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526B1 - 지폐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526B1
KR100347526B1 KR1020000062040A KR20000062040A KR100347526B1 KR 100347526 B1 KR100347526 B1 KR 100347526B1 KR 1020000062040 A KR1020000062040 A KR 1020000062040A KR 20000062040 A KR20000062040 A KR 20000062040A KR 100347526 B1 KR100347526 B1 KR 10034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opening
identification device
coil spring
impor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118A (ko
Inventor
앤도키요노리
Original Assignee
일본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본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본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0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526B1/ko

Link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되어진 지폐가 접혀 뒤틀리거나 오래되어 변형된 상태일 지라도 적정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폐(A)를 삽입하는 수입구(2)와, 이 수입구(2)에서 수납부(5)의 개구(8)까지 연통하여 지폐(A)를 통과시키는 운반로(3)와, 상기 운반로(3)에 맞닿아 설치된 지폐(A)의 진위를 식별 가능한 식별부(4)와, 상기 수납부(5)의 개구(8)에 운반된 지폐(A)를 수납부(5) 안쪽에 밀어 넣는 압압부(6)와, 코일스프링(13)이 내부에 설치되어 지폐(A)를 밀착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5)를 갖고 있는 지폐식별장치(1)에 있어서, 수납부(5)의 개구(8)가 수납부(5)의 윗쪽에 형성되어 수입구(2)에서 수납부(5)의 개구까지 수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A DEVICE OF PAPER MONEY DISCRIMINATION}
본 발명은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나 환전기 등에 사용되어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지폐식별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의 장치는 미도시된 수입구(受入口)에서 삽입된 지폐(01)를 2개의 무한벨트(endless belt)(02a)(02b)를 상하에서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며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운반부(02)를 통과시키면서, 식별부(03)에 의해 지폐(01)의 진위를 식별한 후, 수납부(04)의 개구부(05) 바로 앞에 떨어 뜨린다. 이 개구부(05)의 개구(開口) 테두리는 지폐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어, 전동모터와 감속기구를 끼워 연결된 링크기구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는 압압판(押壓板)(06)을 사용하여, 떨어진 지폐(01)를 수납부(04) 내로 밀어 넣는다. 상기 수납부(04) 내에 밀어 넣어진 상기 지폐(01)는, 상기 코일스프링(07)의 탄성력에 의해 이미 수납되어 있는 지폐와 함께 밀착상태로 수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는, 수입구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지폐(01)가 운반부(02)에 끌려 들어간 직후 방향을 전환하여 아래로 운반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4와 같이 지폐(01)에 접힌 곳이 있거나 또는 낡아 변형이 생긴 경우에 상기 지폐(01)의 끝을 좌우의 운반부(02)로 동시에 끌어 당기지 못하여, 그 결과 낙하 위치가 본래 위치를 벗어나 수납부(04) 안쪽에 눌러 넣어지지 못하거나, 위치를 벗어난 상태로 수납되어 버리는 일이 많다.
그리고, 상기 지폐(01)는 상기 수납부(04) 안쪽에 길이 방향으로 서있는 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지폐(01)가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납되면, 부피가 늘어 수납매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장치에서는 수납량의 증가를 꾀하기 위해서 수납부(04)를 길게 형성하면, 옆쪽으로 장소를 차지하게 되어 자동판매기나 교환기에 내장하는 경우 매우 불리하다.
또한, 상기 압압판(06)은 감속기구를 끼운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폐(01)을 수납부(04) 내로 밀어 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해서부터 상기 압압판(06)이 지폐(01)을 수납부(04)에 밀어 넣기까지의 시간지체가 크고, 연속적으로 지폐(01)을 받아들이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접히거나 오래되어 변형된 지폐라도 적정하게 수납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납매수의 증가 및 수납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청구항 1항에 기재된 지폐식별장치는 지폐를 삽입하는 수입구(受入口)와 상기 수입구에서 수납부의 개구(開口)까지연통하여 지폐를 통과시키는 운반로와, 그 운반로에 맞닿아 설치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수납부의 개구에 운반된 지폐를 수납부 안에 밀어 넣는 압압부(押壓部)와,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지폐를 개구측에 밀어 부치는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지폐식별장치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의 개구가 수납부의 윗쪽에 형성되며 상기 수입구에서 수납부의 개구까지 수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 구성도.
도 2a,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종래 장치의 지폐운반상태를 나타내는 중요부 측면도.
도 4는 종래 장치의 지폐운반상태를 나타내는 중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지폐 1 : 지폐식별장치
2 : 수입구(受入口) 3 : 운반로
4 : 식별부 5 : 수납부
6 : 압압부(押壓部) 6a : 공기실린더(air cylinder)
6b : 푸셔(pusher) 7 : 안내로울러(guide roller)
7a : 구동로울러 7b : 종동로울러
8 : 개구(開口) 8a : 플랜지부
9 : 파지부(把持部) 10 : 인출구
11 : 승강테이블(lift table) 12 : 안내부재
12a : 원통부 12b : 안내판
13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는, 수입구(受入口)에 삽입된 지폐가 삽입된 방향 그대로 수납부의 개구(開口)까지 수평으로 운반되므로, 구겨지거나 오래되어 변형된 지폐라도 적정한 수납 위치까지 확실히 유연하게 운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부에서는 지폐가 상하로 쌓이게 되는 상태로 수납되므로, 지폐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 간결하게 수납해 놓을 수 있다.
또한, 압압부로서 공기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지폐를 수납부에 밀어 넣는 공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코일스프링에 굴곡을 저지하는 안내부재를 설치하여, 중간 구부러짐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1)는, 수입구(2)와, 운반로(3)와, 식별부(4)와, 수납부(5)와, 압압부(6)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수입부(2)는, 지폐(A)를 수평으로 누인 상태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그 내부의 상하면에는 미도시된 광센서(optical sensor)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운반로(3)는 수입구(2)에서 삽입된 지폐(A)가 앞에 기술한 수납부(5)까지 운반되는 동안 통과하는 통로이고, 수입구(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운반로(3)에는, 미도시된 전동모터에 의해 정방향, 역방향 회전을 하는 3개의 구동로울러(7a)(7a)(7a)와 이들 구동로울러(7a)(7a)(7a)와 운반로(3)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각각 맞닿는 3개의 종속로울러(7b)(7b)(7b) 등으로 이루어진 3조의 안내로울러(7)(7)(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로울러(7)(7)(7)의 회전은, 상기 수입구(2)에 설치된 광센서 및 후술되는 식별부(4)에서 송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고 있다.
상기 식별부(4)는 삽입된 지폐(A)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센서와 자기센서를 갖추고, 양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지폐(A)의 진위를 식별한다. 광센서는 운반로(3)의 상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고, 자기센서는, 운반로(3)의 상하에 각각 배치된 자기헤드와 압력로울러(pressure roll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5)는 윗면에 개구(8)를 가지며, 그 내부에 지폐(A)를 수납 가능한 높이 40cm 정도의 상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5)는, 지폐식별장치(1) 본체와는 별도로 형성되며, 그 뒷면 중앙에는 파지부(把持部)(9)가 부설되어 있고 지폐식별장치(1)의 뒷면에 설치된 잠금 가능한 인출구(10)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8)의 길이 방향에는 플랜지부(flange)(8a)(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양 플랜지부(8a)(8a)의 윗쪽에는 운반로(3)에서 보내져 온 지폐(A)가 놓여지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운반로(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5)의 아래쪽 중앙에는 지폐(A)가 놓여지는 승강테이블(11)이 상단 부분에, 안내부재(12)가 중앙 부분에 부착된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3)은 압축스프링으로, 상기 수납부(5) 내에 적층된 지폐(A)을 항상 윗쪽으로 밀어, 승강테이블(11) 윗면과 양 플랜지부(8a)(8a) 하면과의 사이에 좁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적층된 지폐들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형태가 무너짐에 따른 부피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12)는 코일스프링(13)이 압축력을 받았을 때에 중간이 휘어져 굴곡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며 코일스프링(13) 내부에 설치된 원통부(12a)와 수납부(5)의 개구 면적과 같은 정도의 크기를 가진 안내판(12b)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판(12b)이 상기 수납부(5)의 내벽에 맞닿는 것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3)의 굴곡이 저지된다.
상기 압압부(6)는 운반로(3)에서 수납부(5)의 양 플랜지부(8a)(8a) 윗면에 보내진 지폐(A)를 수납부(5) 안에 밀어 넣기 위한 것이며 공기실린더(6a)와 이 공기실린더(6a)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끝에 설치된 푸셔(pusher)(6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셔(6b)는 상기 수납부(5)의 개구 면적보다 약간 작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폐식별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입구(2)에 지폐(A)를 삽입하면 수입구(2)의 안쪽에 설치된 광센서가 지폐(A)를 감지하고 전동모터에 신호를 보내 운반로(3)의 구동로울러(7a)(7a)(7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안내로울러(7)(7)(7)을 정회전시켜 지폐(A)를 구동로울러(7a)와 종속로울러(7b)의 사이에 끼워 운반한다.
지폐(A)를 소정의 일시 정지위치까지 운반중에 식별부(4)의 광센서 및 자기센서에 의해 지폐(A)의 진위를 식별해서 일시 정지하고 다시 안내로울러(7)(7)(7)을 정회전시켜 지폐(A)를 수납부(5) 윗쪽에 보낸다. 상기 운반로(3)에서 보내져 온 지폐(A)는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 방향 양쪽 끝을 수납부(5)의 개구(8)에 설치된 양 플랜지부(8a)(8a) 윗쪽에 놓여진 상태로 정지한다.
여기서, 삽입된 지폐(A)가 위조 지폐인 경우는 상기 안내로울러(7)(7)(7)를 역회전시켜 해당 위조지폐를 수입구(2)에서 반환한다.
다음으로, 압압부(6)의 공기실린더(6a)를 늘려 피스톤 로드 끝에 설치된 푸셔(6b)에 의해 지폐(A)를 밑으로 눌러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납부(5)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수납부(5) 안쪽에 밀어 넣어진 지폐(A)는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윗쪽으로 힘을 받아 승강테이블(11)과 양 플랜지부(8a)(8a) 아래쪽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수납되므로 형태를 유지하면서 간결한 상태로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부를 광센서와 자기센서등으로 구성한 사례를 나타냈지만 식별부의 구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운반로에 있어서 안내로울러를 사용하여 지폐를 보내거나 되돌리도록 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무한벨트(endless belt)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구부러짐을 저지하는 안내부재의 형상은 임의대로 십자형으로 하거나 원반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특히, 코일스프링의 길이에 맞추어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의 구부러짐을 저지하는 안내부재의 형상은 임의대로 십자형으로 하거나 원반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특히, 코일스프링의 개수는 코일의 길이에 맞추어 복수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부의 개구에 설치된 플랜지부 윗면을 운반로와 같은 높이로 했지만 운반로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는, 수입구에 삽입된 지폐가 삽입된 방향 그대로 수납부의 개구(開口)까지 수평으로 운반되기 때문에 접혀 뒤틀리거나 오래되어 변형된 지폐라도 적정한 수납 위치까지 확실히 유연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서는 지폐가 상하로 쌓여진 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지폐의밀착상태가 유지되며 간결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납량 증가를 꾀하기 위해 수납부를 길게 형성하더라도, 횡방향으로 장소를 차지하지 않아 자동판매기나 환전기에 내장하여 사용하기에 아주 적절하다.
또한 압압부로서 공기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지폐의 수납부에의 밀어넣기 공정이 전동모터를 사용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크게 단축되므로 연속해서 지폐를 받아들이더라도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다.
특히, 코일스프링에 굴곡을 저지하는 안내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중간 휘어짐 발생을 저지하여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지폐를 삽입하는 수입구(受入口)와, 상기 수입구에서 수납부의 개구(開口)까지 연통(連通)하여 지폐를 통과시키는 운반로와, 상기 운반로에 맞닿아 설치되어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에 운반된 지폐를 수납부내로 밀어 넣는 압압부(押壓部)와, 코일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되어 지폐를 개구측으로 밀어 부치는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개구가 수납부의 윗쪽에 형성되어, 상기 수입구에서 수납부의 개구까지 수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로서 공기실린더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코일스프링과 일체가 되어 수납부내를 상하로 움직이고, 코일스프링에 옆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 수납부의 내벽에 맞닿아 코일스프링의 굴곡을 저지하는 안내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KR1020000062040A 2000-07-14 2000-10-20 지폐식별장치 KR100347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4642A JP2002032813A (ja) 2000-07-14 2000-07-14 紙幣識別装置
JP??2000-214642 2000-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118A KR20020007118A (ko) 2002-01-26
KR100347526B1 true KR100347526B1 (ko) 2002-08-03

Family

ID=1871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040A KR100347526B1 (ko) 2000-07-14 2000-10-20 지폐식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032813A (ko)
KR (1) KR100347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1204A (en) * 2016-06-10 2017-12-13 Cash Dynamics Ltd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processing bankno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32813A (ja) 2002-01-31
KR20020007118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307B1 (ko) 지폐수납장치
EP2195792B1 (en) Energy-efficient compact device for dispensing and accumulating bank notes
US8550453B2 (en) Currency cassette pressure plate assembly
JP4246537B2 (ja) 紙葉取扱装置
US20100320056A1 (en) Bill acceptor that prevents arching of each received bill
KR910009306B1 (ko) 지폐 수납 장치
KR100347526B1 (ko) 지폐식별장치
US6715671B2 (en) Automatic bil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orting device
WO2015037224A1 (ja) 紙葉類収納用スタッカ
JP4012860B2 (ja) 紙葉取扱装置
JP2013228795A (ja) 紙幣処理装置
KR1011209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일시스택방법
JP4136873B2 (ja) 紙幣収納装置
JP2000255810A (ja) 複数枚媒体の分離繰出し装置
JP2002163702A (ja) 紙幣識別機の紙幣収納装置
JP3384607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H0644928Y2 (ja) 紙幣収納装置
JPH0651967U (ja) 紙幣識別機のスタッカ装置
KR200253285Y1 (ko) 지폐처리장치
JP2002163706A (ja) 紙幣処理装置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JPH0542712B2 (ko)
JPH0646428B2 (ja) 金券収納装置
JPH11203534A (ja) 多種紙葉類の分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