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01B1 -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01B1
KR910008601B1 KR1019880010921A KR880010921A KR910008601B1 KR 910008601 B1 KR910008601 B1 KR 910008601B1 KR 1019880010921 A KR1019880010921 A KR 1019880010921A KR 880010921 A KR880010921 A KR 880010921A KR 910008601 B1 KR910008601 B1 KR 91000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butene
olefin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869A (ko
Inventor
다까시 야마와끼
Original Assignee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홍고오 므쯔미
네스테 오이
타파아니 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홍고오 므쯔미, 네스테 오이, 타파아니 아로 filed Critical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의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단층이나 적층 필름등의 소재로서 적합한, 뛰어난 히이트시일성을 가지고, 또 투명성, 내블록킹성, 표면광택등에 뛰어난 성형품을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호한 가공특성을 가진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강성(剛性)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나 투명성등의 광학적 특성에 뛰어나므로서, 필름분야등에 있어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폴리프로필렌수지는, 단독으로는 필름으로 성형하였을 경우에, 히이트시일 온도가 높다고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히이트 시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부텐-1공중합체를 배합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 61-108646호 공보, 동 61-1086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부텐-1공중합체가, 염화마그네슘 단지형 촉매를 사용해서 용액중합법에 의해 얻게된 것으로서, 분자량분포가 좁고, 가공특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 조성물을 필름성형했을 경우에 투명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 촉매로서 3염화 티탄을 사용해서 얻게된 부텐-1공중합체는, 랜덤성이 낮고, 투명성이 나쁘기 때문에 이것을 배합한 조성물로부터 얻게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도 투명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하에서, 단층이나 적층필름 등의 소재로서 적합한, 히이트시일성에 뛰어날 뿐 아니라, 투명성, 내블록킹성, 표면광택 등에서도 뛰어난 성형품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가공특성이 양호한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바람직한 성질을 가진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프로필렌공중합체와 특정의 부텐-1공중합체를, 각각 소정의 비율로 함유해서 이루어진 조성물이, 그 목적에 적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A) 프로필렌공중합체 25∼97중량% 및 (B) 탄소수 2∼8의 α-올레핀단위 함유량이 1∼35몰%, 극한 점도가 0.9∼7.2dl/g,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치가 4∼15, 시차(示差) 주사열량분석에 의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와의 온도차가 2∼40℃이고, 핵자기공명 스팩트럼 분석에 의해 측정한 α-올레핀 블록성이 0.015 이하인 부텐-1공중합체 75∼3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하고, 이것과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해서 이루어지는, 결정성의 랜덤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단위와 다른 α-올레핀단위의 함유량은, 통상 각각 90∼99.5중량% 및 10∼0.5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각각 92∼99중량% 및 8∼1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 프로필렌과 공중합시키는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부텐-1, 펜텐-1, 핵센-1,4-메틸펜텐-1등을 등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프로필렌과 공중합시켜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공중합해도 좋다. 코모노머로서의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B)는 성분으로서 부텐-1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부텐-1단위와 탄소수 2∼8의 α-올레핀단위를 함유하고 또 이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이 1∼35몰%의 범위에 있을 것이 필요하다. 상기 α-올레핀 단위의 함유량이 1몰% 미만에서는 이 조성물로부터 얻게 되는 필름의 히이트시일 온도의 저하가 불충분하고, 35몰%을 초과하면 얻게 되는 필름의 표면이 끈적거려서, 필름의 표면특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α-올레핀 단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3∼30몰%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상기의 탄소수 2∼8의 α-올레핀 단위를 구성하는 당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핵센-1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부텐-1과 공중합시켜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공중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부텐-1공중합체의 135℃의 데칼린용액속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η]는, 0.9∼7.2dl/g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극한 점도[η]는, 주로 부텐-1공중합체조성물의 성형성 및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극한 점도[η]가 0.9dl/g보다 낮으면, 부텐-1공중합체 조성물을 필름으로 성형하였을 경우, 그 필름의 기계적 특성, 특히 내충격성이 저하한다. 또 7.2dl/g보다 높으면, 성형성이 저하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극한 점도[η]를, 1.0∼4.0dl/g의 범위내에 하므로서, 부텐-1공중합체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 매우 양호해 짐과 동시에 필름의 성형성도 향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텐-1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 즉 중량 평균분자량(Mw)과 수평분자량(Mn)과의 비(Mw/Mn)는 4∼15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분자량 분포는, 얻게 되는 성형체에 투명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성형체의 성형성 및 기계적 강도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제조법으로 얻게된 부텐-1공중합체는, 이 분자량 분포의 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고, 충분한 성형성을 가진 성형체를 제조하기 어렵고, 또 필름형상으로 성형했을 경우에, 필름의 투명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많았다.
즉, 상기 분자량 분포가 4에 차지 않는 부텐-1공중합체는, 부텐-1공중합체의 필름성형성이 불충분하고, 또, 성형한 필름의 투명도가 나빠진다. 또 상기 분자량분포가 15보다 넓으면 부텐-1공중합체조성물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자량 분포가 4∼1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 있는 부텐-1공중합체조성물은 양호한 성형성을 가지고 있는 외에, 부텐-1공중합체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은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투명성이 특히 양호하다.
상기 (B)성분의 부텐-1공중합체를 시차주사 열량분석장치를 사용해서 분석을 행하면, 최저융점 및 최고 융점을 나타내는 2종류의 흡열커어브를 얻게 된다. 이중, 최고융점은, 통상, 70∼110℃의 범위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처리한 이 공중합체를 10℃/분의 승온속도로 0℃로부터 200℃까지 승온해서 흡열피이크를 측정했을 때에 가장 고온 쪽에 나타나는 피이크가 최고융점이고, 가장 저온쪽의 피이크 또는 쇼울더가 최저 융점이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 부텐-1공중합체는 이 시차주사열량 분석장치를 사용해서 측정한 최고융점과 최저융점(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와의 온도차)와의 차가 2∼40℃, 바람직하게는 5∼30℃의 범위내에 있을 것이 필요하다. 이 온도차는 가공특성 및 필름형상 성형체를 겹쳐서 가열압착 할 때의 온도(히이트시일 온도)에 특히 영향을 미친다.
즉, 상기의 온도차가 2℃보다 작으면, 히이트시일 온도가 높아지고, 필름으로 성형하였을 경우의 히이트시일성이 나빠지고, 한편, 온도차가 40℃를 초과하면, 공중합체가 접착성을 띠게 되어, 성형성능이 저하한다. 특히, 최고융점이 70℃보다 낮으면, 상온에서 공중합체에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 상온에서는 성형체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없다. 또 고온융점이 110℃이상의 경우에는, 히이트시일 온도가 높아서, 양호한 히이트시일을 행할 수 없다.
또, 상기의 시차 주사열분석에 의해 측정한 이 공중합체의 융점열량(시차주사열 분석에 의해 나타나는 피이크 또는 쇼울더의 베이스라인을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결정한다.)은, 2∼25cal/g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해열량이 2cal/g 보다 낮으면 공중합체가 끈적거리기 쉽게 되는 일이 있고 다른 한편 25cal/g보다 높으면 필름형상 성형체의 투명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또,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이 자기공명스팩트럼 분석에 의해 측정한 a-올레핀의 블록성이 0.015이하일 것이 필요하다.
상기 블록성은 얻게 되는 필름의 히이트시일 온도에 영향을 주고, 그 값이 낮을수록 히이트시일 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크다.
이 블록성의 값이 0.015를 초과하면, 본 발명조성물에서 얻게 되는 필름의 히이트시일 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상기 블록성의 바람직한 값은, 부텐-1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α-올레핀 단위의 블록성(X)은, 부텐-1공중합체의13C-NMR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매크로 모레쿨즈(Macromole-cules), 15, 353, (198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해서 각 트라이아드의 동일측정을 행하므로서, 다음식 [1]에 의해 부텐-1공중합체의 주사슬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블록성(X)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식[1]중, I은, 부텐-1공중합체 속에 있어서의 α-올레핀 단위의 연속사슬의 블록중합량(몰%)이고, 통상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α-올레핀 단위가 프로필렌 단위인 경우, I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2
또, 상기 식[1]중, 0은, 부텐-1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 단위의 함유율이다. α-올레핀단위가 프로필렌 단위인 경우, 0은 프로필렌 단위의 함유율 P이다. 프로필렌 단위의 함유율 P는, 통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3
단, 상기식에 있어서, IPP는, IPPPP+IPPPB+IBPPB의 프로필렌 연속사슬의 시이퀸스의 피이크 강도를 나타내고 IPB는, IBPBP+IBPBB+IPPBB+IPPBP의 프로필렌-부텐-1 연속사슬의 사이퀸스의 피이크 강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IBB는 IBBBB+IPBBB+IPBBP의 부텐-1 연속사슬의 시이퀸스의 피이크 강도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텐-1공중합체가 부텐-1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인 경우, 부텐-1공중합체속의 프로필렌 단위의 블록성(X)은, 0.01이하이다. 프로필렌의 블록성(X)이 0.01이하이면, 부텐-1공중합체제 필름의 히이트시일 온도의 저하를 한단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 부텐-1공중합체가 에틸렌과 부텐-1과의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식[1]중의 I은 부텐-1공중합체중에 있어서의 에틸렌 단위의 연속사슬의 블록중합량이다. 상기 에틸렌 단위의 연속사슬의 블록중합량은, 통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4
또 α-올레핀의 블록성(X)을 구성하는 0은, α-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부텐-1공중합체속의 에틸렌 단위의 함유율 E이다. 이 에틸렌 단위의 함유율 E는 통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5
단, 상기식에 있어서, 예를 들면, IEEE는 부텐-1공중합체 속에 있어서의 에틸렌 단위-에틸렌 단위-에틸렌 단위의 연속사슬의 존재몰수를 표시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IBBE, IEBE및 IBEB등에 대해서도, 공중합체속의 3개의 모노머단위에 주목해서 이것을 1 유니트로 했을 경우의 그 유니트의 종류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텐-1공중합체가 에틸렌과 부텐-1과의 공중합체일 경우, 부텐-1공중합체속에 에틸렌 단위의 블록성(X)은 0.015이하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값은 낮을수록 더 바람직하고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0이다. 에틸렌 단위의 블록성(X)이 이하이면, 부텐-1공중합체 필름의 히이트시일성의 저하를 한단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측정은, J. Polym. Sci. Phys. Fd. 21. 5713(1983)의 문천을 이용해서13C-NMR의 측정으로 얻게된 48-39ppm의 영역에 출현하는 메틸렌 피이크의 강도를 측정해서 행할 수 있다.
또, 이 부텐-1공중합체가, 헥센-1과 부텐-1과의 공중합체일 경우, 상기 식[1]속의 I은 부텐-1공중합체속에 있어서의 핵센-1단위 연속사슬의 블록중합배율이다. 이 헥센-1 단위의 사슬의 블록중합비율은, 통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6
그리고, 상기 식에 있어서 ICH2(HH)는, 별도로 조제한 폴리헥센-1의 핵자기공명스팩트럼으로부터 측정한 주사슬에 귀속하는 -CH2-의 강도를 표시하고 ICH2(HH)는 부텐-헥센 연속사슬 또는 헥센-부텐-연속사슬의 주사슬에 귀속하는 -CH2-의 강도를 표시한다.
또 α-올레핀의 블록성(X)을 규정하는 0은, α-올레핀 단위가 헥센-1단위인 경우 부텐-1공중합체속 헥센-1단위 함유율 H이다. 상시 헥센-1 단위함유율 H는 통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7
단, 상기식에 있어서, IBR(H)는, 헥센-1 단위를 중심으로한 모든 시이퀸스를 함유한 것의 강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헥센-1 단위를 「H」로 표시하고, 부텐-1 단위를 「B」로 표시하면, -H-H-H, -B-H-H- 및 -B-H-B-등의 강도이다.
또 IBr(B)는 부텐-1 단위를 중심으로 한 모든 시이퀸스를 함유한 것의 강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B-B-B-, -B-B-H- 및 -B-H-B-등의 강도이다.
이 부텐-1공중합체가 헥센-1과 부텐-1과의 공중합체일 경우, 이 공중합체의 헥센-1의 블록성은 0.005이하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부텐-1공중합체는, 비등 디에틸 에테르 가용성분의 함유량이 1∼45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비등 디에틸에테르에 대한 용해성은, 공중합체의 중합도가 높아질수록, 혹은 결정성이 증가할수록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 가용성분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의 것으로는,이 조성물에서 얻게되는 필름의 투명도가 낮을 수가 있고 한편 45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에 끈적거림이 발생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의 부텐-1공중합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이나 물성을 가진 것이 사용되지만, 부텐-1과 공중합시키는 α-올레핀의 종류에 따라서, 이 공중합체의 조성이나 물성은 상기 범위내에 있어서의 적당히 선택된다.
이 부텐-1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부텐-1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공중합체, 헥센-1-부텐-1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에틸렌-부텐-1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이 1∼15몰%, 극한점도가 0.9∼7.0dl/g, 중량 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의 값이 4∼15, 시차주사 열량분석으로 측정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온도차가 2∼40℃, 상기와 같이해서 측정할 에틸렌블록성의 0.015이하이고, 또 비등 디에틸 에테르 가용성분의 함유량이 3∼25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프로필렌-부텐-1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위의 함유량이 1∼35몰%, 극한 정도가 0.9∼7.2dl/g, 중량 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치가 4∼15, 시차 주사열량 분석으로 측정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와의 온도차가 2∼40℃ 상기와 같이해서 측정한 프로필렌 블록성이 0.01이하이고 또 비등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의 함유량이 1∼45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헥센-1과 부텐-1과의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헥센-1단위의 함유량이 1∼20몰%, 극한 점도가 0.9∼7.2dl/g, 중량 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치가 4∼15, 시차주사 열량분석으로 측정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와의 온도차가 2∼40℃, 상기와 같이해서 측정한 헥센-1블록성이 0.005이하이고, 또 비등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의 함유량이 3∼3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텐-1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촉매로서 일반식
Figure kpo00008
(단, 식중,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m은 0
Figure kpo00009
m
Figure kpo00010
2, n은 0
Figure kpo00011
n
Figure kpo00012
2를 만족한다.)
로, 표시되는 마그네슘화합물에서 얻게 되는 특정의 고체촉매성분, 유기 알루미늄화합물 및 특정의 전자공여성 화합물을 사용해서 α-올레핀과 부텐-1을 기상(氣相)으로 반응시키므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특원소 61-144093호, 동 61-196265호 동 61-196266호 및 동 61-196722호 등의 명세서에 기재된 제조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의 상기 특성을 목표로서 제조 조건을 실험적으로 설정하므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부텐-1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일본국 특원소 61-196266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부텐-1공중합체가 상기 제조법에 의해 구속받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이하에 기재하는 고체촉매성분(A), 유기 알루미늄화합물(B) 및 전자공여성 화합물(C)로 이루어지는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중합조건하에서 부텐-1과 a-올레핀을 반응시키므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고체촉매성분(A)은,
Figure kpo00013
(식중,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고, 또 각각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표시한다.)
로 표시되는 유기마그네슘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적어도 1종의 염소화제로 염소화해서 담체를 얻고, 이 담체를, 전자공여체의 존재하에 -25∼+180℃의 범위내에 온도에 있어서 4가 티탄의 할로겐 화합물과 접촉시키므로서 조제된다.
유기마그네슘화합물로서는, 디에틸마그네슘,에틸부틸마그네슘, 에틸헥실마그네슘, 에틸옥틸마그네슘, 디부틸마그네슘, 부틸헥실마그네슘, 부틸옥틸마그네슘 및 디시클로헥실마그네슘 등의 알킬마그네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부틸옥틸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염소화제로서는 염소가스 및 염화알킬을 들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소 가스와 염화부틸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화는, 통상은 0∼100℃(바람직하게는 20∼6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40℃)에서 행한다.
상기 염소화에 의해서, 마그네슘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알킬기의 일부가 염소원자로 치환된다. 또한 알킬기의 적어도 일부는 잔존하고 있으므로, 이 잔존하는 알킬기의 작용에 의해서 정상적인 결정격자의 생성이 방해되고 적당한 표면적 및 공(孔)용적을 가진 매우 작은 결정직경의 비층형상물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게된 비층형상물은, 필요하면 알코올 처리를 행한후, 비층형상물을 전자 공여체의 존재하에 4가 티탄의 할로겐화물로 처리한다. 4가 티탄의 할로겐화물에 의한 처리는, 통상은 -25∼+180℃의 범위내의 온도로 행한다.
상기 4가 티탄의 할로겐화물로서는 테트라 할로겐화티탄, 트리할로겐화 알콕시티틴, 디할로겐화알콕시티탄 및 모노할로겐화트리 알콕시티탄을 들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4염화티탄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공여체로서는 산소, 질소, 인, 혹은 황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공여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민류, 아미드류, 케톤류, 나트릴류, 포스핀류, 포수폴아미드류, 에테르류, 티오에테르류, 티오에스테르류, 산무수물류, 산화라이드류, 산아미드류, 알데히드류, 유기산류 및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한 것은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케톤류, 산무수물류 등이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조산에틸, P-메톡시벤조산에틸, P-에톡시벤조산에틸, 톨루산메틸,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벤조퀴논, 무수벤조산 및 에틸렌 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이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제한 고체촉매성분(A)에 대해서, 바람직한 할로겐/티탄(몰비)는3∼200(특히 바람직하게는 4∼100)이고 바람직한 마그네슘/티탄(몰비)는 1∼90(특히 바람직하게는 5∼70)이다.
상시 유기알루미늄화물(B)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특히 트리알킬알루미늄이 적당하다.
전자공여성화합물(c)로서는, 다음식(2)으로 표시되는 복소고라식 호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14
(단, 식중, R3및 R6는 탄화수소기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5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를 또, R4, R5및 R7은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를,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복소 고리식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4-시네올, 1,8-시네올, m-시네올, 피놀, 벤조프란, 2,3-디히드로벤조프란(크마란), 2H-크로멘, 4H-크로멘, 크로만, 이소크로만, 디벤조프란 및 크산텐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의 복고소리식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 2종 이상을 변용해도 좋다.
상기 각종의 복소 고리식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1,8-시네올이 바람직하다.
(B)성분의 부텐-1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의 촉매의 조성은 유기알루미늄화합물(B)이, 고체촉매성분(A)속의 4가 티탄화합물속의 티탄원자에 대해서, 통산은, 0.1∼1,000배를 (바람직하게는 1∼500배몰)의 범위내가 되도록 한다. 또, 전자공여성화합물(C)은, 고체촉매 성분(A)속에 4가 티탄화합물에 있어서의 티탄원자에 대해서, 통상은, 0.1∼500배몰 (바람직하게는 0.5∼200배몰)의 범위내에서 사용한다.
기상 중합온도는, 통상은 45∼80℃(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중합압력은, 원료성분의 액화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가 있고, 통상의 경우는, 1∼15kg/cm2이다.
또 α-올레핀과 부텐-1과의 도입몰비는 얻고자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양자의 몰비의 범위내에서(즉, 1:9∼35:65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1:99∼30:70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분자량을 조절할 목적으로, 수소와 같은 분자량조절제를 공존시켜도 좋다. 더욱더, 공중합체의 응집 방지를 목적으로, 부텐-1보다 비점이 낮은 불활성가스(예, 질소, 메탄, 에탄 및 프로판)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A)성분의 프로필렌공중합체와 (B)성분의 부텐-1공중합체를 각각 25∼97중량%와 75∼3중량%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30∼90중량%와 70∼10중량%의 비율로 함유시킬 것이 필요하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25중량% 미만에서는, 얻게 되는 성형품의 강성, 내충격성등의 기계적 특성이나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고, 한편 97중량%를 초과하면, 얻게 되는 필름의 히이트시일 온도의 저하가 불충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 조성물은, 프로필렌공중합체와 부텐-1공중합체를, 드라이블랜드법등, 통상의 배합방법에 의해서 배합할 수 있고, 각종의 혼합기, 혼련기, 압출기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올레핀 공중합체조성물은, 프로필렌공중합체와, 특정의 부텐-1공중합체 소정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으로, 가공성이 양호하고, 또 뛰어난 히이트시일성을 가질 뿐 아니라, 투명성, 내블로킹성, 기계적 특성, 표면광택등의 양호한 필름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텐-1공중합체의 특성이나 필름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해서 구하였다.
(1) 극한점도[η]
135℃의 데칼린 속에서 측정하였다.
(2) 분자량분포(
Figure kpo00015
)
워어터즈사제 GPC 장치 15C에쇼텍스 AD 807, AD 80M/S를 각각 2개 장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온도는 135℃이다.
(3) 사차주사열분석
얻게된 부텐-1공중합체를 건조해서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이 시료를 10℃/분의 승온속도로 0∼200℃까지 승온에서 흡열 피이크를 측정하였다.
(4) 코모노머의 블록성
얻게된 부텐-공중합체의12C핵자기공명스팩트럼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상기의 매크로 모래큘즈에 개재된 방법을 이용해서 각 트라이아드의 동일측정을 행하고, 상기의 식
Figure kpo00016
에 의해 산정하였다.
(5) 비등디에틸에테르 가용분량
얻게된 부텐-1공중합체를 건조 후, 두께 1mm의 프레스시이트로 성형하고, 1mm각으로 재단한 시료를 사용해서 디에틸에테르로 6시간 속슬레추출을 행하고 가용분량을 구하였다.
(6) 수지압력
직경 20mm의 스크루우를 가진 T 다이캐스트 성형기를 사용해서, 끌어내기속도 7m/분으로 두께 20μm의 필름을 얻는 조건에 있어서의 수지압력을 측정하였다.
(7) 히이트시일 강도
공중합체 조성물층이 형성된 면끼리 겹치고, 각 온도에 있어서 1.25kg/cm2의 압력으로 2초동안 15×10mm의 시일바로 히이트시일한 후, 방냉하였다. 이 시료에서 15mm폭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크로스헤드 스피이드 200mm/분으로 히이트시일부를 박리하였을 때의 강도를 표시하였다. 또 이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을, 50℃의 공기 분위기하에 1주간 방치한 후,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열처리 후의 히이트시일 강도로 하였다.
(8) 내블로킹싱
ASTM D 1893에 준해서 평가하였다. 즉, 2층 필름 폭을 10cm, 길이 15cm로 잘라내고, 공중합체 조성물이 적충되어 있는 면끼리를 겹치고 이것을 2장의 유리판으로 사이에 끼우고 10kg의 하중을 싣고, 50℃의 항온 통속에 방치한다. 1일 후 및 7일 후에 샘플을 꺼내고, 박리 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고, 1cm당의 박리강도를 블로킹치로 하였다.
(9) 흐림도
JIS K 7150에 준해서, 2층 필름을, 50℃의 항온 통속에서 7일간 에이징한 후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10) 정(靜) 마찰계수
ASTM D 1894에 준해서, 2층 필름을 50℃의 항온 통속에 있어서 일간 에이징한 후, 정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6]
부텐-1공중합체의 제조
① 고체촉매성분(A)의 조제
부틸옥틸마그네슘(20%, 헵탄용액) 300ml을 기계식 교반기, 환류냉각기, 적하로우터, 가스공급밸브 및 온도계를 구비한 5구 플라스크에 사입하고, 플라스크내에 질소를 도입해서 플라스크내를 불활성 분위기로 유지하고 이것에 블틸클로라이드 5ml를 적하로우터를 사용해서 실온으로 첨가하였다. 그 후 염소가스를 5ml/분의 속도로 첨가해서 염소화하였다.
다음에, 25∼35℃에서 2.5ℓ의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고 또 이 혼합물속에 113ml의 에탄올을 적하하였다. 에탄올의 첨가에 의해서 생성된 염소화물이 침전하였다. 이 침전물을 함유한 혼합액을 40℃로 1시간 교반한 후, 온도 75∼80℃로 올리고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이 고온용액을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전자공여체)와 과잉량의 TiCl4를 함유한 -25℃로 냉각한 용액속에 사이펀으로 조용히 첨가하고, 이 저온 TiCl4속에 반응중간체를 침전시켰다. 다음에 이 침전물을 함유한 혼합용액을 실온까지 승온하였다.
이어서, 이 침전물을 함유한 혼합용액에, 전자공여체로서 디이소부틸프탈레이드를 더 첨가하고, 온도를 100∼110℃로 올리고, 혼합용액을 이 온도에서 1시간 유지하였다. 반응생성물을 침강시키고, 85℃의 햅탄으로 5∼6회 세정하고, 용액을 사이핀으로 다른 용기에 옮겼다.
또, 이 용액에 과잉량의 TiCl4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생성한 침강물과 용액을 사이핀으로 분리한 후, 생성한 촉매성분(침전물)을 여러번 햅탄으로 세정하였다(80℃에서 5∼6회).
얻게된 침전을 모아서 약한 감압하에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해서, Ti함유량이 3.0중량%인 고체촉매성분(A)을 얻었다.
② 촉매의 조제
상기 ①에서 얻게된 고체촉매성분(A)을 1ℓ속의 티탄농도가 2미리몰이 되도록 촉매조제통에 투입하였다. 이 촉매조제통에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 30미리몰/ℓ, 및 1.8-시네올 12미리몰/ℓ을 투입하였다. 그 후, 티탄원자 1미리몰당 50g이 되는 비율로 α-올레핀을 투입하고, 촉매조제통내를 40℃로 승온하고 촉매조제를 위한 반응을 행하였다.
③ 부텐-1공중합체의 제조
직경 300mm, 용적 100ℓ의 유동층 중합기를 사용해서 상기 ②에서 얻은 촉매를 Ti원자환산으로 3.6미리몰/ℓ로 제조제한 Ti촉매 슬러리를 촉매조제통으로부터 상기 중합기에 0.15ℓ/시간의 유량으로, 또,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30미리몰/시간의 유량으로, 또 1,8-시내올 24미리몰/시간의 유량으로 각각 상기 중합기에 공급하였다.
부텐-1의 분압을 3kg/cm2로 질소의, 분압을 4kg/cm2로 수소가스의 분압을 생성몰리머의 극한 점도가 표 1의 값이 되도록 각각 조정하고, 가스공탑속도가 35cm/초의 속도가 되도록 부텐-1, 다른 α-올레핀, 수소가스 및 질소가스를 공급하고, 반응온도 60℃에서 중합을 행하였다.
얻게된 공중합체의 각 물성을 표 1에 표시한다.
[제조예 7∼9]
① 고체촉매의 성분의 조제
가열건조한 500ml 용량의 유리 제 3구 플라스크(온도계, 교반기부착)에 75ml의 건조헵탄, 75ml의 티탄테트라부톡시드 및 10g의 무수 염화마그네슘을 완전 용해시켰다. 이어서 이 용액을 40℃까지 냉각하고, 메틸하이드로디엔플리실록산 15ml를 첨가하므로서 염화마그네슘, 티탄테트라부록시드착체(錯體)를 석출시켰다. 이것을 정제햅탄으로 세정한 후, 4염화규소 8.7ml와 프탈산디햅틸 1.8ml을 첨가해서 50℃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그후 다시 정제햅탄으로 세정해서 고체촉매성분을 얻었다.
얻게된 고체촉매성분속의 티탄함유율은 3.0중량%이고 프탈산디햅틸함유율은 25.0중량%이였다.
② 부텐-1공중합체의 조제
20ℓ의 중합기에 1시간당 5kg의 부텐-1 및 표 1에 도시하는 α-올레핀 단위량이 되는 양의 α-올레핀, 10미리몰의 트리에틸알루미늄, 1미리몰의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및 티탄원자로 환산해서 0.05미리몰의 상기 ①에서 얻은 고체촉매를 연속적으로 도입해서, 기상의 부텐-1 및 다른 α-올레핀 분압을 조정해서 생성하는 공중합체의 극한점도가 표 1에 기재된 값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반응온도를 70℃에 유지하였다.
반응용기의 액량이 10ℓ가 되도록 중합액을 연속적으로 빼내고, 빼낸 반응생성물에 소량의 에탄올을 첨가해서 중합반응을 정지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반응 성분을 제거해서 부텐-1공중합체를 얻었다.
얻게된 공중합체의 각 물성을 표 1에 표시한다.
[제조예 10, 11]
20ℓ의 중합기에 1시간당 5kg의 부텐-1 및 표 1에 도시한 α-올레핀 단위량이 되는 양의 α-올레핀 20미리몰의 디에틸알루미늄, 10미리몰의 3염화티탄(일본국 도오호오 티탄율(주)제)을 상기 비율로 연속적으로 투입해서 수소의 기상분압을 2.7kg/cm2로 유지하고, 기상의 부텐-1 및 α-올레핀 분압을 조정해서 생성하는 공중합체의 극한점도가 표 1에 기재된 값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반응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반응용기의 액량이 10ℓ가 되도록 중합액을 연속적으로 빼내고, 빼낸 반응생성물에 1시간당 1ℓ의 메탄올을 첨가해서 중합반응을 정지시키고, 이어서 수세해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해서 부텐-1공중합를 얻었다.
얻게된 공중합체의 각 몰성을 표 1에 도시한다.
[표 1]
Figure kpo00017
[실시예 1-11]
[비교예 1-10]
제조예에서 얻은 부텐-1공중합체펠릿과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펠릿의 소정량을 V형 블랜더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제1호퍼에 투입하였다. 제2호퍼에는 기재용 프로필렌중합체를 투입하였다.
상기 제1, 제2호퍼를 구비한 스크루우 직경 20mm 2층 T 다이케스트 성형기를 사용해서 수지온도 220℃, 끌어내기 속도 7m/분의 조건으로 기재층(두께 40μm)과 공중합체 조성물층(두께 1040μm)으로 된 2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도시한다.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서 다음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kpo00018
[표 2]
Figure kpo00019

Claims (18)

  1. (A) 프로필렌 공중합체 25∼97중량% 및 (B) 탄소수 2∼8의 α-올레핀 단위함유량이 1∼35몰% 135℃로 가열된 데칼린 용액속에서 측정된 극한점도가 0.9∼7.2dl/g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치가 4∼15시차주사열량 분석에 의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온도차가 2∼40이고, 또 핵자기공명 스팩트럼 분석에 의해 측정한 α-올레핀 블롯성이 0.015 이하인 부텐-1공중합체 75∼13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공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단위의 함유량이 10∼0.5중량%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단위의 함유량이 8-1중량 %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그 멜트인덱스가 0.1∼25g/10분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그 멜트인덱스가 0.5∼20kg/10분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그 α-올레핀단위가 에틸렌단위, 프로필렌단위 및 핵센-1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코모노머단위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상기 α-올레핀단위 함유량이 3∼30몰%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그 극한점도가 1.0∼4.0dl/g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치가 4∼10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분석에 의한 융점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온도차가 5∼30℃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분석에 의해 측정한 융점열량이 2∼25cal/g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부텐-1과 프로필렌과 공중합체이고, 프로필렌 단위의 블록성이 0.01이하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부텐-1과 프로필렌과 공중합체이고, 에틸렌 단위의 블록성이 0.015이하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부텐-1과 헥센-1과의 공중합체이고, 헥센-1 단위의 블록성이 0.005이하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공중합체는, 일반식
    Figure kpo00020
    (단, 식중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m은 0
    Figure kpo00021
    m
    Figure kpo00022
    2, n은 0
    Figure kpo00023
    n
    Figure kpo00024
    2를 만족한다)로 표시되는 마그네슘 화합물에서 얻게되는 고체촉매성분, 트리알킬알루미늄 및 다음의 일반식
    Figure kpo00025
    (단, 식중 R3및 R6는 탄화수소기를, 바람직하게는 탄수수 2∼5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를 또, R4, R5및 R7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를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각각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복소고리식화합물로 이루어진 촉매의 존재하에 α-올레핀과 부텐-1을 기상으로 중합시켜서 얻게되는 공중합체인 부텐-1공중합체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촉매성분(A)은,
    Figure kpo00026
    (식중,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고, 각각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유기마그네슘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적어도 1종의 염소화제를 염소화해서 담체를 얻고, 이 담체를 전자공여체의 존재하에, -25∼+180℃의 범위내의 온도에 있어서, 4가리티탄의 할로겐화물과 접촉시키므로서 조제되는 부텐-1공중합체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마그네슘화합물이 부틸옥틸마그네슘이고, 상기 연소화제가 염소가스와 염화부틸이고, 상기 전자공여체가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이고, 상기 4가리티탄이 4염화티탄이고, 상기 트리알킬알루미늄이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이고, 상기 전자공여성화합물이 1,8-시네올인 부텐-1공중합체 조성물.
KR1019880010921A 1987-08-29 1988-08-27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KR910008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5846 1987-08-29
JP87-215846 1987-08-29
JP62215846A JPH0796633B2 (ja) 1987-08-29 1987-08-29 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869A KR890003869A (ko) 1989-04-18
KR910008601B1 true KR910008601B1 (ko) 1991-10-19

Family

ID=1667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921A KR910008601B1 (ko) 1987-08-29 1988-08-27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43615A (ko)
EP (1) EP0306777B1 (ko)
JP (1) JPH0796633B2 (ko)
KR (1) KR910008601B1 (ko)
CN (1) CN1020737C (ko)
DE (1) DE38804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703B2 (ja) * 1988-12-29 1995-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
GB2244058B (en) * 1990-05-01 1993-03-24 Courtaulds Films & Packaging Packaging materials
US5204174A (en) * 1990-05-04 1993-04-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ine fiber web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5165979A (en) * 1990-05-04 1992-11-24 Kimberly-Clark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polymer web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JPH0694155B2 (ja) * 1991-03-01 1994-11-24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中空容器
US5196462A (en) * 1991-05-16 1993-03-23 Himont Incorporated Zinc-salts of certain mercapto compounds as antioxidants for high temperature aging of thermoplastic elastomers
US5654364A (en) * 1993-03-23 1997-08-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iscible blend of polyolefin and polyolefin block copolymer
US5571864A (en) * 1993-03-23 1996-11-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iscible polyolefin blends with modifying polyolefin having matching segment lengths
EP0972801A1 (de) * 1998-07-16 2000-01-19 KE-KELIT Kunststoffwerk Gesellschaft m.b.H. Kunststoff zur Herstellung von Heisswasser-Installationen
ATE280805T1 (de) * 1999-11-24 2004-11-15 Yupo Corp Gestreckter harzfil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90326156A1 (en) * 2006-08-08 2009-12-31 Giampaolo Pellegatti Butene-1 copolymers
CN107407029B (zh) * 2015-03-09 2019-10-25 三井化学株式会社 非织造布层叠体、伸缩性非织造布层叠体、纤维制品、吸收性物品及卫生口罩
KR101890545B1 (ko) 2015-05-26 2018-08-21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클로져용 폴리올레핀 개스킷
WO2019119392A1 (en) * 2017-12-22 2019-06-27 Borouge Compounding Shanghai Co., Ltd. Soft polyolefin composition
US20240034870A1 (en) * 2020-12-16 2024-02-0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Flexible butene-1 copolymer for pip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414A (ja) * 1983-08-12 1985-02-28 Mitsui Petrochem Ind Ltd 熱可塑性樹脂共重合体
JPS61106648A (ja) * 1984-10-31 1986-05-24 Mitsui Petrochem Ind Ltd 結晶性プロピ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組成物
US4642269A (en) * 1984-11-01 1987-02-10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Crystalline random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composite laminate comprising said composition
JPS61108646A (ja) * 1984-11-01 1986-05-27 Mitsui Petrochem Ind Ltd 結晶性プロピ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組成物
JPS61108647A (ja) * 1984-11-02 1986-05-27 Mitsui Petrochem Ind Ltd 結剤性プロピ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組成物
JPS61108615A (ja) * 1984-11-02 1986-05-27 Mitsui Petrochem Ind Ltd 1−ブテ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
CA1300788C (en) * 1984-11-02 1992-05-12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Crystalline random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composite laminate comprising said composition
CA1279422C (en) * 1985-11-25 1991-01-22 Shell Oil Company Butene-rich butene-1 propylene copolymer compostion
CN1018926B (zh) * 1987-07-14 1992-11-04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丁烯-1共聚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3615A (en) 1990-07-24
JPH0796633B2 (ja) 1995-10-18
JPS6460645A (en) 1989-03-07
DE3880405T2 (de) 1993-11-18
EP0306777A3 (en) 1991-03-13
CN1034010A (zh) 1989-07-19
KR890003869A (ko) 1989-04-18
DE3880405D1 (de) 1993-05-27
CN1020737C (zh) 1993-05-19
EP0306777B1 (en) 1993-04-21
EP0306777A2 (en)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762B1 (ko) 올레핀 중합체 필름 또는 시트
KR910008601B1 (ko) 올레핀공중합체조성물
EP1620505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4625182B2 (ja) 封止性と光学特性が改善され、かつ溶解度が減じられた結晶性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組成物
AU2002362692B2 (en) Crystalline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ealability and optical properties and reduced solubility
EP0560326B1 (en) Compositions of random copolymers of propene containing an alpha-olefin as comonomer
EP2558508B1 (en) Propylene-based terpolymers for films
JP5377307B2 (ja) ブテン−1コポリマー
KR910005678B1 (ko) 부텐-1 공중합체
JP4204676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及び積層体
US20110245446A1 (en) Catalyst system for polypropylene copolymers
JP3375168B2 (ja) ポリエチレンの組成物
CA1319783C (en) Butene-1 copolymer
KR910008577B1 (ko) 부텐-i 공중합체조성물
JPH0816132B2 (ja) ブテン−1共重合体
JPH0816131B2 (ja) ブテン系共重合体
JPH0816134B2 (ja) ブテン−1共重合体
JPH1143564A (ja) 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910005681B1 (ko) 부텐-1공중합체
JP2687503B2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A1309553C (en) Butene-1 copolymer
JPH0826099B2 (ja) ブテン−1共重合体
KR910005799B1 (ko) 부텐-1공중합체
JP4249341B2 (ja) 耐候性に優れた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EP2152768B1 (en) Polypropylene c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