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618B1 -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618B1
KR100516618B1 KR10-2002-0006048A KR20020006048A KR100516618B1 KR 100516618 B1 KR100516618 B1 KR 100516618B1 KR 20020006048 A KR20020006048 A KR 20020006048A KR 100516618 B1 KR100516618 B1 KR 10051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sheet metal
piston
met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360A (ko
Inventor
이리이기요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타
Publication of KR2002006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2/00Metal deforming
    • Y10S72/705Vehicle body or frame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ctuator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과제) 피스톤의 압출, 또는 되돌리기의 도중에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판금면 수정용구를 접속하는 에어호스를 분리, 보닛 등 내측으로부터의 위치맞추기를 적절히 필요로 하는 판금개소에서도 그 수정을 확실히 하여 용이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10)과,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하우징(10)에 수용되고, 에어 도입수단(20)을 통해서 하우징내로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임팩트 렌치기구(30)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스크루볼트(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피스톤기구(80)의 피스톤의 진퇴를 도모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행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AUTOMOBILE SHEET METAL SURFACE CORRECTING EQUIPMENT}
본 발명은, 판금면을 압출하거나, 또는 끌어 당기거나 하여 판금면의 변형이나 일그러짐 등의 요철을 수정하는 판금면 수정용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에어 공급수단(예를들면 컴프레셔)을 사용하여 송입한 압축공기에 의해 임팩트 렌치기구를 작동시켜서 실린더내의 피스톤을 진퇴시키고, 판금면의 요철의 수정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고에 의해 생긴 자동차(200)의 요철을 수리하는 이러한 종류의 용구로서, 고압호스(303)를 통해서 접속된 유압펌프(310)의 핸들(311)을 조작하여 피스톤(302)을 실린더(301)에서 신장하고, 피스톤(302)의 선단에 부설한 어태치먼트(155)를 통해서 판금면의 (안쪽으로 볼록한)볼록부(350)를 압출하고(도 27, 도 29참조), 또는 고압호스(303)를 통해서 접속된 유압펌프(310)의 핸들(311)을 조작하여 피스톤(402)을 실린더(401)내에 몰입하고, 판금면의 오목부(351)를 인장하고(도 28, 도 30), 판금면의 수정을 행하는 판금면 수정공구로서, 도 27, 도 28에 도시하는 유압식 판금면 수정용구(300,400)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유압식 판금면 수정용구에 있어서는,
① 자동차용 판금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볼록부를 압출하여 수정을 행하는 압출전용의 판금면 수정용구와(도 27 및 도 29 참조), 판금면을 끌어당겨 오목부의 수정을 도모하는 끌어당기기전용의 판금면 수정용구(도 28 및 도 30 참조)의 2종류(대(臺))를 준비하여야 하고, 2대의 판금면 수정용구를 판금면의 성상(性狀)에 따라 나누어 사용할 필요가 있다.
② 판금시에 유압펌프의 오일누출이 생긴 경우에는, 누출된 오일에 의해 자동차가 오염될 염려가 있다.
③ 가압시에는 고압호스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판금면의 수정작업시에 유압펌프가 방해가 되어 판금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④ 판금작업을 양호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피스톤의 선단을 유도 판금면의 소망의 수정위치에 정확히 대는 사람과, 유압펌프에 의한 가공작업을 행하는 사람의 2인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대로 판금면의 성상에 따라 판금면을 압출하거나, 또는 끌어당기거나 하여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판금작업시에 자동차를 오염시키지 않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톤의 압출, 또는 되돌리기의 도중에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판금면 수정용구를 접속하는 에어 호스를 분리하고, 보닛 등 내측으로부터의 위치맞춤을 적절히 필요로 하는 판금개소에서도 그 수정을 확실히 하여 용이하게 진행하게 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피스톤의 선단을 유도 판금면의 원하는 수정위치에 정확히 대는 작업과, 피스톤을 압출하고, 또는 되돌리기작업을 한사람으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판금면 수정용구의 하우징에 부하가 걸리기쉬운 인출작업시에도 부하에 충분히 견디고 수명이 길고, 또한 휴대가능하게 하여 콤팩트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기구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의 진퇴를 행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과,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모터와, 이 에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임팩트 렌치기구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기구와,
상기 에어 도입수단으로부터 도입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의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에 의해 그 유로가 전환되는, 제 1의 에어 유로와 제 2의 에어 유로에 의해 2개의 에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3의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임팩트 렌치기구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기구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면을 덮는 각 덮개수단을 연결하는 탭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를 작동시킬 때에, 상기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고,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4의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과,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 모터와, 이 에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임팩트 렌치기구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기구와,
상기 에어 도입수단으로부터 도입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의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면을 덮는 각 덮개수단을 연결하는 탭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에 의해 그 유로가 전환되는, 제 1의 에어 유로와 제 2의 에어 유로에 의해 2개의 에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내부에 에어 도입로가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 핸들을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배열설치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제 1의 수용부와 제 2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수용부에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제 1의 덮개수단에 의해 덮히고, 상기 제 2의 수용부에 상기 스크루볼트의 볼트머리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제 2의 덮개수단에 의해 덮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제 1의 덮개수단의 내측벽면에 에어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한쌍의 에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제 1의 수용부의 상방에는, 부시를 끼워넣는 원통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원통구멍의 양측에는, 2개의 에어 통로가 형성되고, 한쪽의 에어 통로는, 상기 제 1의 덮개수단의 한쪽의 에어 통로와 상기 부시의 후방우측하부에 형성된 에어 유출구멍에 면하고, 타방의 에어 통로는, 상기 제 1의 덮개수단의 타방의 에어 통로와 상기 부시의 전방좌측하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 유출구멍에 면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정상면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 도입수단의 핸들에 형성된 에어 도입로에 면하는 에어 도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정상면의 구석부에는 암나사부가 나사가공 되고, 이 하우징의 정상면에는 상기 핸들의 기단부가 얹어놓여지고, 볼트에 의해 상기 에어 도입수단의 핸들의 기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정상면에 기밀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에어 도입수단은, 핸들과, 상기 핸들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에어 레귤레이터와, 상기 핸들의 저면측 중앙에 배열설치된 에어 밸브와, 이 에어 밸브의 개폐조작을 행하는 스위치레버와, 이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핸들의 저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 상기 에어 밸브를 개방상태로 형성할 때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스위치레버의 움직임을 제지하는 제지 핀과, 상기 스위치레버의 자유단부측의 오려낸 부분에 기립하여 회전운동자유로이 축지지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에어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는, 상기 에어 도입로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실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에어 밸브가, 상기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에어 밸브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레버의 정상면에 충돌접촉하면서 상방으로 밀려 올려지면, 상기 에어밸브의 밸브체는 상기 밸브실의 밸브시트에서 떠올라 개방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도입로는 연통하고, 도입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정상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 도입구멍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내로 유입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3은,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의 양단부가, 상기 부시에서 돌출하고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4는, 상기 피스톤기구는, 피스톤과, 실린더와, 피스톤가이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심구멍에 상기 스크루볼트의 숫나사부가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가 나사가공 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외주벽에는 상기 피스톤가이드편을 안내하는 안내줄홈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본원의 청구항 15는, 상기 제 1의 덮개수단과 하우징과 제 2의 덮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구석부에 삽통된 복수개의 탭볼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볼트의 선단은, 상기 제 2의 덮개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서는, 하우징내에 형성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피스톤기구를 구성하는 피스톤의 진퇴를 도모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행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는,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수단과, 하우징에 수용된 임팩트 렌치기구와,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와,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 작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의 전환은, 임팩트 렌치기구의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의 구석부에 삽통되고, 하우징의 양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는 각 덮개수단을 연결하는 탭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판금면수정용구의 사시도,
도 2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정면도,
도 3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배면도,
도 4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저면도,
도 5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끌어올린 상태에 있을 때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우측면 개략도이고, 회전방향 전환밸브를 조작하여 전방측으로 압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끌어올린 상태에 있을 때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우측면 개략도이고, 회전방향 전환밸브를 조작하여 도 5의 상태로부터 후방측으로 압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좌측면 개략도,
도 8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하우징의 후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제 1의 덮개수단인 캡의 사시도,
도 9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단면 개략도,
도 10은, 도 5의 절선 X-X 단면 확대 개략도이고, 에어 모터를 회전(반시계방향의 회전)시켜서 피스톤을 실린더내로부터 진출시킬 때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6의 절선 Y-Y 단면 확대 개략도이고, 에어 모터를 역회전(시계방향의 회전)시켜서 피스톤의 실린더내로의 수용을 마친때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5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에 있을 때에 일부를 절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단면 개략도,
도 16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구성하는 하우징, 에어 도입수단, 피스톤기구, 회전방향 전환밸브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8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구성하는 임팩트 렌치기구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을 통해서 하우징(10)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30)를 구성하는 에어 모터(4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60)와,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이 스크루볼트(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86)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와, 상기 하우징(10)의 구석부를 삽통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0A,10B)(도 10, 도 11, 도 17 참조)를 덮는 각 덮개수단(11,12)을 연결하는 탭볼트(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내에는,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에 의해 전환되는 후술하는 2개의 에어 유로(제 1의 에어 유로 및 제 2의 에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내의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기구(80)의 피스톤(81)의 진퇴를 도모 함으로써 판금면을 수정한다(판금면의 압출, 끌어당기기를 행하여 수정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반부에는 대직경의 제 1의 수용부(13A)가 형성되고, 또한, 그 전반부에는 상기 제 1의 수용부(13A)보다 약간 작은 소직경의 제 2의 수용부(13B)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도 11, 도 17 참조).
상기 하우징(10)의 제 1의 수용부(13A)에는,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와, 가이드편(35)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0A)는 제 1의 덮개수단인 캡(11)에 의해 덮혀져 있다(도 16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제 2의 수용부(13B)에는, 상기 스크루볼트(70)의 볼트머리(71)와, 스페이서(101)와, 상기 스크루볼트(70)를 원활하게 돌리도록 하는 스러스트베어링(102A,102B)과, 볼트받이(103A,103B)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0B)는 제 2의 덮개수단인 커버(12)에 의해 덮혀있다(도 16 참조).
상기 캡(11)의 내측벽면에는, 에어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한쌍의 에어 통로(11A,11B)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6, 도 8 참조).
상기 제 1의 수용부(13A)의 상방에는, 부시(65)를 끼워넣는 원통구멍(14)이 형성되고, 더욱이, 이 원통구멍(14)의 양측에는, 2개(한쌍)의 에어 통로(15,16)가 형성되어 있다(도 17 참조). 상기 에어 통로(15)는, 부시(65)의 후방우측하부에 형성된 에어 유출구멍(67)에 면하고 있고, 상기 에어 통로(16)는 상기 부시(65)의 전방 좌측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 유출구멍(68)에 면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에어 통로(15)는, 상기 캡(11)의 한쪽의 에어 통로(11A)에 면해 있고, 또한 상기 에어 통로(16)는, 상기 캡(11)의 다른쪽의 에어 통로(11B)에 면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10C)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의 핸들(21)에 형성된 에어 도입로(21C)에 면하여 에어 도입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도 9, 도 17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에어 모터(40)의 실린더(43)의 저부에 형성된 에어 도출구멍(43A)(도 18 참조)에 대응하여, 배기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더욱이,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10C)의 구석부에는 암나사부(19)가 나사가공 되고(도 17 참조), 이 하우징(10)의 정상면(10C)에는 상기 핸들(21)의 기단부가 얹어 놓이고, 볼트(95)에 의해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의 핸들(21)의 기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10C)에 기밀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은, 핸들(21)과, 상기 핸들(21)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에어 레귤레이터(23)와, 상기 핸들(21)의 저면측 중앙에 배열설치된 에어 밸브(24)와, 이 에어 밸브(24)의 개폐조작을 행하는 스위치레버(25)와, 이 스위치레버(25)를 조작하여 상기 핸들(21)의 저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 상기 에어 밸브(24)를 개방상태로 형성할 때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움직임을 제지하는(누르는) 제지 핀(26)과,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자유단부측의 오려낸 부분(25A)(도 1, 도 9 참조)에 기립하여 회전운동 자유로이 축지지된 스토퍼(27)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9는, 상기 핸들(21)의 자유단부측에 접속된 에어 호스 접속용의 커넥터이다.
상기 핸들(2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기위한 에어 도입로(21A,21B,21C)가 형성되어 있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23)는, 손잡이(23A)를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에어 레귤레어터(23)와 상기 핸들(21)의 나사맞춤의 깊고 얕음에 의해 유량조절구멍(23B)(도 9 참조)의 개구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에어 도입로(21C)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에어 밸브(24)를 구성하는 밸브체(24A)(도 9 참조)는, 상기 에어 도입로(21A 와 21B)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실(22)에 배열설치된다. 상기 에어 밸브(24)는, 상기 스위치레버(25)를 조작하여 상기 에어 밸브(24)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정상면에 충돌접촉하면서 상방으로 밀려 올려지면, 상기 에어 밸브(24)의 밸브체(24A)는 상기 밸브실(22)의 밸브시트로부터 떠올라 개방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 도입로(21A,21B,21C)는 연통하고, 도입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 도입구멍(17)(도 9, 도 17 참조)을 통해 상기 하우징(10)내로 유입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레버(25)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예를들면,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상태), 상기 에어 밸브(24)의 밸브체(24A)는 폐쇄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도입로(21A 와 21B)는 차단되어, 상기 에어 도입로(21A)로부터 에어 도입로(21B)로의 에어의 유입은 저지되어 행해지지않는다.
상기 스위치레버(25)의 기단부는, 상기 핸들(21)의 저면측 중앙에 형성된 핀삽통구멍에 삽통된 단축(28)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제지 핀(26)은, 상기 핸들(21)의 자유단부측의 하면으로부터 늘어진 좌우한쌍의 연출부(29)의 핀 삽통구멍(29A)(도 1, 도 17 참조)을 통과함으로써,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움직임을 제지한다.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 모터(40)와, 이 에어 모터(40)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 모터(40)는, 로터(41)와, 이 로터(41)에 형성된 각 슬릿(41A)에 탈착자유로이 유지된 각 블레이드(42)와, 상기 로터(41) 및 블레이드(42)를 수용하는 실린더(43)와, 상기 로터(41)를 유지하는 프론트 플레이트(44) 및 리어 플레이트(45)와, 상기 로터(41)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는 프론트 베어링 홀더(46A) 및 리어 베어링 홀더(46B)와, 공기누출을 방지하는 O링(47)과, 오일시일(4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터(41)의 로터축(41B)은, 상기 임팩트 렌치(50)를 구성하는 캠(53)의 중심축구멍(53B)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5)에는, 좌우한쌍의 에어 유입구멍(45A,45B)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에어 유입구멍(45A)보다 상방에는, 상기 에어 유입구멍(45A)을 시단(始端)으로 하는 에어 유입홈(45C)이 형성되고, 이 에어 유입홈(45C)을 통해서 압축공기는 상기 로터(41)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 에어 유입구멍(45B)보다 상방에는, 상기 에어 유입구멍(45B)을 시단으로 하는 에어 유입홈(45D)이 형성되고, 이 에어 유입홈(45D)을 통해서 역회전용의 압축공기가 상기 로터(41)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5)와 프론트 플레이트(44)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5)의 관통구멍(45E)을 통한 핀(4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임팩트 렌치(50)는, 해머(51)와, 해머프레임(52)과, 상기 로터(41)의 회전을 상기 해머(51)와 해머프레임(52)과 스핀들(54)에 전하는 캠(53)과, 상기 에어 모터(40)의 회전출력을 상기 스크루볼트(70)에 전하는 스핀들(54)(임팩트 출력샤프트)과, 상기 해머(51)의 축체를 구성하는 해머 핀(5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해머(51)에 형성된 돌출부(51A)는, 상기 캠(53)의 절결부(53A)에 헐거운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해머(51)가 상기 해머프레임(52)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B)이, 상기 스핀들(54)의 오목부(54A)에 형성되는 한쪽의 걸음 벽부(54B)에 걸음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해머(51)가 상기 해머프레임(52)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C)이, 상기 스핀들(54)의 오목부(54A)에 형성되는 다른쪽의 걸음 벽부(54C)에 걸음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54)의 선단부(54D)는, 상기 스크루볼트(70)의 볼트머리(71)에 걸어맞춤되어 있다(도 9 참조).
상기 해머 핀(55)은, 상기 로터축(41B)이 삽통하는 상기 해머프레임(52)의 중심에 형성된 삽통구멍(52A)보다 외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 축지지구멍(52B)으로 삽통되고, 상기 해머(51)의 관통구멍(51D)을 삽통하여 상기 해머프레임(52)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해머(51)는, 상기 해머 핀(55)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된다.
부호 56은 칼라이다.
상기 에어 모터(40)가 구동되어도, 당초 상기 피스톤(81)의 선단에 부하가 걸리지않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해머(51)와 해머프레임(52)과 스핀들(54)과 스크루볼트(70)는 일체로 되어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81)은 실린더(86)를 진퇴시킨다(상기 피스톤(81)이 실린더(86)에서 출현하고, 또는 실린더(86)내로 몰입한다).
그 후, 더욱 상기 피스톤(81)의 진퇴를 진행하고, 상기 피스톤(81)에 부하가 걸리도록 되어 상기 스크루볼트(7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한층 더 회전력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로터(41)의 로터축(41B)에 지지된 상기 캠(53)은, 상기 해머(51)를 일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81)을 진출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핀들(54)의 걸음벽부(54B)와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B)의 걸음이 해제되고, 상기 해머(51)는 상기 해머프레임(52)과 함께 일회전한다. 이 일회전 사이에, 상기 캠(53)의 움직임에 유도되면서 상기 해머(51)는 눌려 내려지고, 그리고 일회전 후에는, 다시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B)이 상기 스핀들(54)의 걸음 벽부(54B)에 걸음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스핀들(54)에 쇼크를 부여하고, 상기 스크루볼트(70)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스톤(81)은 더 진출한다(상기 피스톤(81)을 되돌릴 경우에는, 상기 스핀들(54)의 걸음 벽부(54C)와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C)의 걸음이 해제되고, 상기 해머(51)는 상기 해머프레임(52)과 함께 일회전한다. 이 일회전 사이에, 상기 캠(53)의 움직임에 유도되면서 상기 해머(51)는 눌려 내려지고, 그리고 일회전 후에는, 다시 상기 해머(51)의 외주단벽(51C)이 상기 스핀들(54)의 걸음 벽부(54C)에 걸음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스핀들(54)에 쇼크를 주고, 상기 스크루볼트(70)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스톤(81)은 더 되돌아간다).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대부분은, 전환의 절도가 양호한 상태에서 상기 부시(65)에 수용되고(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양단부는, 상기 부시(65)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는,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에서 도입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에어 모터(40)의 회전방향을 전환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에는 2개소의 홈부(61,62)가 형성되고(도 10, 도 11, 도 17), 이 홈부(61,62)는, 상기 하우징(10)내에 형성되는 에어 유로(후술하는 제 1의 에어 유로 및 제 2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는데 기여한다. 즉,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를 전방으로 누르면(도 10의 상태), 상기 부시(65)의 후방의 상기 홈부(61)에 에어가 흐르고, 상기 캡(11)의 에어 통로(11A)를 통과하고(도 8 참조), 에어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5)의 에어 유입구멍(45A)(도 18 참조)을 통해서, 더욱이 상기 에어 모터(40)의 에어 도입구(40A)(도 5 및 도 6 참조)로 들어가고, 상기 에어 모터(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좌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임팩트 렌치(50)의 스핀들(54)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크루볼트(70)를 돌린다. 그 결과, 상기 피스톤(81)은, 실린더(86)내에서 압출되고 진출되어 출현한다(도 1, 도 9, 도 10의 상태에서 도 12, 도 15의 상태로 이행한다).
역으로,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를 후방으로 누르면(도 11의 상태), 상기 부시(65)의 전방의 상기 홈부(62)에 에어가 흐르고, 상기 캡(11)의 에어 통로(11B)를 통해서(도 8 참조), 에어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5)의 에어 유입구멍(45B)(도 18참조)을 통과하여, 다시 상기 에어 모터(40)의 에어 도입구(40B)(도 5 및 도 6 참조)로 들어가고, 상기 에어 모터(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우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임팩트 렌치(50)의 스핀들(5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크루볼트(70)를 돌린다. 그 결과, 상기 피스톤(81)은, 실린더(86)내로 되돌려진다(도 12, 도 15의 상태로부터 도 1, 도 9, 도 10의 상태로 이행한다).
상기 부시(65)에는, 정상면 대략 중앙에 에어 유입구멍(66)이, 후방우측하부에 에어 유출구멍(67)이, 전방좌측하부에 에어 유출구멍(68)이 각각 뚫어 설치되고(도 10 및 도 11 참조),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가 전방으로 압출된 도 10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공기는, 상기 에어 유입구멍(66)과,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홈부(61)와, 상기 에어 유출구멍(67)을 통과해서, 다시, 상기 캡(11)의 에어 통로(11A)를 통과해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에어 모터(40)의 에어 도입구(40A)측으로 유도된다(도 5, 도 10 참조).
또한,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가 전방으로 압출된 도 11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공기는, 상기 에어 유입구멍(66)과,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홈부(62)와, 상기 에어 유출구멍(68)을 통과하고, 다시, 상기 캡(11)의 에어 통로(11B)를 통과해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에어 모터(40)의 에어 도입구(40B)측으로 유도된다(도 6, 도 11 참조).
이렇게 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에어 도입구멍(17), 에어 유입구멍(66), 에어 유출구멍(67), 에어 통로(15), 에어 통로(11A), 에어 유입구멍(45A), 에어 유입홈(45C)에 의해 제 1의 에어 유로가 형성되고, 또한 에어 도입구멍(17), 에어 유입구멍(66), 에어 유출구멍(68), 에어 통로(16), 에어 통로(11B), 에어 유입구멍(45B), 에어 유입홈(45D)에 의해 제 2의 에어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볼트(70)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스크루볼트(70)의 볼트머리(71)에 형성된 받이부가,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30)를 구성하는 상기 임팩트 렌치(50)의 스핀들(54)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기구(80)는, 피스톤(81)과, 실린더(86)와, 피스톤가이드편(88)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81)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심구멍에 상기 스크루볼트(70)의 숫나사부(72)가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82)가 나사가공 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외주벽에는 상기 피스톤가이드편(88)을 안내하는 안내줄홈(83)이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상기 피스톤(81)의 자유단부측에는 어태치먼트(155)(도 22 참조)를 나사부착하는 숫나사부(8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86)와 피스톤가이드편(88)은, 상기 피스톤(81)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피스톤(81)의 왕복운동을 원할하게 행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그 때 상기 실린더(86)는, 상기 피스톤(81)이 실린더내를 진퇴할 때에 상기 피스톤(81)을 안내한다.
상기 피스톤가이드편(88)은, 상기 실린더(86)의 내주벽에 나사(89)에 의해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제 1의 덮개수단(캡)(11)과 하우징(10)과 제 2의 덮개수단(커버)(12)는, 상기 하우징(10)의 구석부에 삽통된 4개의 탭볼트(90)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때문에, 상기 탭볼트(90)의 선단은, 상기 제 2의 덮개수단(12)에 형성된 암나사부(12A)에 나사맞춤한다(도 9 참조).
이제, 커넥터(9) 및 에어 호스(230)를 통해서 접속된 컴프레셔(210)에 의해 압축공기를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에 공급하면, 에어 밸브(24)가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핸들(21)내에서, 에어는 에어 도입로(21A)까지 도달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레버(25)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에어 도입로(21A,21B,21C)는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 도입구멍(17)을 통해서 에어는 상기 하우징(10)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우방향으로 눌리고 있을 때에는, 에어는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홈부(61), 상기 캡(11)의 에어 통로(11A), 상기 에어 모터(40)의 리어 플레이트(45)의 에어 유입구멍(45A)을 통과하고, 상기 블레이드(42)에 닿아서 상기 로터(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킨다.
자동차(200)의 트렁크룸(201)의 쿼터패널에 생긴 (안쪽으로 향해 볼록한)볼록부(250)의 수정을 행할 경우에는 다음의 조작을 행한다(도 19 내지 도 21 참조).
① 필요에 따라,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에 어태치먼트(150,155,160)를 부설한다(도 19, 도 20, 도 22).
② 커넥터(9)와 에어 호스(230)를 통해서, 컴프레셔(210)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를 접속한다(도 21).
③ 판금수정을 행하는 볼록부(250)에 어태치먼트(155)를 정확히 댄다(도 21).
④ 스위치레버(25)를 조작하여, 피스톤(81)을 압출하고 볼록부(250)를 수정한다.
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① 내지 ④의 커다란 조작을 하여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가 판금면(볼록부(250))에서 빠지지않도록 세팅한 후에, 에어 호스(230)의 중간에 부착한 에어 ON·OFF스위치(220)를 일단 OFF로 하고, 스위치레버(25)를 끌어 올린채 제지 핀(26)으로 스위치레버(25)를 누르고, 그 후, 에어 ON·OFF스위치(220)를 온으로 하여 원격조작하도록 해도 좋다.
자동차(200)의 도어패널(202)의 오목부(251)를 끌어 당겨서 오목부를 끌어내서 수정(평탄하게 하는)을 행할 경우에는 다음의 조작을 행한다(도 23 내지 도 26 참조).
① 커넥터(9)와 에어 호스(230)를 통해서, 컴프레셔(210)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를 접속한다.
② 에어 ON·OFF스위치(220)를 조작하여, 피스톤(81)을 압출한 상태로 세팅한다(도 23).
③ 어태치먼트(160,170)를 통해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에 체인(180)을 부착한다(도 23 및 도 24).
④ 한쪽의 체인(180)의 선단을 고정된 지주(190)에, 다른쪽의 체인(180)의 선단을 끌어내려고 하는 도어패널(202)측에 접속한다(도 25 참조).
⑤ 에어 ON·OFF스위치(220)를 조작하여, 피스톤(81)을 실린더내에 몰입시키고 오목부(251)를 끌어당겨 내어 오목부(251)를 수정한다(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1)는 도 25의 상태로부터 도 26의 상태로 이행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① 1대로 판금면의 성상에 따라 판금면을 압출하거나, 또는 끌어당기거나 하여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할 수 있다.
② 판금작업시에 판금개소를 오염시키는 일없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③ 피스톤의 압출 또는 되돌리기작업의 도중에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접속하는 에어 호스를 분리하여도 부하가 걸린 피스톤의 위치를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보닛이나 트렁크룸 등과 같이, 판금작업의 도중에 실제로 보닛 등을 폐쇄하여 내측으로부터의 위치맞춤의 확인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확실하고 용이하게 판금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판금도중에 에어 호스를 분리하여 보닛 등을 폐쇄하고 판금상태를 차례대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스위치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피스톤기구가 작동하는 에어식이기 때문에, 피스톤의 선단을 판금면의 원하는 수정위치로 유도하는 작업과, 피스톤의 압출 또는 되돌리기작업을 한사람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⑤ 하우징의 구석부에 삽통되고,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는 각 덮개수단을 연결하는 탭볼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을 경량의 소재로 형성하여도, 판금면 수정용구의 하우징에 부하가 걸리기 쉬운 끌어내기 작업시에도 부하에 충분히 견디어 수명이 길고, 또한 휴대가능한 콤팩트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가 얻어진다.
⑥ 피스톤의 압출, 또는 되돌리기를 원터치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끌어올린 상태에 있을 때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우측면 개략도이고, 회전방향 전환밸브를 조작하여 전방측으로 압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스위치레버를 조작하여 끌어올린 상태에 있을 때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우측면 개략도이고, 회전방향 전환밸브를 조작하여 도 5의 상태로부터 후방측으로 압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좌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하우징의 후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제 1의 덮개수단인 캡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단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절선 X-X 단면 확대 개략도이고, 에어 모터를 회전(반시계방향의 회전)시켜서 피스톤을 실린더내로부터 진출시킬 때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절선 Y-Y 단면 확대 개략도이고, 에어 모터를 역회전(시계방향의 회전)시켜서 피스톤의 실린더내로의 수용을 마친때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피스톤이 뻗은 상태에 있을 때에 일부를 절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단면 개략도이다.
도 16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구성하는 하우징, 에어 도입수단, 피스톤기구, 회전방향 전환밸브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구성하는 임팩트 렌치기구의 각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스위치레버를 조작한 상태에서 제지 핀에 의해 스위치레버가 정지되고, 더욱이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자동차의 트렁크룸의 쿼터패널의 오목부를 압출하여 수정하고 있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개략도이다.
도 22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필요에 의해 부설하는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스위치레버를 조작한 상태에서 제지 핀에 의해 스위치레버가 정지되고, 더욱이 피스톤이 뻗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스위치레버를 조작한 상태에서 제지 핀에 의해 스위치레버가 정지하고, 더욱이 피스톤이 실린더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자동차의 도어패널의 오목부를 끌어당겨서 수정하고 있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개략도이다.
도 26은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자동차의 도어패널의 오목부를 인출하여 수정한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개략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a)는 피스톤이 나가기 전의 상태를, (b)는 피스톤이 나간 상태의 도면이다.
도 28은 종래의 다른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a)는 피스톤이 나간 상태를, (b)는 피스톤이 들어간 상태의 도면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하는 종래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트렁크룸의 쿼터패널의 오목부를 압출하여 수정하고 있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개략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하는 종래의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트렁크룸의 쿼터패널의 오목부를 인출하여 수정하고 있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0; 하우징
20; 에어 도입수단 21A; 에어 도입로
21B; 에어 도입로 21C; 에어 도입로
30; 임팩트 렌치기구 40; 에어 모터
50; 임팩트 렌치 60; 회전방향 전환밸브
70; 스크루볼트 80; 피스톤기구
81; 피스톤 86; 실린더
90; 탭볼트

Claims (15)

  1. 하우징(10)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21A,21B,21C)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86)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의 진퇴를 도모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2. 하우징(10)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21A,21B,21C)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 모터(40)와, 이 에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5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86)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와,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으로부터 도입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의 에어 모터(4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6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에 의해 그 유로가 전환되는, 제 1의 에어 유로(17, 66, 67, 15, 11A, 45A, 45C)와 제 2의 에어 유로(17, 66, 68, 16, 11B, 45B, 45D)에 의한 2개의 에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3. 하우징(10)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21A,21B,21C)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면을 덮는 각 덮개수단(11,12)을 연결하는 탭볼트(90)를 구비하고,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를 작동시킬 때에, 상기 하우징내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고,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4. 하우징(10)과,
    이 하우징내에 압축공기를 도입하는 에어 도입로(21A,21B,21C)를 구비한 에어 도입수단(20)과,
    상기 하우징내에 송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 모터(40)와, 이 에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임팩트 렌치(5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임팩트 렌치기구(30)와,
    이 임팩트 렌치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루볼트(70)와,
    이 스크루볼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내를 출몰자유로이 가동하는 피스톤(81)을 구비한 피스톤기구(80)와,
    상기 에어 도입수단으로부터 도입되는 압축공기의 에어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의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회전방향 전환밸브(60)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면을 덮는 각 덮개수단(11,12)을 연결하는 탭볼트(9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에 의해 그 유로가 전환되는, 제 1의 에어 유로(17, 66, 67, 15, 11A, 45A, 45C)와 제 2의 에어 유로(17, 66, 68, 16, 11B, 45B, 45D)에 의한 2개의 에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기구의 피스톤을 작동하고, 판금면의 수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도입수단을, 내부에 에어 도입로가 형성된 핸들(21)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 핸들을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제 1의 수용부(13A)와 제 2의 수용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수용부(13A)에 상기 임팩트 렌치기구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0A)는 제 1의 덮개수단(11)에 의해 덮히고, 상기 제 2의 수용부(13B)에 상기 스크루볼트의 볼트머리(71)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0B)는 제 2의 덮개수단(12)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덮개수단(11)의 내측벽면에 에어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한쌍의 에어 통로(11A,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수용부(13A)의 상방에는, 부시(65)를 끼워넣는 원통구멍(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원통구멍(14)의 양측에는, 2개의 에어 통로(15,16)가 형성되고, 한쪽의 에어 통로(15)는, 상기 제 1의 덮개수단(11)의 한쪽의 에어 통로(11A)와 상기 부시(65)의 후방우측하부에 형성된 에어 유출구멍(67)에 면하고, 다른쪽의 에어 통로(16)는, 상기 제 1의 덮개수단(11)의 다른쪽의 에어 통로(11B)와 상기 부시(65)의 전방좌측하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 유출구멍(68)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10C)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의 핸들(21)에 형성된 에어 도입로(21C)에 면하는 에어 도입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10C)의 구석부에는 암나사부(19)가 나사가공 되고, 이 하우징(10)의 정상면(10C)에는 상기 핸들(21)의 기단부가 얹어놓이고, 볼트(95)에 의해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의 핸들(21)의 기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정상면에 기밀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도입수단(20)은, 핸들(21)과, 상기 핸들(21)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에어 레귤레이터(23)와, 상기 핸들(21)의 저면측 중앙에 배열설치된 에어 밸브(24)와, 이 에어 밸브(24)의 개폐조작을 행하는 스위치레버(25)와, 이 스위치레버(25)를 조작하여 상기 핸들(21)의 저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 상기 에어 밸브(24)를 개방상태로 형성할 때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움직임을 제지하는 제지 핀(26)과,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자유단부측의 오려낸 부분(25A)에 기립하여 회전운동 자유로이 축지지된 스토퍼(2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24)를 구성하는 밸브체(24A)는, 상기 에어 도입로(21A)와 도입로(21B)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실(22)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에어 밸브(24)가, 상기 스위치레버(25)를 조작하여 상기 에어 밸브(24)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레버(25)의 정상면에 충돌접촉하면서 상방으로 밀려 올려지면, 상기 에어 밸브(24)의 밸브체(24A)는 상기 밸브실(22)의 밸브시트로부터 떠올라 개방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도입로(21A,21B,21C)는 연통하고, 도입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정상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 도입구멍(17)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0)내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전환밸브(60)의 양단부가, 상기 부시(65)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기구(80)는, 피스톤(81)과, 실린더(86)와, 피스톤가이드편(88)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81)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심구멍에 상기 스크루볼트(70)의 숫나사부(72)가 나사맞춤하는 암나사부(82)가 나사가공 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외주벽에는 상기 피스톤가이드편(88)을 안내하는 안내줄홈(8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1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덮개수단(11)과 하우징(10)과 제 2의 덮개수단(12)은, 상기 하우징(10)의 구석부에 삽통된 복수개의 탭볼트(90)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볼트(90)의 선단은, 상기 제 2의 덮개수단(12)에 형성된 암나사부(12A)에 나사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KR10-2002-0006048A 2001-02-04 2002-02-02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KR100516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9453A JP4182506B2 (ja) 2001-02-04 2001-02-04 板金面修正用具
JPJP-P-2001-00069453 2001-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360A KR20020065360A (ko) 2002-08-13
KR100516618B1 true KR100516618B1 (ko) 2005-09-22

Family

ID=1892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48A KR100516618B1 (ko) 2001-02-04 2002-02-02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9092B2 (ko)
EP (1) EP1228821B1 (ko)
JP (1) JP4182506B2 (ko)
KR (1) KR100516618B1 (ko)
AT (1) ATE246559T1 (ko)
CA (1) CA2369508C (ko)
DE (1) DE60200013T2 (ko)
ES (1) ES220360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61A (ko) * 2021-02-23 2022-08-30 박수철 자동차 판넬 덴트 복원용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6968D0 (en) * 1999-11-15 2000-01-12 Univ London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US7313942B2 (en) * 2004-05-27 2008-01-01 Dextra Asia Co., Ltd. Forging machine for the upsetting of deformed reinforcement bars
EP1658907A1 (en) * 2004-11-17 2006-05-24 Dino Sodini Device for correcting damaged vehicle body sheets
NL2004821C2 (nl) * 2010-06-04 2011-12-06 Holmatro Ind Equip Inrichting met een cilinder, zoals een spreidvijzel.
JP5716889B2 (ja) 2010-10-11 2015-05-13 株式会社スター 通電機構を有する板金用引出し具
US8727317B2 (en) * 2011-05-23 2014-05-20 Lukas Hydraulik Gmbh Rescue cylinder
US8899553B2 (en) * 2012-06-05 2014-12-02 Power Hawk Technologies, Inc. Power door opener
EP3552727A1 (en) 2018-04-08 2019-10-16 Star Co., Ltd. Drawing-out tool for sheet metal
ES2737100B2 (es) * 2018-07-03 2020-07-23 Univ Extremadura Procedimiento para desencajar elementos encajables entre si y dispositivo para dicho procedimiento
CN110252854A (zh) * 2019-07-29 2019-09-20 长春市汇腾机电设备有限公司 利用压缩空气产生自锤力的自锤装置
IT202100030347A1 (it) * 2021-11-30 2023-05-30 Spanesi S P A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elle ammaccature presenti sulla carrozzeria di un veicolo
CN116765198B (zh) * 2023-05-04 2024-01-26 东莞海雅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钣金加工用冲压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9767A (en) * 1971-04-19 1975-03-11 Applied Power Ind Inc Method of reforming and straightening members
US5016464A (en) * 1988-12-22 1991-05-21 Garda Impranti Apparatus for repairing accident-damaged bodies in motor vehicles
KR910007125B1 (ko) * 1986-05-28 1991-09-18 오토로버트 핀란드 케이와이 차체수리장치
JPH0920214A (ja) * 1995-07-05 1997-01-21 Nakamura Giken:Kk 車両用修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489A (en) 1956-12-03 1958-12-09 George D Priest Pulling tool for straightening fenders and bodies
US3395561A (en) * 1968-01-08 1968-08-06 Equipment R Lague Limitee Straightener for defromed sides of railroad carriers
US3545250A (en) 1968-10-03 1970-12-08 George Curtis Jones Body dent removing apparatus
US3662994A (en) * 1970-08-12 1972-05-16 Melvin Johns Push-pull jack apparatus
US3891187A (en) * 1973-10-19 1975-06-24 Jr Richard D Bearden Portable rescue device
US3922902A (en) * 1973-12-06 1975-12-02 Hinson Virgil Dent removal device
US4495789A (en) * 1982-10-18 1985-01-29 Peter Ivanov Frame-straightening device
DE3241902C1 (de) * 1982-11-12 1984-01-2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ichten von Bauteilen
US4495791A (en) 1983-05-06 1985-01-29 Kemnitz Jerry E Dent removing pneumatic puller
IL80536A (en) * 1986-11-07 1990-11-05 Mordechai Yirmiyahu Device for force-opening doors
US4914942A (en) 1989-01-27 1990-04-10 Kosei Ishihara Weld washer for vehicular body dent repair
US4930335A (en) 1989-07-03 1990-06-05 Kosei Ishihara Lever-type auto body dent puller
JPH0750010Y2 (ja) 1991-11-24 1995-11-15 光政 石原 板金用引出し具
DE9315560U1 (de) 1993-10-07 1994-01-13 Storz Gmbh Ausbeulvorrichtung
US5431039A (en) * 1993-11-09 1995-07-11 Gth, Inc. Fender well press
JP2855421B2 (ja) 1996-01-15 1999-02-10 光政 石原 板金用引出し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9767A (en) * 1971-04-19 1975-03-11 Applied Power Ind Inc Method of reforming and straightening members
KR910007125B1 (ko) * 1986-05-28 1991-09-18 오토로버트 핀란드 케이와이 차체수리장치
US5016464A (en) * 1988-12-22 1991-05-21 Garda Impranti Apparatus for repairing accident-damaged bodies in motor vehicles
JPH0920214A (ja) * 1995-07-05 1997-01-21 Nakamura Giken:Kk 車両用修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61A (ko) * 2021-02-23 2022-08-30 박수철 자동차 판넬 덴트 복원용 공구
KR102442145B1 (ko) 2021-02-23 2022-09-07 박수철 자동차 판넬 덴트 복원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8821A1 (en) 2002-08-07
CA2369508C (en) 2007-04-17
DE60200013D1 (de) 2003-09-11
EP1228821B1 (en) 2003-08-06
US20020104365A1 (en) 2002-08-08
ATE246559T1 (de) 2003-08-15
JP2002224749A (ja) 2002-08-13
CA2369508A1 (en) 2002-08-04
JP4182506B2 (ja) 2008-11-19
KR20020065360A (ko) 2002-08-13
DE60200013T2 (de) 2004-05-19
US6679092B2 (en) 2004-01-20
ES2203602T3 (es) 200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618B1 (ko) 자동차용 판금면 수정용구
EP1250217B1 (en) Pneumatic rotary tool
JP4487856B2 (ja) エア工具
US6796386B2 (en) Pneumatic rotary tool
US7100373B2 (en) Hydraulic tool
WO2000021719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serrage de clef a impulsion hydraulique
US4821555A (en) Hydropneumatic gun for setting blind-rivet nuts
US7146900B1 (en) Composite operation type actuator
EP0609044A1 (en) An air valving mechanism, in combination with a double diaphragm pump subassembly
JP4310554B2 (ja) 板金面修正用具
US6192781B1 (en) Assembly for reversing a fluid driven motor
JP4984487B2 (ja) 空気圧式ネジ打込み機の打込み力調整機構
WO2010147207A1 (ja) 衝撃式締付工具
EP0246736A1 (en) Pneumatic double acting piston and cylinder device
CN210770574U (zh) 一种带有手动切换装置的气动执行器
ITMI20060834A1 (it) Apparecchiatura di posizionamento e bloccaggio,con copertura regolabile del braccio di lavoro.
JP6394117B2 (ja) 空気圧工具
US11819972B1 (en) Pneumatic machine tool
US6796161B2 (en) Fastening device of a punch assembly for a pneumatic tool
EP3865714B1 (en) Arrangement comprising an accelerator-equipped pneumatic cylinder
CN216022731U (zh) 破拆工具
EP4357079A1 (en) Screw driving machine
JP4089583B2 (ja) 圧縮空気ねじ締め機
CN114406769A (zh) 一种三位驱动油缸及附件头夹紧机构
JPH0957655A (ja) 携帯用油圧式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