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52B1 -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52B1
KR910003952B1 KR1019870005633A KR870005633A KR910003952B1 KR 910003952 B1 KR910003952 B1 KR 910003952B1 KR 1019870005633 A KR1019870005633 A KR 1019870005633A KR 870005633 A KR870005633 A KR 870005633A KR 910003952 B1 KR910003952 B1 KR 91000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top
stem
ho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281A (ko
Inventor
룬 시미트 구두
Original Assignee
룬 시미트 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63618973 external-priority patent/DE361897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3621380A external-priority patent/DE3621380C2/de
Priority claimed from DE3708564A external-priority patent/DE3708564C2/de
Application filed by 룬 시미트 구두 filed Critical 룬 시미트 구두
Publication of KR88000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제 1 도는 분해상태로 나타낸 위치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제 2 도와 제 3 도는 제 1 도와 동일한 관점에서 본 다른 실행 형태.
제 4 도는 제 1 도에 나타난 방향 전환 장치를 원근법으로 나타낸 조립상태도.
제 5 도는 절단선 V-V를 따라서 본 단면도.
제 6 도는 정면에서 본 4번째 방향 전환 장치인데, 벨트 방향 전환 장치가 없다.
제 7 도는 제 6 도의 선Ⅶ-Ⅶ를 따라서 단면으로 본 동일한 도면인데, 벨트 방향 전환 장치가 있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선 Ⅷ-Ⅷ 방향으로 본 개별 부품들.
제 9 도는 평행하게 원근법으로 나타낸 5번째 방향 전환 장치.
제 10 도는 분해상태에서 본 동일한 도면.
제 11 도는 종단면으로 본 동일한 도면.
제 12 도는 정면에서 본 6번째 방향 전환 장치이지만, 벨트 방향 전환 장치가 없다.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선Ⅷ-Ⅷ의 단면에서 본 동일한 도면인데, 벨트 방향 전환 장치가 있다.
제 14 도는 제 12 도의 선ⅩⅣ-ⅩⅣ를 따라서 횡단면으로 본 동일한 도면.
제 15 도는 다른 방향 전환 장치를 원근법으로 설명한 것.
제 16 도는 제 15 도의 방향 전환 장치에 나타난 개별 부품의 변이 형태.
제 17 도는 제 15 도의 방향 전환 장치를 달리 개선한 것인데, 원근법으로 설명되어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궤도 2 : 고정구멍
3 : 긴 구멍 4 : 활대
5 : 스프링 부품 6 : 제 1 끝 부품
8 : 확대된 머리 9 : 제 2 끝부품
10 : 돌출멈추개 11 : 제 2 안내부품
13 : 고정나사 14 : 벨트방향 전환 장치
15 : 어깨 16 : 케이스
17 : 멈추개 18 : 가장자리 부품
19 : 멈추개 20 : 가장자리 부품
21 : 버팀대 22 : 가로대
23 : 끝부품 24 : 볼트
25 : 구멍 29 : 안전벨트
30 : 고리쇠 31 : 틈
32 : 굽은 모서리 34 : 죔쇠
35 : 틈 36 : 속이빈 받침대
37 : 활대 삽입구멍 38 : 틈
39 : 강화판 40 : 가장자리 부품.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에 해당하는데, 이 장치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많은 멈추개를 가지면서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궤도와, 돌출부를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궤도에 받쳐지고 궤도의 멈추개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물고 있는 돌출멈추개가 있으며 용수철의 힘에 대항하면서 멈추개로부터 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활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활대에는 그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향한 나사 구멍이 있는데, 벨트 방향 전환 장치를 받치고 있는 고장나사가 이 나사 구멍에 결합된다.
기존의 이러한 종류의 방향 전환 장치에서는, 궤도가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도록 깍아서 만든 멈추개를 가지고 있으며, 멈추개 사이에 있는 궤도 부분들은 궤도의 뒤쪽으로 굽어 있다.
활대는 타원형의 고리가 용접된 철판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미끄럼 홈의 최대폭은 궤도의 폭보다 더 크고, 멈추개가 끼워진 홈의 폭은 궤도의 두께에 상응한다. 활대에는 궤도의 멈추개에 맞는 돌출 멈추개가 만들어져 있다. 궤도는 활대를 통해서 세로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꽂혀 있기 때문에, 돌출 멈추개는 멈추개의 홈과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합성수지로 만들어 조립된 미끄럼 장치와 판스프링이 활대에 끼워지기 때문에, 서로 마주 위치한 멈추개 부품은 판스프링의 영향하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활대의 전면에는 벨트 방향 전환 장치를 연결시키기 위해 내부 나사가 있는 슬리브가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활대가 멈추개가 없는 궤도의 삽입용 끝부품쪽으로 밀쳐졌을 때 활대의 위치가 궤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조정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를 제조하고 또 그 개별 부품들을 조립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비싸다.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서 설명된 종류의 장치를 개량시켜 제작 및 조립을 현저하게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싸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궤도에는 이 궤도를 따라서 벗어난 긴 구멍이 있다. 활대는 궤도의 배면에 접해 있고, 또 이 활대에는 긴 구멍을 통해 조립되고 긴 구멍내에서 이동되면서 미끄러지고 궤도의 전면에 지탱되는 제1끝부품이 있다.
활대의 다른 제2끝부품은 스프링 힘과 반대로 궤도가 세로 방향을 가로 질러 진행하는 궤도의 주위로 제한적으로 기울수 있도록 받쳐지고 또 이 끝부품에는 궤도와 함께 작용하는 돌출 멈추개가 있다.
또한 양쪽 끝부품 사이의 활대에는 궤도의 긴 구멍에 물리면서 벨트 방향 전환 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나사 구멍을 가진 제2안내부품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궤도의 멈추개는 활대의 전체 이동로에 걸쳐 분산되어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명된 본 발명 장치는 근본적으로 다만 3개의 개별 부품으로만 만들어지는데, 다시 말해서 1개의 궤도, 1개의 활대 1개의 스프링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활대는 종래의 것보다 근본적으로 더 간단한 형태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훨씬 더 간단해지고 비용도 더 싸진다.
동시에 활대의 전체이동로에 걸쳐서 궤도에 대해서 활대가 궤도와 더불어 형태에 알맞게 멈추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기능의 안전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활대의 제1끝부품이 궤도의 하부 끝부분을 향하도록 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조 기술뿐만 아니라 조립에 유리한 활대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하는데 있다.
활대는 근본적으로 평편한 철판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두께는 궤도의 긴 구멍의 폭보다 작다. 나아가서 제1끝부품은 해머의 머리 모양으로 직각으로 굽혀지게 깍아 만든 돌출부로 만들어지는데, 이 돌출부는 긴 구멍을 관통하여 그 확대된 머리와 더불어 궤도의 외부쪽에 접한다. 그리고 철판의 제2끝부품에는 최소한 하나의 돌출멈추개가 설치되는데 특히 궤도측의 멈추개 형태에 맞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특히 활대의 제2안내부품은 이 안내부품으로부터 가로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부품은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여기에 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나사 구멍이 만들어져 있다.
여기서 안내부품은 활대에 형태에 맞게 만들어진다. 나아가서 고부하에 견디면서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활대가 궤도와 연결되도록 하려면 궤도안에 있는 긴 구멍의 양쪽에 궤도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일련의 멈추개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고, 또 활대의 제2끝부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궤도쪽으로 고정되며 위치와 형태와 칫수에 따라서 멈추개에 맞는 돌출멈추개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유리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유리한 형태가 청구범위 7-9항에 나타나 있다.
필연적으로 활대를 궤도와 함께 강제적으로 멈추게 하는 스프링부품을 제조 뿐만 아니라 조립을 고려할 때 아주 유리하고 위치가 올바르고 위치가 안전하게 되도록 모양을 만들고 배치한 것은 청구범위 10항과 11항에 그 특징이 나타나 있다.
기능의 안전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스프링 부품이 활대의 배면에 고정되어 스프링 장력을 받는 상태에서 궤도와 활대에 평행하게 세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된 버팀대에 지탱되는 것이 유리하다.
스프링 부품이 접촉없이 멈춤 궤도쪽으로 설치되어 활대가 이동되지 않을 때에는 멈춤 궤도의 영향을 받아서 멈춤 궤도와 상대적으로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면 유리하다.
나아가서 본 과제의 의미에서 보면, 판스프링이 스프링 부품으로 설치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 판스프링에는 알맞는 형태로 만들어져 활대에 물리는 집게가 구성되어 있다.
제조 기술뿐만 아니라 조립에 유리한 스프링 부품과 스프링 버팀대의 형태는 청구범위 14-16항에 나타나 있다. 멈추개가 있는 궤도에서 활대가 직선으로 보다 잘 유도될 수 있도록 만든 다른 유리한 형태는 청구범위 17항에 나타나 있다. 차량에 설치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에서 제조 및 조립을 더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능의 안전성도 높일 수 있는 대체 장치는, 멈추개가 있는 궤도와, 멈추개에서 멈추개를 따라서 고정되고 스프링 힘을 이용해 궤도의 멈추개 안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물려 있으며 벨트 방향 전환 장치를 받치고 있는 활대로 구성되는데, 이 대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활대의 한쪽 끝부품은 궤도의 두께 주위로 직각으로 굽혀져 있고, 활대는 그 직각으로 굽혀진 범위내에 궤도 삽입구멍을 갖추고 있는데, 이 삽입구멍을 통해서 궤도가 삽입되기 때문에 직각으로 굽혀진 활대의 한쪽 끝부품은 궤도의 전면에 접하게 된다.
그 반면에 다른 하나의 활대 끝부품은 궤도의 배면에서 지탱되어 최소한 활대 끝부품에 궤도의 멈추개 구멍에 물려지는 돌출 멈추개가 설치되고 또 벨트 방향 전환 장치는 제2의 활대 끝부품을 물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청구범위 19-22에 나타나 있다. 이 장치도 한편에서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활대가 기울기만 하면 활대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열된 모서리 멈춤 궤도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안전벨트가 견인 부하를 받을 때 활대의 돌출 멈추개가 필연적으로 차단 위치로 밀쳐진다. 그 이외에 여기에서는 지금까지 활대와 벨트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필요하던 나사 결합이 없어지게 된다.
방향 전환 장치가 과중한 부하를 받아서 그 결과로 궤도가 휘거나 마모되더라도 돌출 멈추개가 안전하게 물려지도록 하기 위해서, 궤도의 전면에 접해서 궤도를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유도되는 형태가 안정된 고리쇠를 활대에 고정시킬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 고리쇠는 궤도의 양쪽 세로 방향에 있는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끝부품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활대는 그 정면과 함께 고리쇠의 배면과 마주 설치되도록 할 것이 제안되었는데, 여기에서는 고리쇠와 궤도와 세로 방향에 있는 가장자리 구성체를 에워싸는 고리쇠의 끝부품의 길이가 대략 궤도에서 인접한 2개의 멈추개 범위에 상응한다. 또한 궤도의 세로 방향에 있는 가장자리 부품을 에워싸는 고리쇠의 끝부품은 최소한 활대의 돌출 멈추개와 대략 같은 수평면에 설치되도록 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부터 벗어나 변형된 방향 전환 장치가 과중한 부하를 받을 때에 최소한 고리쇠 부분에서 궤도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반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궤도가 변형되더라고 활대의 돌출 멈추개는 궤도의 멈추개 안으로 충분히 깊게 물려질 수 있다.
제조 기술뿐만 아니라 조립에 유리한 형태는 다음과 같이 하는데 있다. 벨트 방향 전환 장치의 고정나사를 이용해 고리쇠가 활대에 고정되는데, 이 고정나사는 그것에 맞는 고리나사의 틈에 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나사에는 고리쇠의 틈 가장자리와 함께 작용하면서 활대가 기울어지는 길을 제한하는 어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과제의 의미에서 볼 때 활대는 세로로 뻗쳐진 궤도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뒤로 나란히 배열된 두쌍의 돌출멈추개를 갖추는 것이 유리하다.
방향 전환 장치의 기능을 더욱 개선시키는 유리한 형태는 고리쇠의 전면과 벨트 방향 전환 장치 사이에 장력을 가지고 매달린 휨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인데, 이 휨 스프링의 궤도의 긴 구멍쪽으로 에워싸여 긴 구멍과 활대에 물려진 끝부품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서 스프링 부품은 궤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마찰없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품과 궤도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밀려지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데, 이 스프링 부품과 궤도는 스프링 부품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 기준 위치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스프링 부품과 그 설치에서 나타난 다른 유리한 형태는 청구범위 28항과 29항에 그 특징이 나타나 있다.
상황에 따라서 유리한 다른 발전된 우수한 형태는, 궤도가 긴 구멍 및 멈추개와 더불어 차체의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또 차체에는 긴 구멍 가까이 활대 조립 구멍이 설치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이렇게 되면 궤도의 제조가 따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 대한 다른 우수한 형태는 청구범위 31-36항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제 8 도 및 제 12 도-제 14 도에 나타난 모든 방향 전환 장치에서 직선 궤도(1)는 그 끝부분에 설치된 고정구멍(2)를 가지고 또 고정구멍(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궤도를 따라 진행하는 긴 구멍(3)을 가지고 있는데 이 궤도는 각각 궤도(1)를 따라서 제한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받쳐진 활대(4) 및 스프링 부품(5)와 공동으로 작동한다. 나중에 다시 설명하면 제 9 도-제 11 도의 방향 전환 장치에서는 긴 구멍(3)이 없는 궤도(1)가 있다.
활대(4)는 철판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 철판의 두께는 긴 구멍(3)의 폭보다 작다. 근본적으로 평편하며 궤도(1)의 뒷면에 접해 있는 활대(4)에는 해머의 머리 모양으로 직각으로 굽혀지게 깍아 만든 제1끝부품(6)이 있는데, 이 끝부품은 근소한 운동을 하면서 긴 구멍(3)에 맞물리며 그 확대된 머리(8)로 궤도(1)의 전면에 접해 있다. 활대(4)의 다른 제 2 부품(9)에는 각각 2개의 돌출멈추개(10)가 배열되어 있다. 활대의 양쪽 끝부품(6)과 (9)사이에서는, 제2의 안내부품(11)이 후자의 끝부품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케이스는 활대(4)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긴 구멍(3)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있다.
제 2 안내부품의 축방향의 구멍은 나사구멍(12)로 만들어져 있다. 이 나사구멍안에는 무엇보다도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나사(13)가 박혀 있는데, 이 고정나사를 이용해서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가 활대(4)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도-제 5 도에 의하면, 긴 구멍(3)으로부터 정면으로 돌출한 제2안내부품(11)의 절단부 위에는 나사 압력스프링으로 만들어진 스프링부품(5)가 꽂혀 있는데, 이 스프링 부품은 스프링에 매여 한쪽에서는 궤도1의 전면에서, 다른 한쪽에서는 유도부품911)의 비어 있는 끝부분에 설치된 어깨(15)에 지탱된다.
어깨로는 구멍이 뚫리고 고정나사(13)에 의해 맞물려진 원판이 갖추어져 있다. 어깨(15)와 고정나사(13)의 머리 사이에는 간격유지케이스(1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간격 유지 케이스의 길이는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에서 고정나사(13)에 의해 맞물려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크기 때문에, 고정나사(13)를 이용해서 간격유지 케이스(16)와 원판으로 만들어진 어깨(15)는 마찰에 알맞도록 제2안내부품(11)의 비어 있는 정면쪽에 매어질 수 있다. 이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가 회전 운동을 하면서 지탱되는 것은 그대로 유지된다.
제 1,4,5 도에서는 궤도(1)안의 긴 구멍(3)의 양쪽에 각각 멈추개(10)에 맞추어진 구멍을 만드는 일련의 멈추개(17)이 설치되어 있는데, 활대(4)가 밀쳐져서 돌출 멈추개가 이2개의 멈추개(17)을 지나갈 때 돌출 멈추개(10)은 스프링 부품(5)의 영향을 받아 필연적으로 멈추개에 물려진다.
이러한 종류의 멈추개 결합을 의도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고정나사(13)의 축방향으로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를 누르기만 하면 되는데, 이때 활대(4)에 있는 상부의 제2끝부품(9)은 제1끝부품(6)의 머리(8) 주위로 선회하여 궤도(1)의 배면으로부터 들려지고 동시에 돌출 멈추개(10)은 멈추개(17)로부터 빠져 나온다.
제 2 도에서는 멈추개 구멍(17) 대신에 궤도(1)에 있는 세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 부품(18)이 활대(4)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는데 형태와 위치와 칫수에서 볼 때 돌출 멈추개(10)에 상응하는 멈추개(19)가 활대안으로 형태가 맞게 만들어져 있다.
제 3 도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긴 구멍(3)에 있는 세로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 부품(20)이 활대(4)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또한 깍아서 만들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으며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 부품(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 설치된 멈추개(19)를 많이 갖추고 있다.
멈추개(17)와 멈추개(20)는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면서 궤도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방향이 잡혀진 톱니를 가지고 있으며, 돌출 멈추개(10)의 톱니는 멈추개에 상응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제 6 도-제 8 도에 타나난 방향 전환 장치는 근본적으로 제 1 도의 그것과 상응한다. 따라서 최소한 서로 근사하게 동일한 부품들은 제 1 도에 나타난 방향 전환 장치의 해당 명칭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제 6 도-제 8 도에 나타난 방향 전환 장치에는 몇가지 다른 점이 있다.
그래서 활대(4)의 상부 끝부품(9)은 긴 구멍(3)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되는 굴곡부(9')에서 끝난다. 나아가서 스프링 부품(5)은 판스프링으로 만들어지고, 활대(4)의 조종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세로 방향으로 뻗쳐 있으며, 오로지 중앙 부분으로만 활대(4)의 배면에 받쳐진다.
판스프링의 비어 있는 끝부품은 활대 배면으로부터 휘어져 스프링의 장력을 받는 상태에서 활대(4)와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버팀대(21)에 지탱된다. 판스프링에는 이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로대(22)가 깍아져 만들어져 있는데, 이 가로대의 각이진 끝부품(23)은 각각 활대(4)의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 부품을 하나씩 에워싼다.
합성수지로 만든 버팀대는 각의 변 내부에 만들어져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홈이 있는 U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홈안으로 궤도(1)의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 부품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맞물려 있다.
버팀대(21)의 가로대에는 나사로 만들어진 볼트(24)가 설치되는데, 이 볼트가 활대(4)에 있는 구멍(25)에 맞물려 있어서, 활대94)를 이동할 때에는 버팀대(21)가 평행하게 함께 움직인다. 이렇게 궤도(1)와 활대(4) 사이에 이루어진 멈추개 결합을 의도적으로 풀기 위해서는, 고정나사(13)의 축 방향으로 맞추어 스프링 부품(5)의 스프링 힘을 능가하는 압력을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에 가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때에 활대(4)에 있는 상부의 제2끝부품(9)은 제1끝부품(6)의 머리(8) 주위를 선회하여 궤도 1의 배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동시에 돌출 멈추개910)는 멈추개(17)로부터 빠져 나온다.
제 9 도 -제 11 도에 나타난 방향 전환 장치에서는 활대(4)의 상부 끝부품(9)이 정면쪽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있고, 그 굽어진 부분에는 궤도 삽입구멍(26)이 갖추어 있는데, 이 궤도 삽입구멍을 통해서 궤도(1')가 삽입되기 때문에, 활대(4)의 하부 끝부품(6)은 차단 위치에서 멈춤 궤도(1')의 배면에 접하게 된다. 반면에 상부의 끝부품(9)은 궤도 정면에 지탱되어 있다. 양쪽의 끝부품(6)과 (9)에는 궤도(1')쪽으로 맞추어진 돌출 멈추개(10)가 형태에 맞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이 돌출 멈추개는 각각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2열의 멈추개 구멍을 갖춘 멈춤 궤도(1')의 멈추개(17)에 맞물려진다.
나아가서 활대(4)에 있는 양쪽의 끝부품(6)과(9)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멈춤 궤도(1')의 세로면쪽에 물려있는 직선 미끄럼 부품(27)이 형태에 맞게 만들어져 있다. 활대(4)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덮개(28)이 고착되어 있는데, 이 덮개에는 궤도(1')에 지탱되는 스프링 부품(5)이 고정되어 있어서, 활대(4)가 스프링 부품(5)에 의해 항상 차단 위치로 밀려진다.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에 의해 안전벨트(29)가 유도된다. 설명된 활대 차단 위치를 풀기 위해서는, 모든 돌출 멈추개(10)가 멈추개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활대(4)가 수평축 주위로 기울어지는데, 이에 따라서 활대(4)는 궤도(1')를 따라서 힘들이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활대(4)의 궤도(1)와 스프링 부품(5)은 강철로 만들어진다.
제 12 도-제 14 도에 나타난 우수한 방향 전환 장치도 근본적으로 제 1 도 내지 제 6 도-제 8 도에 의한 방향 전환 장치와 같으며, 여기에서도 서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이 선택되어 나타나 있다.
물론 이 방향 전환 장치(제 12-14 도)에도 몇가지 다른 것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것은 방향 전환 장치에 과부하가 걸려서 결과적으로 궤도(1)가 휘어지거나 마모된 뒤에도 안전하게, 돌출 멈추개(10)는 여전히 물려 있게 된다.
게다가 무엇보다도 활대(4)는 2쌍의 돌출 멈추개(10)의 형태에 맞추도록 만들어져 있다. 나아가서 그 배면이 궤도(1)의 전면에 접해 있는 고리쇠(30)가 갖추어져 있다.
고리쇠에는 알맞는 형태로 만들어져 세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궤도(1)의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 부품을 에워싸는 끝부품(30')이 있다. 대략 형태가 고정된 고리쇠(30)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틈(31)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 틈을 통해서 케이스(12)가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려 있다.
고정나사(13)는 간격유지 원판에 의해 만들어져 방사상으로 있는 어깨(32)를 갖추고 있는데, 이 어깨의 직경은 틈(31)의 직경보다 더 크다. 나아가서 방향 전환 장치의 차단 위치에서 케이스(12)는 고리쇠(30)의 정면을 넘어서 돌출하기 때문에 활대(4)는 어깨(32)가 틈(31)의 가장자리에 접할때까지 뒤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렇게 기울어지는 길은 궤도(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활대(4)를 의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활대(4)의 돌출 멈추개(10)가 궤도(1)의 멈추개(17)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프링 부품(5)는 세로 방향의 판스프링으로 만들어져서 활대(4)를 이동하는 방향과 똑같이 맞추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대략 휨 스프링의 중앙에는 틈이 만들어지는데, 이 틈을 통해서 고정나사(13)와 더불어 케이스(12)가 물려 있다. 판스프링은 대략 그것이 뻗쳐진 부분의 중앙에서 고리쇠(30)쪽으로 예각으로 굽어져 있고, 또 굽은 모서리(33)와 함께 고리쇠(30)의 정면에 지탱되며, 판스프링의 양쪽 스프링다리에 의해 죔쇠(34)가 휘어져 있는데, 이 죔쇠는 판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판스프링에 맞는 활대(4)의 틈(35)안에 있다.
제 15 도-제 17 도에 나타난 실행 보기에서는 궤도(1)가 긴 구멍(3) 및 멈추개(17)와 더불어 속이 빈 받침대(36)의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나아가서 긴 구멍(3)의 하부에는 이 구멍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활대 삽입구멍(37)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것은 활대(4)를 속이 빈 받침대(36)에 끌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멈추개(17)과 더불어 활대(4)가 속이 빈 받침대(36)에 형태가 알맞게 만들어진 긴 구멍(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보다 쉽게 올바른 위치를 잡도록 하기 위해, 긴 구멍(3)에는 2개의 활대가 모이는데, 이 활대는 긴 구멍(3)과 함께 활대(4)의 끝부품(6)에 이용되는 삽입 구멍을 이룬다.
제 16 도에 의하면, 활대가 속이 빈 받침대(36)안으로 유도되는 것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활대 삽입구멍(37)이 속이 빈 받침대(36)의 측면 벽까지 미친다.
상대적으로 벽이 얇은 속이 빈 받침대(36)에 대해서도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제 17 도에 의하면 긴 구멍(3)과 멈추개(17)을 갖추고 있는 속이 빈 받침대(36)의 벽 뒷면에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로 접해 있는 강화판(39)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이 강화판에는 멈추개(17) 및 틈(38)와 더불어 긴 구멍(3)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져 덮개 모양으로 설치된 틈이 갖추어져 있다.
형태 유지력을 더 높이기 위해 강화판(39)은 내부로 각이진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 부품(40)을 가지고 있는데, 이 가장자리 부품은 제 2 도와 제 3 도에 나타난 멈추개(19)를 설치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종방향 연장부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멈추개를 가지며, 거의 수직으로 뻗치면서 배열할 수 있는 궤도로 구성되고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궤도의 고정부안으로 해체 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는 멈추개를 가지고 있으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고정부로부터 손으로 올려 나오게 할 수 있는 활대로 구성되어 있고 이 활대는 이에 더하여 그이 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여져 있는 나사구멍을 가지며 이 나사구멍으로 벨트 안내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나사가 채워져 있는 그러한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안전벨트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내고리에 있어서, 궤도(1)는 이 궤도를 따라서 뻗쳐있는 긴 구멍(3)을 가지며, 활대(4)가 궤도(1)의 후측에 접촉되어 있고 나아가 긴 구멍(3)에 끼워져 안내되며, 궤도(1)의 전방에 접하여 자유단으로서 지지되고 있는 활대의 제1끝부품(6)을 가지며, 활대(4)의 또다른 제2끝부품(9)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궤도의 세로 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서 있는 궤도(1)의 축주위를 제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궤도(1)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멈추개(10)를 가지며 그외에 활대(4)에는 끝부품(6)(9)사이에 긴 구멍(3)을 통과하며 또한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의 접속을 위하여 설치된 나사구멍(12)를 가지는 제2의 안내부품(11)을 가지며, 그리고 궤도(1)의 멈추개(10)는 활대(4)의 전체의 이동진로에 걸쳐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활대(4)의 제1끝부품(6)은 궤도(1)의 하단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전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활대(4)는 대체로 평탄한 철판으로 구성되며 이 두께는 궤도 긴 구멍(3)의 폭보다도 작으며 나아가서는 제1끝부품(6)은 해머의 두부 형상으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긴 구멍(3)을 관통하여 그의 확장된 두부로서 궤도(1)의 외측에 접촉하고 있는 것과 그리고 제2끝부품(9)에는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10)가 배열되며 특히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활대(4)의 제2안내부품(11)은 원통형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지나는 구멍이 나사구멍(1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활대(4)에 제2안내부품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궤도(1)에는 긴 구멍(3)의 양측으로 궤도(1)를 따라서 멈추개(17)가 배열되어 있으며, 멈추개(17)의 위치, 형태 및 치수에 적합한 2개의 멈추개(1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궤도(1)에는 긴 구멍(3)의 양측에서 활대(4)쪽으로 굽이진 가장자리 부품(18 내지2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 부품에는 간격을 떼어서 잇달아서 그리고 종방향 연부의 길이에 걸쳐서 분포되어 배치된 다수의 절단된 멈추개(19)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그리고 활대(4)에는 측방향으로 떨어지려고 하는 서로 대항하여진 멈추개(19)에 적합하여진 2개의 멈추개(10)가 일체로 접설되어 있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궤도(1)의 가장자리 부품(18)은 고정궤도(1)의 변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으로 지나가는 가장자리 부품(20)은 활대(4)쪽으로 직각으로 꺽어져 있으며 절단된 멈추개(19)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궤도(1)의 긴 구멍(3)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2안내부품(11)의 전방측의 구간위에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부품이 꽂혀 있으며 이 코일 압축스프링은 잔류 응력하에서 한편으로는 궤도(1)의 전방측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부품(11)의 자유단에 배치되며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어깨(15)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어깨(15)는 제2안내부품(11)의 횡단면에 비하여 더 큰 중앙으로 구멍이 뚫린 원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판은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의 고정을 위하여 제2안내부품(11)의 나사구멍(12)안으로 채워지는 나사(13)을 사용하여 제2안내부품(1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품(5)은 활대(4)의 후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리고 스프링 잔류 응력을 받으면서 궤도(7)에 그리고 활대(4)와 동기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버팀대(21)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품(5)으로서 판스프링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판스프링은 접설되어 있으며 활대(4)에 파지되고 있는 클램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부품(5)은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에서 활대(4)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여 지고 있으며 중앙부분은 활대(4)에 지지되고 있으며 한편 판스프링 단부는 버팀대(21)쪽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스프링 잔류 응력하에서 버팀대(21)에 지지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중앙부분에는 판스프링으로서 이 판스프링에 평행하게 배열된 가로대(22)가 절단되어 있으며, 이 웨브의 끝부품(23)은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활대(4)의 종방향의 연부를 적어도 마찰에 적합하게 고정이 되도록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5.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특수 합성수지로된 버팀대(21)는 U자 형상으로 윤곽이 되어 있는 것과 그리고 버팀대-각부의 서로가 대향하고 있는 측방에는 각각 하나의 종방향으로 지나는 나사가 배열되고 특히 일체로 접설되어 있으며 이 나사속으로 궤도(1)의 종방향 연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버팀대(21)에 특히 이 버팀대 가로대에 지지되어 있으며 활대(4)쪽을 겨누며 활대(4)의 구멍(25)안에 파지되고 있는 볼트(2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16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대(4)의 끝부품(9)은 궤도(1)의 긴 구멍(3)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 굴곡부(9')에서 끝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멈추개를 가지는 하나의 궤도와 그리고 종방향으로 이 궤도에 접하여 이 궤도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되고, 그리고 스프링 힘을 사용하여 궤도의 멈추개에 해체가 가능하도록 파지되고 있으며, 벨트 방향 전환 장치를 반송하고 있는 활대로부터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차에 배치하기 위한 안전벨트용의 높이 이동이 가능한 안내고리에 있어서 활대(4)의 제2끝부품(9)은 궤도(1')의 두께 주위에 연결이 되어 있으며, 활대(4)는 궤도 삽입구멍(26)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하여 궤도(1')는 활대(4)의 끝부품(9)이 궤도(1)의 전방측에 접하여 있으며, 한편 활대의 제1끝부품(6)은 궤도(1')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끝부품(6) 혹은 (9)에는 궤도(1)의 멈추개(17)에 파지되어 있는 돌출 멈추개(10)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는 제1끝부품(6)에 파지되면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19. 제 18 항에서 제2끝부품(9)은 사용 위치에서 상부를 향하여 바라보면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활대(4)의 끝부품(6,9)에는 각각 궤도(1')쪽으로 향하여진 멈추개(10)들이 배열되며, 특히 일체로 접설되어 있는 것과 그리고 활대(4)의 멈춤 위치에서 모든 멈추개(10)들은 각각궤도(1)의 하나의 멈추개(17)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1. 제 18 항 또는 제 20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특히 활대(4)의 끝부품(6 및 9)에는 궤도(1')의 좁은 종방향측에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파지되어 있는 미끄럼부품(27)이 배열되어 있으며 특히 일체로 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2. 제 18 항 또는 제 21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대(4)에는 특히 활대의 제1끝부품(6)에는 궤도(1')의 전방측 주위를 둘러싸서 안내되며 벨트 방향 전환 장치(4)를 형성하는 손잡이가 안내되어 있으며, 특히 일체로 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3. 제 1 항 또는 제 17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대(4)에는 궤도(1)의 전방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궤도(1)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 형이 안정된 고리쇠(30)가 지지되고 있으며 이 고리쇠는 궤도(1)의 양쪽 종방향 연부를 둘러싸는 끝부품(30')을 가지고 있는 것과 그리고 활대(4)는 그의 전방측을 가지고 고리쇠(30)의 후측의 맞는 편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고리쇠(30)와 궤도(1)의 종방향 연부를 둘러싸는 이 고리쇠의 단부는 궤도(1)의 인접한 2개의 멈추개 범위에 거의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특히 이에 더하여 궤도(1)의 종방향 연부를 둘러싸는 고리쇠(30)의 단부는 적어도 활대(4)의 멈추개(10)에 대하여 근사적으로 같은 수준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고리쇠(30)는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의 고정나사(13)을 사용하여 특히 고정나사(13)가 이 나사에 적합한 고리쇠(30)의 틈(31)을 통과하여 파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활대(4)에 지지되어 있는 것과 그리고 고정나사(13)에는 고리쇠(30)의 틈(31)의 연부와 공동 작용하고 있으며 활대(4)의 기울기를 제한하고 있는 어깨(32)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6. 제 23 항 또는 제 25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대(4)는 궤도(1)의 종방향 연장부에 간격을 떼어서 배열된 2쌍의 멈추개(1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7. 제 23 항 또는 제 26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리쇠(30)의 전방측과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 사이에는 판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잔류응력을 가지고 배열된 스프링 부품(5)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부품은 궤도(1)의 긴 구멍(3)쪽으로 만곡되고 긴 구멍(3)에 파지되며 그리고 활대(4)에 접하여 파지되어 있는 멈추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부품(5)은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거의 중앙에 하나의 틈을 가지며 이 틈을 통하여 벨트 방향 전환 장치(14)의 고정나사(13)가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 부품(5)은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거의 중앙에서 둔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리고 굽은 모서리(33)을 가지고 고리쇠(30)의 전방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나아가서는 판스프링의 양스프링 각부는 각각 고리쇠(30)위에 돌출하며 그리고 굴곡되며 궤도(1)의 긴 구멍(3)을 통하여 파지하고 있는 죔쇠(34)에 끝나고 있으며 이 죔쇠는 활대(4)의 틈(35)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궤도(1)는 긴 구멍(3) 및 멈추개(17)와 함께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36)의 부분들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과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36)에는 긴 구멍 근처에 하나의 활대 삽입구멍(37)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궤도(1), 긴 구멍(3) 및 멈추개(17) 그리고 활대 삽입구멍(37)은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36)의 대체로 평탄한 측면에 일체로 접설되어 있으며 활대 삽입구멍은 이웃하는 자동차 측면에 평형으로 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내면 공간에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활대 삽입구멍(37)은 긴 구멍(3)과 멈추개(17)(19) 하부에 그리고 이들 긴 구멍 멈추개로부터 간격을 떼어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활대 삽입구멍(37)은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36)의 측방에까지 도달하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방은 긴 구멍(3)과 멈추개(17)가 배열되어 있는 측방으로까지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4. 제 30 항 또는 제 33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긴 구멍(3)으로는 활대 삽입구멍(37)에 향하고 있는 단부 근처에 서로 같은 수준에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고 있고 긴 구멍(3)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쳐 있으며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틈(38)이 접합하며 이 틈은 긴 구멍(3)으로서 공통적으로 활대(4)의 해머 두부 형상의 제1끝부품(6)의 윤곽에 상응하는 제1끝부품(6)에 대한 삽입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5. 제 30 항 또는 제 34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36)에는 긴 구멍(3)과 멈추개(17)을 가지는 자동차 속이 빈 받침대 벽부의 후측에 접해 있는 강화판(39)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강화판은 긴 구멍(3)과 멈추개(17)에 상응하며 이들 긴 구멍과 멈추개에 대하여 덮개와 동일하게 배열된 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강화판(39)은 내측으로 향하여 굽어진 가장자리 부품(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KR1019870005633A 1986-06-05 1987-06-03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KR91000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18973 DE3618973A1 (de) 1986-06-05 1986-06-05 Hoeheneinstellbare vorrichtung an einem sicherheitsgurt fuer kraftfahrzeuge
DEP3618973.1 1986-06-05
DEP3618973.1-22 1986-06-05
DEP3621380.2 1986-06-26
DE3621380A DE3621380C2 (de) 1986-06-05 1986-06-26 Höheneinstellbarer Umlenkbeschlag für Sicherheitsgurte für Kraftfahrzeuge
DEP3708564.6 1987-03-17
DE3708564A DE3708564C2 (de) 1986-06-05 1987-03-17 Hö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für Sicherheitsgur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281A KR880000281A (ko) 1988-03-24
KR910003952B1 true KR910003952B1 (ko) 1991-06-17

Family

ID=2719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633A KR910003952B1 (ko) 1986-06-05 1987-06-03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786081A (ko)
EP (1) EP0250731B1 (ko)
JP (1) JP2525603B2 (ko)
KR (1) KR910003952B1 (ko)
DE (1) DE3761753D1 (ko)
ES (1) ES2014005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254A (en) * 1987-05-28 1990-07-10 Nissan Motor Co., Ltd. Seat belt holder position adjuster
FR2621544B1 (fr) * 1987-10-07 1990-02-23 Peugeot Aciers Et Outillage Mecanisme de maintien pour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a position modifiable manuellement
EP0317657B1 (de) * 1987-11-24 1991-12-18 LEIFHEIT Aktiengesellschaft Wäscheaufhängevorrichtung
DE3836327A1 (de) * 1988-10-25 1990-04-26 Albert Griesemer Vorrichtung zur stufenweisen hoehenverstellung eines befestigungs- oder umlenkpunktes fuer einen sicherheitsgurt o. dgl.
DE3925570A1 (de) * 1989-08-02 1991-02-07 Autoflug Gmbh Strammvor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US5007608A (en) * 1989-08-28 1991-04-16 Kim Manufacturing Company Television wall bracket
US4986570A (en) * 1989-12-22 1991-01-22 Chrysler Corporation Attachment mechanism
GB2243532B (en) * 1990-04-19 1994-01-12 Autoliv Kolb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djustable pillar loop
US5050907A (en) * 1990-06-29 1991-09-24 Allied-Signal Inc.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US5186495A (en) * 1990-06-29 1993-02-16 Allied-Signal Inc.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JP2961844B2 (ja) * 1990-09-05 1999-10-12 タカタ株式会社 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GB2263054B (en) * 1991-12-23 1995-12-06 Gen Engine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arrangement
US5427412A (en) * 1994-03-31 1995-06-27 Alliedsignal Inc. Removable web guide assembly
JP3247548B2 (ja) * 1994-06-14 2002-01-15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スリップアンカー
JP2940434B2 (ja) * 1995-05-29 1999-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の衝突エネルギ吸収構造
US5964502A (en) * 1996-10-25 1999-10-12 Evenflo Company, Inc. High-back child restraint system
US6017088A (en) * 1996-12-27 2000-01-25 Evenflo Company, Inc. Convertible infant carrier/restraint system
DE29713642U1 (de) * 1997-07-31 1997-10-02 Griesemer Albert Höhenversteller für Umlenkbeschläge von Fahrzeug-Sicherheitsgurten
DE19915024B4 (de) * 1999-04-01 2013-04-25 TAKATA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urtanordnung bei Fahrzeugen
US7004503B2 (en) 2001-05-01 2006-02-28 Takata-Petri (Ulm) Gmbh Safety belt arrangement in vehicles
ITBS20010105U1 (it) * 2001-12-21 2003-06-21 Sanicro S R L Saliscendi combinato con supporto pere doccetta regolabile in altezza
US6902227B2 (en) * 2003-03-17 2005-06-07 Autoliv Asp, Inc. Extrudable energy absorber
US7021662B2 (en) * 2003-07-31 2006-04-0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houlder belt height adjuster assembly and method
US7341233B2 (en) * 2003-09-19 2008-03-11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Horizontal adjustment mechanism for use on a chair seat
US20050284991A1 (en) * 2004-06-10 2005-12-29 Humanscale Corporation Mechanism for positional adjustment of an attached device
US7159942B2 (en) * 2004-08-26 2007-01-0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Seat slide adjustment mechanism
US7591401B2 (en) * 2005-02-08 2009-09-22 Jeffrey Lawrence Sandler Wearable tray system
US7478880B2 (en) 2005-03-08 2009-01-20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ulti-purpose adjustment chair mechanism
US7513531B2 (en) * 2005-10-04 2009-04-07 Takata Seat Belts, Inc. Simplified height adjuster for D-ring
US7543852B2 (en) * 2005-12-15 2009-06-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belt assembly having length adjustable service arm
CN100410112C (zh) * 2006-06-02 2008-08-13 王志强 汽车保险带松弛调节器
WO2012031146A1 (en) * 2010-09-01 2012-03-08 Kids Ii, Inc. Attachment device for a children's accessory
US20130127230A1 (en) * 2011-11-21 2013-05-23 Anthony Fini Vehicle shoulder belt extension
US8672286B2 (en) * 2012-03-12 2014-03-18 Laura Darré Adjustable wall hanger
US10981537B2 (en) 2019-06-07 2021-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height adjus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809A (en) * 1898-12-13 Lifting-jack
US32524A (en) * 1861-06-11 Improvement in machines for opening rope
US635542A (en) * 1899-02-23 1899-10-24 Louis Hayne Easel-bracket.
US1657939A (en) * 1923-07-11 1928-01-31 Herbert O Rockwell Cable hook or step
DE2625572A1 (de) * 1976-06-05 1977-12-15 Daimler Benz Ag Innerhalb eines fahrzeughohltraegers angeordnete einrichtung zur stufenweise hoehenverschiebung, insbesondere des oberen umlenkbeschlages eines gurtsystems
FR2368812A1 (fr) * 1976-10-21 1978-05-19 Merlin Gerin Dispositif de fixation reglable d'un profil de support d'appareils electriques
DE2806532C2 (de) * 1978-02-16 1982-07-2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Lageveränderliche Gurtanlenkung für Sicherheitsgurte
DE3007986C2 (de) * 1980-03-01 1983-09-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karosseriefest angeordneten Gurtbeschlages
JPS5822359U (ja) * 1981-08-07 1983-02-12 日本精工株式会社 調節可能なシ−トベルト用アンカ−装置
DE3543813A1 (de) * 1984-12-20 1986-06-26 Volkswagen AG, 3180 Wolfsburg Verstellvorrichtung fuer einen sicherheitsgurt-anlenkpunk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61753D1 (de) 1990-04-05
JPS62286858A (ja) 1987-12-12
JP2525603B2 (ja) 1996-08-21
EP0250731B1 (de) 1990-02-28
ES2014005B3 (es) 1990-06-16
US4786081A (en) 1988-11-22
KR880000281A (ko) 1988-03-24
EP0250731A1 (de) 1988-01-07
US4826210A (en) 198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952B1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전벨트용 방향 전환 장치
US3964798A (en) Safety belt anchorages
US5322480A (en) Dragchain substitute
US4640550A (en) Adjustable fastening device
SE440523B (sv) Forankringsanordning for festelement
US5257961A (en) Guide channel for receiving and guiding guide chains for energy lines
US6312057B1 (en) Structural component consisting of a belt buckle, attachment hardware and force limiter
JP2002525000A (ja) 少なくとも1つのラインを案内するラインガイド装置
DE3525746A1 (de) Kettenspanner
US6216555B1 (en) Serviceable core adjust
US4358216A (en) Resilient retaining clip
US4818023A (en) Device for incremental adjustment of the height of a securing point or return-travel point for a safety belt or the like
KR920010169A (ko) 대칭 톱니 정합부가 있는 수동조절장치
US20100050397A1 (en) Connecting means for two crossing cable strands of cable play systems
DE3535963A1 (de) Scharnier
US4114673A (en) Locking mechanism for vertical slat blind
US6302817B1 (en) Chain guide rail
US6003403A (en) Device for the automatic stepped cable length adjustment of bowden cable system
US4592106A (en) Anchor for securing the lower end of a spring
US6216892B1 (en) Shelf unit
DE3300863A1 (de) Vorrichtung aus einer fuer schienen vorgesehenen schwelle und aus klipsen zur befestigung des fusses einer schiene an der schwelle
DE4011767C2 (de) Hö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Kfz
US4047767A (en) Slide assembly
US5203054A (en) Retainer for trunk lid torsion bars
KR910008167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벨트반환부재 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