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17B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17B1
KR850000817B1 KR1019810000778A KR810000778A KR850000817B1 KR 850000817 B1 KR850000817 B1 KR 850000817B1 KR 1019810000778 A KR1019810000778 A KR 1019810000778A KR 810000778 A KR810000778 A KR 810000778A KR 850000817 B1 KR850000817 B1 KR 85000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r
elevator
laye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44A (ko
Inventor
겐지 요네다
가즈회로 사까다
다께오 유미나까
마사오 나까자또
도미아끼 구리하라
소시로오 구즈누끼
야스노리 가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1000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17B1/ko
Publication of KR83000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도면이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블럭도,
제2도는 마이크로 컵퓨터(14)의 블럭도,
제3도는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카운터의 블럭도,
제4도는 마이크로 컵퓨터(14)의 주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5도는 RAM(27)의 메모리 매프,
제6도는 카아 위치 연산처리 스텝(140)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 챠트,
제7도는 층높이 측정 원정의 동작 원리 설명도,
제8도는 층높이 측정 운전처리 스텝(480)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9도는 층높이 측정처리 스텝(340)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0도는 합산코우드 체크 처리스텝(495)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1도는 합산코우드 작성처리 스텝(490)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2도는 위치검출의 동작판정처리 스텝(340)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카아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거리 펄스를 이용하여 디지틀 제어하는 경우에 최적한 엘리베이터 제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대신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엘리베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디지틀 제어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589,476호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이동거리에 따라 펄스(거리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를 구비하여 이 거리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카아의 위치는 물론 카아가 다음에 정지할 층을 검출하는데 필요한 선행위치나 신호나 패턴등을 디지틀적으로 산출하여 속도 제어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또한 미국특허 제3,750,850호에 있어서도, 상기 거리펄스의 계수치를 근거로 엘리베이터를 디지틀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거리 펄스를 계수하여 얻어지는 카아 위치는 승강로내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이다. 따라서 이 수치만으로 각 층간의 위치 관계를 분명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제어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기준 위치로부터 각 층위치까지의 거리(층높이)를 미리 측정하여 놓을 필요가 있고, 이 측정한 층높이와 상기 계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카아가 위치하는 층을 알수 있게 되어 각층에 대한 정지 제어가 가능해 진다.
따라서 거리펄스의 계수치를 근거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장치에서는, 측정한 층높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층높이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감속 제어하는 경우에 기억된 층높이와 계수치가 일치하도록 카아를 제어하기 때문에 층높이에 오차가 있으면 그와 차가 그대로 착상 오차로 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착상 오차를 강제적으로 보정하려고 하면 탑승시의 기분이 나빠지게 된다.
한편, 실제의 층높이 값은 건물 설계시에 예정된 것과 다소 오차가 있는 것이 보통이며, 따라서 설계도의 층높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실제의 층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설치전에 자동으로 현지건물의 층높이를 직접 측정하거나 미국 특허 제3,750,85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동조작에 의해 카아를 정확한 층위치에 정지시민 후 다음 층을 향해 다시 움직여 정확한 층 위치에 정지시켜 그 사이의 주행펄스수를 계수하여 측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한 층높이는 비교적 정확하며, 또 이 건물의 층높이가 변동한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측정 결과 얻어진 층높이는, 잡음이나 정전등에 소멸(lost)되지 않도록 독출전동 기억장치(Read Only Memory : ROM)에 기억시킨 후 제어장치에 조립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 층높이는 건물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개의 건물마다 상기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제어장치의 표준화에 의한 제작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아의 이동에 따르는 거리 펄스를 계수하여 얻어진 카아의 위치와 각층상까지의 층높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층높이 값의 측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 층높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재작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각층 높이를 측장할 때 카아를 소정 위치로부터 주행시킨후 그 소정 위치로 부터의 거리펄스를 계수하고, 카아가 각 층을 통과할 때마다 발생되는 위치 신호에 따라 그 때의 계수치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층높이가 기억수단을 재기억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건물마다 상이한 층높이 값을 통상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를 건물에 설치한 후에 용이하게 기입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표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이상의 목적 및 특징외에,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구동계의 마모에 의하여 거리 펄스의 계수치와 층높이 값간에 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층높이 값을 자동적으로 재 기억시켜 보전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고 있지만, 이에 관해서는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동도에서, 엘리베이터 카아(1)는 균형추(2)와 함께 로우트(3)에 의해 활차(4)에 두레박처럼 매달려 있다. 활차(4)는 감속기(5)를 개재하여 엘리베이터 구동용 3상 유도전동기(6) 및 전자식 브레이크(7)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도전동기(6)에는 주행거리에 비례하여 거리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펄스발생기로서 교류속도 발전기(8)를 사용하였다
R, T, S는 3상 교류 전원으로서 주접점회로(17)의 개폐기와 조합하여 상승, 하강, 보수운전, 통상운전 등의 절환을 행하며, 다이리스터(thyristor) 제어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리스터 제어장치(16)는 다이리스터나 다이리스터와 개폐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기(phase shifter)(15)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이상기(15)는 엘리베이터 제어용 디지틀 계산기 즉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의해 교류속도 발전기(8)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귀환제어를 행한다. 이 귀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아(1)는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발생된 속도지령(18)과 유사한 속도로 운행한 수 있다.
속도 지령(18) 신호는 파형정형 회로(12)로부터의 층위치신호, 속도 발전기(8), 엘리베이터 제어회로(19)의 출력과, 내부 클럭을 입력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의하여 생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14)가 약전 회로인데 비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신호(19)는 강전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주접점 회로(17)등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층위치 신호는, 카아(1)에 설치된 층위치 검출기(10), (11)가 승강로내의 각층에 대응하여 설치된 차폐판(9A), (9B)(…)(9N)을 횡단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파형정형회로(12)를 거쳐 얻어진다. 스위치(121)와 (122)의 신호는 입력회로(123)를 거쳐 입력된다. 교속도 발전기(ACPG)(8)교류 출력은 파형정형회로(13)에 의해 펄스신호로 변환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카아(1)가 일정거리 이동할 때마다 1개의 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이 거리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동 거리를 알 수 있다.
파형정형회로(13)에서 발생된 거리 펄스는,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제2도의 점선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MPU)(20)와 이 MPU(20)의 동작 타이밍을 결정하여 특정시간 간격의 경과를 MPU(20)에 알리는 타이머회로(21)와,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입력되는 펄스의 수를 계수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카운터(PTM)(22)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4)와, 외부와의 사이에 디지틀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주변인터페이스(PIA)(23), (24), (25)와 MPU(20)의 동작 수순이 기입되어 있는 ROM(26)과, MPU(20)의 작업 영역을 일시 기억하는데 이용되는 RAM(27)과, 각 소자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버스(28)와, 메모리등의 어드레스나 소자를 선택하거나 클럭신호 및 개입중단 신호등을 주고 받는 컨트롤 버스(29)로 구성되어 있다.
파형 정형획로(12)로부터의 위치신호는 디지틀 신호를 입력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PIA(23)에 입력된다. 속도지령(18)은, PIA(24)의 출력인 디지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30) 및 필터회로(31)를 거쳐 마이크로컴퓨터(14)로부터 출력된다. 또 엘리베이터 모니터(33)나 엘리베이터 제어회로(19)(제1도로부터의 입력신호는 입출력장치(32)를 거쳐 PIA(25)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컴퓨터(14)를 구성하는 각 소자는 주지의 것으로서, 예를 들면 MPU(20) PTM(22) 및 PIA(23), (24), (25)는 MOTOROLA Semiconductor Ltd Mc 6800, 제품인 MC 6840 및 MC 6821이고, RAM(27) 및 ROM(26)은 INTEL회사 제품인 I2114 및 I2716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PTM(22)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에 의한 층높이 값 측정 동작시에 직접 관계되므로 제3도의 블럭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PTM(22)은 마이크로 컴퓨터(14)의 (14)의 데이터버스(28), 클럭이나 어드레스 버스를 포함하는 컨트롤 버스(29) 및 파형정형회로(13)를 거쳐 교류속도발전기(8)와 접속되어 있다. MPU(20)는 완충기(53)를 통사여 데이터 버스상의 데이터를 컨트롤 레지스터(50) 및 래치(52)에 기입할 수 있다.
또 카운터(51)의 내용과 플랙레지스터(61)의 내용은 완충기(53)를 거쳐 MPU(20)에 득출된다. PTM(22)는 컨트롤 레지스터에 기임된 데이터에 따라 여러가지 사용법이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속도지령 발생 및 위치 검출에 필요한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의 사용법으로서, 가속시 속도지령 발생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컨트롤레지스터(50)에, 컨트롤버스(29)의 리세트 신호가 인가됐을 때, 또는 컨트롤 레지스터의 특정비트가 0이 되었을 때 동작을 개시 즉, 래치(52)에 기임된 데이터를 카운터(51)에 격납하고, 컨트롤버스(20)의 내부출력 신호를 신호선(62)에 보내 클럭 절환스위치를 신호선(62)측으로 접속하여, 그 내부 클럭의 하강을 검출할 때마다, 카운터(51)의 수치를 감산시킨다. 이 카운터(51)의 수치가 0에서 다시(1) 감소함과 동시에 개임중단신호를 컨트롤 버스(29)에 출력하여, 플랙레지스터(61)에 카운트 종료를 표시하는 플랙을 세트한다.
또 개임중단 플랙이 플랙이 플랙레지스터(61)에 나타나면, 레치(52)의 내용을 카운터(51)에 격납하고, 다시 내부 클럭으로 카운터의 내용을 감산해 나간다. 또 래치(52)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타이밍은 언제라도 좋다.
이와 같은 동작을 지령하는 명령코우드 PTM(22)의 컨트롤레지스터(50)에 격납함으로써, 카아 출발 후의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가속지령을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제2의 사용법으로서, 감속시의 속도지령 발생법을 설명한다. 먼저 교류속도 발전기(8)에서 발생된 거리펄스를 카운터(15)에 입력시키기 위해 절환 스위치를 60측으로 절환한다. 그밖의 동작은 제1의 사용법에서와 같은 코우드를 컨트롤 레지스터(50)에 격납한다.
이와 같이 하면, PTM(22)은 교류속도 발전기(8)의 거리펄스수를 계수하여, 감속 개시후의 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주행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감속시의 속도 지령을 발생할 수 있다.
제3의 사용법으로서 카아의 이동거리에 측정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래치(52)에는 최대치, 예컨대 카운터(51)가 16비트 카운터라하면, 16진수인 FFFF를 격납한 후, 절환 스위치를 60측으로 절환하여 주행 펄스를 입력시킨다. 또 카운터(51)가 상기한 개입 중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건이 성립하여도 개입 중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 카운터(51)의 내용이 0으로부터 다시 (-1)줄어들면, 래치로부터 FFFF라는 수치가 입력되어 등가적으로는 16진수의 10000보다 1이 적은 수와 같아 진다.
이와 같이 카운터(51)가 16비트 이더라도 실제로는 17비트 이상의 수치를 열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카운터(51)의 카운트 값은 거리펄스수, 즉 카아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이 카운터(51)의 내용은 메모리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시점에서 (단, 마이크로 컴퓨터 14의 클럭에 동기하고 있다) MPU(20)에 취입할 수가 있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PTM(2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이머 카운터를 3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타이머 카운터를 PTM-A, PTM-B, PTM-C라고 칭하기로 한다.
PTM-A는 내부 클럭을 이용하여 PTM(22)의 제1의 사용법으로서, 가속시의 속도지령 발생에 이용된다.
PTM-B는, 교류속도발전기(8)에서 발생되는 거리펄스를 이용하여 제2의 사용법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감속시의 속도지령을 발생하는데 이용된다. PTM-C는 PTM-B와 같은 거리 펄스를 이용하여 제3도의 사용법으로 엘리베이터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PTM(22)는 제1-3의 사용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3의 사용법(PTM-C)을 이용하여 층높이를 측정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전체의 개랴을 제4도에 나타낸 주 프로그램(100)의 플로우챠트에 대해 설명한다. 이 주 프로그램은 잡음이나 정전등에 의하여 소실되지 않도록 ROM(26)에 기억되어 있다.
주 프로그램(100)은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이나 고장 발생후의 재기동시에, 우선 PTM(22), PIA(23)(24)(25), 타이머(21)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플랙류의 세트와 리세트, 데이터류의 세트를 행하는 초기치 설정스텝(110)을 실행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의 각종 작업을 T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스텝(120)을 실행한다.
이 타이머 플랙은 T시간 마다 개입 중단처리에 의하여 세트되고 있으며, 이 타이머 플랙이 세트되어 있으면 다음 스텝(130)을 실행한다. 그 다음, 엘리베이터의 각종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취입하여, 그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플랙류의 세트나 리세트를 행하는 입력 처리스텝(130), PTM(22)의 내용으로부터 카아의 위치를 연산하는 스텝(14), 각종의 입력 상태와 각종 연산결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스텝(150),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승객에게 쾌적한 탑승 감을 주도록 제어하는 속도제어스텝(160), 스텝(140), (150), (160)에서 얻어진 정보를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회로(19) 및 이상기(18)에 출력하는 스텝(170), 타이머의 플랙을 리세트하여 스텝(120)을 실행시키는 스텝(1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또 스텝(130-180)까지의 처리 시간의 총계는, 마이크로 컴퓨터(14)가 고장중일때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T시간 이내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는, 이 주 프로그램(100) 및 스텝(110~180)의 부 프로그램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 주 프로그램(100)중의 카아위치 연산처리스텝(140)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과 같은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 외에 스텝(110~130), (150~180)의 처리는 기존의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고안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랴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메모리 매프(memory map)이다. 이것은 제2도의 RAM(27)에 격납되는 메모리 매프이며, 각 어드레스(A1-A8), (A21-A24), (F0-En-1)에 대응하여 격납되는 각동 데이터는 임의로 재 기억시컬 수 있다. 이 메모리 매프의 가장 큰 특징은 RAM(27)내에 각 층의 높이를 격납하도록 한 점이다.
제6도는 카아위치 연산처리 스텝(140)(제4도)의 프로그램 설명용 플로우챠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스텝(140)은 T시간마다 실행되어 PTM-C의 계수치를 이용하여 카아 위치를 연산처리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400)에서는 우선 제5도 RAM매프의 어드레스(A2)에 격납되어 있는 T시간저의 PTM-C의 내용으로부터 현재의 PTM-C의 내용을 감산함으로써 T시간전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카아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에 스텝(410)에서는 입력 처리 스텝(130)에서 취입되어 제5도의 어드레스(A4)에 기억되어 있는 카아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상승 운전중인지 하강운전 중인지를 판단한다.
상승운전중이며, 스텝(420)이 실행되어 제5도의 어드레스(A3)에 기억되어 있는,T시간전에 카아의 위치에 상기 스텝( 400)에서 구한 이동 거리를 합함으로써 현재의 카아위치를 산출하여 제5도의 어드레스(A3)에 그 위치를 격납한다.
하강운전중이면 스텝(430)을 실행하여 상기 스텝(420)과 마찬가지로 T시간전에 카아 위치에서 상기 이동거리를 이후 제5도의 어드레스(A3)에는 연산 결과를 격납한다. 스텝 (440)은, PTM-C의 내용을 독출하여 제5도의 어드레스(A2)에 격납한다.
따라서 제5도의 어드레스(A2)에는 항상전회(前回)의 PTM-C의 계수치가 격납되어 있으며, 어드레스(A3)에는 카아의 위치가 격납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스텝(400)에서 전회의 PTM-C의 내용이 현재의 내용보다도 작은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차용(borrow)인 플랙을 세우나, 한자리수 큰 카운터의 최상위 비트가 1에서 0으로 변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아무런 지장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어드레스(A3)에 격납된 카아 위치는 평상운전시에, 다음에 스텝(450)(460)을 실행할때 이용된다. 즉 동기(同期)층상 산출처리 스텝(450)은 상기 카아위치로부터 동기 층상 신호를 산출하는 스텝이다.
상기 카아 위치는 거리펄스를 계수하여 얻어진 위치이기 때문에 특정인 기준위치로부터의 상대적 거리를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스텝(450)에서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5도의 어드세스(F0-Fm)에 격납된 층높이를 이용하여 카아 위치가 어떤 층에 해당하는 가를 산출한다. 예를들면, 어드레스(A3)에 격납된 카아 위치 데이터가 20(m)에 상당하는 계수치라면, 어드레스(F3)에 격납된 층높이값 19.2(m)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동기층상신호는 3층이 되므로, 어드레스(A5)에 격납된다.
이와 같은 동기 층상신호는 카아 위치 표서용으로서 사용된다. 선행 층상 산출처리 스텝(460)은 카아가 가속 또는 정격 주행서에 있어서, 다음에 정지할 층(선행층)을 산출하는 스텝이다. 따라서 감속정지에 필요한 주행거리만큼, 카아 위치보다 앞선 위치가 된다. 예컨대, 카아 위치가 상기 20(m)에 상당하는 계수치이고, 그 때의 감속 정지에 필요한 주행거리가 6(m)이면, 선행층상 신호는 제5도의 층높이를 참조하여 4층이 된다.
그리고 이 선행층상신호가 나타나는 층상에 층(hall)호출이나 카아 호출이 있으면, 그 층이 다음에 정지해야 할 감속 정지층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선행층 및 감속정지 층이 각각 어드레스(A6), (A7)에 격납된다.
이와 같은 평상 운전시에 있어서의 스텝(450),(460)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관계되지 않으며, 기존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층높이 운전 처리스텝(48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것으로, 그 상세한 플로우챠트를 제8도에 나타낸다. 이 스텝(480)이 처리됨에 따라 카아위치 연산처리스텝(140)이 종료한다.
여기서, 제8도의 층높이 측정 운전처리 스텝(48)을 설명하기 전에, 제7도의 층높이 측정 운전동작 설명도를 사용하고 그 기본 동작을 설명한다. 제7도는 제1도의 카아(1) 부근의 확대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측상 위치검출기(10), (11)와 승강로측에 설치한 차폐판(9a-9n)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카아(1)의 상태를 동도(a)-(d)의 4개의 상태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층상 위치검출기(10), (11)가 차폐판(9A-9N)과 대향하고 있는 상태를 층상 위치 검출기(10), (11)의 "동작상태"라고 칭하면, 그 반대를 부동작상태"라고 칭한다. 또 층상위치 검출기(10), (11)가 부동작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했을 때를 「ON점 동작」그 반대를 「OFF 점 동작」이라 칭한다.
또 최하층(여기예서는 1층)의 착상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여도 좋지만, 여기서는 1층의 착상위치에서 10(m) 하가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1층의 층높이는 10(m)가 된다.
제7(a)도는 카아(1)가 1층에 착상된 위치보다 거리(L1)만큼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층높이 측정 운전을 개시한다. 카아(1)가 도면 제7(a)도의 상태에 있으면, 이미 하강용 단층(端層) 감속 스위치(121)가 동작하고 있다.
이 스위치(121)가 동작하고 있고, 위치 검출기(10)가 동작중이고, 11이 부동작이기 때문에, 카아(1)가 1층보다 밑의 층높이 측정 운전개시 가능위치에 있는것을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면(a)은 층높이 측정정밀도로 높게하고, 측정오차를 작게할 목적으로, 착상 위치보다 거리(L1)만큼 하강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를 일단 하강운전시키는 방법에 따른 경우를나타내고 있다.
층높이 측정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카아(1)는 도면(a)의 상태가 되도록 준비 운전을 행한다. 다음에 카아(1)를 후술하는 저속도로 층높이 측정을 위한 상승운전을 행한다. 도면(b)은 카아(1)가 상승하여, 1층의 도어 영역을 떠날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위치검출기(10)가 1층의 차폐판(9a)으로 부터 떨어진 것으로서 검출된다.
이 때 카아(1)는 1층의 착상 위치로부터 거리(L2)에 위치 하고 있기 때문에, 제5도의 어드레스(A3)의 카아 위치 데이터를 10+L2(m)에 상당하는 수치로 세트한다. 이때 이미 카아(1)는 L1+L2의 거리를 주행하고 있다. 따라서 저속도로 층높이 측정 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면, 카아(1)는 이미 가속을 종료하여 일정속도로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각층의 층높이 측정 조건을 통일 할 수 있다.
이후 카아(1)의 위치 데이터는, 스텝(14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CPG(8)에서 발생한 거리 펄스를 계수하여 T시간마다 증가 시켜간다. 또 층높이 측정개시를 위하여 도면(a)과 (b)의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ACPG(8)의 출력신호가 가속 개시할때는 작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14)에 가속 개시시의 거리 펄스가 입력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이것에 의한 오차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제2의 이유는, 거리 펄스를 출력하는 파형정형회로(12)의 동작시간과 컴퓨터의 처리 시간과의 관계를 일정 조건으로 유지함으로써 초기의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c)은, 카아(1)가 층에 접근하여 층상 위치검출기(10)가 동작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d)은, 카아(1)가 b층의 층높이 값 검출위치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층상 위치검출기(11)는 이미 동작하고 있으며, 층상 위치 검출기(11)가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층상 위치검출기(11)의 ON 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컴퓨터(14)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1) 어드레스(A3)의 카아 위치 데이터의 수치에 거리(L4)에 상당하는 수치를 가산한 값을, B층의 층높이 값 데이터 영역에 격납한다. 즉 이 B층이 2층이라고 하면 어드레스(F2)의 데이터 영역에 격납된다.
측정한 층 번호는 어드레스(A22)의 층높이 측정 층상 데이터 영역에 격납되어 있고, 이것을 갱신 함으로써 격납해야 할 층높이 값의 데이터 영역이 지정된다.
(2) 도면(d)의 상태로 상승용 단(端) 층 감속 스위치(122)가 동작하고 있으면, 최상층이라고 판단하고 카아(1)을 감속 정지 시킨다.
(3) 최상층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5도의 어드레스(F0-Fn)까지의 층높이 값을 어느 일정한 식으로 연산하고, 그 결과 얻어진 값 또는 코우드를 어드레스(Fn+1)에 격납한다.
이 목적에 따르는 간단한 코우드로서는, (가)층높이 값을 가산한 누산치에 의한 코우드, (나)층높이 값의 수치 자체을 가산한 합산 코우드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아(1)가 최상층에 정지하고 층높이 값이 측정과 합산 코우드의 작성이 완료되면, 층높이 측정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에는 이상 설명한 층높이 측정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하여 제8도-제11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의해 설명한다. 제8도는, 제6도 스텝(480)의 층높이 측정 운전처리 스텝(480)의 상세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에 있어서, 스텝(482)은 층높이 측정운전 요구 신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어드레스(A23)(제5도)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스텝이다. 이 어드레스(A23)에 층높이 측정 운전요구 신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495)을 실행한다. 합산코우드 체크스텝(495)은, 어드레스(F0-Fn)에 격납되어 있는 층높이 값이 잡음이나 정전등에 의하여 소멸되지 않는가를 체크하기 위한 판정을 행하고 있다. 이 스텝(495)에 관한 상세한 플로우챠트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스텝(4951)에서 1층에서 층까지의 층높이를 가산하고, 스텝(4952)에서는 그 가산치와 2.5(m)×n(층수)와의 대소를 비교하고, 스텝(4953)에서는 그 가산치와 어드레스(Fn+1)에 격납되어 있는 합산 코우드와의 비교를 행한다. 스텝(4952)의 2.5(m)×n라고 하는 것은, 층간격이 통상 2.5(m) 이상이고, 그것을 층수 n배 함으로써 최저한의 층높이를 구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산치가 2.5(m)×n 보다 작을때는 격납되어 있는 층높이 값에 잘못이 있으므로, 스텝(497)을 실행한다. 또 스텝(4953)에서 불일치인 경우도 이상이므로 스텝(497)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합산 코우드 체크결과 층높이 값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스텝(496)을 실행한다. 스텝(496)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층높이 측정운전요구가 없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나 보수할 때는, 제2도의 모니터(33)에 설치된 보턴 스위치등에 의하여 층높이 측정운전 요구 지령이 마아크로컴퓨터(14)에 입력 된다. 스텝(496)은 이와 같은 요구의 유무를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층높이 값에 이상이 없고, 외부로부터의 요구도 없으면, 스텝(480)은 종료한다. 이상 또는 요구가 없으면, 스텝(497)을 실행함으로써 어드레스(A23)의 층높이 측정 운전요구 신호를 세트하여 스텝(480)을 종료한다.
어드레스 (A23)에 층높이 측정운전 요구 신호가 세트되면, 다음 주기에서 스텝(480)이 실행됐을 때, 스텝(482)은 요구신호가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483)을 실행한다. 이상태에서는 어드레스(A21)의 층높이 측정운전중의 신호는 세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 스텝(484)을 실행하여 카아(1)가 제7도(a)의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감속스위치(121)와 층상 위치검출기(10)가 작동하고, 검출기(11)가 부동작이면, 카아(1)가 제7도(a)의 층높이 측정운전개시 가능위치에 있다고 보고 스텝(485)을 실행하여, 어드레스(A21)의 층높이 측정 운전중 신호를 세트한다. 카아(1)가 제7도(a)의 상태가 아니면, 스텝(487)을 실행하여 엘리베이터의 저속 하강 운전 지령을 발생한다. 이 저속 하강 운전 지령이 발생하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상기(15) 및 엘리베이터 제회로(19)의 작용에 의하여 카아(1)는 저속으로 하강 운전한다. 이 상태는 스텝(484)의 조건이 성립할때까지 계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드레스(A21)에 층높이 측정운전중 신호가 세트되면, 다음 주기부터는 스텝(488)이 실행된다.
이 스텝(488)은 상승용 단층 감속 스위치(122)와 위치 검출기(10) 및 (11)이 모두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최상층의 제7도(d)의 위치에 달했는지를 판단한다. 지금 카아(1)은 제7도(a)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 조건은 성립되지 않고, 스텝(493)을 실행한다. 이 스텝(493)은 스텝(487)과는 반대로 엘리베이터의 상승운전 저속지령을 발생한다. 이에 의하여 카아(1)는 제7도(a)의 상태로부터 층높이 측정을 위한 상승 운전을 개시 한다.
이후 스텝(488)의 조건이 성립될때까지 이 스텝(493)이 실행되어 카아(1)는 저속인 상승 운전을 계속한다. 이 층높이 측정을 위한 저속 상승운전중, 카아(1)가 제7도(d)의 상태가 될 때마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9도에 따라 층높이 측정거리를 행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8도의 스텝(488)의 조건이 성립된때는, 어드레스(Fo-Fn)의 각 데이터 영역에 1층-n층의 층높이가 모두 격납된다. 상기의 스텝(488)의 조건이 성립하면, 다음에 스텝(490)을 실행하여 층높이의 합산코우드의 작성 처리를 행한다.
제11도에 이 스텝(490)을 상세히 나타내었다. 즉 스텝( 491A)에서 측높이를 격랍한 선두 어드레드(FO)를 합산 코우드 어드레스(A24)에 세트하고, 스텝( 491B)에서는 합산 계산용으로 사용되는 레지스터(MPU(20)의 누산기를 클리어 한다. 이후 스텝( 491C-491E)에 의해 합산 체크어드레스에 나타내는 층높이 값을 합산 레지스터에 가산하고, 합산체크 어드레스를 갱신하여 어드레스(F0-Fn)의 층높이를 모두 합산 레지스터에 가산한다. 스텝(491F)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합산 레지스터의 값을 합산코우드로서 어드레스(Fn+1)에 격납한다.
따라서 각층의 층높이 값이 어드레스(F0-Fn)에 나타난 수치(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m)로서 나타내 있지만 실제로는 그 거리에 상당하는 펄스수가 된다)를 가산 값(101.1m)이 합산(SUM) 코우드로서 격납된다. 상기 스텝(490)이 종료되면, 스텝(491, (492)을 실행하여 층높이 측정운전 요구신호 및 층높이 축정운전중 신호를 클리어 하여 층높이 측정운전을 종료한다. 따라서 다음의 주기부터는 스텝(495), (496)을 실행한다. 즉 평상시에는 격납된 층높이 값에 이상이 없는지 또는 층높이 측정 요구가 없는지를 체크하고 있다. 다음에 제9도 나타낸 층높이 측정처리 스텝(3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스텝(340)은 상기 스텝(480)과 같이 T시간의 타이머 주기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개입중간처리로 실행된다. 즉 상기 스텝(493)에서 층높이 측정을 위한 상승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층상위치 검출기(10), (11)의 동작에 따라 개입중단 처리된다. 우선, 스텝(341)에서 층상위치 검출기(10)의 동작을 판정한다. 제12도에서는 이 스텝(341)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스텝(341A)에서는 PIA(23)(제2도(에 층상위치검출기(10)로 부터의 동작신호 즉, 개입중단 요구신호(IRQ)가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에 스텝(341B)에서 이 동작 모우드가 하강 모우드(OFF 동작)인지를 판단하여 하강 모우드가 아니라면 스텝(341C)에서 상승 모우드(ON 점동작)인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기(10)의 ON점동작, OFF 점동작 및 비동작을 판정한다. 스텝(3400)은 상기 제12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층상위치 검출기(11)의 동작을 판정한다.
상기 제7도 및 제8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층높이 측정운전은 제7(a)도의 상태로부터 개시한다. 따라서 먼저층위치 검출기(11)로부터의 ON 점 동작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스텝(341)에서는 검출기(10)가 비동작이라고 판정하고, 스텝(3400)에서 검출기(11)의 ON점 동작을 판정하여, 스텝(3406)을 실행한다.
이 스텝(3406)에서는 어드레스(A22)에 측높이 측정층이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세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층없음"이라고 판단하여, 이 스텝(340)의 개입중단 처리를 종료한다.
즉, 검측기(11)로 부터의 최초의 ON점 동작은 스텝(3406)에서 무효로 하고 있다. 카아(1)가 상승하여 제7(b)도의 상태가 되면, 검출기(10)가 차페판(9A)으로 부터 떨어짐으로 검출기(10)로부터의 동작 펄스 신호가 하강하므로, 스텝(341)에서 OFF점 동작이라고 판정하여 스텝(342)을 실행한다.
이 스텝(342)에서는 상기 스텝(3406)과 같은 층높이 측정층이 세트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하여, 스텝(343)이 실행된다. 이 스텝(343)은 어드레스(A3)의 카아위치 데이터 영역에 10(m)+거리(L2)의 값을 격납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제7(b)도에 나타낸 상태의 카아 위치는 상기 10(m)+거리(L2)에 의해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값을 카아위치 데이터 영역에 격납함으로써, 카아위치 데이터의 초기치 화(化)를 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10(m)는 이미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1층의 층높이 값은 측정을 행할 필요도 없이 상기 10(m)에 상당한는 수치를 어드레스(F1)에 격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드레스(A3)의 카아위치 데이터를 제7(b)도의 카아 위치에 세트한후, 스텝(345)에 의해 층높이 측정층상을 어드레스(A22)에 프리 세트한다. 본 실시예에서 최초로 측정되는 측상은 2층이기 때문에, 2층이 층높이 값을 격납하는 어드레스(F2)를 프리 세트한다. 스텝(346)에서는 이후 제6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카아위치를 연산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스텝(440)을 실행하여 PTM-C의 내용을 어드레스(A2)에 격납한다.
이와 같이하여 스텝(343-346)을 한번 실행하면 이후 층위치검출기(10)의 OFF 점 동작이 있어도 스텝(342)에 의하여 "층있음"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실행되는 일은 없다. 이후 카아(1)가 상승하여, 제7(d)도의 상태가 될 때마다 층위치 검출기(11)의 ON 점 동작에 의하여 스텝(3406-3412)을 실행한다. 즉 카아(1)가 2층에 접근하여 층위치 검출기(11)의 ON점 동작이 있으면 스텝(3406)에서 "층있음"이라고 판단하여 스텝(3408)을 실행한다. 이 스텝(3408)은 제6도의 스텝(145)을 실행하는 스텝이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어드레스(A3)에는 그때의 카아 위치가 격납되고, 어드레스(A2)에는 그때의 PTM-C 의 내용이 격납되게 된다.
스텝(3410)에서는 어드레스(A3)에 격납되어 있는 카아 위치에 거리(L4)를 가산한 수치를, 층높이 측정층상(어드레스 A22)을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격납한다. 지금 층높이 측정 층상은 2층이고 어드레스(A22)에는 F2가 세트되어 있으므로 어드레스(F2)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가산값을 격납한다. 즉 2층의 층높이치가 측정된 것이 된다. 또 상기 거리(L4)를 가산한 기유는, 제7(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11)의 ON점 동작위치와 층상 위치간에 거리(L4) 만큼차가 있고 이것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검출기(11)의 ON 점 동작 위치와 층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보정은 필요없으며, 그때의 카아 위치를 그대로 층높이로서 격납하면 된다. 다음에 스텝(3412)에서는 층높이 측정 층상을 갱신한다. 즉 다음은 3층이기 때문에, 어드레스(A22)에는 F3이 격납된다. 따라서 카아(1)가 상승하여 검출기(11)의 ON 점 동작이 있을 때마다 순차적으로 각층의 층높이치가 자동측정 되어 어드레스(F3-Fn)에 순차적으로 격압되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단히 신속하고 용이하게 각층의 층높이를 측정하여 RAM(27)에 기억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 마다 건물에 따른 ROM(26)을 제작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일정한 저속도로 층높이 측정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속도 발전기(S)의 검출 위치나 파형정형회로(13)의 동작 지연,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처리시간동안에 의한 측정오차를 작게할 수 있다.
또 각층의 층높이 측정거리의 타이밍을 모두 층상위치검출기(11)의 ON 점 동작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처리 타이밍의 오차가 적고 차폐판(9A-9n)의 길이를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또 스텝(495) (제8도)에서 격납되어 있는 층높이 값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도 높고 만일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층높이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또 엘리베이터 구동계는 해가 지남에 따라 마모가 발생되는데,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자(4)나 로우프(3)가 마모하면 거리 펄스 1개당의 이동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건물의 층높이는 변하지 않아도, 거리펄스의 계수치와의 관계가 변화하여, 상기 마모량에 따라 착상 정확도 등이 나빠진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ROM(26)의 교환등을 행할 필요가 없이, 모니터(33)에 의하여 층높이 측정운전을 지령함에 따라 상기 마모량에 따른 층높이가 자동적으로 RAM(27) 내에 격납된다. 이것은 ROM(26)의 파괴되어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건물에 따른 ROM(26)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보수가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층높이 값을 RAM(27)에 격납하고 있으나, 이저의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운 데이트를 재기억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라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도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소거, 재기입이 가능하므로 이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층높이 측정 처리 스텝(340)(제9도)은, 개입중단처리로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층높이 측정운전 처리 스텝(480)(제8도)에 계속해서 실행시켜도 좋고, 또 그보다 빠른 타이머 주기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Claims (1)

  1. 다층건물의 승강로 내를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아(1)와, 카아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거리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단(8, 13)과 카아가 각 층상에 착상한 것을 검출하는 층위치 검출기(10, 11)와, 거리 펄스를 계수하는 수단(22)과, 계수수 단에 의하여 얻어진 카아 위치와, 승강로내의 기준 위치로부터 각 층상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층 높이 값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수단등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층 높이값을 재기억 가능한 기억수단(27)과, 층높이 값 측정 운전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33)과, 이 층높이 측정 운전 요구 신호에 따라 계수 수단(51)을 세트하여 카아를 승강로내의 소정 위치에서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 운전하는 수단(RAM)과 각 층의 창상 위치 검출 수단에 응동하여 상기한 계수 수단의 계수값을 재기억 가능한 데이터 기억 수단(27)에 격납하는 수단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19810000778A 1981-03-10 1981-03-1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78A KR850000817B1 (ko) 1981-03-10 1981-03-1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78A KR850000817B1 (ko) 1981-03-10 1981-03-1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44A KR830005044A (ko) 1983-07-23
KR850000817B1 true KR850000817B1 (ko) 1985-06-15

Family

ID=1922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78A KR850000817B1 (ko) 1981-03-10 1981-03-1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44A (ko) 198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781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S6323109B2 (ko)
CN107555271B (zh) 电梯装置和存储介质
CN103663033A (zh) 电梯的安全系统
KR930000588B1 (ko) 엘리베이터제어장치
JPH0432318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S6261499B2 (ko)
JPH075248B2 (ja) エレベ−タ制御装置
US4493399A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4436185A (en) Elevator system
KR85000081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3744271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US4754851A (e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JPS6146396B2 (ko)
JPS6138112B2 (ko)
JPS63277185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250393B2 (ko)
KR850000593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 장치
JPS6214055Y2 (ko)
JP264501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917614A (ja) 無人走行車輛の昇降距離検出装置
KR90000278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50000237B1 (ko) 엘리베이터의 속도지령 방법
JPS62111880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4375249A (en) Floor selector system for elevato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