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06B1 - 지폐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06B1
KR910009306B1 KR1019860006393A KR860006393A KR910009306B1 KR 910009306 B1 KR910009306 B1 KR 910009306B1 KR 1019860006393 A KR1019860006393 A KR 1019860006393A KR 860006393 A KR860006393 A KR 860006393A KR 910009306 B1 KR910009306 B1 KR 91000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storage chamber
pressing memb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531A (ko
Inventor
스스무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가다 마지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72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13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10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642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가다 마지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Publication of KR87000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수납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폐 수납 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의 단면도로서, 지폐를 전혀 적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적량의 지폐를 적층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1실시예의 측면의 단면도.
제3도는 지폐 배출 상태에서의 1실시예의 측면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1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제7도 내지 제9도는 1실시예에 있어서의 한쪽의 지폐 수납실에서의 지폐 배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제10도 내지 제12도는 1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지폐 수납실에서의 지폐 배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제13도는 본 발명의 지폐 수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의 단면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누름 부재의 왕복 위치를 전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의 단면도.
제15도는 지폐 배출 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VI-VI 선에 따른 단면도.
제17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한쪽의 지폐 수납실에 지폐수납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1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나 환전기등에서 사용되는 지폐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판매기나 환전기등에서 사용되는 지폐 장치는 통상, 투입된 지폐의 진위 및 돈의 종류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 장치와 이 식별의 결과, 진짜 지폐로서 받아들인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 장치로 되어 있다. 지폐 수납 장치에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일단, 수납한 지폐를 반환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 그 자체는 공지이며, 또 2종류의 지폐를 각각 적층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 그 자체도 공지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특수 기능을 갖는 종래의 지폐 수납 장치는 모두 구성이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일단 수납한 지폐를 반환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에 있어서는 매우 대규모인 지폐 배출 기구가 필요하고, 또 2종류의 지폐를 각각 적층하여 얻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에서는 종류별로 각각의 수납 구조체와 수납기구가 필요하였다.
또, 지폐와 상품권의 양쪽을 사용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도 공지이지만, 여러종류의 지폐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우기 필요한 특정의 돈의 종류에 관해서는 이것을 거스름돈으로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매우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지폐를 2종류로 나누어 각각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특정한 1종류의 지폐에 관해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의 배출기구로 필요에 따라서 수시로 반환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2종류의 지폐를 돈의 종류별로 적층하고, 또한 반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양쪽의 지폐를 각각 반환할 수 있도록 한 지폐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스름돈으로 반환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1종류의 지폐에 관해서는 한쪽의 지폐 수납실에 전용으로 수납하고, 다른 1 또는 여러 가지의 통화 종류의 지폐와 상품권 등(이하 양쪽을 총칭하여 지폐라 한다)에 관해서는 다른쪽의 지폐 수납실에 함께 수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소형으로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여러종류의 지폐 및 상품권등을 수납 대상으로 할 수가 있고, 또한 필요한 돈의 종류에 관해서는 반환할 수도 있는 지폐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폐 수납 장치는 지폐 반송로와 이 지폐 반송로에 보내진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지폐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형성되어 적어도 제1의 지폐 수납실은 지폐 반환구멍을 갖고 있는 제1 및 제2의 지폐 수납실, 상기 지폐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지폐 수납실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폐 반송로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지폐를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할 때에는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서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해당 지폐를 제1의 면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해당 지폐의 수납을 행하고, 해당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할 때에는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서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해당 지폐를 상기 제1의 면 반대쪽의 제2의 면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해당 지폐의 수납을 행하는 지폐 누름 부재, 상기 지폐 누름 부재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적어도 제1의 면에서 노출하고 있는 지폐 반송 부재를 가지며, 그 지폐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반송부재에 접한 지폐를 지폐 반환 구멍으로 배출하는 지폐 배출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지폐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2개의 지폐 수납실을 마련하며, 각 지폐 수납실에 각각 다른 종류의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2개의 지폐 수납실이 일체의 수납 구조체로 되도록 할 수가 있어 매우 콤팩트하다. 또, 지폐를 지폐 수납실에 수납하기 위한 누름 동작을 행하는 지폐 누름 부재가 중앙의 지폐 반송로를 통과하여 양쪽 지폐 수납실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에 의해 양쪽의 지폐 수납실로의 지폐 수납 동작에서 공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지폐 수납실마다 지폐 수납기구를 마련한 필요가 없어 그만큼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지폐 누름부재의 내부에 지폐 배출 기구를 마련하였으므로 지폐 배출 기구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장치 전체를 매우 콤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지폐수납실의 양쪽은 지폐 반환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지폐 배출기구의 지폐 반송부재가 상기 지폐 누름 부재의 제1 및 제2의 면에서 각각 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다른 2종류의 지폐를 돈의 종류별로 적층하며, 또한 반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쪽의 지폐를 각각 반환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만 지폐 반환 구멍을 갖고, 상기 지폐 배출기구의 지폐 반송부재가 상기 지폐 누름 부재의 제1의 면에서만 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거스름돈으로서 반환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1종류의 지폐를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전용으로 수납하고, 다른 1또는 여러종류의 통화 지폐와 상품권등을 제2의 지폐 수납실에 함께 수납하도록 하면 좋으며, 여러종류의 지폐나 상품권을 취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4도에 도시된 지폐 수납 장치는 2종류의 지폐를 양쪽 모두 반환이 가능하게 각각 수납하는 것이다.
우선,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 지폐 수납장치는 지폐 장치 본체의 하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지폐 장치 본체의 산반부에는 지폐 식별 장치 X가 배치된다. 이 지폐 수납 장치는 긴 박스(1)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의 대략 중앙에 지폐 삽입구(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 삽입구(2)의 아래쪽에 지폐의 양쪽을 끼우고 해당 지폐를 아래쪽으로 반송하고, 지폐의 긴쪽 치수보다 약간 긴 지폐 반송로(3)을 마련한다. 이 지폐 반송로(3)에 의해 2개로 나누어진 전후공간이 지폐 수납실(41),(42)로 되며, 2개의 지폐 수납실(41),(42)의 위쪽에 반환구멍(401),(402)를 각각 마련한다. 지폐 반송로(3)의 전후에는 지폐의 폭보다 폭이 좁은 공간부를 좌우 1쌍씩의 리브(51),(52)에 의해 각각 형성한다. 박스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왕복운동기구(6)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왕복 운동기구(6)의 상부에 상기 공간부보다 폭이 좁은 지폐 누름부재(7)이 고정되어 있으며, 왕복 운동 기구(6)의 동작에 따라 지폐 누름부재(7)은 상기 공간부와 지폐 반송로(3)을 통과하여 전후의 지폐 수납실(41),(42)의 중간 정도까지 도달하는 사이를 왕복 운동한다. 이 지폐 누름 부재(7)내에는 지폐 수납실(41),(42)에 수납된 지폐를 반환구멍(401),(402)로 송출하는 지폐 배출 기구(8)이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지폐 식별 장치 X로서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60-77288호에 대시된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지폐 식별 장치 X는 지폐의 진위 및 종별을 판정하여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의 판매 동작의 실행에 따라 주어지는 지폐 수입 신호에 따라서 지폐를 본 발명의 지폐 수납 장치의 지폐 삽입구(2)까지 반송한다.
지폐 삽입구(2)의 근방에는 광학적으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스위치 SW1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스위치 SW1은 지폐 식별 장치 X에서 보내온 지폐가 광로를 차단하고 있는 사이에 ON 출력을 송출한다.
지폐 반송로(3)은 반송 구동 수단(301)과 지폐 지지수단(302)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반송 구동 수단(301)은 모터 MO1에 의해서 구동되는 좌우 1쌍의 구동풀리(31)과 좌우 1쌍의 종동풀리(32) 및 구동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걸쳐진 1쌍의 반송 벨트(33)으로 된다. 지폐지지 수단(302)는 상기 좌우의 반송 벨트(33)과 각각 대향하는 여러곳의 로울러(34)를 유동이 자유롭게 배치하여 전후 운동이 자유로운 1쌍의 리브(35)와 이 리브(5)를 전후로 운동시키기 위한 1쌍의 솔레노이드 SOL 로 된다. 반송로(3)의 전체길이는 지폐의 긴쪽 치수보다 길게 구성하고 있다.
이 지폐 반송로(3)에서는 상기 스위치 SW1의 ON에 따라서 모터 MO1을 ON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SOL을 여자하는 것에 의해 리브(35)를 제1도의 실선에서 2점 쇄선의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된 지폐의 양측을 반송 벨트(33)과 로울러(34)사이에 끼우고 지폐를 아래쪽으로 반송한다.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1을 통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모터 MO1를 OFF하여 송출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지폐는 지폐 반송로(3)내에 유지된 그대로의 상태이다. 그리고, 모터 MO1은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의 선단 검지 스위치 SW5의 출력에 따라서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왕복 운동 기구(6)은 박스(1)의 하부에 마련된 모터 MO2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판(61)과 이 회전판(61)의 위쪽에 마련된 핀(62)와 이 핀(62)에 걸어맞춤하는 가로로 긴 슬릿(63)을 갖는 슬라이드부(65)로 된다. 이 슬라이드부(65)는 박스(1)의 벽면 사이에 걸쳐진 샤프트(64)에 안내되어 모터 MO2의 회전에 따라서 전후로(제1도에서는 좌우로) 왕복 운동한다. 지폐 누름 부재(7)은 슬라이드부(65)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 MO2가 회전하면 제1도에 표시한 A의 위치에서 제2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B의 위치까지의 사이를 다음에 기술하는 제어회로의 제어에 따라 적절히 왕복 운동한다. SW2, SW3은 지폐 누름 부재(7)의 위치 검출 스위치이며, SW2는 지폐누름 부재(7)이 뒤쪽의 지폐 수납실(41)에 지폐를 적층하기 위한 대기 위치 A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SW3은 지폐 누름 부재(7)이 앞쪽의 지폐 수납실(42)에 지폐를 적층하기 위한 대기 위치 B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지폐 누름 부재(7)내에는 지폐 배출 기구(8)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지폐 배출 기구(8)은 모터 MO3과 감속 기구(81) 및 이 감속 기구(81)을 거쳐서 모터 MO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로울러(82)로 된다. 로울러(82)의 주위에는 고무등의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되는 접촉면(83)이 있으며, 이 접촉면(83)은 지폐 누름부재(7)의 전후면에서 노출하고 있다. 공간부는 지폐 반송로(3)의 전후에 반송 벨트에 따라서 마련된 좌우 1쌍씩의 리브(51),(52)에 의해 형성되어있고, 좌우 리브의 간격, 즉 공간부의 폭은 지폐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되어 있다.
(91),(92)는 스프링(9)에의해, 지폐 수납실(41),(42)내에 수납된 지폐를 안쪽으로 누르는 누름판이다. (10)은 지폐 수납실(41),(42)의 바닥부분 양쪽에 마련된 지폐를 받는 판이다. (11)은 지폐 수입 및 송출용의 기어이다.
대기시, 지폐 누름 부재(7)은 한쪽의 지폐 수납실(41)에 수납되는 사용 빈도가 높은 제1의 지폐, 예를 들면 1,000원 지폐(이하, 지폐 R이라 한다)의 수입 대기 상태, 즉 다른쪽의 지폐 수납실(42)내의 소정의 위치 A에 정지한 상태에 있다. 지폐 누름 부재(7)은 지폐 R이 지폐 반송로(3)에 완전히 들어간 후, 수납실(41)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지폐 R을 리브(51)의 뒤쪽까지 누른후, 대기 위치 A로 되돌아와서 정지한다. 한편, 사용 빈도가 비교적 낮은 제2의 지폐, 예를들면 10,000원 지폐 또는 5,000원 지폐(이하, 지폐 L이라 한다)를 수입하는 것이 지폐 식별 장치 X에 의해 전달되면 지폐 누름 부재(7)은 대기 위치 A에서 수납실(41)쪽으로 이동하여 지폐 L을 적층하기 위한 대기 위치 B에 정지하여 지폐 L이 들어오는 것을 기다린다. 이 상태에서 지폐 L이 지폐 반송로(3)에 완전히 들어간 후, 지폐 누름 부재(7)은 수납실(42)쪽으로 이동하여 지폐 L을 제2의 지폐 수납실(42)의 리브(52)의 뒤쪽까지 누른 후 대기 위치 A로 되돌아가서 정지한다.
제1의 지폐 수납실(41)내의 지폐 R을 반환하는 경우는 지폐 누름 부재(7)의 이면이 반환구멍(401)의 바로 아래가 되는 반환 위치 C까지 지폐 누름 부재(7)을 이동하고(제3도 실선의 (7)참조), 이 상태에서 지폐 누름 부재(7)의 이면쪽에 맞닿고 있는 지폐 R의 1매를 지폐 배출 기구(8)의 로울러(8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반환 구멍(401)의 위쪽으로 송출한다.
제2의 지폐 수납실(42)내의 지폐 L을 반환하는 경우는 지폐 누름 부재(7)의 표면이 반환구멍(402)의 바로 아래가 되는 반환 위치 D까지 지폐 누름 부재(7)을 이동하고(제3도 2점 쇄선의 (7)참조), 이 상태에서 지폐 누름 부재(7)의 표면쪽에 맞닿고 있는 지폐 L의 1매를 지폐 배출 기구(8)의 로울러(82)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반환구멍(402)의 위쪽으로 송출한다.
또한, 수입 대기 위치 A 및 B 또는 반환 위치 C,D로의 지폐 누름 부재(7)의 위치 결정은 왕복 운동 기구(6)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여러개의 위치 검출 스위치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는 왕복 운동 기구(6)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1개의 스위치와 이 스위치 ON, OFF에 의해서 스타트되는 여러개의 타이머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장치의 동작은 제5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사용 빈도가 높은 지폐 R을 적층하기 위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이 위치 A에 있는 상태를 본 발명의 지폐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로 한다.
지폐 식별 장치 X에 지폐가 삽입되면 그 지폐가 광학적, 자기적으로 검사되어 지폐의 진위 및 종별이 판정된다(스텝(100)). 여기에서, 위조 지폐라고 판명되면 지폐 식별 장치 X의 송출 기구가 역회전하여 지폐는 삽입구로 반환된다.
지폐 식별 장치 X에서 진짜 지폐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시 적층 동작으로는 되지 않는다. 삽입된 지폐는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에서 판매 또는 환전이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판매 개시 신호라 한다)가 주어질 때까지는 반환 가능한 상태로 지폐 식별 장치 X내에 일시 유지하고 있다. 이 일시 유지 상태에서 핀매 개시 신호가 있으면, 지폐 수입 신호가 주어져 이 지폐 수입 신호에 의해 비로소 적층 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에 지폐가 R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입된 지폐가 R인 경우, 스텝(101)에서 지폐(102)로 진행하고 상기 지폐 수입 신호가 주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그 사이에 지폐 반환 신호가 주어지면 지폐 반환 처리를 행하고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103),(104)).
지폐 수입 신호가 주어지면 지폐 식별 장치 X의 송출 기구에 의해서 지폐 R은 지폐 삽입구(2)내로 삽입된다. 지폐 삽입구(2)의 바로 앞에 마련된 스위치 SW1이 보내진 지폐를 검지하면(스텝(105)의 YES), 타이머 T0를 스타트함과 동시에 모터 MO1과 솔레노이드 SOL을 작동한다(스텝(106),(107)). 이것에 의해 지폐는 반송로(3)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보내진다.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1를 통과하면, 타이머 T1이 스타트한다(스텝 (108), (109)).
한편, 타이머 T0의 시간중에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1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는 고장으로 간주하여 ″SET STOP″으로 간다(스텝 (110)). 타이머 T0의 설정 시간은 1사이클의 지폐 저장에 통상 필요한 시간이며, 이 시간내에 적층 동작이 완료하는가 아닌가를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한편, 타이머 T1의 설정 시간은 지폐가 반송로(3)에 있어서 누름 부재(7)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하는 시간이다.
스텝(111)에서는 타이머 T1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타이머 T1의 동작 시간중은 스텝(112)에서 지폐 반송로(3)의 하단에 마련된 스위치 SW5에 의해 지폐가 검지되었는자 아닌가를 조사한다. 타이머 T1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던가, 스위치 SW5에 의해 지폐가 검지되던가의 어느 쪽인가에 따라서 스텝(113)으로 진행하여 모터 MO1과 솔레노이드 SOL을 OFF 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는 반송로(3)에서 누름 부재(7)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벨트(33)과 로울러(34)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모터 MO1과 솔레노이드 SOL 의 OFF 는 타이머 T1이나 스위치 SW0의 어느 한쪽의 조건만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다음에 솔레노이드 SOL 이 OFF 된 것을 확인하여(스텝(114)), 모터 MO2을 ON한다(스텝(115)).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1도에 도시한 대기 위치 A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송로(3)에 있는 지폐를 눌러 그 지폐를 뒤쪽(도면에서는 오른쪽)의 지폐 수납실(41)에 적층한다. 그후, 모터 MO2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1도의 왼쪽 방향으로 되돌아가서 대기 위치 A에서 정지한다. 이 1사이클의 적층동작은 스위치 SW2, SW3의 출력에 따라서 제어된다. 즉, 모터 MO2의 회전을 개시한 후 차례로 스위치 SW2가 OFF 하고, 스위치 SW3이 ON하고, 스위치 SW3이 OFF 하고, 스위치 SW2가 NO 하였는가(즉, 누름 부재(7)이 스위치 SW2에 대응하는 위치 A를 이탈하여 스위치 SW3에 대응하는 위치 B에 도달하고, 다음에 위치 B를 이탈하여 최후로의 위치 A에 도달하였는가)를 스텝(116)∼(119)에서 확인하여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으면, 모터 MO2를 정지함과 동시에 타이머 T0을 리세트하여 적층 동작을 완료한다(스텝(120),(121)). 그리고, 상술의 타이머 T0의 시간내에 적층 동작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는 고장으로 간주하여 ″SET STOP″으로 진행한다(스텝 122)).
다음에 지폐가 L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입된 지폐가 L인 경우, 스텝(101)에서 제6도의 스텝(123)으로 진행하여 왕복 운동 기구(6)의 모터 MO2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1도에 도시한 대기 위치 A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SW2가 OFF 하고 스위치 SW3이 ON한 것이 확인되면 모터 MO2를 정지한다(스텝 (124)∼(126)). 이와같이 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은 제2도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대기 위치 B에 설정된다. 다음에 제5도의 스텝(102)에서 (113)까지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즉, 지폐 수입 신호가 주어지면 지폐를 반송로(3)내로 보내고 그 지폐가 반송로(3)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7)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되면, 해당 지폐의 반송을 정지함과 동시에 벨트(33)과 로울러(34)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부터 지폐가 해방된다.
그리고, 제5도의 스텝(114),(115)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져 모터 MO2의 구동에 의해 왕복 운동기구(6)이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2도에 도시한 대기 위치 B에서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송로(3)에 있는 지폐를 눌러 해당 지폐를 앞쪽(도면에서는 왼쪽)의 지폐 수납실(42)에 적층한다. 스위치 SW3이 OFF 하고 스위치 SW2가 ON한 것을 확인하면, 모터 MO2를 정지한다(스텝(127)∼(129)). 다음의 스텝(130)∼(133)에서는 타이머 T3의 동작 시간만큼 솔레노이드 SOL을 ON한다. 최후로 타이머 T0을 리세트하여 적층 동작을 완료한다(스텝(134)). 그리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술의 타이머 T0의 시간내에 적층 동작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는 고장으로 간주하여 ″SET STOP″으로 진행한다(스텝(135)).
다음에 지폐 R의 반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수납실(41) 또는 (42)에 수납되어있는 지폐 R 또는 L을 반환하는 것을 명령하는 반환신호가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등의 제어장치로부터 부여되면, 제7도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스텝(136)에서는 반환신호가 지폐 R 또는 L의 어느쪽의 반환을 명령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지폐 R이면 스텝(137)로 진행하여 모터 MO2를 구동한다. 계속되는 스텝(138)∼(142)의 처리를 거쳐서 모터 MO2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2도의 위치 A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폐 수납실(41)의 지폐 다발 R을 누르면서 위치 B에 도달하고, 그후 모터 MO2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되돌아가 제3도의 위치 C에서 정지한다. 이 동작은 스위치 SW2, SW3및 타이머 T4의 출력에 따라서 제어된다. 즉, 모터 MO2의 회전을 개시한 후 차례로 스위치 SW2가 OFF하고, 스위치 SW3이 ON하고, 스위치 SW3이 OFF하였는가(즉, 누름 부재(7)이 스위치 SW2에 대응하는 위치 A를 이탈하여 스위치 SW3에 대응하는 위치 B에 도달하고, 다음에 위치 B를 이탈하였는가)를 스텝(138)∼(140)에서 확인하여 스위치 SW3이 OFF하였을 때 스타트하는 타이머 T4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모터 MO2를 정지한다. 타이머 T4의 시간은 지폐 누름 부재(7)이 위치 B에서 위치 C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지폐 누름 부재(7)이 위치 C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지폐 배출 기구(8)의 모터 MO3이 정회전되어(도면에 있어서, 로울러(8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는 모터 MO3의 회전을 정회전으로 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는 모터 MO3의 회전을 역회전으로 한다) 로울러(8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로울러(82)의 접촉면(83)에 접하고 있는 지폐 수납실(41)의 지폐 다발 R의 왼쪽끝의 지폐가 위쪽으로 송출된다(스텝(144)). 송출된 지폐는 반환구멍(40)을 거쳐서 기어(11)을 통하여 지폐 식별 장치 X로 들어간다.
2매 겹침 검출 스위치 SW4는 지폐가 2매 겹쳐서 송출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투과광량 검지 스위치로, 스위치 SW1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다(이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스위치 SW4를 마련하지 않고, 스위치 SW1을 공용으로 하고 있다). 위쪽으로 송출된 지폐 선단이 2매 겹침 검출 스위치 SW4의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145)가 YES 로 되어, 스텝(146)으로 진행하여 모터 MO3을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모터 MO3의 간헐적인 구동은 지폐가 2매(2매 이상도 포함) 겹쳐져서 송출되어있는 경우, 로울러(82)의 접촉면(83)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여분의 지폐를 떨어뜨리기 위하여 행하여진다. 이 간헐적인 구동 사이에 스위치 SW4의 출력을 해석하여 송출되고 있는 지폐가 1매인가, 2매 이상 겹쳐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스위치 SW4에서 검지한 투과광량 레벨은 판정하는 주지의 광량 레벨 식별기등에 의해 행하여진다.
2매 겹침이 없다고 판정되면, 스텝(147)의 NO에서 스텝(148),(149)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4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해당 스위치 SW4가 OFF할 때까지 모터 MO3을 회전하고, 해당 스위치 SW4가 OFF하면 모터 MO3을 정지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환 신호와 스위치 SW4의 ON 에 따라서 지폐 식별장치 X의 지폐 송출 기구가 역회전 동작을 개시하여 본 지폐 수납 장치에서 되돌려진 지폐를 다시 이송하여 지폐 삽입구까지 반환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하여 1매의 지폐가 반환된다. 제7도의 스텝(150)에서는 또 연속하여 반환신호가 부여되어 있는가를 조사여 NO이면, 모터 MO2를 회전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을 제3도의 위치 C에서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스텝(151)). 지폐 누름 부재(7)이 대기위치 A에 도달하면 스위치 SW2가 ON하여(스텝(152)), 모터 MO2가 정지된다(스텝(153)).
연속해서 반환을 행하는 경우는 스텝(150)의 YES에서 제9도의 스텝(154),(155)로 진행하여 모터 MO2를 회전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을 제3도의 위치 C에서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SW2의 ON에 의해 누름 부재(7)이 대기위치 A에 도달한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7도의 스텝(138)로 되돌아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지폐 반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연속적인 반호나시에 1매의 지폐를 배출 할 때 마다 지폐 누름 부재(7)의 왕복 운동을 행하는 이유는 제3도의 위치 C에서 지폐를 누른 상태에서 연속 배출을 행하면 2매 겹침 배출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지폐 L의 반환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수납실(42)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 L을 반환하는 것을 명령하는 반환 신호가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등의 제어장치로부터 부여되면, 제7도의 스텝(136)에서 제10도의 스텝(156)으로 진행하여 모터 MO2를 구동한다. 계속되는 스텝(157)∼(159)의 처리를 거쳐서 모터 MO2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위치 A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도의 위치 D에서 정지한다. 즉, 모터 MO2의 회전을 개시한 후 스위티 SW2가 OFF하여, 이 스위치 SW2가 OFF하였을 때 스타트하는 타이머 T5의 시간이 경과한 후 모터 MO2를 정지한다. 타이머 T5의 시간은 지폐 누름 부재(7)의 위치 A에서 위치 D로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있다.
지폐 누름 부재(7)이 위치 D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지폐 배출 기구(8)의 모터 MO3이 역회전되어 로울러(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해당 로울러(82)에 접하고 있는 지폐 수납실(42)의 지폐 다발 L의 오른쪽끝의 지폐가 위쪽으로 송출된다(스텝(162)). 송출된 지폐는 반환구멍(402)를 거쳐서 기어(11)을 통하여 지폐 식별 장치 X로 들어간다. 계속되는 스텝(162)∼(167)의 처리는 제7도의스텝(145)∼(150)과 같은 처리이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매 이상 겹쳐져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폐가 배출된다.
연속적인 반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의 스텝(168)∼(171)의 처리는 제7도의 스텝(137)∼(140)과 같은 처리이며, 지폐 누름 부재(7)은 일단 위치 B까지 이동하고, 거기에서 대기위치 A까지 되돌아간다. 그리고 나서, 모터 MO2를 정지한다(스텝(172).
연속해서 반환을 행하는 경우는 스텝(167)의 YES에서 제12도의 처리로 이행한다. 제12도의 처리는 제10도의스텝(168)∼(171)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며, 지폐 누름 부재(7)은 일단 위치 B까지 이동하고, 그 다음 대기 위치 A까지 되돌아간다. 다음에 제10도의 스텝(157)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지폐 반환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지폐의 2매 겹침이 검지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R의 배출 동작중에 2매 겹침이 검지된 경우는 제7도의 스텝(147)의 YES에서 제8도의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모터 MO3을 역회전하여 지폐를 수납실(41)로 되돌린다.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4를 통과하면 타이머 T2를 스타트하고, 타이머 T2의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MO3을 정지한다. 타이머 T2의 설정 시간은 지폐가 수납실(41)로 되돌아갈 때까지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다음에 모터 MO2를 회전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을 제3도의 위치 C에서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SW2의 ON에 의해 누름 부재(7)이 대기위치 A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고, 또 스위치 SW2의 OFF에 의해 누름 부재(7)이 대기위치 A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7도의스텝(139)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지폐 반환 처리를 재차 실행한다.
지폐 L의 배출 동작중에 2매 겹침이 검지된 경우는 제10도의 스텝(164)의 YES에서 제11도의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모터 MO3을 정회전하여 지폐를 수납실(42)로 되돌린다. 지폐의 뒤끝이 스위치 SW4를 통과하면 타이머 T2를 스타트하고, 타이머 T2의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 MO3을 정지한다.
다음에 모터 MO2를 회전하여 지폐 누름 부재(7)을 제3도의 위치 D에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SW3의 ON에 의해 그 누름 부재(7)이 위치 B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고, 또 스위치 SW3의 OFF 에 의해 그 누름 부재(7)이 위치 B에서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고, 스위치 SW2의 ON에 의해 그 누름 부재(7)이 위치 A에 도달한 거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10도의 스텝(157)로 되돌아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지폐 반환 처리를 재차 실행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2매 겹침이 검지되지 않을 때까지 상술의 루틴이 몇번이라도 반복되도록 되어있지만, 반복 횟수를 설정하여 그 횟수만큼 반복하여도 2매 겹침이 해소되지 않은 경우는 고장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기구부의 구조를 약간 다르게 한 것이다. 이 제13도 내지 제16도에서는 제1도 내지 제4도와 같은 기능의 장치 또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동일한 기능의 장치 또는 부재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의 지폐 수납실(41)에 수납한 지폐 R의 반환만이 가능하며, 왼쪽의 지폐 수납실(42)에 수납한 지폐 L의 반환은 불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로서의 지폐뿐만 아니라 상품권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13도 내지 제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 식별 장치 X로써 지폐와 상품권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는 것(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 60-220485호나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 61-101890호에 개시된 것)을 이용한다. 지폐의 반환이 가능한 오른쪽의 지폐 수납실(41)에는 거스름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는 지폐, 예를들면 1,000원 지폐를 수납한다. 지폐 반환이 불가능한 왼쪽의 지폐 수납실(42)에는 거스름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지 않은 지폐, 예를 들면 10,000원 지폐나 5,000원 지폐, 상품권을 함께 수납한다.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폐 수납실(42)에 수납한 지폐 및 상품권을 안쪽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판(92)가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또, 지폐 수납실(41)에 수납한 지폐를 안쪽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판(92)은 링크 기구(90)을 거쳐서 왕복 운동 기구(6)에 따라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지폐를 반환할 때에 수납실(41)의 지폐 다발 R을 뒤쪽에서 지지하여 지폐 배출 기구(8)의 로울러(82)에 의한 누름에 대항한다. 또 지폐 수납실(42)쪽의 리브(52)가 생략 되어있으며, 지폐 지지용 리브(35)가 그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제14도는 지폐 누름 부재(7)이 대기위치 A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지폐 누름 부재(7)은 왼쪽의 지폐 수납실(42)로 가서 누름판(92)와의 사이에서 지폐 L을 지지하고 있으며, 오른쪽의 지폐 수납실(41)의 지폐 R은 리브(51)과 누름판(91)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지폐 R을 수납할 때에는 상술한 제5도의 처리와 모두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즉, 솔레노이드 SOL을 동작하여 리브(35)를 실선의 위치에서 2점 쇄선의 위치로 끌어당겨 지폐를 반송로(3)에 따라서 반송한다. 지폐를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면, 솔레노이드 SOL의 동작을 해제하고 리브(35)를 2점쇄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되돌려 그 지폐를 풀어주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서 지폐 누름 부재(7)을 1왕복시켜 지폐 R을 지폐 수납실(41)에 수납한다.
지폐 L을 수납할 경우는 상술한 제6도의 처리의 대략 동일한 제17도의 처리를 행한다. 즉, 지폐 누름 부재(7)을 대기위치 A에서 제13도의 위치 B로 이동하고, 그후 지폐를 반송로(3)의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한다. 스텝(180)∼(192)까지의 처리에 의해서 실행되는 적층동작은 제6도의 경우와 약간 다르다. 여기에서는 모터 MO2의 구동에 의해 왕복 운동 기구(6)을 구동한다(스텝(180)). 이것에 의해 지폐 누름 부재(7)은 제13도에 도시한 위치 B에서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송로(3)에 있는 지폐를 눌러서 지폐를 왼쪽의 지폐 수납실(42)에 적층한다. 이 지폐 누름 부재(7)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SW3이 OFF하고 스위치 SW2가 ON하는 것이 확인되면, 타이머 T3의 동작 시간만큼 솔레노이드 SOL을 ON 한다(스텝(181)∼(186)). 그 동안 모터 MO2의 구동은 계속되고 있으며, 지폐 누름 부재(7)의 또다른 이동에 따라 스위치 SW2가 OFF하고, 스위치 SW3이 ON하고, 스위치 SW3이 OFF하고, 스위치 SW2가 재차 ON 한 것을 확인하면, 모터 MO2를 정지한다(스텝(187)∼(191)). 최후로 타이머 T0을 리세트하여 적층 동작을 완료한다(스텝(192)). 또한, 적층 공정중에 솔레노이드 SOL을 ON, OFF 하는 것은 지폐 L에 상품권 등 두꺼운 것도 취급하는 일이 있으므로 적층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15도는 지폐 누름 부재(7)이 반환위치 C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지폐 누름 부재(7)에 내장되어 있는 지폐 배출 기구(8)의 로울러(82)가 오른쪽의 지폐 수납실(41)의 지폐 다발 R의 왼쪽 끝에 눌려 접하고 있다. 이 지폐 다발 R의 왼쪽 끝에 있는 지폐의 선단은 반환구멍(40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지폐 R을 반환할 때는 상술의 제7도 내지 제9도의 처리와 대략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상이한 점은 제7도의 스텝(136)의 판단이 불필요하다는 것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수납 장치의 박스를 전후로 2등분하여 지폐 수납실을 마련하고 투입된 지폐를 2종류로 나누어서 각 수납실에 수납하도록 하고, 또한 일단 수납된 지폐를 반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능면에서 우수하면서 소형으로 콤팩트한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2종류 이상의 지폐를 사용 대상으로 하여 각 수납실마다 같은 종류의 지폐를 수납하고 양쪽 수납실 모두 지폐의 반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거스름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폐의 종류를 2종류로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또, 2종류이상의 지폐 및 상품권등을 사용 대상으로 하여 거스름돈으로 사용하는 1종류의 지폐를 한쪽의 수납실에 수납하고, 이 수납실의 지폐를 반환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외의 지폐, 상품권등은 다른쪽의 수납실에 함께 수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폐의 종류를 1종류로 규정하고 또한 여러종류의 지폐를 수납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Claims (8)

  1. 지폐 반송로(3), 이 지폐반송로(3)에 보내진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지폐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형성되어 적어도 제1의 지폐 수납실은 지폐 반환구멍(401)을 갖고 있는 제1 및 제2의 지폐 수납실(41,42), 상기 지폐 반송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지폐 수납실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폐 반송로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지폐를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할 때는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서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상기 지폐를 제1의 면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지폐의 수납을 행하고, 상기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할 때는 상기 제1의 수납실에서 상기 제2의지폐 수납실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상기 지폐를 상기 제1의 면의 반대쪽의 제2의 면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지폐의 수납을 행하는 지폐 누름 부재(7), 상기 지폐 누름 부재내에 마련되어 그 누름 부재의 적어도 제1의 면에서 노출하고 있는 지폐 반송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폐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부재에 접한 지폐를 지폐 반환구멍으로 배출하는 지폐 배출 기구(8)을 구비한 지폐 수납 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지폐 수납실(41,42)의 양쪽이 지폐 반환구멍(411,402)를 각각 갖고 있으며, 상기 지폐 반송 부재는 상기 지폐 누름 부재(7)의 제1 및 제2의 면에서 각각 노출하고 있는 지폐 수납 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서 지폐를 배출할 때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집적된 지폐의 표면에 상기 지폐 누름 부재의 상기 제1의 면이 눌러 접하는 소정 위치에 상기 지폐 누름 부재를 위치 결정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부재에 접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지폐 반환 구멍으로 송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지폐 수납 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서 지폐를 배출할 때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집적된 지폐의 표면에 상기 지폐 누름 부재의 상기 제1의 면이 눌려 접하는 제1의 소정 위치에 상기 지폐 누름 부재를 위치 결정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반송 부재를 위치 결정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부재에 접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제1의 지폐수납실의 지폐 반환 구멍으로 송출하는 제1의 제어수단,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서 지폐를 배출할 때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집적된 지폐의 표면에 상기 지폐 누름 부재의 상기 제2의 면이 눌려 접하는 제2의 소정 위치에 상기 지폐 누름 부내를 위치 결정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부재에 접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의 지폐 반환 구멍으로 송출하는 제2의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폐 수납 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배출 기구는 로울러(82)로 되는 상기 지폐 반송 부재와 이 로울러를 구동하는 모터(MO3)을 갖는 지폐 수납 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1종류의 지폐를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하고, 다른 1 또는 여러종류의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함께 수납하는 지폐 수납 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하는 지폐에는 상품권이 포함되어 있는 지폐 수납 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1종류의 지폐를 상기 제1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하고, 다른 1종류의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 수납실에 수납하는 지폐 수납 장치.
KR1019860006393A 1985-08-07 1986-08-02 지폐 수납 장치 KR910009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292 1985-08-07
JP60172292A JPH0641353B2 (ja) 1985-08-07 1985-08-07 紙幣収納装置
JP60210043A JPH0646428B2 (ja) 1985-09-25 1985-09-25 金券収納装置
JP210043 198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531A KR870002531A (ko) 1987-03-31
KR910009306B1 true KR910009306B1 (ko) 1991-11-09

Family

ID=2649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393A KR910009306B1 (ko) 1985-08-07 1986-08-02 지폐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31523A (ko)
KR (1) KR910009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7330D1 (de) * 1991-09-04 1996-11-14 Mars Inc Kassette für flexible Blätter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H07240171A (ja) * 1994-02-24 1995-09-12 Shimadzu Corp Ms/ms型質量分析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US6241244B1 (en) * 1997-11-28 2001-06-05 Diebold, Incorporated Document sensor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JP4638031B2 (ja) 1998-01-07 2011-02-23 エムイーアイ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可撓性媒体スタックと積上げ装置
US20050098622A1 (en) * 2001-10-09 2005-05-12 Gregory Jantsch Dispensing of currency
US7387236B2 (en) * 2001-10-09 2008-06-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Dispensing of currency
US20070001383A1 (en) * 2005-06-20 2007-01-04 Gregory Jantsch Dispensing of currency
ITTO20070723A1 (it) * 2007-10-12 2009-04-13 Cts Cashpro Spa Modulo di ricezione ed erogazione banconote per apparecchiature di deposito e prelevamento automatico di banconote
JP5124254B2 (ja) * 2007-12-07 2013-01-23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780A (en) * 1983-03-22 1986-12-02 Burnham Craig C Vortex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31523A (en) 1988-03-15
KR870002531A (ko) 198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307B1 (ko) 지폐수납장치
JPS6330673B2 (ko)
EP0616963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910009306B1 (ko) 지폐 수납 장치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JP4274395B2 (ja) シート分配機構
JP3292013B2 (ja) 紙幣収納装置
JPS62290671A (ja) 紙葉類の積層収納機構
KR880000860B1 (ko)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JPH0693264B2 (ja) 紙幣収納・繰出装置
JP4114997B2 (ja) 多種紙葉類の搬入、分納、排出装置
JP4005674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641353B2 (ja) 紙幣収納装置
KR100347526B1 (ko) 지폐식별장치
JPH0646428B2 (ja) 金券収納装置
KR880002474B1 (ko) 지폐 수입 장치
JPH0737165Y2 (ja) 紙弊収納・繰出装置の紙弊収納部
JPS6336445Y2 (ko)
JPH0544718B2 (ko)
JPH1166375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JPH082766Y2 (ja) 紙幣取扱装置
JPH07315612A (ja) 紙葉類の搬送装置
JPH0322201Y2 (ko)
JPS63202562A (ja) 貨幣交換機における紙幣収納機
JPH0630754Y2 (ja) 紙幣収納・返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