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25B1 - 차체수리장치 - Google Patents

차체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25B1
KR910007125B1 KR1019880700091A KR880700091A KR910007125B1 KR 910007125 B1 KR910007125 B1 KR 910007125B1 KR 1019880700091 A KR1019880700091 A KR 1019880700091A KR 880700091 A KR880700091 A KR 880700091A KR 910007125 B1 KR910007125 B1 KR 91000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flame
vehicle body
rotating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144A (ko
Inventor
베네레이넨 올라비
Original Assignee
오토로버트 핀란드 케이와이
베네레이넨 올라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로버트 핀란드 케이와이, 베네레이넨 올라비 filed Critical 오토로버트 핀란드 케이와이
Publication of KR88070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4Straightening 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2/00Metal deforming
    • Y10S72/705Vehicle body or frame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체수리장치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수리장치가 정면도에 제시되어 있다. 차량은 그림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이다.
제3a도는 부등각투상도에, 본 발명에 따른 차체수리장치에 있어 승강수단의 일부분인 2주각 기중기 메카니즘의 하단설계가 나타내져 있다.
제3b도에는 제3a도위의 선Ⅰ-Ⅰ에 따른 투상도가 화살표들 방향에서 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제3c도에는 제2도의 화살표 Ⅱ-Ⅱ방향에서 본, 발명의 수리장치의 플레임의 끝에 대한 투상도가 제시되어 있다.
제4도에는, 부등각투상도에 발명의 수리부가 나타내져 있다.
제5도에는, 제4도의 선Ⅲ-Ⅲ에 따라 옮겨진 단면이 제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화살표방향에서 본 것이다.
제6도에는, 부등각투상도에 수리부에 첫 번째 플레임부분이 제시되어 있다.
제7도에는, 부등각투상도에 수리부의 두 번째 플레임부분이 제시되어 있다.
제8도에는, 부등각투상도에 회전판(60)이 제시되어 있고, 그 투상도에는 회전판에 결합된 운동수단이 개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제9도에는 수리헤드의 양호한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정면도이다.
제10도는 발명수단으로 수행되는 수리작업을 나타낸다. 이것은 평면도인데, 수리되는 과정에서 차의 뒤틀린 바닥 빔을 보여준다.
제11도에서,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가 정면도에 제시되어 있다.
제12도에는 발명의 세 번째 양호한 실시예가 부등각투상도에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수리부의 수직의 독립된 운동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레임, 이 플레임에 대해 수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수리대 및 차량이 고정될 수 있는 수리대위의 부착기기 또는 이에 상당한 것을 포함하는 차체수리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그러한 차체수리장치는 차가 수리대에 운전되어 올려지고, 주변부착기기와 체결되고나서 요구되는 높이까지 올려지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리장치에서는 수리작업이 수직지지암에 설비된 수리공구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었다. 수리대의 주변부착기기들에 의해 고정된 차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에 대해, 그러한 수직운동은 수리작업, 그 자체에서 활용된다. 동일 출원인의 핀란드 특허 No 59348과 핀란드 특허 No 53930에서 나타난 것처럼, 신축형 빔배열을 움직임으로써 수직지지암들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했다. 종래의 장치설계에서 수리작동은 차체구조의 경우에 특별히 달성하기 쉬웠다. 수리가 사실상 자체구조에 한정된다는 것은 존재하는 기구설계의 결점으로 진술될 수도 있다. 샤시 빔들자체의 수리는 종래의 기술인 기구설계로는 만족하게 달성될 수 없다.
그러한 수리장치는 역시 차 샤시의 여러부분에 대한 지그를 가지고, 차의 샤시고조가 수리작용이 차체의 남은 부분에 작용될 때 바꿔지지 않는 그런 기술에서 알려져있다. 상기 지그들은 차체의 여러부분을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직접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플레임의 빔을 수리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차체의 상부구조에 대한 수리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차체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따라서 유리한 기구배열로서 수리작업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체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수리장치의 수리대에 관련하여 정지하고 있는 플레임 요소나 그것과 관련되어 있거나 그것을 따라 움직이는 플레임 요소 또는 수리대에 대해 수리부가 수평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 수리부는 제1플레임부분과 제1플레임부분에 관련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제2플레임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레임을 포함하고 또 상기 수리부는 차량의 샤시빔과 차체구조 그 자체에 대한 수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를 포함하며 그 수리력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에서 수리하고 있는 대상에 작용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특허청구 범위 제2항 내지 제19항에서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지그와 비슷하게 작동하는데, 즉, 그것은 대상물을 위치에 고정하는 반면에 모든 방향에서 수리에 필요한 운동을 수행한다. 이것은 차량의 파손된 부분을 고정시켜 그것이 고정될 수 있는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후에 수리작업은 다른 대상에 관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많은 수리운동은 한 개의 단동실린더를 사용하여 얻어지는데, 그것의 도움으로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수리헤드(Rectifying head)는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더욱이, 수리대로부터 수리력이 수리지브(Jib)를 위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매우 유리하고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여러 이점들이 얻어진다. 발명의 수리부는 붙이거나 떼기 쉬워, 그것에 의해 수리부를 수리수단의 한끝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수리부는 기능적으로 간단하다. 원형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리에 필요한 힘들을 요구되는 방향에서 수리가 필요한 점들에 작용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형판들에 관련하여 도구를 잡아당기는 위치를 정의함에 의해서, 전달되는 수리력들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수리부의 가로 및 세로 운동은 요구되는 평면방향에서 수리작업을 위해 허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에 제시된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를 언급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그것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는 발명에 따라서 차체수리장치(10)이 정면도에 묘사되어 있고, 제2도에는 제1도의 수단이 평면도에 표시되어 있다. 수리장치(10)은 플레임(11)과 그것에 관련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수리대(12)를 포함한다. 수리대(12)는 화살표(D1)에 의해 지시되는 대로 사실상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리대(12)는 주변부착기기(13) 또는 이에 상당한 것을 포함한다. 차량(J)는 수리대(12)위에 운전되어 올려지고, 그 차량은 주변부착기기들(13)로 수리대(12)에 부착될 수 있다. 주변부착기기(13)은 수리대(12)의 테에 인접한 외팔빔에 양호하게 위치될 수 있다. 주변부착기기(13)은 나사작용을 가진 죔 요소들일 수 있고, 그 경우에 차의 가장자리는 죔 요소의 턱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주변부착기기의 턱들은 나사를 돌림으로써 열려질 수도 있고 닫혀질 수도 있다. 차량은 구동판(14)위를 통해 수리대(12)에 운전된다. 수리대(12)는 승강수단(15)의 도움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승강수단(15)은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승강수단(15)은 한끝이 플레임(11)에 결합되고 다른 한끝이 승강메카니즘(16)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이다. 승강메카니즘은 더욱이 수리대(12) 또는 그와 함께 결합된 플레임요소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승강메카니즘(16)은 적어도 두 개의 승강암(17a)와 승강암(17b)를 포함하는 이주 각 기중기메카니즘이다. 승강암(17b)의 상단은 빔(1)에 관하여 화살표(E1)에 의해 표시된 대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었다. 승강암(17a)의 하단은 활대(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축(19)와 피보트작용을 받도록 했다. 활대(18)은 다양한 접속홈(20)을 포함한다. 활대(18)은 화살표(E2)에 의해 표시된 대로 수평방향에서 활동안내에 따라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암(17a)는 축(19)에 있는 플레임(11)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그것의 하단에 피보트작용을 받도록 했다. 그 승강암(17a)은 중심에서, 축(C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피보트작용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암(17b)에 대하여 돌도록 되어 있다. 그것의 상단에서는, 그것이 수리대와 결합된 평행빔(1)에 대하여 축(C2)에서 회전하도록 피보트작용을 받게된다. 마찬가지로, 암(17b)는 축(C3)에서 수평빔(1)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그것의 상단에 피보트작용을 받게하고, 그것의 하단에도 축(C4)에서 플레임(11)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피보트작용을 받게한다.
본 발명의 수리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난 말단부(90)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수평면에서 축(91)둘레를 돌도록 배치했다. 말단부(90)은 수평빔(92)과 거기에 결합된 수평빔(93)을 포함한다. 말단부(90)은 더욱이 견인기구, 예를들어 철사 로우프(100)과 안내로울러(94)를 포함한다. 안내로울러(94a)와 안내로울러(94b) 또는 바퀴들은 떼어질 수 있도록 또는 움직일 수 있도록 수직빔(93)에 설치되며, 그것은 이 범위의 여러 결합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말단부(90)은 수평빔(92)의 아래에 배치된 운반로울러(95)를 포함하고, 그 부분(90)은 로울러에 의해 운반되어 공장바닥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보조부(90)은 주어진 일을 수행할 때, 제1도에서 보여진 고정암(120)의 도움으로 주어진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암(120)은 단부(90)과 수리대(12)에 부착되도록 배치됐다.
본 발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체수리장치(10)은 플레임(11)에 떼어질 수 있도록 부착될 수 있는 수리부(40)을 포함한다. 수리부(40)은 플레임(41)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수리장치의 가로축(x)의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첫 번째 플레임부분(42)과 상기 첫째 플레임부분(42)를 가로질러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두 번째 플레임부분(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2플레임부분(70)은 첫째 플레임부분(42)에 관하여, 유리하게는 그것은 중심축(x)에 가로질러서 (Y)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리수단의 가로축과 중앙축은 그림에서(X)로 표시되고, 거기에 수직인 축은 (Y)로 표시된다. 수리부(40)은 수리수단(10)의 수리대(12)나 바퀴(130a)와 (130b) 또는 상당한 것의 도움으로 거기에서 결합되는 플레임부분과 결합되도록 움직여질 수 있다.
동작수단(47)의 도움으로 플레임부분(4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회전대(60)은 첫 번째 플레임부분(42)에 피보트작용을 받도록 된다. 회전대(60)은 와이어로우프(100)의 끝이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접속홈(63)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힘이 회전판에서 수리가 필요한 점까지 전달되는 방식이다. 수리헤드(80)은 플레임부분(42)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제2플레임부분에 부착되고, 플레임부분(42)는 가로축(x)의 방향에서 움직여질 수 있고 또한 플레임부분(70)은 그것에 직각으로 움직여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필요한 위치에서 수리헤드(80)으로 차의 샤시구조를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리헤드(80)은 체결요소(81)을 수반하여, 그것에 위해 차는 체결요소(81)과 결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리작업이 단순한 고정에 부가되어 샤시구조에 행해질 수 있다. 그 체결요소(81)은 위와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데, 그것에 의해 체결요소는 모든 운동의 선택권을 가진다.
제3a도와 제3b도에는 승강메카니즘(16)의 설계가 개략적으로 제시되어 있다.활대(18)은 활동안내부에서 움직이도록 맞추어져 있다. 활동안내부(22)는 상유지면(22a), 하유지면(22b)와 측유지면(22c)를 포함한다. U자형의 단면을 갖는 활동안내부의 설계는 활대(18)이 활동안내부(22)에 있도록 보장하는데, 그것은 심지어 차량이 수리대(12)에 있으며 고르지 않게 부하가 걸려 있을 경우나 또는 전체적으로 2주각 기중기조립물(16)의 첫 번째 승강암(17a)가 활대(18)에 다른 방향에서 들어올리려 하거나 그것을 활동안내부의 바닥을 향하여 활대를 활동안내부(22)에서 들어올리거나 그것을 활동안내부(22)의 바닥으로 내려 누르는 힘을 작용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활대(18)에는 다수의 홈(20)이 있다. 걸대 몸통(24)를 가진 걸대(23)은 걸대 몸통(24)가 홈에 끼일한 위치에 조정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주 각 기중기조립품의 확실히 고정된 위치와 수리대(12)의 높이에 있어 확실히 고정된 위치가 보장된다. 활동안내부(22)는 플레임의 가로빔, 그것의 위 가장자리와 측면에 배치되었다. 활대(18)은, 승강암(17a)가 활대(18)을 올리려하거나 그것을 내려 누르려 할 때에 활동안내부(18)안에 유지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a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두개의 첫번째 승강암(17a), 즉 (17a1)과 (17a2)가 있고, 비슷하게 두개의 두번째 승강암(17b), 즉 (17b1)과 (17b2)가 있다. 승강암(17a)와 승강암(17b)가 각각 단일판 요소로 되어 있는 그러한 승강메카니즘의 설계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승강암(17a)와 승강암(17b)중 하나의 상단과 다른 것의 하단은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대로 수평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는 발명의 수리부(40)이 부등각투상도에 제시되어 있다. 제5도에는 제4도의 A-A선을 따라 옮겨진 단면이 보여진다. 제6도와 제7도는 독립적으로 플레임부분(42)와 플레임부분(70)을 보여주고, 반면에 제8도에서는 회전판(60)이 독립적으로 보여진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첫째 플레임부분(42)은 나란히 두개의 빔(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빔(43)은 결합 빔(44)에 의해 연합되어 있다. 각각의 빔(43)의 한끝에 다른 빔(45)가 빔(43)의 측면에서 부착되어 있다. 빔(46)은 빔(43)내에서 이 빔(43)에 상대적인 다른 위치들을 취하기 위해 미끄러질 수 있고, 그것들은 서로에 관해서 고정수단(41), 예를 들어 나사로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빔들은 한개의 단독 플레임 빔(44a) 또는 두개의 빔들에 의해 결합되고, 그 경우에 다른 빔(44b)는 빔(43)의 다른 끝에 위치되며, 그곳에서 빔(44a)에 반대쪽에 있게된다. 빔(45)는 유니트(40)의 접수 빔(11a1)과 (11a2)에서 수리장치(10)의 수리대(12)에 끼워질 수 있다. 유니트(40)은 빔(11a)위의 여러위치로 서로에 대하여 빔(11a)와 (45)의 신축적인 배치를 활용하여 미끄러질 수 있다.
플레임부분(42)은 더욱이 제5도에 도시된 클램프(50)을 포함한다. 체결부분(50), 유리하게는 평평한 쇠막대의 도움으로, 제2플레임부분(70)은 첫째 플레임부분(42)에 첨부될 수 있으며, 상기의 플레임부분(50)은 동시에 플레임부분(70)이 플레임부분(42)에 관하여 (Y)방향에서 미끄러지게 될 때 플레임부분(70)을 위한 활동안내부로서 작용한다. 두 번째 플레임부분(70)은 이렇듯 빔(43)과 클램프부(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나사(49)는 봉(48)에 나사가 돌려질 수 있도록 설비될 수 있다. 나사(49)를 돌림으로써, 두 번째 플레임부분(70)은 빔(43)에 대해 밀어부치는데, 그것에 의해 여러 고정위치들이 플레임부분(70)에 대해 얻어진다. 가로축(x)와 평행한 중앙 빔(56)은 횡단 빔(44a)에 부착되고, 이 중앙 빔(56)은 판(60)의 굴대(61)을 받아들이기 위한 홈(57)을 가지고 있다. 골격의 구석에 있는 횡단 빔(44a)의 다른 끝에 수용부(58)이 위치 되는데, 그것은 플레임부분(42)에 관한 한 위치에 판(60)을 고정시키는 코터핀이 끼워질 수 있는 튜뷰형부분이고, 그것에 의해 코터핀은 판(60)에 있는 구멍(63)을 통과하여 수용부(58)에 들어갈 수 있다.
제7도에는 둘째 플레임부분(70)이 독립적으로 또 부등각투상도로 제시되어 있다. 플레임부분(70)은 수직빔(71a, 71b과 71c)을 포함하고, 중심축(x')의 양쪽에 모두 세 개가 있다. 수직 빔(71a, 71b과 71c)의 사이에는 그 상부에 중간판(74)이 위치하고 있는데, 그 중간판은 코터핀 또는 회전핀(65)을 위한 접수 홈(73)을 제공한다.
제8도에는 회전판(60)이 역시 부등각투상도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 그림에는 유압실린더(47)의 한끝이 역시 포함되어 있다. 회전판(60)은 회전판(60)을 위해 첫 번째 플레임부분(42)에 설비된 고정 빔(56)에 베어링 홈(57)에서 결합될 수 있다. 회전판(60)의 고정 빔(56)에 플레임빔(44a)의 중심에서 사실상 그것의 중심에 부착됐다.
제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60)은 굴대부(61)과 거기에 단단하게 피보트작용을 받는 판 요소(62)를 포함하고, 이 후자부분에는 축(C1)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구멍들로 이루어진 원들이 있고, 각 원은 다수의 수용홈(63)으로 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들에는 제2의 플레임부분(70)의 운동을 일으키는 고삐의 굴대 또는 이에 상당한 것과 막대(64)가 고정될 수 있다. 구멍들(60)을 통해서 플레임부분(42)에 회전판을 고정하는 코터핀 또는 핀(66)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핀(66)은 구멍(63)을 통하여 구멍(57)내에 수용부(58)로 배치될 수 있다. 제8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 끝은 끼움쇠(67)로 회전판(60)에 끼워진다. 실린더는 회전판(60)에 관하여 고정된 위치에 있지만, 그것은 회전판(60)에 피보트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판(60)과 실린더(47)의 끝사이의 각 운동은 허용된다.
회전판(60)은 그것의 중앙 굴대(61)에 의해서 회전적으로 운반되는 원형판 요소이다. 회전판(60)은 굴대(61)에 의해 운반되어 회전축(C1)의 둘레를 플레임(42)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었는데, 상기 회전은 작동수단, 유리하게는 유압실린더, 더 유리하게는 스프링 반발을 갖는 단동 유압실린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동작수단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끝은 회전판(60)에 부착되고 다른 한끝에 의해 첫 번째 플레임부분(42)에, 그것의 말단 플랜지(46b)에 있는 운동할 수 있는 플레임 빔(42)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리부(40)은 수리대의 빔(12a)위에서 수리수단(10)의 수리대(12)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빔(45)가 신축적으로 또는 수리대(12)에 관련하여 또는 거기에 부착되어 오르내리는 플레임부분에 관하여 미끄러지기 위해 고정되도록 일어나고, 유리하게는 빔(45)가 수리대(12)의 빔(12a1, 12a2)에서 미끄러지도록 끼워져 있다.
유니트(40)은 수리대(12)에 부착되어 수리대(12)와 함께 높이가 다른 여러 위치에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유니트(40)은 수평방향에서 수리대(12)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고, x축방향에서 가장 양호하다. "미끄러짐"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유니트(40)이 수리대(12)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는 자율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운동은 요소(40)과 (12)사이의 미끄러짐 접촉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그 운동이 로울러위에 실려가는 식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유니트(40)의 플레임(41), 그것의 첫 번째 플레임부분(42)와 유리하게는 빔(45)는 그림의 실시예와 같이 그렇게 미끄럼 안내 또는 미끄럼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것은 그것이 수리대(12) 또는 고정 플레임부분(10)에 상대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유니트(40)을 운반하는 회전적으로 운반되는 로울러로 구성될 수 있다(제11도). 유니트(40)은 사실상 차의 샤시면 아래, 유리하게는 차샤시구조 아래의 수평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가압된 오일이 페달(53)을 누름으로써 발로 작동되는 수단(53)으로 압력도관(52)을 통하여 유압실린더(47)로 운반된다. 압축 공기인 원동력은 6막대 작동 압력하에 있는 기구에 제공된다. 유압실린더(47)에 있어 피스톤 로드의 복귀 운동은 스프링 작용에 의해 일어나게 배치됐다. 나사(51) 또는 이에 상당한 것이 늦춰지고 빔 부분(53)과 (46)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질 때, 빔 부분(46)은 화살표(L4)로 나타내진 것처럼 수리대(12)의 횡단 빔(12b)와 접촉하고, 단지 그후에 유압실린더는 차체에 그 힘과 수리헤드(80)이나 상당한 것의 도움으로 작용을 시작한다. 나사(51)를 조임으로써, 빔(46)은 빔(43)에 대하여 따라서 첫번째 플레임부분(42)에 대하여 주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5도에서, 빔(43)과 (46)이 갖는 서로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빔(46)은 빔(43)에 있으며, 상기 빔사이의 운동은 신축적이다. 나사(51)을 돌림으로써, 빔 부분(46)은 빔 부분(43)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수리헤드(89)는 차와 수리장치의 가로축방향의 여러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리부의 작동형태를 보여준다. 이미 볼 수 있었던 대로, 회전판(60)은 굴대(61)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고, 회전판(60)의 상부면은 실제적으로 수평적이며 수리대(12)면 또는 그 근처 및 유리하게는 수리되는 자체 구조 아래에 위치된다. 회전판(60)은 회전축(C1)에서 다른 반지름을 가진 몇 개의 원상에 있는 다수의 홈을 가진 원판으로 그림의 실시예에 나타나 있다.
상기 홈에, 체인(100)의 한끝이 직접적으로, 또는 체인이 처음에 매개 암(110)에 결합하고 판 모양 또는 봉 모양인 이 매개암은 상기 회전판(60)과 그것의 접속홈(63)에 코터 핀(65) 또는 상당한 것에 의해 피보트 작용을 받는 곳에 연결된다. 회전판(6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체인(100)의 끝이 위치한 중앙축(C1)에 가까울수록 더 크다. 마찬가지로 최대 운동을 산출해내는 것이 유압실린더(47)의 한 행정길이로 요구될 때, 체인(100) 또는 다른 기구, 그것의 끝은 중심축(C1)으로부터 가능한한 멀리 위치한 접속홈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플레임부분(70)의 운동을 전달하는 암(64)는 회전판(60)과 제2플레임부분(70)의 사이에 그렇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오직 인장력이 암(64)에 작용한다. 이것은, 봉 형상의 구조가 압축보다는 인장을 더 잘 견디므로, 암(64)의 내구성이라는 관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비틀림의 위험은 후자의 경우에 명백하다. 따라서, 제2도와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플레임부분(70)의 운동이 화살표(L2)의 방향에서 일어나고 회전판(60)이 시계방햐응로 화살표(L1)방향에서 회절될 때, 인장력이(64)에 작용한다. 반대방향인 화살표(L3)의 방향으로 운동을 주는 것이 요구될 때는, 매개 암(64)가 기구의 중간축(C1)의 다른면에 있는 상기의 제2플레임부분(70)에 접속된다.
암(64)가 회전판(60)과 제2플레임부분(70)에 피보트적으로 접속되어 그것의 회전운동이 회전판(60)과 플레임부분(70)에 대하여 가능해진다. 암 또는 봉(64)가 회전판(60)에 대해 한끝(64a)에 의해서 또 제2플레임부분(70)에 대해 그것의 다른 끝(64b)가 고정되고 동작수단(47)이 굴대(61) 주위에서 화살표(L1)으로 나타낸 것처럼 회전판(60)을 회전시킬 때, 제2플레임부분(70)이 제1플레임부분(42)에 대해 축(Y)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버팀 암(80) 또는 다른 상당한 교정수단이 플레임부분(70)의 접속홈(71a, 71b, 71c)의 하나에 고정될 때, (Y)축방향에서의 상기 운동은 수리작업에서, 즉, 버팀을 위해서 수리작업 그 자체에서 활용된다.
체인(100) 또는 다른 힘 전달수단은 회전판(60)에서 안내로울러(64)위로 지나가게 배치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더 높이 있는 차체부분에 대한 수리작업도 역시 가능해진다.
제9도에서 정면도에 수리헤드(80)의 양호한 실시예가 제시된다. 수리헤드(80)은 고정 턱(81a와 81b)를 가진 고정요소(81)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나사(81c)의 도움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고정요소(81)은 빔(82)에 부착되고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83)은 고정요소(81)과 빔(82)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빔(82)는 일축적으로 빔(84)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됐고 빔(82)는 나사(85)의 도움으로 여러 위치에 빔(84)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빔(84)는 상부(84a)와 그 끝에 붙어있고 제2플레임부(70), 즉 그것의 수용 홈(71a, 71b 또는 71c)중 하나에 놓여지게 배열된 고정부(84b)를 포함한다. 수리헤드(80)은 더욱이 고정요소(81)의 그것에 의해 빔(82)를 들어올리고 낮추기 위해 배치된 나사(87)을 포함한다. 나사(87)은 빔(84)의 돌출부(86)에 있는 홈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었고, 나사(87)은 한끝에 의해 돌출부(83)에 부가되어 있다. 너트(88과 89)는 나사(87)에 위치하여 돌출부(86)의 양면에 놓이게 위치하고 있다. 너트(88과 89)를 반대방향에서 돌림으로써 고정요소(81)은 높여지거나 낮춰지고, 이 회전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고정요소(81)의 운동방향을 또한 바꿔진다. 수리헤드(80)의 도움으로 또한 차체 구조의 수직적 수리가 가능해진다.
제11도에서는, 수리헤드(80)으로 행해질 수 있는 정지상태가 보여진다. 수리헤드는 제10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차량의 측면 빔에 접촉하도록 운반된다. 제10도에서 도시된 당김 작업을(D1)방향에서 수행하는 것은 당김고삐를 사용함으로서 가능하며, 차량 빔은 그것이 수리헤드(80)의 도움으로 각이 생기게 되는 점에 편리하게 멈춰진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서 묘사된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힘은 제4도에서 기재된 화살표(L5)의 방향에서 유압실린더로 발생된다. 처음에, 유압실린더(47)는 빔(46)을 화살표(L4)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끝 판을 가진 빔(46)이 횡단 빔 부분(12b)에서 수리대를 칠 때, 유압실린더(47)은 화살표(L5)의 방향을 가진 힘으로 수리부(40)의 잔여 플레임부분에 작용하기 시작한다. 유압실린더(47)의 복합 실린더인 그런 발명의 실시예도 똑같이 가능하다. 그 경우에 유압실린더(47)은, 수리장치(10)이 수리대(12)에 부착되고, 그래서 말단 플랜지(46b)는 그것이 수리장치(10)의 수리대(12), 즉 횡단 빔(12b)에 부착될 수 있도록 나사를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다. 유압실린더와의 결합후에 화살표(L4)의 방향에서 첫번째 플레임부분(42)의 운동과 힘이 필요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실시에에서 빔(45)가 수리대(12)에 대해서 또 그것들을 따라 그것의 빔(12a)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그렇지 않고 만일 그것들이 일축적으로 배치된다면, 그 경우에 빔(45)는 수리대(12)의 빔(12a)를 감싸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차체수리작업에서 있어서의 기구 작동의 자세한 서술이 제시되어 있다. 차는 구동판(14)를 따라서 리대(16) 위로 운전되거나 끌어 올려진다. 다음에, 샤시 고정기기(13)이 가장자리의 끝 아래에 위치되도록 조정된다. 승강작용은, 차가 고정수단에 의해 충분히 운반될 때까지, 유압실린더(15)로 수행되고, 그 후에 고정수단은 고정된다. 차는 가장 높은 위치가지 올려지고, 거기에서 그것은 잠금 막대의 바(24)에 의해 잠궈진다. 차의 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수리작업전에 수행된다. 수리작업의 관점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동판은 제거된다. 차가 고정되었던 수리대(12)는 다음에 내려진다. 이렇게 내리는 것은 잠금 막대기 풀릴 때까지 처음에 수리대(12)를 올림으로써 발생한다. 그 잠금장치는 수리대(12)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될 때까지 열려 있다. 다음에, 수리부(40)는 수리대(12), 그 끝에 있는 빔(12a)에 연결된다.
필요하다면, 유니트(40)은 수리대의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수리헤드(80)은 유니트(40)과 그것의 플레임(70), 수리헤드(80)을 위한 홈(71a, 71b 또는 71c)에 설치된다. 수리헤드(80)은 다음에 빔 세트를 밀어부침으로써 횡단방향에서, 즉, (Y)방향에서 그리고 수리부가 지지바퀴에 의해 운반되는 동안에 수리부를 당김으로써 가로방향에서 차의 모가 나는 부분까지 움직여지고, 그것은 수리헤드(80)이 모가 난 지점과 정지될 때까지 행해지며, 거기에서 고정요서(81)을 이용함으로써 더욱더 고정될 수 있다.
나사(53)은 그때 조여지고, 그것은 빔 세트부분을 수리부(40)의 플레임부분(42)에 고정한다. 이것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리헤드(80)은 정지되어 있고 차체가 여러 부분에서 수리될 때 지주로서 작용한다. 수리운동은, 체인(100)은 그것의 고정요소로 회전대(60)에 고정되고 그것은 수리가 이루어질 곳으로 수리지브(90)의 바퀴(94a 및 또는 94b)위로 운반될 때 회전판(60)에서 얻어진다. 회전대(60)은 유압실린더의 도움으로 구동하며, 상기의 실린더(47)의 한끝은 회전대(60)에 부착되고 다른 한끝은 빔(46), 그것을 끝판(46b)에 부착된다. 빔(46)은 크램프 나사(51)로 수릴 유니트(40)의 빔(43)에 고정된다. 수리유니트(43)은 샤시 및 차의 상부 구조의 수리작업에서 작동한다. 그것은 또한 회전대(12)의 뒷끝에 설치될 수 있다. 수리헤드(80)의 설치된 수리 유니트(40)으로 차의 플레임은 수리될 수 있고, 높이 및 길이 횡단방향에 있는 차의 샤시구조 즉, 수리헤드(80)의 고정요소는 제방향(S1, S2, S3, S4, S5및 S6)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제4도에서, 발명수단으로, 수리작업에서 요구되는 버팀상태는 제10도의 도움을 받는 예로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역시 달성될 수 있다.
가로방향에서의 수리작업은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회전대는 처음에 체결핀(66)으로 체결된다. 실린더(47)은, 수리헤드(80)이 차의 횡단 빔에 대항하고 있는 동안에, 화살표(L4)의 방향에서 빔(46)을 밀어 붙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빔(46)의 끝판(46b)가 수리대(12)의 횡단 빔(12b)에 도달했을 때, 실린더(47)에 의해 야기된 운동은 정지하며 실린더(48)은 수리헤드(80)의 도움으로 차의 횡단 빔에 힘을 작용하기 시작한다. 요구된 압축력이 얻어졌을 때, 빔(43)과 빔(46)을 체결하는 것은 나사(51) 또는 상당한 것을 조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실린더(46)은, 수리헤드(80)이 동시에 상기의 방식으로 차의 횡단 플레임 빔에 지지를 주는 동안에 자유로워져 다른 수리작업에 적용된다.
측면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체결핀(66)이 처음에 제거된다. 빔(43과 46)은 클램프 나사(51)의 도움으로 서로에 대해 그때 이미 고정된다. 다음에, 로드(46)의 끝(46a)는 플레임부분(70)에서 구멍(73)에 코터 핀(64) 또는 다른 상당한 수단의 도움으로 설치된다. 로드(64)는 회전운동이 상기 끝의 고정점들에 대하여 로드(64)의 양끝에서 허용되도록 양끝에 부착된다. 다음에, 실린더(47)에서의 유압이 낮춰진다. 제4도의 예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는 그때 화살표(L1)의 방향에서 회전판을 돌리고, 그것에 의해 플레임부분(70)은 화살표(L2)의 방향에서 움직인다. 활동빔 세트(70)에 실린 수리헤드(80)은 그때 상기의 화살표(L2)의 방향에서 움직일 것이다(제4도).
수직방향에서의, 샤시구조의 수리는 수리헤드(80)으로 달성된다. 수리헤드(80)은 체결요소(81)을 가지고 있고, 그것은 나사작용에 의해 차의 샤시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수리헤드(80)은 차 플레임을 올리거나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체결요소(81)이 차 플레임의 가장자리에 고정됐을 때, 두 너트(88)중 하나가 느슨해지는 방향에서 또 하나의 너트(89)가 반대방향에서 돌려지고, 그것에 의해 나사 또는 나사이가 새겨진 막대(85)는 위로 올라가며 내측 지브(82)를 체결요소(81)과 함께 위로 올린다. 차 플레임이 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요구될 때, 상기의 너트들은 반대방향에서 돌려진다.
발명을 오로지 상기에 기술된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 제한하는 것은 이렇듯 의도되지 않은 것이다.
제11도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인데, 그 경우에 발명에 따른 수리부는 정지 수리 수단의 플레임(110)에 대해서 활동배열(화살표L11)과 결합되어 있다. 수리작업 그 자체에서 2주 각 기중기 메카니즘의 승강운동을 활용하는 것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상대운동(화살표 L10)은 수리유니트(40)과 수리대(12)사이의 수직방향에서 얻어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수리유니트(40)은 정지플레임(110)의 한끝에 뗄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의 수리유니트(40)은 정지플레임(110)의 빔(110a)에서 움직이도록 양호하게는 신축적인 방식으로 배치된다. 고정된 플레임부분(110)과의 결합은 이미 기술된 첫째 실시예에서 것과 같으며, 거기에서 수리유니트는 수리대(12), 그것 자체에 부착됐다. 정지한 플레임(110)의 다리(110b)은 그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니트(40)은 수리대(12)에 관해 고정된 플레임(110)에서 바퀴(130b, 130a)에 실려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밀려난다.
제12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역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경우에 수리유니트는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맞춰진 채 수리대(12)자체 또는 거기에 결합되어 또는 그것과 함께 움직이는 플레임부분과 결합되거나, 수리유니트가 활동배열과 정지 플레임(110)과 결합되고, 그 실시예에서 수리유니트의 수직운동의 독자적인 가능성이 가능해진다. 그때, 예를들어, 수리유니트(40)의 첫번째 플레임부분(42)의 빔(45)는 두개의 부리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부분(45)사이에 다른 빔 부분(45)에 대해 수리부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두개의 빔 부분(45)중 하나의 수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이 제공되고, 그것은 수리수단(10)의 플레임(11) 또는 승강대(12)에 미끄러지듯 결합되었다. 유니트(40)의 첫번째 플레임부분(420)은 빔(450)이 두 부분(450a와 450b)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빔(450b)는 거기에 결합된 플레임부분과 함께 안내(450c)에 수직으로 (화살표 L12)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그것은 예를들어 제비꼬리 결합(46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수단(431), 양호하게는 유압실린더는 빔(450a)와 빔(450b)와 결합된 지지돌출부(432)와 결합되게 구성된다. 동작수단(431)은 상기의 수리유니트(40)의 승강운동과 하강운동에 영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동작수단(431)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동작수단(431)이 사용되는 그런 실시예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9)

  1. 플레임(11)과 상기 플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리대(12) 및 수리대위에서 차량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기기 또는 이에 상당한 것을 구비한 차체수리 장치에 있어서, 수리부(40)가 수리장치의 수리대(12) 또는 수리대와 결합되고 수리대를 따라 움직이는 플레임부분 또는 수리대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플레임부분(11)에 수평면에서 미끄러지듯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리부(40)은 상기 첫번째 플레임부분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치된 제2플레임부분과 제1플레임부분으로 구성된 플레임(41)을 포함하며, 상기 수리부(40)은 차의 플레임 빔과 차체 구조자체에 수리작업은 수행하기 위한 수단(47,60)을 포함하고 수리력은 수직방향에서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에서 수리되는 대상에 작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플레임부분(42)이 수리대의 빔들
    Figure kpo00001
    안에서 수리수단(10)의 가로축(x)방향으로 차체수리수단(10)의 수리대(10)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둘째번 플레임부분(70)이 첫번째 플레임부분(42)의 운동방향(x)에 직각으로 움직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가 첫번째 플레임부분(42)위에서 회전될 수 있고 또 동작수단(47)의 도움으로 굴대(61) 주위를 돌도록 배치된 회전판(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동작수단(47)이 그의 한끝에서는 회전판(60)에, 또 다른 끝에서는 첫번째 플레임부분(42)의 미끄럼빔(46)에 피보트적으로 결합된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60)이 사실상 수리대(12)면에 위치된 원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가 둘째 플레임부분에 적어도 한개의 수용홈(d)을 포함하고 이 홈에 별도의 수직위치 수리헤드(8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가 축(91) 주위의 수평면에서 움직이도록 배치된 말단부(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말단부(90)가 적어도 하나의 수평빔(92)과 사실상 거기에서 수직한 적어도 한개의 수직빔(93) 및 상기 수직빔(90)위의 적어도 한개의 안내롤러 또는 이에 상당한 것을 포함하고, 안내롤러 또는 이에 상당한 것 위로 와이어 로드 또는 상당한 것이 그것을 회전판(60)에서 차체구조로 방향을 바꿀 때 운반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이 회전판(60)에 부착될 수 있는 암(64)를 포함하고, 상기 암(64)는 첫째 플레임부분(42)에 대해 직각으로 움직이는 상기 플레임부분(79)을 위해 둘째 플레임부분에 한쪽끝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60)이 운동수단 또는 아암 또는 이에 상당한 기구의 부착을 위한 다수의 수용홈, 유리하게는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60)위의 수용홈(63)이 회전판(60)의 회전축에 대하여 여러 반지름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의 첫째 플레임부분의 움직일 수 있는 빔(46)이 빔(43)에 대하여 여러위치에서 고정요소(51)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가 수리장치(10)의 수리대(12)에 관하여 자유롭게 움직여 질 수 있어서 수리부(40)은 그것의 가로축과 장치(10)의 가로축(x)의방향에서 움직여질 수 있으며, 빔(43)에 결합된 빔들은 수리대(12)의 빔
    Figure kpo00002
    에 관하여 신축적으로 움직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의 둘째 플레임부분(40)이 첫째 플레임부분(42)에 관하여 미끄러질 수 있고 고정수단(48, 49, 50)과 여러위치에서 그것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둘째 플레임부분(42)이 여러위치에서 고정부분(50), 유리하게는 빔(43)에 고정된 나사로 평평한 쇠막대를 조임으로써 첫째 플레임부분(42)에 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활동빔(46)이 수리대(12), 유리하게는 플레임 빔(12b)에 고정될 수 있고, 그 운동수단은 복동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수리부(40)가 전단 그리고/또한 후단에서 수리장치(10)의 가로축(x)에 관하여 수리대에 부착될 수 있고, 수리부를 위한 독립적인 고정수단(12c), 유리하게는 빔들이 수리대(12)에 위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수리장치(10)은 수리대(12) 또는 고정적으로 위치된 플레임(110)에 대해 수직적으로 그것의 플레임부분(42, 70)과 함께 수리부(40)을 움직이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수리장치.
KR1019880700091A 1986-05-28 1987-05-27 차체수리장치 KR910007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62265 1986-05-28
FI862265A FI80392C (fi) 1986-05-28 1986-05-28 Riktningsanordning foer bilkaross.
PCT/FI1987/000073 WO1987007191A1 (en) 1986-05-28 1987-05-27 Car body rectify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144A KR880701144A (ko) 1988-07-25
KR910007125B1 true KR910007125B1 (ko) 1991-09-18

Family

ID=852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91A KR910007125B1 (ko) 1986-05-28 1987-05-27 차체수리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848136A (ko)
EP (1) EP0269705B1 (ko)
JP (1) JP2717083B2 (ko)
KR (1) KR910007125B1 (ko)
AU (1) AU592205B2 (ko)
CA (1) CA1304278C (ko)
CY (1) CY1649A (ko)
DE (1) DE3773622D1 (ko)
DK (1) DK170663B1 (ko)
FI (1) FI80392C (ko)
HU (1) HU203998B (ko)
NO (1) NO170673C (ko)
NZ (1) NZ220466A (ko)
RU (1) RU1782181C (ko)
WO (1) WO19870071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18B1 (ko) * 2001-02-04 2005-09-22 가부시키가이샤 스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5232C (fi) * 1986-05-28 1992-03-25 Autorobot Finland Foerfarande vid justeringen av en bilkaross och ett justeranordningsarrangemang.
JPH02102856A (ja) * 1988-09-30 1990-04-16 Les Fabrication Drolic Inc 自動車車体伸長装置
US5016465A (en) * 1989-07-03 1991-05-21 Papesh Thomas S Bench mount puller support
FI89684C (fi) * 1989-12-01 1993-11-10 Autorobot Finland Riktdon foer bilkarosseri
US5355711A (en) * 1992-08-27 1994-10-18 Chisum Finis L Vehicle lift and support having connectable body and frame measuring and straightening equipment
IL111701A (en) * 1993-12-01 1997-11-20 Autorobot Finland Equipment and method in vehicle alignment work
FI98437C (fi) * 1994-03-14 1997-06-25 Autorobot Finland Laite auton oikaisulaitteiston oikaisupöydän säätämiseksi
US5634361A (en) * 1994-05-24 1997-06-03 Advanced Machine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for straightening damaged or bent wheels
US6595407B2 (en) * 2001-10-16 2003-07-22 Unova Ip Corp. Flexible framing station tool gate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US6765664B2 (en) * 2002-01-09 2004-07-2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Laser scanner with parabolic collector
US20040045338A1 (en) * 2002-09-10 2004-03-11 Dobbins Jeffrey L. Collision repair rack
WO2004071692A1 (en) * 2003-02-06 2004-08-2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Collision repair rack
FI113848B (fi) * 2003-02-26 2004-06-30 Autorobot Finland Laitteisto ajoneuvon oikaisulaitteistossa
US7730758B1 (en) 2008-11-24 2010-06-08 Smith George D Vehicular frame straighte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6544A (en) * 1945-08-28 1951-11-27 Bee Line Co Motorcar service mechanism
US2645267A (en) * 1950-12-09 1953-07-14 Builders Ornamental Iron Compa Collision unit
DE2038362A1 (de) * 1970-08-01 1972-02-10 Stig Karlsson Richtbank zum Richten von Fahrzeugkarosserien und Rahmen
BE754521A (fr) * 1967-10-13 1971-01-18 Karlsson Stig Banc de dressage pour redresser des carrosseries et des chassisde vehicules
US3590623A (en) * 1968-07-15 1971-07-06 Applied Power Ind Inc Method for reforming and straightening members
JPS4912642B1 (ko) * 1970-02-09 1974-03-26
DE2132021C3 (de) * 1970-08-07 1981-01-15 Lionello Sommacampagna Marini (Italien) Vorrichtung, vorzugsweise Richtvorrichtung zum Ausführen der Operationen für das Ausbessern und Zurückverformen bzw. Zurückführen auf die ursprüngliche Form von z.B. verbeulten oder beschädigten Blechen von Karosseri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2145992A1 (de) * 1971-09-15 1973-03-22 Germain Celette Geraet zum richten havarierter fahrzeuge
GB1390393A (en) * 1972-07-15 1975-04-09 Marini L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s or suspensions of an automotive vehicle
AU467908B2 (en) * 1973-01-02 1975-12-18 Applied Power Industries, Inc Platform for use in repairing vehicles
FR2246322A1 (en) * 1973-10-04 1975-05-02 Transtole Straightening jig for vehicle bodywork - pivotal straightening arm fits on rails and force is applied by jack and chain
FI53930C (fi) * 1975-04-08 1978-09-11 Teuvo Olavi Venaelaeinen Som reparerings- service- och riktningsbaenk foer bil anvaendbar lyftbaenk
FI59348C (fi) * 1976-05-10 1981-08-10 Teuvo Olavi Venaelaeinen Riktanordning foer bilkarosseri
SE426660B (sv) * 1976-06-30 1983-02-07 Teuvo Olavi Veneleinen Anordning for riktnings- och reparationsarbeten pa fordon
SE8103295L (sv) * 1981-05-26 1982-11-27 Samefa Ab Anordning for att rikta deformerade fordon eller fordonsdelar
DE3136478A1 (de) * 1981-09-15 1983-03-31 Josef 8021 Strasslach Sonner "geraet zum einspannen und ausrichten unfallbeschaedigter fahrzeugkarosserien"
WO1983003373A1 (en) * 1982-03-30 1983-10-13 Westfeldt, Lars, G.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a deformed frame element of a vehicle body
US4516423A (en) * 1983-02-11 1985-05-14 Unibody Time Saver Corporation Vehicle frame clamping and support apparatus
US4586359A (en) * 1983-10-31 1986-05-06 Parks Thomas K Anchor element positioner apparatus for automobile body repair and realignment
US4542636A (en) * 1984-02-21 1985-09-24 Wright William H Bench for automotive vehicle body shops
US4555927A (en) * 1984-04-11 1985-12-03 Grace William G Apparatus for straightening vehicle structural part
EP0163216A3 (en) * 1984-05-30 1986-07-16 Hans Gramlich Automobile body straightening apparatus
JPS61128156U (ko) * 1985-01-30 1986-08-11
FI85232C (fi) * 1986-05-28 1992-03-25 Autorobot Finland Foerfarande vid justeringen av en bilkaross och ett justeranordningsarrangema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18B1 (ko) * 2001-02-04 2005-09-22 가부시키가이샤 스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62265A0 (fi) 1986-05-28
FI80392B (fi) 1990-02-28
AU592205B2 (en) 1990-01-04
EP0269705A1 (en) 1988-06-08
NO170673C (no) 1992-11-18
NZ220466A (en) 1989-08-29
DK38788D0 (da) 1988-01-27
DK170663B1 (da) 1995-11-27
FI862265A (fi) 1987-11-29
WO1987007191A1 (en) 1987-12-03
NO880348D0 (no) 1988-01-27
US4848136A (en) 1989-07-18
HU203998B (en) 1991-11-28
FI80392C (fi) 1990-06-11
DE3773622D1 (de) 1991-11-14
HUT48493A (en) 1989-06-28
JPH01500500A (ja) 1989-02-23
JP2717083B2 (ja) 1998-02-18
CA1304278C (en) 1992-06-30
DK38788A (da) 1988-01-27
KR880701144A (ko) 1988-07-25
AU7517687A (en) 1987-12-22
CY1649A (en) 1992-12-11
EP0269705B1 (en) 1991-10-09
RU1782181C (ru) 1992-12-15
NO880348L (no) 1988-03-16
NO170673B (no) 199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125B1 (ko) 차체수리장치
US3863890A (en) Lift device for small equipment
KR860000789B1 (ko) 파이프 및 관제품 취급장치
US4313335A (en) Vehicle work rack structure
US8752675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JP2660525B2 (ja) 車体修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4574614A (en) Apparatus for repairing and straightening vehicles
US4138876A (en) Truck frame alignment apparatus
EP0026167B1 (en) Operation table for big animals
US3589680A (en) Hydraulic pulley apparatus
EP0282176B1 (en) Vehicle repair and alignment rack
CN1051066A (zh) 液压步履式打压桩机
US4144973A (en) Combination hoist and mount
JPH08506277A (ja) 車体矯正装置および方法
US4348007A (en) Gripper system for moving drilling rigs
US6666282B2 (en) Impact tool carriage system
US5873615A (en) Grapple
US4862727A (en) Hois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GB2219984A (en) A manhole cover lifter
KR100277374B1 (ko) 리프트의 하강금지장치
JPS6141752Y2 (ko)
USRE30914E (en) Truck frame alignment apparatus
JPH0452239Y2 (ko)
JPS62275593A (ja) 移動テ−ブル装置におけるワ−クリフト機構
JPH07242394A (ja) 大型部品着脱用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