 전원으로 복구되도록 작동한다. 또, 표식이 없으면 상기의 복구작동을 행하지 않고 패스한다(스텝 400,500). 이러한 복구작동은 가역 카운터(CT)를 정상적인 상태로 하는 처리이다.
다음에 가역카운터(CT)의 초기값 요구표식 즉, 후술하는 카아위치의 합리성 체크 결과, 불합리라고 되고 가역카터(CT)를 초기값으로 하기 위한 요구 표식을 판정하고 표식이 있으면 카운터 초기값처리를 행한다(스텝 600, 800). 또한, 상기 표식이 없으면 정상적인 카아위치 연산처리를 행한다(스텝 700). 이상의 처리가 종료하면 다시 스텝(200)으로 점프하여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제7도의 각 스텝의 구체적 처리내용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1),(RAM2)에 기억하는 데이터에 관하여 제8도에 나타낸 데이터매프(clata Map)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랜덤 억세스메모리(RAM1)에는 정전시에도 상실하여도 좋은 데이터 즉, 펄스신호(u), (v), (w)정지위치 신호(CS), 기준층 신호(CBS), 엘리베이터 구동신호(ES), 타이머, 카운터 초기값요구 표식등을 기억시킨다.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는 정전시 상실시며서는 안되는 데이터 즉, 카아위치(POS), 층번호, 엘리베이터의 운전방향(DiR), 정전표식, 엘리베이터 구동시 보정 테이블, 엘리베이터 정전시 보정 테이블, 층상 보정 테이블CN 1 (1층)∼CN 5(5층)등을 기억시킨다.
제9도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 판정 프로그램(스텝 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카아의 운전 방향은 일반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생략)에서 지령으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이 방향지령을 가역카운터(CT)의 카운트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제어회로의 오동작동에 의해 만일 모우터의 회전방향과 방향지령이 반대가 된 경우는 위험하다. 이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직접 모우터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을 판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스텝 310에서 이러한 처리를 행하지만 ACPG(14)의 출력에서 얻어지는 펄스신호(u),(v),(w)의 입력순서 즉, 위상회전에서 모우터의 회전 방향을 판정하여 엘리베이터 방향판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입력순서가 u→v→w인 때는 상승방향, u→w→v인때는 하강 방향이라고 파정할 수 있다.
상기의 데이터 입력순서의 판정은 제7도에 있어서의 1주기(스텝 200∼800의 처리주기)의 싸이클 타임이 상기 데이터의 펄스폭보다 매우 짧으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이 판정된 단계에서 카아위치 검출회로(11)의 가역카운터(CT)의 카운트 방향을 설정한다(스텝 300 340).
제10도는 정전회복시에 있어서의 복전처리 프로그램(스텝 500)의 1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프로그램의 처리는 1이전에 정전이 발생하고, 그 때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되어 있는 카아위치나 주행 방향등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정전복구시에 가역카운터(CT)를 정상적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먼저,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시킨 카아위치테이블의 내용(정전직전의 카아위치)에 대하여 정전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정지할 때까지 주행했다고 생각되어지는 거리에 대응하는 보정값(정전전의 카아주행 방향에 따라서 보정값을 가산 또는 감산할까를 결정한다)을 더한 내용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스텝 510). 단, 정전에 의한 비상 정지시의 주행거리는 부하 상태나 브레이크의 상태등에 따라서 다르며 일정값으로 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적인 주행거리에 근거하여 보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보정이 실제의 발견되기 때문에 그때는 카운터(CT)는 초기상태로 세트한다.
다음에 가역카운터(CT)의 카운트 방향을 엘리베이터의 운전방향에 따라 지정한다(스텝 520). 이러한 지정은 제5도의 PI 어댑터(PIA1)의 B포트로서 행한다. 예컨데, UP/DN신호로서 "1"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 가산(상승), "0"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 가산(하강)으로 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하면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생략)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층으로 주행지령(NRUN)과 운전방향(DIR)을 출력한다(스텝 530,540). 최후에 정전표식을 클리어하여 메인 프로그램에 복귀한다(스텝550).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정전전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하고 있지마는 일방의 방향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 단층(端層)인지 아닌지의 검출 단계를 거치게하여 단층의 경우는 단층과 반대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카아위치 연산처리 프로그램(스텝 7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1) 엘리베이터 구동시의 위치보정,
(2) 엘리베이터 각 층상 통과마다의 위치보정,
(3) 가역 카운터(CT)의 내용과 층 테이블 내용과의 합리성 체크,
(4) 외부로 데이터 출력.
이하, 제11도, 제12도에 의한 구체적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준층 신호(CBS)의 유무판정을 행하여(스텝 702), 신호(CBS)가 있으면 제8도의 층번호 테이블을 1로한다(스텝 704). 다음에 엘리베이터 구동신호(CS)가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하여(스텝 706). 만약 구동신호(ES)가 있으면 엘리베이터 기동시의 보정타이밍을 부여하는 타이머를 스타트 시킴(스텝708)과 동시에 전술한 가역카운터(CT)의 카운트 금지 신호(ST)를 출력한다(스텝 710). 그리고 엘리베이터 구동신호(ES)가 없으면 스텝(708),(710)은 패스한다.
다음에 각층의 정지 위치신호(CS)가 있으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에 따른 층번호 테이블을 1만큼 가산 또는 감산 한다(스텝 716,718).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전술한 가역카운터(CT)의 내용과, 미리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된층 보정테이블(층상 카운트 값 고정 메모리의 값)과의 차의 절대값이 소정의 오차내에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 즉, 합리성 체크를 행하여(스텝 720), 만약 오차 내라면 층상 번호에 상당하는 보정 테이블을 가역 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스텝 722),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2도의 2층에 있어서의 층보정(S)이다.
스텝(720)에 있어서 오차내가 아니면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 대하여 기준층까지의 주행지령(BRCN)을 출력하고, 동시에 가역카운터 초기값 요구표시를 한다(스텝 724). 그리고 스텝(712)에 있어서 정지신호(CS)가 아니면 상기 처리를 패스하여 제12도로 진행한다.
다음에 상기한 스텝(708)에서 타이머 스타트한 결과의 타이머 표식이 있는지의 여부 즉, 엘리베이터 구동시의 보정타이밍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여(스텝 726), 만약 보정타이밍이라면 상기한 스텝(710)에서의 카운트 금지신호(ST)를 해제하여(스텝 728),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에 따라 엘리베이터 구동시의 보정 테이블을 카아위치 테이블에 가산 또는 감산하고, 그 내용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 (스텝 730,732,734). 이상 상태는 이미 제2도로서 설명한 구동 보정(R)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736)에서 타이머 표식을 클리어한다. 그리고 스텝(726)에서 타이머 표식이 없는 때는 상기 스텝을 모두 패스한다. 최후에 카아위치(POS)테이블과 카아 방향(DIR)테이블을 제6도의 PI어댑터(PIA3)에서 외부로 출력하여(스텝 740,742), 메인 프로그램에 복귀한다.
그리고 스텝(740)에 있어서는 외부에 가역 카운터(CT)의 내용 그 자체를 출력하고 있지마는, 만약 필요하다면 층상번호를 출력하여도 좋다.
제13도는 정전회복시에 가역 카운터(CT)의 합리성 체크를 행하여(제11도, 제12도로서 설명), 그 때 불합리라고 판정된때 가역 카운터(CT)의 초기값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시예를 나타낸 타임챠트이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기준층까지 접속속도로 주행(이것은 상기의 신호 BRUN으로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 의해 행해진다)하여, 기준층에서 정지하면 스텝(810)에서의 판정은 "있음"이 되므로 기준층의 층상 보정 테이블의 내용중 1층의 값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하고(스텝820), 다음에 카운터 초기값 요구표식을 클리어하며 (스텝 (830), 메인 프로그램에 복귀한다.
제14도는 정전 개입 중단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정전개입이 있으면 먼저 정건표식을 하고(스텝 1010), 가역카운터(CT)의 내용을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시키고(스텝 1015), 카아의 방향을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시키고(스텝 1020) 그 처리를 중지한다.
제15도는 타이머 개입중단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로서 일정 주기마다 개입중단이 걸리며 타이머 스타트 표식이 있으면 카운트를 개시하여 소정값이 경과하면 타이머 카운트종료 표식을 내는 처리를 중지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a) 정전 개입중단 프로그램(제14도)
(b) 타이머 개입 중단 프로그램(제15도)
(c) 메인 프로그램(제7도)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의 효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1의 효과는 연속적인 카아위치 검측기로서 값이 싸고 구조가 간단한 교류속도 발전기(ACPG(14))를 사용하여 이것의 저속도시의 미검출속도에 따른 오차를 엘리베이터의 기동신호에 의해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연속적이고 정밀도가 양호한 카아위치 검출장치(디지탈 플로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할 수 있다.
제2의 효과는 ACPG(14)로서 3상 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ACPG(14)의 위상회전을 인식하므로서 엘리베이터의 실제의 주행방향을 직접 실측할 수가 있어 카아위치 보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의 효과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9)의 동일측에 ACPG(14)를 설치하므로 로우프(8)와 구동장치(9)의 활차와의 사이의 슬립으로 인한 카아위치 오차는 각층마다 설치한 특정의 스위치가 동작할 때마다 미리 결정된 정확한 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되어 보다 정확한 카아위치 검출장치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특정한 스위치로서 엘리베이터 정지용 스위치를 겸용할 수 있으므로 카아위치 검출을 하기 위해 새로운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제4의 효과는 카아위치 검출장치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전원이 정전된 후 정상전원으로 복구된때의 카아위치의 합리성 체크를 행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 실예로서 실시예에서 기술한 합리성 체크에 있어서 합리성 성이 성립된 때는 엘리베이터를 기준층까지 주행시키지 않아도 카아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정상운전으로 보귀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펄스의 카운터값만은 정전시에 불휘발성 메모리인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2)에 기억시켜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정전 후 정상적인 전원으로 복구된때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운전 즉, 일층만 운전하는 것으로 정상운전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에게 써비스하는 것으로서는 기계식 플로어콘트로울러를 사용한 경우 또는 모든 장치를 무정전 전원으로 한 것과 동일한 써비스를 할 수 있고, 대용량의 배터리 전원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값싸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층 검출기로서 카아(6)에 설치된 기준층 검출기(6CBS)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대신에 단층에 설치되어 있는 카아(6)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슬로우 다운 스위치를 겸용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는 별개의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더욱 값이 싸게 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기준층 검출기로서 슬로우다운 스위치의 동작신호와 층상 검출기(6CS)의 신호가 함께 존재한 때 기준층 검출기(6CBS)의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서 취급하면 좋다.
그리고 슬로우 다운 스위치는 양단층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의 구별을 하도록 하여 기준층을 2개로 하여 어느 기준층이라도 제13도의 카운터 초기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때 제11도의 스텝(724)에서는 제1번째로 어느 기준층으로 가야할 까를 정할 필요가 있지마는, 이 수단으로서는 현 상태의 카아위치의 카운트 값과, 위의 단층까지의 카아위치의 카운트 값의 1/2과를 비교하여, 전자(前者)가 크면, 상방향의 층으로, 작으면 하방향의 기준층으로 운전하도록 하면, 만일의 경우에 있어서의 수정시간이 단시간에 수정된다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카운트 값이 대폭적으로 흐트러져 있어도 상(上)인가 하(下)인가의 판정에는 상관이 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층상 검출기(6CS)에서의 신호(CS)를 정지신호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만약 도어상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도어 상태 스위치를 충상검출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도어 상태 스위치는 카아(6)의 도어와 승강구의 도어가 계합하여 있는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카아(6)가 각측에 정지하여 있지 않을때 카아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스위치이다. 따라서 도어상태 스위치의 위치는 한번 세트하면 바꿀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층상 검출기(6CS)는 만일 정지위치가 문란하게된 경우는 그 위치를 빗나가게 하여 보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언제나 일정하다고는 한정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도어 상태 스위치 쪽이 층상 카운트 값을 바꿀 수 없으므로 층상 검출기로서 사용하는 데에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ACPG(14)를 펄스 발생기용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을 통상의 펄스 발생기(회전수에 비례한 전압이 아니라 회전수에 비례한 펄스를 직접발생하는 점)로 바꿔도 좋으며 이와같이 하면 미검출 속도를 위한 위치보정이 필요치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ACPG(14)를 구동장치(9)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을 조정기 구동측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와같이 하면 로우프(8)의 슬립 영향이 적어지므로 정전시동에 슬립보정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별도로 카아(6)와 직접 연동하는 슬립이 없는 구동축을 설치하고 그 곳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가역카운터(CT)로서 상기 HMCS6800시리즈의 PMT형식의 HD4684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와같이 하면 하드 웨어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층상 검출기(6CS)로 부터의 신호(CS)에 의해 카운트 값의 보정을 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층상 검출기(6CS)를 1층마다 1기씩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 설치하도록 하여 항상 이상적인 카운트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와같이 하면 높은 정밀도로서 카아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이 점이 있다.
특히, 고층건물이나 부정지(不停止)층에 있는 경우는 그 효과가 크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디지탈 플로어 콘트로울러를 사용함에 있어서 값비싼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또 정전시마다 카아를 기준층으로 운전하지 않고, 정전회복 후 카아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운전하는 것만으로 정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한편, 정상 상태에의 단시간 복귀가 가능해져 승객에게 대한 써비스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층상(1-5)을 써비스 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상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층(1)을 검출하는 기준층검출기(1BS, 6CBS)와, 상기 각각의 층상에 엘리베이터 카아(6)가 도달할때마다 도달했음을 검출하는 층상 검출기(6CS,1FS-5FS)와, 상기 엘리베이터가 소정 거리 주행할때마다 펄스(PG)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14)와, 펄스발생기가 발생한 펄스를 카운트 하는 펄스 카운트 스단(11의 CT)과, 펄스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값을 기억시키는 제1메모리(13의 RAM2의 POS부)와, 상기 기준층에서 상기 각각의 층상까지 카아가 주행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펄스수에 상당하는 설정값을 기억하는 제2메모리(13의 RAM2의 CN-CN5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용 전원의 정전을 검출하는 정전 검출회로(15)등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그 정전 검출회로가 정전을 검출한 후에 상기 제1, 제2메모리내의 데이터를 보존 유지하는 수단(16)과, 상기 정전후에 층상 검출기가 동작할때까지 엘리베이터를 운전 지령하는 수단과, 그 운전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가 운전되고 층상 검출기가 카아의 도달을 검출한 시점에서 제1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카운트 값(POS)과 제2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CN1-CN5)을 비교하는 수단(13의 MPU)과 이 카운트 값과 절정값과의 차가 소정값 이상인데 엘리베이터를 기준층으로 주행(지령 BRUN)시켜 카운트 값을 기준층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바꿔놓을 수 있는 치환 수단(13의 MPU)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2019830011292U 1980-06-10 1983-12-28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50000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292U KR850000749Y1 (ko) 1980-06-10 1983-12-28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266A KR830002638A (ko) 1980-06-10 1980-06-10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2019830011292U KR850000749Y1 (ko) 1980-06-10 1983-12-28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66A Division KR830002638A (ko) 1980-06-10 1980-06-10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04U KR840006004U (ko) 1984-11-10
KR850000749Y1 true KR850000749Y1 (ko) 1985-04-29

Family

ID=69173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66A KR830002638A (ko) 1980-06-10 1980-06-10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2019830011292U KR850000749Y1 (ko) 1980-06-10 1983-12-28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66A KR830002638A (ko) 1980-06-10 1980-06-10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2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95B1 (ko) * 1996-12-31 2003-05-12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38A (ko) 1983-05-30
KR840006004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4298B2 (ko)
US436781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S6323109B2 (ko)
KR100196743B1 (ko) 승강기 장치
KR930000588B1 (ko) 엘리베이터제어장치
KR950002524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50000749Y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6250394B2 (ko)
JPH0514784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1179585A (ja) エレベーターかご位置検出装置
JPS6146396B2 (ko)
JPS63277185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850000666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6138112B2 (ko)
JP3334154B2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運転装置
JP264501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62556B2 (ja) エレベ−タ制御装置
KR850000593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 장치
KR950005364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JPS6250393B2 (ko)
JPS6143277B2 (ko)
CN110482343B (zh) 电梯系统的马达控制方法
JPH047598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9287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85000081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4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