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53B1 -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 Google Patents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53B1
KR920000853B1 KR1019890701091A KR890701091A KR920000853B1 KR 920000853 B1 KR920000853 B1 KR 920000853B1 KR 1019890701091 A KR1019890701091 A KR 1019890701091A KR 890701091 A KR890701091 A KR 890701091A KR 920000853 B1 KR920000853 B1 KR 92000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ulator
thread
sewing machine
bobbi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825A (ko
Inventor
하게르 발테르
부쩬 에드가르
데누엘 귄터
아르놀트 쿠르트
Original Assignee
파프 인두스트리마쉬넨 게엠베하
페테르 틸만스, 프리드리히 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프 인두스트리마쉬넨 게엠베하, 페테르 틸만스, 프리드리히 크라인 filed Critical 파프 인두스트리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70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1/00Applications of needle-thread guards; Thread-break detec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6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abnormal conditions occur, e.g. thread br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제1도는 재봉틀의 캐처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Ⅱ-Ⅱ)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
제4도는 계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6도의 선(Ⅴ-Ⅴ)에 따라 취한 캐처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Ⅵ-Ⅵ)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도시한 센서에 병렬된 계산장치.
제8도는 제9도의 선(Ⅷ-Ⅷ)에 따라 취한 캐처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Ⅸ-Ⅸ)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도시한 센서에 병렬된 계산장치.
제11도는 제12도의 선(XI-XI)에 따라 취한 캐처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의 선(XⅡ-XⅡ)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도시한 센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센서에 병렬되어 있는 계산장치이다.
본 발명은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재봉틀은 DE-PS 2045435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재봉틀의 보빈에는 그 광원과 수광기쪽으로 향하여 있는 플랜지에 다수의 명암 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킹(marking)이 제공되어 있다. 실이 풀려나고 있는 동안에, 회전하는 보빈의 마킹은 임펄스 발생기로서 작용한다. 실이 끊어지거나, 끝난때에는 임펄스의 결과가 반대로 변동됨으로써 재봉틀의 차단기구가 수광기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식 또는 전자식 수단을 작동시킨다.
임펄스 결과의 변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실 자동 제어기는 보빈의 관성으로 인하여 기계 회전수의 감소가 보빈의 감기는 과정에 영향을 주고, 이는 실이 계속적으로 풀려나는데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동안 실 자동 제어기의 응답을 끌어내는 보빈 정지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바늘의 실과 보빈의 실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독일 실용신안 제 6913073호에 있어서도 해결하지 못한다. 이러한 실 자동 제어기에 있어서는 실 감개로부터 풀려나는 바늘실에 의하여 회전상태에 있고, 연단부분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슬릿에 의하여 중단되어 있는 디스크가 유도적 또는 광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센서장치에 의하여 감시된다. 슬릿중 하나가 센서장치와 일렬로 되자마자, 임펄스가 제어회로의 전자식 스위치에 전송된다.
전자식 스위치는 동일 전압망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을 거쳐 충전된 콘덴서를 방전 시킨다. 이에 반하여, 감시 대상 디스크가 정지하여 있을 때, 가장 가까운 임펄스가 중단되는 때에는 콘덴서는 그 다음에 배치되어있는 릴레이를 개폐하기에 충분한 전압이 양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을 만큼 강하게 충전된다.
릴레이를 개폐하는데 필요한 전압(이하 “한계 전압”이라 한다)이 실 자동 제어기의 동작 특성을 정하고, 약간 높은 한계 전압은 보빈 회전수의 변동에 대한 과도하게 예민한 반응을 감소시키지만, 실이 절단되었을 때, 재봉틀이 정지될때까지 반응 시간을 불필요하게 연장시킨다.
US-PS 3738296에 의하여 반사면이 제공되어 있는 보빈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면에서 전향되는 장치감시 기구의 광선은 광 신호로서 외부 제어회로의 계산기에 공급된다. 재봉과정중 보빈의 회전수는 이 계산기에서 합산되고, 이러한 실제치는 미리 선택된 기준치와 비교된다. 2개의 값이 일치하는 때에는 재봉틀이 정지하게 된다.
전술한 US-PS에서 기술하는 장치는 잔여실의 양을 필요에 따라 미리 선택할 수 있으나, 보빈의 실이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는 표시할 수 없다.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은 매우 짧은 반응시간에도 불구하고, 사실상의 실의 장애만을 표시할 수 있는 실 자동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해결한다.
실 자동 제어기의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 실은 보빈이나 릴에서 풀려난 후, 끊임없는 강도변화에 따라 연속적으로 검사되고, 실에 장애가 생긴 후 표시가 있을때까지 행하여진 스티치의 수 또는 주축 회전수가 예정할 수 있는 최대값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최대값은 재봉틀이 정지할 때까지의 짧은 반응 시간에 관련하여 최대한으로 작게 선택하여야 한다.
짧은 반응 시간은 예를 들면, 실이 끝났을 때 실과 보빈 허브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신호 발생기가 정지하였는데도, 실이 충분히 남아있는 경우에, 스티치의 길이가 최대인 때에도, 스티치의 수가 예정할 수 있는 최대값과 일치할때까지 스티치의 형성을 계속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최대값이 최소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실이 늘어졌을 때, 보빈의 정지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실 자동 제어기의 잘못된 작동을 환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최대값은 최소수보다 적지 않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보빈이 정지하는 것은 재봉과정중 기계의 회전수가 감소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빈의 선회전의 결과이다. 이때 그다음의 변환시까지 스티치의 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몇 개의 스티치에 의하여 늘어진 실이 모두 사용되고, 보빈이 더 회전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 자동 제어기는 필요한 사용범위에 따라, 전자기식, 공기식 또는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실을 감시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신호발신기가 적은 기술 비용으로서 접촉이나 마모없이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광 전자식 감시 방법이 합리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광 전자식 실 자동 제어기는 그 외에도 비교적 정확하고, 반응이 신속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석식 감시 방법은 오염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 신호 범위안에서는 근방에서 생기는 솜털의 퇴적이 배제되지 아니하는 실 자동 제억기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신호 발생기에 영구자석을 이용하면, 실 자동 감시기가 송신기로서 작용하는 영구자석이 있기 때문에, 자기 신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수신기만을 필요로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수신기를 음향센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특히 가볍고 조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 자동 제어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접근 개폐기가 유도적 또는 용량적 신호변동에 반응하고, 센서는 압력 변동에 대하여 반응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비교적 길게 늘어진 실이 중간정지후, 특히 재봉틀이 재동된후, 최대 회전수에서 정지 할때까지 모두 사용되고, 재봉용으로 제공된 계산장치에서 비로소, 전환되게 하기 위하여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이 끊어진 때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실이 보빈으로부터 풀려난다. 다시 시작하려면, 실이 보빈에서 더 풀려남으로써 보빈이 회전하기 전에 먼저 이러한 실을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재봉에 필요한 계산기가 실이 끊어짐으로써 느슨하게 된 실을 완전히 사용한 후에야 비로소 이들을 통하여 다시 작동되는 계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는 전환에 의하여 재봉, 중간 정지 또는 실의 절단과 같은 재봉틀의 그때 그때의 상태에 적합시킬 수 있는 계산장치만으로서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또한 임의로 미리 선택할 수 있는 다량의 잔여실을 비교적 정확하게 배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계산장치는 큰 공작물을 꿰매는 재봉틀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캐처 구동장치에는 부분적으로 도시한 캐처 몸체(2)가 핀 나사(3)에 의하여 선회할 수 있게 고정된 캐처 구동축(1)이 포함되어 있다.
캐처 몸체(2)에는 실이 감기는 보빈(6)이 그 위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 탭(5)을 지지하는 보빈 케이스(4)가 장착되어 있다. 보빈(6)에는 중간 탭(5)상에 끼어 넣을 수 있는 허브(9)에 의하여 결합되는 전방 플랜지(7)와 후방 프랜지(8)가 제공되어 있다. 플랜지(7)에는 그 외측면에 명암 부분(10)으로 형성된 마킹(11)이 제동된다.
보빈 케이스(4)에는 광 신호가 들어가고 나가는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 신호는 상징적으로만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13)로부터 반사되고, 마킹(11)에서 반사된후, 광 검파기(14)에 안내된다.
제3도는 실 자동 제어기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제어회로(15)의 요소들을 간단한 배선도내에 도시한 것이다. 전류는 조절된 전압원의 +극으로부터 발광 다이오드(13)와 저항(16)을 거쳐 흐른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류는 전압원의 +극으로부터 광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된 광 검파기(14)와 저항(17)을 거쳐 흐른다.
광 검파기(14)의 에미터에는 콘덴서(18)가 결합되어 있고, 이 콘덴서는 증폭기(19)와 UND-부재(20)를 거쳐 계산기(21)의 입력(E1)에 접속되어 있다. 요소(17 내지 20)는 이 계산기(21)와 함께 계산장치(22)를 형성한다. UND-부재(20)의 제 2입력에는 Negation 부재(23)가 접속되어 있고, 이 Negation 부재에는 재봉틀의 구동모터(24)가 접속된 직후에 그 출력에는 발신되는 임펄스(M)가 공급된다.
계산기(21)에는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입력(E2)을 거쳐 필요한 최대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최대값은 입력(E2)과 결합되어 있는 제어 데스크(25)에서 미리 선택할 수 있다. 계산기(21)의 또 다른 입력(E3)에는 주축(26)의 회전을 감시하는 위치송신기(27)가 접속되어 있다. 위치송신기에는 조절된 전압원의 +극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29)을 거쳐 블록에 놓여 있는 발광 다이오드(28)와 +극에 접속되고, 광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질량 저항(31)을 거쳐 광 검파기(30)가 제공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28)와 광 검파기(30)사이의 광로내에는 주축(26)상에 회전하지 못하게 부착된 디스크(32)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에는 광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광선이 통과할 때마다 계산기(21)의 입력(E3)에서 임펄스(P)가 발신된다. 계산기(21)의 출력(A)은 UND-부재(34)의 입력과 결합되어 있다. UND 부재(34)의 또 다른 입력에는 계산장치(35 내지 37)가 접속되어 있다.
계산장치(35)는 재봉틀이 중간 정지할때마다 구동모터(24)의 출력에서 발신되는 임펄스(M)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고, 반면에 계산장치(36)는 실이 끊어진 후, 임펄스(F)를 실 절단 장치(도시 없음)에 의하여 유지한다. 이에 대하여 계산장치(37)는 임펄스(W)에 의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재봉사가 빈 보빈을 채워진 보빈으로 교환한후, 재봉틀에 달려 있는 해당 개폐기를 작동시킨다. 3개의 계산장치(35 내지 37)가 모두 위치송신기(27)에 접속되어 있고, 이 위치송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임펄스(P)를 수용한다.
각 계산장치(35 내지 37)는 그 구조가 동일하고 각 계산장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38), 콘덴서(39), 증폭기(40)로 형성된 역학적 부재(41)와 플립플롭 축전지(42) 및 계산기(43)가 제공되어 있다.
각 계산장치(35 내지 37)의 입력(ZE1)(제3도 및 제4도)은 제어 데스크(25)에 접속되어 있고, 입력(ZE2)에는 재봉틀로부터 발신되는 임펄스(M,F 또는 W)가 수용되고, 입력(ZE3)에는 임펄스(P)가 수용된다. 계산장치(35 내지 37)의 출력(ZA)은 UND-부재(34)의 입력과 결합되어 있다.
역학적 부재(41)는 계산장치(35 내지 37)의 입력(ZE2)에 접속되어 있고, 수용된 임펄스(M,F 또는 W)가 짧은 시간동안만 축전지(42)의 입력(S)에 접속되도록 작용한다. 축전지(42)의 또 다른 입력(S1′)은 출력(A)와 결합되어 있고, 축전지(42)의 출력(Q′)은 계산기(43)의 역류입력(RE)과 겹합되어 있다. 이 출력(Q′)은 계산장치의 출력(ZA)과도 접속되어 있다.
UND-부재(34)(제3도)의 출력은 ODER-부재(44)와 결합되어 있고, 이 ODER-부재에는 계산장치(37)가 접속되어 있다. ODER-부재(44)의 출력은 증폭기(45)를 거쳐 표시장치(46)와 결합되어 있고, 이 표시요소는 질량저항(47)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45)의 출력에는 그 외에도 구동모터(24)의 차단장치(48)와 결합되어 있는 스위치(49)가 접속되어 있고, 이 스위치는 V자형 벨트(50)를 거쳐 주축(26)을 구동시킨다.
제 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재봉틀이 작동하는 때에만 발광 다이오드(13)의 광선이 보빈 케이스(4)의 개구(12)를 통하여 마킹(11)상에 부딛치고, 이 마킹에서 반사되고, 개구(12)로부터 다시 나와서 광 검파기(14)에 안내된다. 이때 재봉틀할 때 실이 풀려나기 때문에 보빈(6)이 회전하면, 광 검파기(14)가 광의 강도가 서로 다른 연속되는 신호를 수용한다. 실이 절단되거나 실이 끝나서 보빈이 정지한 때에는 일정한 광 강도의 신호가 접속된다.
신호가 마킹(11)의 어두운 부분에서 밝은 부분으로 이행할때에만 이 실시예의 제어회로(15)에 의하여 판독된다. 그러나, 실 자동제어기는 밝은 부분으로부터 어두운 부분으로 이행할때에만 또는 2가지의 이행 과정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행이 있을 때마다 광 검파기(14)가 도체로 되어, 전류가 질량저항(17)을 거쳐 흐른다.
이때 생기는 전압은 콘덴서(18)와 증폭기(19)를 거쳐 UND-부재(20)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콘덴서(18)는 일광으로 인하여 생기는 직류와 재봉전등으로 인하여 생기는 저주파수의 교류를 여과시키는데 이용된다.
구동모터(24)는 재봉중 임펄스(M)를 전혀 Negation 부재(23)에 발신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그 출력에는 “고”전위를 가진 신호(이하 “신호”(H)라 한다)가 접속된다. 증폭기(19)의 출력에 이와 같은 신호가 발신되자 마자, 계산기(21)는 그 입력(E1)을 거쳐 신호(H)를 수용하고, 이에 의하여 그 출력에는 0의 값이 세트된다. 계산기(21)는 위치송신기(27)의 입력(E3)에서 생기는 신호들을 합산함으로써 시작하고, 각 신호는 주축(26)의 회전과 이에 의하여 실시되는 스티치에 일치한다.
보빈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계산기(21)는 언제나 제어 데스크(25)에서 조정되고, 입력(E2)을 거쳐 미리선택되는 최대값에 도달하기 전에, 입력(E1)에서 수용되는 신호에 의하여 0으로 다시 세트된다. 이러한 최대값은 예를 들면, 보빈이 완전히 감겨 있을 때 주축(26)의 회전수, 스티치의 수 및 재봉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최단 스티치 길이로서, 보빈(6)이 하나의 명암 부분(10)으로부터 그 다음 부분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스티치 길이를 측정에 의하여 구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
보빈(6)이 실의 장애로 인하여 정지된때에는 계산기(21)가 미리 선택한 최대치에 이르기까지 계산하고, 그 출구(A)에서 신호(H)를 UND-부재(34)에 발신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계산장치(35 내지 37)는 재봉중 그 출력(ZA)에 언제나 신호(H)가 접속되도록 접속된다. 이에 의하여 계산기(21)의 신호(H)는 UND-부재(34)를 장애없이 통과할 수 있다. 신호는 ODER-부재(44)와 증폭기(45)를 통과한 후 표시장치(46)와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는 때에는 동시에 차단장치(48)도 작동시키고, 이 차단장치는 실시할 때마다 예를 들면, 즉시 구동모터(24)를 차단시키거나, 그 다음의 정지 과정 후 구동모터가 다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재봉틀이 정지된 후, 예를 들면 보빈(6)이 보충된후, 구동모터(24)가 처음으로 작동되는때에는 이 구동모터는 임펄스(M)를 Negation 부재(23)에 발신한다. 이에 의하여 전위는 Negation 부재(23)의 출력에서 짧은 시간동안 “low”(이하 “단신호”(L)라 한다)로 변환되기 때문에, UND-부재(20)에 접속되고, 증폭기(19)에서 나오는 신호(H)는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임펄스(M)는 계산장치(35)의 입력(ZE2)에 안내되고, 이 계산장치를 거쳐 역학적 부재(41)에 도달한다. 임펄스(M)의 지속시간은 시간 부재로서 작용하는 역학적 부재의 콘덴서(39)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이 임펄스는 짧은 순간만 플립플롭 축전지(42)의 입력(S)에 접속되고, 그 출력(Q)에서 신호(H)도 세트된다.
축전지(42)의 출력(Q1′)과 결합되어 있는 계산장치(35)의 출력(ZA)에 신호(H)가 접속되기 때문에, UND-부재(34)가 차단되고, 계산장치(22,36,37)의 하나로부터 발신되는 신호(H)는 모터의 진행을 중단시키지 못한다.
축전지(42)의 출력(Q′)은 계산기(43)의 역행 입력(RE)도 접속되어 있다. 이 입력에 신호(L)가 접속되는 즉시 이 신호는 0으로 다시 세트되고, 입력(ZE1)을 거쳐 미리 선택된 최대값에 도달할때까지 입력(P)을 거쳐 주축(26)의 회전을 계산하기 시작한다. 그 출력(A)을 거쳐 신호(H)가 축전지(42)의 입력(S1′)에 발신됨으로써 그 출력(Q′)과 계산장치(35)의 출력(ZA)에는 다시 신호(H)가 접속된다.
계산장치(36,37)의 작동 방식은 계산장치(35)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계산기간이 현저히 긴 동안에는 계산장치(37)의 출구(ZA)에는 언제나 신호(L)가 접속되기 때문에, 계산장치(37)에는 ODER-부재(44)에 의하여 나머지 계산장치(22,35,36)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발신기(51)로서 작용하는 보빈(6)의 플랜지(7)의 외측면에는 자석(52)이 부착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자성이 없는 장(field)(53)이 제공되어 있다. 보빈 케이스(4)의 전방 측면에는 자장의 변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수신기(54)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신기는 음향 센서(55)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접속부(제7도)는 제어회로(15)의 계산장치(22)와 결합되어 있다. 자석(52)은 영구자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송신기를 생략할 수 있다.
제 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실이 보빈으로부터 풀려나는 때에는 보빈이 회전하기 때문에, 음향 센서(55)는 서로 강도가 다른 연속되는 자성신호들을 수용한다. 그러나, 실이 절단되거나 끝이 되어 보빈이 정지하는 때에는 일정한 강도의 자성 신호가 접속된다. 이러한 신호의 판독은 전술한 방식으로 제어회로(15)를 통하여 행한다.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56)는 접근 스위치(57)(제8도 내지 제10도)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접근 스위치는 증폭기(58)를 거쳐 계산장치(22)에 접속되어 있다. 접근 스위치(57)쪽으로 향하여 있고, 신호 발생기(59)로서 이용되는 보빈(6)의 플랜지(7)에는 그 외측면에 돌출부(60)가 제공되어 있다.
보빈(6)이 회전하는 때에는 플랜지(7)의 외측 표면과 접근 스위치(57)사이의 중간 공간이 언제나 변동된다. 이로 인하여 접근 스위치(57)가 작동될때마다 그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가 변동된다. 이러한 변동의 판독은 전술한 방식으로 제어회로(15)에 의하여 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 자동 제어기의 수신기(61)는 제13도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식 환상 방사선 센서(62)(제11도 내지 제14도)로 되어 있다. 환상 방사선 센서(62)에는 유입구(64)와 환상 유출구(65)가 달린 원통형 케이싱(63)이 제공되어 있다. 케이싱(63)의 내부에는 관(66)이 고정되어 있고, 판의 자유단부는 유입구로서, 그 고정단부는 유출구(67)로서 이용된다. 유입구(64)는 압력관(68)을 거쳐 압력원(69)과 결합되어 있고, 유출구(67)는 압력관(70)을 거쳐 공기식/전기식 변환기(71)와 결합되어 있다. 이 변환기는 증폭기(72)를 거쳐 계산장치(22)에 접속되어 있다.
보빈(6)의 플랜지(7)는 환상 방사선 센서(62)쪽으로 향한, 돌출부(74)가 달린 측면에 신호 발신기(73)로서 작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64)를 통하여 흘러 들어가는 압축 공기는 케이싱(63)내에서 전향하여, 유출구(65)를 거쳐 환상 방사선 센서(62)를 통과한다. 이 압축공기는 플랜지(7)에서 전향한후, 관(66)속으로 들어가서 유출구(67)를 거쳐 환상 방사선 센서(62)를 통과한다.
실이 풀려남으로써 보빈(6)이 회전하면, 환상 방사선 센서(62)의 플랜지(7)사이의 간격이 변동되어 관(66)내의 압력이 변동된다. 이러한 압력 변동은 변환기(71)에 이어짐으로써, 이 변환기는 압력을 제어회로(15)내에서의 판독에 따라 변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실 자동 제어기의 작동 방식을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보빈 실 자동 제어기에 의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장치는 바늘실을 감시하는데에도 적합하며, 이때에는 바늘실의 진행 방향으로 신호 발신기를 회전할 수 있게 배치하고, 바늘실에 의하여 구동되게 한다.

Claims (6)

  1. 스티치 형성 사이클당 하나의 임펄스를 공급하는 임펄스 발신기와, 실의 소비에 반응하는 감지기를 구비한 감지기 장치 및 미리 장전된 입력을 제공하며 그 재설정 입력에서 감지기에 연결되는 계산기로 이루어진 실 감시기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보빈실을 감시하기 위한 실 감시기의 사용을 위해, 캐처 몸체(12)에 장착된 보빈(6)은 발광 다이오드(13)에 의해 방출된 신호를 위한 반사장치로서 작용하며, 서로 다른 반사 특성을 갖는 다수의 명암 부분(10)을 구비하고, 광 검파기(14)는 서로 다른 반사에 의해 야기된 신호 변화를 탐지하여 그것을 임펄스의 형태로 계산기(21)의 재설정 입력(E1)에 전달해주고, 계산기(21)의 미리 장전된 입력(E2)은 서로 다른 최대값을 예정해주기 위해 제어 데스크(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계산기(21)는 UND 부재(34)를 거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계산장치(35,36)에 연결되며, 실이 느슨해지는 기계 기능에 뒤이어서, 이 계산장치를 통해 계산기(21)의 스위치 기능은 이완된 실이 다 소비될때까지 다수의 스티치 사이클 동안 억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 계산장치(35)는 중간 정지후 작동할 수 있으며, 예정할 수 있는 주축의 최대회전수에 도달한 후 계산기(21)를 역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2항에 있어서, 추가 계산장치(36)는 다음의 실 절단 작업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정할 수 있는 주축의 최대 회전수에 도달한 후 계산기(21)를 역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2항에 있어서, 다양한 기계기능으로부터 야기되는 서로 다른 양의 느슨해진 실의 소비에 대한 추가 계산장치(35,36)용의 예정값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1항에 있어서, 계산기(21)는 재봉동작으로 전환될때까지 동작상태에 관련된 주축 회전수가 결정될수 있도록 재봉동작에서 벗어나는 재봉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19890701091A 1987-10-21 1988-09-03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KR920000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35578.3 1987-10-21
DE3735578,3 1987-10-21
DE3735578 1987-10-21
DE3800717.7 1988-01-13
DE3800717A DE3800717A1 (de) 1987-10-21 1988-01-13 Naehmaschine mit einem fadenwaechter
DE3800717,7 1988-01-13
PCT/EP1988/000800 WO1989003908A1 (fr) 1987-10-21 1988-09-03 Machine a coudre avec casse-f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825A KR890701825A (ko) 1989-12-21
KR920000853B1 true KR920000853B1 (ko) 1992-01-30

Family

ID=2586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091A KR920000853B1 (ko) 1987-10-21 1988-09-03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18465A (ko)
EP (1) EP0387255B1 (ko)
JP (1) JPH03500612A (ko)
KR (1) KR920000853B1 (ko)
DE (2) DE3800717A1 (ko)
ES (1) ES2010319A6 (ko)
WO (1) WO1989003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8663A1 (de) * 1988-06-01 1989-12-07 Pfaff Ind Masch Fadenwaechter
JP2675902B2 (ja) * 1990-05-22 1997-11-1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DE4024846C1 (ko) * 1990-08-04 1992-01-02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DE59103298D1 (de) * 1990-08-07 1994-11-24 Duerkopp Adler Ag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greiferfaden-vorrats eine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US5233936A (en) * 1990-09-07 1993-08-10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kipped stitches for a chainstitch sewing machine
DE4116788C1 (ko) * 1991-05-23 1992-06-25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IL106535A (en) * 1993-07-30 1996-10-31 Orisol Original Solutions Ltd Device for use with a bobbin-less coil of thread
US5606926A (en) * 1995-09-22 1997-03-04 Quick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berrational stitch in real time
GB2312685A (en) * 1996-04-30 1997-11-05 Thomas Isaac Passmore Bobbin thread payoff detection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6257512B1 (en) * 1998-12-16 2001-07-10 Fil-Tec, Inc. Magnetized pre-wound sideless bobbins
US6092478A (en) * 1999-10-14 2000-07-25 The Singer Company Nv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sumption of sewing thread supply
US6585181B2 (en) * 2001-02-27 2003-07-01 Ronald Kronenberger Bobbin assembly with backlash preventing structure
JP2002369990A (ja) * 2001-06-15 2002-12-2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US6659384B2 (en) 2001-08-21 2003-12-09 J. & P. Coats Limited Pre-wound bobbin with magnetized flange
US20040245364A1 (en) * 2003-06-06 2004-12-09 Ronald Kronenberger Sewing system with thread draw tension adjusting capability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thread draw tension
DE102006014361B3 (de) * 2006-03-28 2007-05-31 Rsg Rombold System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auf einer Fadenspule aufgewickelten Fadens
US9243880B2 (en) * 2014-01-23 2016-01-26 Jonathan DeYaeger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screw threads
DE102019106283A1 (de) * 2018-11-22 2020-06-10 A. Lier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Abwicklung eines Fadens sowie Nä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3073U (de) * 1969-04-01 1969-10-02 Altenburg Naehmasch Veb Fadenwaechter zur gleichzeitigen ueberwachung von spulen- und nadelfaden, insbesondere bei naehautomaten
BE564799A (ko) * 1957-05-25
US3352267A (en) * 1965-11-29 1967-11-14 Singer Co Control circuit useful with sewing machines
DE2045394A1 (de) * 1970-03-01 1971-09-16 VEB Nahmaschinenwerk Wittenberge, χ 2900 Wittenberge Elektronische Schalt und Steuer einrichtung fur Fadenwächter
DE2045435C3 (de) * 1970-03-01 1979-12-20 Veb Naehmaschinenwerk Wittenberge, Ddr 2900 Wittenberge Fadenwächter für Nähmaschinen
US3738296A (en) * 1971-09-21 1973-06-12 Usm Corp Photoelectric relative motion detector
US4195292A (en) * 1978-03-09 1980-03-25 Puhich Joseph M Programmable bobbin thread detector
US4192243A (en) * 1978-10-02 1980-03-11 Levi Strauss & Co. Sewing machine thread monitor
DE2938040A1 (de) * 1979-09-20 1981-04-09 Quick Elektromotoren-Werk GmbH, 6100 Darmstadt Positionierantrieb
DE3467595D1 (en) * 1983-02-23 1987-12-23 Nikolaos Kosmas Bobbin run-out detector, and a bobbin changing mechanism incorporating the detector
JPS6161836A (ja) * 1984-09-04 1986-03-29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製造方法
DE3446682C1 (de) * 1984-12-21 1986-04-10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Einrichtung zur UEberwachung des Unterfadenvorrates einer Naehmaschine
DE3447138A1 (de) * 1984-12-22 1986-07-03 Anton Cramer GmbH & Co, 4402 Greven Einrichtung zur unterfadenueberwachung, insbesondere an einer doppelsteppstichnaehmaschine
DE8516211U1 (de) * 1985-06-03 1985-07-18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Nähmaschine mit einem Fadenwächter für den Unterfaden
DE3540126A1 (de) * 1985-11-13 1987-02-19 Baeckmann Reinhar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integrierten ueberwachung des ober- und unterfadens in naehmaschinen und -automaten und des naehprozesses
FR2600085A1 (fr) * 1986-06-12 1987-12-18 Lee Cooper France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a coudre a canette
DE3625630C2 (de) * 1986-07-29 1995-04-27 Mardix Bar Cochva Faden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7255B1 (de) 1992-12-09
DE3800717A1 (de) 1989-05-11
KR890701825A (ko) 1989-12-21
DE3876634D1 (de) 1993-01-21
EP0387255A1 (de) 1990-09-19
DE3800717C2 (ko) 1989-09-14
ES2010319A6 (es) 1989-11-01
JPH03500612A (ja) 1991-02-14
US5018465A (en) 1991-05-28
WO1989003908A1 (fr) 1989-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853B1 (ko) 실 자동 제어기가 달린 재봉틀
US4174888A (en) Automatic film transport monitoring system
JPS59500975A (ja) 織機制御システム
US5161475A (en) Residual bobbin thread amount detecting apparatus for a sewing machine
JPH0510794Y2 (ko)
US4432297A (en) Low thread supply monitor in a sewing machine
US4196685A (en) Thread abnormality detection utilizing integrator and comparator in conjunction with rotary thread tension disk
JPH0211013Y2 (ko)
US4188902A (en) Bobbin thread run-out detectors
US4542633A (en) Agitating type washing machine
GB1516356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dvancement of linear elements
KR890005325A (ko) 방직기용 실 공급장치의 실공급 감시장치
GB2282391A (en) Yarn feeder
US4163158A (en) Sewing machine bobbin thread run-out alarm using reflected light
HU181132B (en) Detector pin for sewing machine of short chain stitch
EP0081548B1 (en) A signal arrangement in a sewing machine
JPH03206153A (ja) 横糸を蓄積しかつ供給する装置用の糸停止装置
JPH0211014Y2 (ko)
US4496117A (en) Web transport device
JPH0215849B2 (ko)
GB2150402A (en) Bite indicator
US20030221601A1 (e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
FI74262B (fi) Traodbrottsvakt.
US3844498A (e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winding speed of cross-winders
US5027730A (en) Sewing machine with a thread monitor for the thread of the bob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