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66B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66B1
KR850000666B1 KR1019800001523A KR800001523A KR850000666B1 KR 850000666 B1 KR850000666 B1 KR 850000666B1 KR 1019800001523 A KR1019800001523 A KR 1019800001523A KR 800001523 A KR800001523 A KR 800001523A KR 850000666 B1 KR850000666 B1 KR 85000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ar position
floor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639A (ko
Inventor
소시로오 구즈누끼
고다로오 히라사와
마스미 이마이
다께오 유미나가
가즈히로 사까다
겐지 요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66B1/ko
Publication of KR83000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제1도에서 제3도까지는 본 발명의 원리 설명도로서,
제1도는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특성도.
제2도는 카 위치 검출용카운터의 계수 특성도.
제3도는 카 위치 검출용 카운터의 계수 값과 카의 속도특성도.
제4도에서 제18도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4도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의 동작 설명용 특성도.
제6도는 카위치 검출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동작 설명용 타임 차아트.
제8도는 엘리베이터 기동 신호용 인터페이스 회로도.
제9도는 카 위치 처리장치의 구성도.
제10도는 카 위치 처리 장치의 동작 설명용 메인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카 위치 처리장치의 메모리 맵.
제12도는 엘리베이터 카의 방향 판정 처리 설명용 플로우 챠트.
제13도는 정전 처리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4도는 카위치 연산처리 설명용의 제1 플로우 챠트.
제15도는 카 위치 연산처리 설명용의 제2플로우 챠트.
제16도는 정전 복귀시의 합리성 검출처리의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7도는 정전 개입중단 처리의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8도는 타이머 개입중단 처리의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 설명용의 위치검출용 카운터의 계수 특성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카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함에 있어서 가장 적당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 위치를 검출함에 있어서 카와 연동 동작하여, 실제의 주행거리의 약 1/10로 축적한 기계적 위치 검출장치(플로어 컨트로울러 : floor controller)가 있다. 이장치에는 각 의층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축척에 의한 검출 스위치 수의 제한 때문에 카 위치는 불연속적으로 박에 검출 할 수 없었으며 또한 그 정밀도도 나빴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최근 카 위치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디지틀 적인 플로어 컨트로울러가 각종으로 제안되어 오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의 축에 펄스발생기를 부착하여, 그 펄스 발생기의 펄스수를 계수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카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있다.
이 방법은 카 위치를 연속적으로 또한 밀리미터의 단위로 검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제어의 성능 향상에 공헌하고 있다. 또 기타 상기예의 펄스 발생기 대신 값이 싼 교류속도 발전기(ACPG)를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되어 있다. (u. s. p. 제4,150,734호)
이 교류속도 발전기의 구조나 원리는 일반적인 발전기(동기 발전기)와 같으며, 그 출력전압과 주파수는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진다. 따라서 그 교류 출력을 제로-크로스(zero-cross) 검출기 등을 사용하여 펄스화하여 그 펄스를 계수하여 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교류속도 발전기를 엘리베이터의 카 위치 검출기로 이용하고지 할때 어 려움이 있는바 발전기 속도가 낮은 범위에 있을때 발전기 출력 전압 수준이 낮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가 매우 낮은 속도로 운전할때 엘리케이터 카 위치를 검출할 수 없게된다. 즉, 미 검출속도가 생긴다.
이 미검출속도 범위는 상술한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의 증폭도를 높임으로써 상당히 작게할 수 있으나, 이를 어느 증폭도 이상으로 하면 교류속도 발전기의 잔류전압이나 지기왜곡, 또 유도 잡음 등을 검출하여 속도가 영(0)인 경우에도 출력이 발생하는 등 불필요한 출력을 발생시켜 검출정밀도가 나빠진다.
따라서 상기한 검출정밀도가 충분한 속도에 상기 제로-크로스 검출기의 레벨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교류속도 발전기에 미검출속도가 생기므로 엘리베이터의 기동시 또는 정지 직전의 저속도인 때는 카의 주행에 따른 펄스를 얻을 수 없다.
특히 기동시에 펄스 미 검출기간이 생기면 그 펄스를 계수하여 카 위치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계수값은 항상 오차를 갖게된다. 한편 카는 상기 계수값에 의하여 검출되는 카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다음 층에 정지할때 카는 오차를 가지는 검출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어되므로 착상)着床) 오차가 생긴다. 또 정지 직전에 착상 오차가 적어지도록 제어하면 정지 충격등이 생겨 탑승시 기분을 나쁘게 한다.
이상 특히 교류속도 발전기를 사용한 경우를 기술했으나 상기 펄스 발생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회전속도에 영향을 끼쳐주는 것이라면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계수하여 카 위치를 검출해서 이 검출된 카 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제어함에 있어서, 카 위치의 검출정밀도를 향상하여 착상 정밀도가 양호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3상 교류속도 발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펄스를 발생시켜 엘리베이터를 제어함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 방향을 높은 신뢰도로서 검출하여 안전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엘리베이터 카를 기동할 때마다 카 위치 검출용 카운터의 계수값을 보정하는 수단을 갖추어 저속도의 오차를 보정하도록 한 데 있다. 여기서 보정이란 엘리베이터가 출발하여 다음 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펄스의 계수간의 오차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펄스 발생용에 설치한 3상 교류발전기의 3상 교류 출력으로 부터 위상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카가 운전하고 있는 방향을 판정하도록 한데 있다.
이상의 목적 및 특징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각종의 연구를 하고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그 동작 원리에 관하여 제1도에서 제3도까지 설명한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특성 곡선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서, 기동 또는 정지 직전의 저속도(Ve)가 펄스 검출불능의 속도 즉, 미검출속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 미검출속도(Ve)가 있을 경우의 카 위치 검출특성을 나타낸 도면이 제2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횡축은 카의 위치(l)를 나타내며 종축은 교류속도 발전기의 주파수 성분을 카운터에 의하여 측정한 경우의 계수값(N)을 나타낸다. 이때 엘리베이터는 1층으로부터 기동된 것으로 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곡선(a)은 미검출속도(Ve)가 없고 또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와 카를 매달은 로우프간에서 슬립(Silp)이 없는 이상적인 곡선이며, 곡선(b)은 곡선(a)의 조건에서 미검출속도(Ve)가 없고, 상기 구동장치와 로우프간의 슬립이 있을 때의 곡선이다. 한편(c)은 미검출속도(Ve)가 있고 슬립도 있는 경우의 곡선이다.
또한 상기 슬립은 통상의 부하에서는 거의 생기지 않으나 부하가 커질때 생긴다. 또 슬립하는 시기는 구동토오크의 부여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나 기동시에 발생하기 쉽다. 제2도는 용이하게 설명키 위해 특히 슬립량이크고 또한 일정하게 슬립이 생기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검출속도(Ve)의 기간에는 펄스가 계수되지 않기 때문에 그 미검출오차(Z)만큼 기동시에 오차를 발생한다. 따라서 키가 2층에 도착할 때에는 슬립에 의한 오차(x)가 가해져 이상곡선(a)과의 사이에 오차(Y)가 생기게 된다.
이 오차(Y)가 2층에 정지했을때 발생하는 착상 오차의 원인이 되며, 제3도에서 설명하는 정지층격의 원인으로도 된다. 즉,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가 1층에서 출발하여 2층에 정지하는 경우 1층만 운전을 하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생긴다.
카가 1층을 출발하여 2층에 도착할때의 감속개시가 제3도 (a)와 같이 카운터의 계수값(CN0)의 점에서 일어난다고 하면 미 검출오차(z)를 갖는 경우의 곡선(c)에서는 β의 카위치에서 감속을 개시한다.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속도 패턴은 제3도(b)와 같이 미검출오차(z)를 갖는 제3동(a)의 c곡선에서는 2층의 도착직전의 속도가 Vr이 된다.
카가 2층의 정지위치에 도달하면 카를 정규의 정지위치에 도착시키기 위해 전자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따라서 급정지를 하게되어 착상오차(Lr)는 작게 억제 할 수 있는 반면 정지충격을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동시에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미검출 오차(z)를 보정하므로서 미검출오차(z)를 포함하지 않은 곡선(b)과 일치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이 개시되는 시점은로 되어 2층정지 위치에서는 슬립에 의한 오차만큼 억제할 수 있다.
즉, 통상의 부하상태라면 착상오차 및 정지 충격이 발생되지는 않으며 슬립이 있는 경우에도 최소한으로 착상오차 및 정지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2층 이상을 주행하는 경우 제3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층의 정지위치를 통과하는 점(d)에 있어서 카운터의 계수값을 강제적으로 미리 설정된 2층의 계수값(e)에 프리세트하면 이상곡선과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2층 이상을 주행하는 경우 슬립에 의한 오차도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로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카(6)는 구동장치(9)에 걸린 로우프(10)에 의하여 균형추(7)에 연결된다. 각층(1~5)에는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간막이판(자기 차폐판등)((FS1~FS5)과 기준층을 나탄는 간막이판 BS가 있다.
한편 카(6)에는 상기 정지 간막이판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CS) 및 기준층의 간막이판을 검출하는 기준 검출기(CBS)가 있다. 이들 검출기(CS), (CBS)는 레일 코오드(tail cord)(8)를 통해 카 위치 처리장치(13)에 입력되어 있다.
구동장치(9)의 축에는 연동하는 교류속도 발전기(ACPG)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교류속도 발전기의 출력신호(PG)는 카 위치 검출회로(11)에 입력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기동신호(ES)는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생략)의 릴레이 등의 접점으로 부터 부여되어져 이 신호는 엘리베이터 기동 신호용 인터페이스(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카 위치 처리 장치(13)는 카 위치 검출회로(11)와 엘리베이터 기동 신호용 인터페이스(12)와는 신호선(BUS1), 신호선(BUS2)와 각각 정보를 교환한다.
한편, AC전원은 직류전원 장치(14)에 공급되어 그 출력(VCC)으로 각 회로에 공급된다. 축전지(16)는 정전시의 역류방지 다이오드(15)를 통하여 부동(floated) 충전되어 있다.
이 축전지(6)의 출력(VCCR)은 카 위치 처리장치(13)의 정보 기억수단(후술함)에 공급되어 있다. 또 직류전원 장치(14)에는 정전 검출회로가 있으며, 그 출력은 신호(NMI)로서 카 위치처리장치(13)에 입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특징인 미검출속도가 있을 때의 위치 보정을 설명한다. 예컨대, 카(6)가 1층에 착상해 있고, 5층을 향해 주행하려고 할때 엘리베이터는 기동지령을 내어 기동신호(ES)를 추력한다. 이 기동신호(ES)는 엘리베이터 기동신호용 인터페이스(12)를 거쳐 카 위치 처리장치(13)에 전달되어, 카 위치 처리장치(13) 내에서는 카 위치 검출회로(11)에서 사전에 검출하고 있던 카 위치의 내용에 미검출속도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소정값을 가감산하여 그 결과를 카 위치 검출회로(11)중에 있는 카운터에 프리세트한다. 그러면 상기 카운터는 보정된 새로운 내용으로 다시 계수를 시작한다. 이 관계를 나타낸 것이 제 5도이.
1다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가 주행을 시작하여 어느 소정시한 후에 보정(R)을 행하여 이상곡선(a)에 근접한다. 그래서 카운터를 보정하는 타이밍의 소정시한은 엘리베이터를 기동한 후 임의의 층을 향하여 주행시키기 위해 가속시킨 후 가속종료까지의 시간내에 설정된다.
보정후의 곡선(d)은 그후 슬립에 의한 보정(S)을 2층의 정지신호(위치검출기(CS)와 정지간막이판(FS2)에 의해 검출한다)로 행한다. 그리하여 각층마다 동일한 보정을 행하여 이상곡선(a)이 되도록 항상 보정처리를 행한다. 이 보정처리는 카 위치처리장치(13)에 의해 행해져 보정후의 카위치는 카 위치신호(POS)로서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의 정보가 된다.
그래서 카 위치 처리장치(13)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2 특징인 정전시의 카 위치의 합리적인 검출에 관해서 개략적인 설명을 한다.
예컨대, AC전원이 정전되면 직류전원장치(14)로 부터 정전신호(NMI)가 출력된다. 카 위치 처리장치(13)는 정전 개입중단(후술)을 받아 카 위치 검출회로(11)의 카운터의 내용이나 카의 방향 또는 정전되었다는 정보를 축전지에 의해 백업(baced up)되어 있는 메모리에 기억하여 처리를 중지한다. 정전신호(NMI)는 평상 전압의 90% 정도 강하했을 때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직류전원이 떨어질 때까지에는 야간의 시간이 있으므로 이 짧은 시간에 최우선적으로 상술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래서 엘리베이터는 이때 비상 정지되지만 비상정지된 후 전원이 복귀했을때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착상 속도로 주행(정전전의 방향으로)시켜 그때의 카 위치 검출회로(11)의 카운터의 내용과 미리 준비되어 있는 층상 테이블(이것은 엘리베니터 설치시에 측정 운전을 행하여 정확한 층의 계수값이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의 내용을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값 이내(합리적)라면 그 시점으로 부터 엘리베이터는 정상운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만일 그 차가 소정값 이상이라면, 엘리베이터의카 위치는 보정 불가능한 범위 다시 말하면, 어느 층에 있는지도 알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된다.
이 시점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최종층까지 주행시켜 카위치 검출회로의 카운터를 다시 세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특징부의 동작개요를 설명했으나 다음에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로나 장치의 하드웨어에 관하여 설명한 후에 카 위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을 설명한다. 제6도는 카 위치 검출 회로의 하드웨어 도면이다. 교류 속도 발전기(ACPG)는 3상 발전기를 사용하고, 그 출력(U), (V), (W)에는 저항(R1), (R2), (R3)이 성형(星形)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은 카 위치검출 회로(11)의 접지와 교류속도 발전기의 접지를 공통으로 하여 잡음전압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이들 저항(R1~R3)의 양단에는 저항(R4), (R5), (R6)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외의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 2조가 있다. 이상의 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의 출력은 논리소자(AND1~AND )에 접속되고, 이 논리소자의 출력은 후술하는 카위치처리장치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LSI인 PIA1의 C포오트(port)에 입력되어 있다.
또, 논리소자(AND1~AND )의 출력은 논리소자(OR의 GATE)에 각각 입력되고 그 출력(X)은 프리세트 가능한 가역(可逆) 카운터(CT)의 클럭입력단자(CL)에 입력된다. 또한 이 가역카운터(CT)는 상술한 PAI1의 A, B, C 포오트와 인터페이스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카 위치 검출회로의 동작설명을 제7도의 타임 챠아트로서 설명한다. 교류속도 발전기(ACPG)의 출력은 3상이므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상의 전압은 정현파이고, 각상의 위상은 120˚씩의 차가 있다. 이 전압파 형을 저항과 연산 증폭기로 구성되는 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에 입력되면 그 출력은 제7도의 (SWU), (SVU), (SWV)와 같이 된다. 예컨대, 전압 제로-크로스 검출기의 입력으로 U위상 의전압과 W위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검출기의 출력은 U위상의 전압이 W위상의 전압보다 커지는 점에서 상승하고 그 반대일때 하강한다. 따라서 신호파형은 SUW와 같이 된다. 기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다음에 신호(SUW), (SWV)는 논리소자 AND1~AND3를 통과하면 제7도의 U, V, W와 같은 120˚의 위상차를 갖게되고 60˚의 펄스폭인 펄스 신호가 얻어진다. 논리소자(OR)의 출력은 U, V, M의 가되므로 제7도의 X와 같은 60˚의 펄스 폭을 가는 교류형 펄스열이 된다.
가역 카운터(CT)의 단자(UP/DN)는 카운터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것이고 단자(ST)는 가역 카운터(CT)의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이며, 단자(PE)는 가역카운터의 프리세트를 행하는 때의 것으로 프리세트 데이터는 PIA1의 B포오트로부터 단자(DIN)에 가해진다. 그리고 가역 카운터(CT)의 상태는 항상 출력 가능하도록 단자(DOUT)가 나와 있으며 이것은 PIAI의 A포오트로부터 후술하는 소프트 웨어에 의해 독립된다.
또 교류속도 발전기에 3상 발전기를 사용한 이유는 1회전에 단상 발전기의 3배의 펄스가 발생하므로 위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됨과 위상 회전순서의 판정에 의한 카 방향의 검출을 하기 위한 것이다. 제8도는 엘리베이터 기동 신호용 인터페이스의 하드 웨어도면이다.
엘리베이터의 기동신호(ES)는 모우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의 접점등에서 부여된다. 이 신호는 카 위치 처리장치(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LSI와 PIA2 A포오트에 입력하여 후술하는 소프트 웨어에 의해 독출된다.
제9도는 카 위치 처리장치의 하드 웨어 도면이다. 이 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써 구성된다. 즉, 연산처리의 중심인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는 ROM, 각동 데이터를 기억해두는 RAM1, RAM2,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는 PIA3에 의해 구성되며 각각의 LSI는 버스에 의해 정보교환을 행한다. MPU에는 정전시의 개입중단을 위한 신호(NMI), 그리고 일정주기마다 개입중단을 발생하는 타이머 개입 중단신호(IRQ)가 접속된다. 그래서 정전 개입중단 신호(NMI)는 최우선전으로 처리하는 단자에 접속되어 있게 한다.
각 LSI의 전원은 VCC단자로부터의 것과, VCCR단자로부터의 것이 있는데, 특히 VCCR단자는 축전지로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며, 정전시에도 전원은 유지되어 있다. VCCR단자로부터 공급되는 LSI는 RAM2로서, 이것은 예컨대, COMS RAM과 같이 저전력소비의 LSI를 사용한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이 그다지 크지 않아도 무방하다. 데이터를 기억해두는 RAM을 두개 설치하여 전원이 복구될 때에 필요한 최저한의 데이터는 RAM2에 넣고 그 이외의 통상의 처리에 있어서의 데이터는 RAM1에 의해 기억한다. 이와 같이 두개로 분리한 이유는 가능능한 축전지로 지원되는 메모리를 작게하므로서 축전지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값도 싸고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견뎌 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 본 실시예의 하드 웨어에 관해 설명했으나, 다음에 그 동작 즉, 소프트웨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0도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인 메인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를 설명한다.
제9도에 의해 설명한 카위치 처리장치(13) 즉,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원이 투입되면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초기치 처리를 실행한다.(스탭 100).
다음에 각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독입하는 데이터 입력처리가 있다(스텝 200). 그 입력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PIA1 관계…(i) ACPG의 펄스 파형 U, V, W,
(ii) CT의 계수내용(DOUT)
(2) PIA2 관계…(i) ES
(3) PIA3 관계…(i) CS
(ii) CBS
다음에 카 위치 검출회로(11)의 가역 카운터(CT)의 계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또는 후술하는 엘리베이터 기동시의 보정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실제의 온전 방향을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300).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정전 표식(후술하는 정전개입 중단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다)을 판정하여 그 전에 정전이 있었다면 플래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전 처리를 행한다.
상기 플래그가 없으면 상기의 전원 복귀처리는 행하지 않고 통과한다.(스테 400,500). 이 전원 복귀 처리는 카 위치 검출회로의 가역카운터를 전원 복귀시에 정상으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가역카운터의 초기치 요구 즉, 후술하는 카위치의 합리성 검출 결과 불합리가 되어, 가역카운터를 초기치 설정 처리를 위한 요구플래그를 판정하여 플래그가 있으며 카운터 초기치 설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600,800). 만일 상기 플래그가 없으면 정상의 카위치 연산 처리를 한다. (스텝 700).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다시 스텝(200)으로 건너가서 그 후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각 스텝의 구체적 처리 내용을 이하 플로우챠트로 설명하나 그 전에 제11도에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의 맵(map)을 도시해 둔다. 제11도는 정전시에 데이터를 상실해도 좋은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에 관한 도면으로서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RAM은 다르다.
제12도는 엘리베이터 방향 판정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엘리베이터의 방향은 일반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회로(도시 생략)로 부터의 지령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이 방향지령을 가역 카운터의 계수 방향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이 지령은 모우터의 공급교류 전원의 위상을 잘못 넣으면 방향지령과 모우터의 회전은 반대로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직접 모우터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정확하고 안전하다.
스텝(310)은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교류속도 발전기(ACPG)부터 만들어진 데이터 U, V, W의 입력순서 즉, 위상회전순서를 판정하여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예컨대,
(1) 데이터 입력순서 : U→V→W : 상승방향
(2) 데이터 입력순서 : U→W→V : 하강방향이 크다.
이상의 데이터 입력 순서는, 제10도에 있어서의 1주기의 사이클타임이 데이터의 펄스폭보다 매우 짧으므로 쉽게 판정할 수 있다.
방향이판정된 단계에서 카 위치 거출회로의 가역 카운터의 계수 방향을 세트한다(스텝 300~400).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제10도의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제 13도는 전원복귀 처리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이 처리는 사전에 정전이 발생하여 그때 RAM2(battery back up)에 대피되어 있던 카위치나, 방향등의 정보를 근거로 전원 복귀시에 상술한 가역 카운터를 정상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선, RAM2에 기억되어 있는 카위치 테이블의 내용에 정전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했을때 주행하는 것으로 생각한 보정값을 더하여(물론 정전전의 카의 방향에 따라 보정갑을 가산하거나 감산하는 것이 결정된다)그 내용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스텝 510).
정전시에 비상 정지한 경우의 주행거리는 부하상태나 브레이크의 상태등에 따라 일정하게는 되지 않으나 여기서는 평균적인 주행거리로서 보정한다. 만일 이 보정이 크게 다르면 후술하는 합리성 검출에 걸려 카운터는 초기 상태로 세트된다. 다음에 가역 카운터(CT)의 카운터 방향을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에 따라 지정한다(스텝 520). 그 지정은 제6도의 PIA1의 C포오트에 의해 행한다. 예를들면 UP/DN 신호=1은 상승, 0은 하강으로 한다.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엘리베이터 제어회이(도시생략)에 대해 가장 가까운 주행지령(NRUN)과 운전방향(DIR)을 출력한다(스텝 530,540). 최후로 정전 플래그를 클리어 하고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스텝 550).
제14도 및 제15도는 카 위치연산처리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이 플로우챠트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1) 엘리베이터 기동시의위치보정
(2) 엘리베이터 각층 통과마다의 위치보정
(3) 가역카운터(CT)의내용과 층상 보정 내용과의합리성 검출
(4) 외부에의 데이터 출력
그러면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챠트를 설명한다. 먼저 기준층 신호(CBS)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있으면 제11도의 층번호 테이블을 1로 한다(스텝 702,704).
다음에 엘리베이터 기동신호(ES)가 있는지의 여부판정을 하여 (스텝 706), 있으면 엘리베이터 기동시의 보정 타이밍을 부여하는 타이머를 기동 시킴(스텝 708)과 동시에 상술한 가역 카운터(CT)의 계수금지 신호(ST)를 출력한다(스텝 710). 그리고 엘리베이터 기동신호(ES)가 없으면 스텝(780), (710)은 통과한다.
다음에 각층의 정지신호(CS)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스텝 712)하여, 있으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에 따라 층상번호 테이블을 1만큼 가산 또는 감산한다.(스텝 716,718).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상술한 가역 카운트의 내용과 미리 설정된 층상 보정 테이블과의 차의 절대값이 소정의 오차내에 있는 지의 여부판정 즉, 합리성 검출을 행하여(스텝 720), 만약에 오차내에 있다면 층상번호에 해당하는 보정 체이블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스텝 722). 이러한 양상을 나타낸 것이 제5도의 2층 에서의 위상보정이다. 스텝(72)에서 오차내에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 대해 기준층까지의 주행지령을(BRUN)을 출력하고, 동시에 가역카운터 초기치 요구 플래그를 세운다(스텝 724). 그리고 스텝(712)에 있어서 정지신호(CS)가 없으면 상기 처리를 통과한다.
다음에 상술한 스텝(708)에서 타이머가 기동한 결과의 타이머 플래그가 있는 지역여부 즉, 엘리베이터 가동시의 보정 타이밍인지의 판정을 행하여(스텝 726), 만약 그 타이밍이라면, 상술한 스텝(710)의 카운터의 계수 금지 신호를 해제하여(스텝 (728),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에 의해 엘리베이터 기동시 보정 테이블을 카 위치 테이블에 가산 또는 감산시켜 그 내용을 가역카운터(CT)에 프리세트한다(스텝 732,734).
이상과 같은 상태는 제5도로서 이미 설명했다. 그리고 타이머 플래그를 클리어한다. 또한 타이머 플래그가 없을때 상술한 스텝은 모두 통과한다. 최후로 카 위치(POS)테이블과 카방향(DIR) 테이블을 제9도의 PIA3로 부터 외부로 출력(스텝 740,742)하여 이프로그램은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또 스텝(740)에서 외부로의 출력으로서 가역카운터(CT)의 내용 그 자체를 출력하고 있으나만일 필요하다면 층상번호를 출력해도 좋다. 제16도는 정전복귀시에 가역카운터(CT)의 합리성 검출을 행하여(제14도 및 제15도에 의해서 설명), 그때 불합리라고 판정된 경우에 가역카운터(CT)의 초기치를 행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엘리베이터는 기준 층까지 저속도로 주행(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에 의하여 행해진다)하여 엘리베이터가 기준층까지 주행하여 정지하면 기준층신호(CBS)가 발생된다. 그러면 스텝(810)의 판정에서는 「Y」가 되어 기준층의 층상 보정 테이블의 내용을 가역 카운터(CT)에 프리세트(스텝820)하여 다음에 카운터 초기치 요구 플래그를 클리어 시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제17도는 정전 개입중단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정전개입중단이 있으면, 우선 정전 플래그를 RAM2에 기억시키고(스텝 10), 가역 카운터의 내용을 역시 RAM2에 기억(스텝 15)한 후 다시 카방향을 RAM2에 기억(스텝 20)하여 처리를 중지한다. 이들으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는 바테리 백업되어 있는 RAM2이다.
제18도는 타이머 개입중단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로서 일정주기마다 개입중단이 걸여 타이머처리를 한다. 이타이머 처리는 타이머 기동 플래그가 있으면 계수를 개시하여 소정값이 경과하면 타이머 계수 종료플래그를 기억시키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프로그램의 처리에 관한 우선적 순서를 기술해 둔다.
그 우선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정전 개입중단 프로그램(제17도)
(2) 타이머 개입중단 프로그램(제18도)
(3) 메인 프로그램(제10도)
이상 본 발명의 1실시예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특징 및 그 효과를 기술한다. 우선 제1 특징은 카의 주행에 따른 펄스를 교류속도 발전기로서 발생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교류속도 발전기는 일반적인 펄스 발생기에 비해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은 펄스를 얻을 수 있다.
또 보수하는 일이 적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등 경제적인 효과도크다. 제2의 특징은 교류속도 발전기에 3상 교류발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그래서 단상 교류 발전기에 비해 3배의 펄스를 얻을 수가 있어 카의 위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의 특징은 위치 검출용 카운터 및 보정량의 가감산을 3상 교류 출력의위 상회전순서에 따라 절환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따라서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
제4의 특징은 각층상마다 정규의 계수값에 상당한 층상보정 테이블을 미리 갖추어 각층상 통과시만다의 계수값을 상기정규 계수값에 보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따라서 2층 이상의 운전의 경우 보다 정확한 위치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5의 특징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카 위치 검출용의 계수 및 보정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정전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축전지에 의해 백업(backed up) 되는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복잡한 처리가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정전 발생후 전원복귀 시의 운전도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변예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미검출속도(Ve)를 보정하는 타이밍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신호를 검출한 후 소정시한후에 행하는 것으로 했으나, 이것을 엘리베이터 정지신호 검출시에 미리 위치보정을 해두어도 좋다. 또한, 정지신호의 전후에 설치되는 도어 오픈 영역신호로서 위치 보정을 행해도 좋은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전에 의해 백업(backed up)되는 부분은 제9도의 메모리(RAM2)만으로 했으나 제6도의 카 위치 검출회로 전체를 축전지에 의해 백업 되면 정전시에 있어서도 카 위치를 지장없이 계수할 수 있어 전원복귀시에 카위치의 합리성 검출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좋다. 단, 이 회로전체를 축전지에 의해 백업시키면 큰 용량을서 전원 축전지가 필요(연산 증폭기용과 게이트 또는 카운터용)해져 가격이 높아 진다. 또, 카 위치 검출장치의 가역 카운터(CT)의 계수 방향을 계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지령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층통과시 마다 카 위치보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목적하는 층에 정지직전의 충에서 카 위치 보정을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층에서의 보정처리를 하지 않게 되므로 카 위치 처리를 위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층상을 서어비스 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이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 시키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카의 주행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펄스를 계수하여 카 위치를 검출하는 카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카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의 카 기동시의 펄스보정량을 기억하는 수단(RAM2)과 카를 기동할때마다 카위치 검출 수단의 계수값을 펄스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는 보정 수단(MPU)을 갗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19800001523A 1980-04-12 1980-04-1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5000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23A KR850000666B1 (ko) 1980-04-12 1980-04-1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23A KR850000666B1 (ko) 1980-04-12 1980-04-1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39A KR830002639A (ko) 1983-05-30
KR850000666B1 true KR850000666B1 (ko) 1985-05-09

Family

ID=1921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523A KR850000666B1 (ko) 1980-04-12 1980-04-1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39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287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436781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4387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vator car position
JP5602613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006808B2 (en) Managing an encoder malfunction in an elevator drive system
EP2527281B1 (en) Elevator
JP259582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S6260352B2 (ko)
JPH075248B2 (ja) エレベ−タ制御装置
KR850000666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WO2004076326A1 (ja) エレベーター用調速器
JPH085910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250394B2 (ko)
JPS6146396B2 (ko)
EP0607646A1 (en) Elevator velocity control
CN205262718U (zh) 一种便携式电梯轿厢制停距离检测仪
JPS5952139B2 (ja) エレベ−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KR850000749Y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6250393B2 (ko)
WO2023002524A1 (ja) 異常検知装置、及び異常検知方法
JPS6341829B2 (ko)
JPS6143277B2 (ko)
JPS63277185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264501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85000081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