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424B1 -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424B1
KR910002424B1 KR1019860009708A KR860009708A KR910002424B1 KR 910002424 B1 KR910002424 B1 KR 910002424B1 KR 1019860009708 A KR1019860009708 A KR 1019860009708A KR 860009708 A KR860009708 A KR 860009708A KR 910002424 B1 KR910002424 B1 KR 91000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oter
frame
lock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500A (ko
Inventor
아키라 마쓰다
Original Assignee
닛소오상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노다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소오상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노다쓰오 filed Critical 닛소오상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86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rotating or wound around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1Flexible side wall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유릅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콘테이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콘테이너의 접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아래쪽 브레이스(brace)의 사시도.
제4도는 판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판넬의 일부 절결사시도.
제6도는 스프링의 사시도.
제7도는 샷터를 배면에서 본 일부 절결사시도.
제8도는 샷터의 록크장치의 사시도.
제9도는 샷터의 인양(引揚)기구의 일부 절결사시도.
제10도는 측면판의 록크장치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측면판의 록크장치의 정면도.
제12도는 윗판과 우측면판 사이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밑판과 우측면판 사이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판(top plate) 2 : 밑판(botton plate)
3 : 좌우측면판(side plate) 5 : 정면 및 배면 샷터(shatter)
4a : 강성의 상부판(upper plate) 4b : 강성의 하부판(lower plate)
6 : 힌지부(hinge part) 7 : 힌지부(hinge part)
8 : 중앙의 힌지부 9 : 프레임(frame)
10 : 록크기구 11 : 케이스(case)
12 : 쐐기(wedge) 13 : 시일링(sealing)장치
14 : 상부보강장치(brace) 15 : 하부보강장치(brace)
16 : 중공의 긴프레임 17 : 록크프레임
18,18a : 핀 19 : 장공(slot)
20,33 : 축 21 : 요크형상(yoke shaped)의 지지프레임
22 : 브래키트(bracket) 23 : 축
24 : 핸들 25 : 핀록크부
26 : 훅크(hook) 27 : 브레키트
28,30 : 축 29 : 링크
31 : 상부브레이스 받침부재(upper brace receiving member)
32 : 밀판끝부의 홈프레임(groove frame) 33 : 축
34 : 홈 35 : 가이드홈
36 : 가이드홈 37 : 롤러(Roller)
38,39 : 한쌍의 스프링 40,41 : 브래키트
42,43 : 스프링가이드 44 : 로프롤리용 브래키트
45 : 스프링받침 46 : 슬라이딩 부재
47 : 프 풀리(sheave) 48 : 훅크
49 : 길이조정가능한 훅크 50 : 로프풀리
51 : 록크핀 52 : 와이어
53 : 또다른 로프풀리 54' : 브래키트(하단)
54 : 다수의 판넬 55 : 판넬의 윗쪽의 수평면
56 : 판넬의 윗쪽홈 프레임 57 : 판넬하단의 홈
58 : 수평판 60 : 누름판넬
61 : 축 62 : 중공의 보강부재
63 : 힌지 64 :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재
65 : 록크핀 66 : 박스(Box)
67 : 축 66a : 박스의 상면
68 : 훅크 69 : 핸들
70 : 훅크(68)과 핸들(69)의 접합부 71 : 박스(66)의 장공(slot)
75 : 박스(66)의 구멍(hole) 72 : 핸들(69)의 로크구멍
73 : 홈프레임의 록크구멍 74 : 자물쇠
76 : 상부 가이드케이스 77 : 가이드케이스
78 : 핸들 80 : 록크핀(핸들 78의)
81 : 가이드케이스의 커어브진장공 82 : 수직면
83 : 테이퍼진면 84 : 플렌지
85 : 쐐기(12)의 홈 86 : 상록크홈(쐐기 12의)
87 : 하록크홈 88 : 축
90 : 프레임 93 : 차폐판
91 : 중공의 사각형관 프레임 92 : 빗물침입방지용판
94 : 틈새(clearance) 94' : 지지판(밑판 2의)
95 : 차폐판 96 : 중공의 사각형관 프레임
97 : 차폐판 98 : 틈새
본 발명은 한지역에서 타지역으로 하물을 반송하는 경우, 이 하물을 수용해서 트럭, 선박등으로 수용하는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하물을 원격지로 수송하는 데에는 상자형의 콘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다.
여기서 한지역에서 타지역으로 하물을 이송하여도, 그 원격지에서 귀환시에 수송하는 하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자형 인체로 트럭등에 탑재하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부적당한 것이다. 또한 콘데이너에 하물을 넣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킨다든지, 다수의 콘테이너를 창고등에 보관하는 경우 입방형상 장방제상으로 기립해서 있는 상태로는 이동조작에 번거로우며, 수용공간을 과다하게 차지함으로 공간이 부족하게 되고, 다수의 콘테이너를 일시에 수용할 수는 없는 것이였다.
따라서, 일본의 공개공보 제199443/1984호에 개시되고 있는 바와같은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콘테이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A) 첫째, 이 콘테이너는 윗판과 밀판과의 양 측면에 안쪽으로 굴곡하는 좌우측면판을 설치하고, 정면측과 배면측에는 스프링과 가이드홈과 로울러를 통해서 윗판내에 수용되는 샷터를 상하이동 자재토록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이 콘테이너는 좌우측면판을 기립시켜, 샷터를 하향으로 잡아당기어 상자형으로 구성될 시에 수송중에 외부부하가 걸리면 콘테이너가 변형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즉, 이동이 자재로운 샷터는 비교적 얇고 굴곡이 가능하며, 좌우측면판의 상하단이 핀 결합되고, 중앙이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하.좌.우 또는 경사방향에서 누르는 압력이 걸릴 경우, 예컨대 복수의 콘테이너를 윗쪽으로 쌓을시 아래쪽으로의 하중과 횡요동에 의한 하중이 걸려서 하부의 콘테이너가 변형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B) 둘째, 상기한 샷터는 입구를 닫기 위해 밑으로 내렸을시, 최하단까지 도달될 경우는 그 자중(自重)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세게되어 정지상태에서는 닫힌채로 유지되어 진다.
그러나, 수송중 진동이 작용한다든지, 기타의 외부부하가 샷터에 작용하면 스프링이 인장되어서 샷터가 열릴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가령 샷터가 닫혀 있다고 하여도 제3자가 마음대로 샷터를 열수 있어서 콘테이너내의 하물을 도난당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C) 셋째로, 좌우측면판의 상하단은 윗판과 밑판에 힌지 결합되고, 중앙이 힌지부를 통하여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하.좌.우 경사방향으로부터 누르는 압력이 걸릴경우, 예컨대 복수의 콘테이너를 윗쪽으로 쌓아 올렸을 때 아래쪽으로의 하중과 횡요동에 의한 하중이 걸려서, 이 하중에 의해서 중앙의 힌지부를 통하여 좌우측면판이 구부러져 하부의 콘테이너가 변형한다든지, 파손한다든지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D) 넷째, 샷터를 윗판내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샷터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향하며 스프링을 배설하고 이 스프링과 샷터의 하부를 와이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을 윗판내에 설치했을시, 윗판내의 설치공간이 제약되어 있으며, 더욱이, 샷터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향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갖을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샷터의 끌어올림이 불완전하게 되는 불편이 있게 된다.
(E) 다섯째로, 상기한 샷터는 다수의 판넬을 접속한 것이어서, 가공상 아무리해도 판넬의 접속부에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으로 빗물이 콘테이너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외부로부터 부하가 걸려도 콘테이너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샷터를 밑으로 잡아당길시 이것을 확실하게 록크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샷터를 끌어올리는 스프링의 신축스트로크를 충분히 갖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샷터를 구성하는 판넬사이에 간격이 있어도 이 간격으로 빗물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윗판과 밑판과의 사이에 굴곡 가능한 좌우측면판과, 상하로 이동이 자재로운 정면샷터 및 배면샷터를 설치한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에 있어서, 윗판과 좌우측면판사이 및 밑판과 좌우측면판사이에 보강장치를 착탈이 자재토록 설치하며, 정면샷터 및 배면샷터와 저면과의 사이에는 샷터의 록크장치를 착탈자재토록 설치하고, 좌우측면판의 굴곡부에 대향해서 측면판의 록크장치를 착탈자재로 설치하며, 또한 윗판내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또한 샷터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스프링으로 샷터가 항시 윗판방향으로 인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부하가 착용하면 보강장치와 측면판의 록크장치가 작동하여 콘테이너의 변형이 방지되며, 샷터를 내렸을시 샷터의 록크장치로 샷터를 밑판에 지지하고, 스프링은 항시 샷터를 윗쪽으로 인장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강장치를 구성하는 브레이스를 사용한 콘테이너는 제1도,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윗판(1)과 밑판(2)과, 굴절가능한 좌우측면판(3)(3)과, 정면 및 배면샷터(5)(5)로 입방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면판(3)(3)은 상하 2장의 강성인 판(4a)(4b)로 되고, 상부판(4a)는 힌지부(6)를 통하여 윗판(1)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며, 동일하게 하부판(4b)는 밑판(2)에 힌지부(7)를 통하여 회전운동자재토록 결합되고, 또한 상하 2개의 판(4a)(4b)는 중앙의 힌지부(8)(8)를 통하여 힌지결합되며, 2개의 판(4a)(4b)는 중앙의 힌지부(8)(8)을 통하여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면샷터(5)와 배면샷터(5)의 양측은 좌우측면판(3)의 프레임(9)에 설치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로울러를 통하여 상하이동이 자재로 안내되어 콘테이너내에 하물을 수용할 시는 정면샷터(5)를 상승시키고, 반송시에는 하향으로 내려서 밑판(2)측에 록크시킨다.
콘테이너를 접을 때에는 정면샷터(5)와 배면샷터(5)를 끌어올려서 윗판(1)내에 수용시키며,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좌우측면판(3)(3)을 중앙의 힌지부(8)(8)와 힌지부(6)(7)을 통하여 안쪽으로 굴곡시킨다. 정면 및 배면샷터(5)(5)는 윗판(1)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항시 끌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샷터(5)(5)를 열때는 스프링에 의해 윗판(1)측으로 인장되어 로울러와 가이드홈에 안내되어 상승한다.
좌우측면판(3)(3)의 중앙 힌지부(8)(8)에 근접해서 록크기구(10)(10)가 설치되며, 이 록크기구(10)(10)는 케이스(11)와 쐐기(12)로 되어 있으며, 케이스(11)내에 쐐기(12)를 때려 넣은때 힌지부(8)(8)가 록크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힌지부(8)(8)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정면 및 배면샷터(5)(5)와 좌우측면판(3)(3)과의 접합부 상하에는 시일링장치(13)를 설치하여 빗물등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밑판(2)의 끝부분에 샷터(4)(5)와 대향해서 샷터의 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샷터(5)(5)를 끌어내렸을시 이 록크장치를 통하여 샷터(5)(5)를 지지하며, 록크장치를 해제하면 샷터(5)(5)는 윗판(1)내의 스프링에 의해서 끌어 올려지게 된다.
윗판(1)과 좌우측면판(3)(3)사이에는 상부보강장치(14)(14) 가 착탈자재토록 설치되며, 동일하게 밑판(2)과 좌우측면판(3)(3)사이에는 동일한 구조의 하부보강장치(15)(15)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보강장치(14)(15)는 신축이 자재토록 된 브레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하부브레이스는 제1도,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공의 긴프레임(16)과 이 긴프레임(16)내에 신축자재토록 삽입된 록크프레임(17)으로 되어 있으며, 각 브레이스의 기단은 윗판(1) 또는 밑판(2)에 피봇(pivot)되고 타단은 좌우측면판(3)(3)의 프레임(9)(9)에 설치된 핀(18)(18a)에 각각 착탈자재롭게 걸리도록 되어 있다.
긴프레임(16)의 기단측에는 장공(19)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장공(19)내에는 축(20),(33)이 이동자재토록 각각 삽입되어 이 축(20)은 윗판(1)의 정면에 고정된 요크(yoke)형상의 지지프레임(21)에 결합되고, 축(33)은 밑판(2)의 홈프레임(32)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브레이스의 긴프레임(16)은 지지프레임(21)내에서 장공(19)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축(2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부브레이스의 긴프레임(16)도 장공(19)만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긴프레임(16)의 선단측에는 개구부(16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6a)에 근접한 위치에 브래키트(22)를 세워 설치하여 이 브래키트(22)에는 축(23)을 통하여 핸들(24)의 선단부가 회전자재토록 피봇되어 있다.
더욱이 긴프레임(16)의 선단하부에는 만곡된 핀록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록크프레임(17)은 한장의 판 또는 요크판으로 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훅크(26)가 핀록크부(25)에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록크프레임(17)의 선단부근 상부에는 브래키트(27)가 세워 설치되고 이 브래키트(27)은 긴프레임(16)의 개구부(16a)에서 윗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개구부(16a)의 범위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래기트(27)에는 축(28)을 통해서 2장의 링크(29)의 한쪽끝을 회전운동자재토록 결합시키고, 이 링크(29)의 타단은 핸들(24)과 핀(30)을 통하여 회전운동자재토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24)를 축(23)을 지점으로 해서 훅크(26)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브래키트(27)은 선단방항으로 눌려서, 록크프레임(17)을 밀어내어, 결과적으로는 긴프레임(16)과 록크프레임(17)의 총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윗판(1)의 정면, 배면중앙에 상부브레이스의 받침부재(31)가 설치되며, 브레이스의 사용을 정재해서 있을시 이 받침부재(31)에 훅크(26)을 걸어 놓는다.
사용시에는 장공(19)를 통해서 긴프레임(16)를 후퇴시켜서 훅크(26)를 받침부재(31)에서 이탈시켜, 다음에 축(20)을 중심으로 해서 긴프레임(16)이 아래쪽을 향해서 회전하고, 또한 핸들(24)를 회전해서 록크프레임(17)를 인출해서, 훅크(26)를 프레임(9)의 핀(18)에 대향시킨다.
다음 핸들(24)를 원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록크프레임(26)이 긴프레임(16)내로 끌려 들어가서 브레이스의 길이가 단축됨과 동시에 훅크(26)가 핀(18)에 걸리게 되며, 핀(18)은 훅크(26)와 핀록크부(25)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따라서, 윗판(1)과 좌우측면판(3)(3)사이에 경사진 두개의 상부브레이스가 가설되며, 양자를 보강하므로서, 윗판(1)과 좌우측면판(3)(3)에 대하여 수직방향, 횡방향, 경사방향의 부하가 걸려도 콘테이너는 변형하지 않게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부보강장치(15)로서 하부브레이스가 밑판(2)과 좌우측면판(3)(3)의 코너에 경사방향으로 가설된다.
즉, 하부브레이스의 구조는 상기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지만, 브레이스의 기단은 밑판(2)의 단부에 설치된 홈프레임(32)내에 축(33)을 통하여 피봇되며, 이 브래이스는 불사용시에는 홈프레임(33)의 홈(34)내로 수용되며, 사용시에는 윗쪽으로 회전시켜서 프레임(9)의 핀(18a)에 걸어 밑판(2)과 좌우측면판(3)(3)사이를 보강한다.
다음에 샷터(5)(5)와 샷터(5)(5)의 인상(引上)기구와, 샷터(5)(5)의 록크장치를 제4도-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샷터와 스프링과의 연결관계를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윗판(1)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홈(35)(35)(36)(36)이 정면 및 배면샷터(5)(5)의 침입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가이드홈(35)(36)은 좌우측면판(3)(3)의 프레임(9)(9)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35)(36)대로 로울러(37)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샷터(5)(5)는 회전자재의 로울러(37)(37)를 통해서 가이드홈(35)(36)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샷터(5)(5)가 윗판(1)내로 인상될시, 가이드홈(35)(36)내에 수납된채로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된다.
윗판(1)내에는 정면측과 배면측에 한쌍의 스프링(38)(39)이 설치되어 있다. 정면측스프링과 배면측스프링은 동일구조로 되어 있어서, 정면측스프링(38)(39)에 대해서 기술한다. 한쌍의 스프링(38)(39)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각 스프링(38)(39)의 방향은 샷터(5)(5)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환언하면 가이드홈(35)(36)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윗판(1)의 양 측면에 브래키트(40)(41)가 고정되며, 이 브래키트(40)(41)사이에 평행인 스프링가이드(42)(43)를 가설하여, 이 스프링가이드(42)(43)내에 스프링(38)(39)이 신축자재로 삽입되어 있다(제6도).
각 브래키트(40)(41)의 내측에는 로프풀리용 브래키트(44)(44)와 스프링받침용 브래키트(45)(45)가 취부되며, 각 스프링가이드(42)(43)대에는 슬라이드부재(46)(46)가 슬라이드자재토록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풀리용 브래키트(44)에는 로프풀리(47)가 회전자재토록 지지되며, 단부에 훅크(48)가 삽입되어 있다.
각 스프링받침용 브래키트(45)에는 길이 조정이 자재롭게 훅크(49)가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각 슬라이드부재(46)에는 로프풀리(40)가 회전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에 록크핀(51)이 고정되어 있다.
각 스프링(38)(39)은 록크핀(51)과 훅크(49)와의 사이에 가설되고, 상호 반대방향인 화살표 X방향으로 압축되어 슬라이드부재(46)를 화살표 X방향으로 인장되어 진다.
각 훅크(48)에는 와이어(52)(52)의 일단이 결합되고, 이 와이어(52)(52)는 로프풀리(50)(50)와 로프풀리(47)(47)를 걸고 돌아서, 다음에 윗판(1)의 단부부근에 설치된 다른 로프풀리(53)(53)를 걸고 돈 후에 샷터(5)의 하부 양 사이드에 돌출된 브래키트(54')(54')에 결합된다.
따라서, 각 스프링(38)(39)은 X방향으로 압축하면 각 로프풀리(50)(47)(53)을 통하여 동일방향으로 와이어(52)(52)가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서 샷터(5)가 윗판(1)내로 아래쪽에서 순차적으로 인상되어 진다.
여기서 각 로프풀리(47)(47)에 걸어진 와이어(52)(52)는 로프풀리(50)(50)를 통하여 다시 로프풀리(47)(47)방향으로 복귀해서 훅크(48)(48)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재(46)와 스프링(38)(39)의 스트로크량의 2배로 와이어(52)(52)가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샷터(5)도 2배의 속도로 인상되어 진다.
또한, 스프링(38)(39)의 방향은 가이드홈(35)(36)과 직교하고 있어서 샷터(5)의 이동방향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서 스프링(38)(39)의 스트로크는 충분하게 되어 진다·
다음에 샷터(5)(5)의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면 정면측샷터(5)와 배면측샷터(5)는 동일구조임으로, 정면측 샷터(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샷터(5)는 다수의 판넬(54)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판넬(54)는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면이 "그"형상의 프레임으로 되고, 이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면(55)과 길이방항을 따라 "그"형상의 홈프레임(56)을 설치하며, 하단으로 "그"형상의 홈(57)과 수평판(58)을 설치한다.
판넬(54)의 양단에는 단면 L자상의 누름판넬(60)을 맞닿게 하여 고정시키고, 이 누름판넬(60)의 상부에 축(61)을 통하여 로울러(37)을 회전자재토록 지지시킨다.
각 판넬(54)는 종방향을 따라 열설하고, 또한 가이드홈(35)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임의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판넬(54)의 배면에 중공의 보강부재(62)가 종방향으로 따라 결합되며, 각 보강부재(62) 상호간은 힌지(63)를 통하며 구부러짐이 자재롭게 힌지 결합되어 이것에 의해서 각 판넬(54)은 이 힌지(63)를 통해서 굴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각 판넬(54) 상호간에 있어서, 상부 판넬(54)의 수평판(58)의 하면에 하부판넬(54)의 홈프레임(56)을 대향시키며, 동일하게 상부 판넬(54)의 "그"형상의 홈(57)하면에 하부판넬(54)의 수평면(55)을 맞닿게 하는것에 의해서 상하부의 각 판넬(54)은 연속해서 접합되고, 홈(57)의 하면과 수평면(55)의 상면과의 접합위치에서 샷터(5)는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 "그"형상의 홈프레임(56)을 상기 접합위치에 대향되어 있어서 샷터(5)의 외면에서 근소한 접합위치에 있어서의 간격을 통해서 빗물이 침입하여도 이 빗물은 빗물차단용의 홈프레임(56)으로 차단되어 그 이상 콘테이너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샷터(5)가 윗판(1)내로 수용되어 가이드홈(35)에서 수평으로 유지될시에도 홈프레임(56)은 수직으로 되어 홈프레임(56)의 홈내에 잔류되어 있는 빗물은 아래쪽으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다음, 샷터의 록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하단의 판넬(54)의 배면 중앙에 두꺼운 보강부재(64)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보강부재(64)의 중앙에 록크핀(65)을 관통시키고, 이 록크핀(65)의 일단이 샷터(5)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밑판(2)의 정면 및 배면단부에는 홈(34)을 형성한 홈프레임(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홈프레임(32)의 하부중앙에 박스(66)가 취부되어 있다.
홈프레임(32)의 홈(34)에 있어서의 내벽 중앙에는 축(67)을 통해서 훅크(68)가 회전자재토록 축지되어 있으며, 이 훅크(68)의 하부기단에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핸들(69)이 일체로 결합되어 핸들(69)의 회전조작으로서 훅크(68)가 샷터(5)측의 록크핀에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훅크(68)가 록크핀(65)과 록크되어 있을시는 샷터(5)가 스프링(38)(38)으로 상방으로 인장되어도 샷터(5)는 이동될 수가 없도록 록크되어 있으며, 훅크(38)가 록크핀(65)에서 이탈하면 샷터(5)는 스프링(38)(39)의 장력으로 가이드홈(35)(3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어 콘테이너의 입구를 개구시킨다.
훅크(68)과 핸들(69)의 접합부(70)는 직선형상으로 해도 좋으나, 바람직스러운 것은 도시한 바와같이 L자상으로 절곡하는 편이 좋다.
왜냐하면, 홈(34)내에서, 핸들(69)를 회동시 핸들(69)이 홈(34)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면 홈프레임(32)과 간섭이 없어서 원활하게 회전조작을 할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박스(66)의 상면 중앙에는 장공(71)이 훅크(68)에 대향해서 형성되어 훅크(68)를 회전할시 훅크(68)가 박스(66)의 상면(65a)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이 장공(71)이 형성되어도 빗물이 박스(66)내로 침입하면, 이 박스(66)의 배부에 구멍(75)을 형성되어 박스(66)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토록 되어 있다.
훅크(68)가 록크핀(65)과 록크될시는 훅크(68)와 핸들(69)은 실선위치에 있으며, 훅크(68)가 이탈시에는 핸들(69)을 제8도에 있어서 반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접선위치로 이행시킨다. 이때에 훅크(68)도 180도 회전하여 이 훅크(68)는 장공(71)을 통해서 박스(66)대로 수용되어 진다.
핸들(69)의 단부에는 록크구멍(72)이 형성되며, 이 록크구멍(72)에 대응하여 록크구멍(73)이 홈프레임(32)에도 형성되어 양 록크구멍(72)(73)에 열쇠(74) 또는 기타 고정구를 삽입하여 샷터(5)를 록크되어 있을시 외력 또는 기타 원인으로서 록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측면판의 록크장치 (10)는,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하 2개의 가이드케이스(76)(77)로 된 케이스(11)와, 케이스(11)내에 삽입되는 쐐기(12)와 쐐기(12)를 제어하는 핸들(78)로 되어 있다.
가이드케스(76)(77)는 단면 L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부 가이드케이스(76)는 중앙을 절결하여 절결펀(79)을 기립해서 쐐기(12)를 안내시킨다.
가이드케이스(76)(77)는 좌우측면판(3)의 프레임(9)(9)에 대해서 힌지부(8) (8)에 대향시키면서 용접등으로 고착시켜서 상하방향을 따라 쐐기(12)를 삽입토록되어 있다.
가이드케이스(76)(77)는 쐐기(12)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며, 그 단면을 "그"형상으로 하여도되며, 중공의 4각주로 하여도 된다. 상부 가이드케이스(76)에는 축(88)을 통해서 핸들(78)의 상단을 회동자재토록 피봇하고, 또한 핸들(78)에 설치된 록크핀(80)은 가이드케이스(76)에 형성된 커브진장공(81)에 이동자재토록 삽입되어 있다.
쐐기(12)는 본체의 측면에 수직면(82)과 테이퍼면(83)을 형성하고, 상단에 플렌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중앙에 종방향을 따라 홈(85)이 형성되고, 이 홈(85)은 횡방향으로 절결된 상하 2개의 록크홈(86)(87)에 연통되며, 홈(85)에는 절결편(79)이 삽입되고, 또한 홈(85)의 록크홈(86)(87)에 록크핀(80)이 선택적으로 끼워맞춤이 되어 진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9)(9)에는 안쪽으로 향해서 샷터(5)의 가이드(35)(36)이 돌출설치되고, 이 가이드(35)(36)의 정면에 각각 가이드케이스(76)(77)의 수직편(76a)(77a)의 단면을 용접시켜서 수평편 (76a) (77a)의 단면을 프레임(9)(9)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2개의 가이드케이스(76)(77)는 아래쪽으로 항해서 약간 경사시킨다. 가이드케이스(76)(77)가 경사지게 하는 것은 쐐기(12)가 테이퍼면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쐐기(12)의 수직면(82)과 수평면(76b)(77b)의 단면을 프레임(9)(9)에 수직으로 대향시키기 위함이다.
콘테이너를 상자형으로 기립할 경우는, 좌우측면판(3)(3)의 판(4a)(4b)를 힌지부(8)(8)를 통해서 수직으로 기립시킨다.
이 상태에서 쐐기(12)를 가이드케이스(76)(77)에 삽입시키면 쐐기(12)는 홈(85)과 록크핀(80)으로 안내되어 하강하고, 플렌지(84)를 함머등으로 때려눌려 죄어붙인 후, 핸들(78)을 제11도에 있어서, 시계방항으로 회동시키면 록크핀(80)이 록크홈(86)에 끼워맞춤이 되어 쐐기(12)는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콘테이너에 부하가 걸려서 힌지부(8)(8)를 통해서 프레임(9)(9)가 안쪽으로 만곡될려고 하여도 프레임(9)(9)의 내측면은 쐐기(12)의 수직면(82)에 맞닿게 되어 있고, 또한 2개의 가이드케이스(76)(77)는 쐐기(12)에 록크되어서 분할할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프레임(9)(9)는 굴곡할 수 없게 되어져서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콘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록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핸들(7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핸들(78)의 상단코너부(78a)가 쐐기(12)의 플렌지(84)와 맞닿게되어 이것을 약간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조작력으로 쐐기(12)를 들어올릴수 있으며, 그 후에는 수동으로 가볍게 쐐기(12)를 가이드케이스(76)(78)로부터 인상시킨다. 쐐기(12)가 최상부까지 인상된 때에 다시 핸들(78)을 시계방항으로 회동시키면 록크핀(80)이아래쪽의 록크홈(87)에 끼워맞춤이 되기 때문에 쐐기(12)가 케이스(11)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쐐기(12)가 인상된 때에는 상하 2개의 가이드케이스(76)(77)는 분할가능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콘테이너가 절첩되기 때문에 프레임(9)(9)가 힌지부(8)(8)를 통해서 절곡되어도 프레임(9)(9)는 케이스(11)와 쐐기(12)와 간섭이 없이 원활하게 굴곡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좌우측면판(3)(3)과 윗판(1)사이 및 좌우측면판(3)(3)과 밑판(2) 사이에는 환기장치(R)(S)가 설치되어 있다.
제12도는 좌우측면판(3)(3)의 상부(R)에 있어서의 환기장치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윗판(1)는 프레임(90)에서 늘어져 설치된 차폐판(93)을 갖고 있으며, 한편 좌우측면판(3)의 상부판체(4a)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중공의 사각형관 프레임(91)가 설치되고, 이 프레임(91)에서 윗쪽으로 기립함과 동시에 상단을 안쪽으로 만곡시킨 빗물침입 방지용판(92)이 차폐판(93)의 내측으로 임의의 간격(94)을 통해서 대향되어 있다.
간격(94)은 외부의 입구가 안쪽의 출구보다 하향으로 위치되어 아래쪽의 입구에서 단쪽으로 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만곡토록 단면이 L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92)의 상부가 만곡되어 있는 것은 상부판(4a)가 힌지(8)를 통하여 안쪽으로 절곡될시 차폐판(93)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폐판(93)은 욋쪽에서 수직으로 판(92)의 외측에 대향해서 겹쳐짐과 동시에 간격(94)의 외부입구가 아래쪽으로 되어 있어서 윗쪽에서 하강하는 빗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콘테이너내에서 가열된 공기는 간격(94)으로부터 화살표와 같은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제13도는 좌우측면판(3)(3)의 하부(S)에 있어서의 환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밑판(2)의 지지판(94')의 외단에 윗쪽으로 기립되게 차폐판(95)을 설치한다.
한편, 좌우측면판(3)(3)에 있어서의 하부판체(46)에는 아레쪽으로 중공의 사각형관프레임(96)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96)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차폐판(97)을 설치한다.
상기 차폐판(97)은 간격(98)을 통해서 밑판(2)에 있어서의 차폐판(95)의 외측으로 대향되게 있기 때문에, 간격(98)의 외부입구는 안쪽의 출구보다는 아래쪽으로 위치되고 단면이 L상으로 구성되어 윗쪽에서 하강하는 빗물은 차폐판(95)(97)으로서 차단시키고 간격(98)에서 윗쪽으로 향해서 빗물은 침입하지 않는다.
외부공기는 간격(98)을 통해서 콘테이너내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침입하여 콘테이너 내부를 냉각하고 다음에 상부환기장치(R)의 간격(94)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A) 첫째, 보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다음의 효과가 있다.
윗판과 좌우측면판 사이 및 밑판과 좌우측면판사이의 각 코너 4개소에 브레이스가 가설되어 있어서 콘테이너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그 하중은 브레이스가 분담지지하여 콘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한다.
브레이스의 한쪽 끝은 착탈가능한 것이어서 정면 및 배면샷터를 열시에 또는 샷터를 열고, 좌우측면판을 접을시에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B) 둘째, 보강장치로서 브레이스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 브레이스의 구조에 의한 다음의 효과가 있다.
긴프레임내 록크프레임이 신축자재로 삽입되어 있어서 브레이스의 가설위치의 길이에 임의로 대응할 수가 있다.
핸들조작으로서 신축구동하는 것이어서 조작성이 양호하다. 환언하면 조작력을 적게 할수 있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록크프레임에는 훅크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중에는 훅크를 핀으로 걸고, 불사용중에는 핀으로 훅크를 이탈시킬 수가 있어서 브레이스 자체가 번거로운 것은 아니다.
(C) 셋째, 샷터의 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샷터를 끌어내릴시에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인장되어 있어도 확실하게 록크되어 샷터가 열어지지 않는다.
록크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핸들을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훅크가 록크핀에 록크되어서 샷터에 인상력이 가해져 있어도 샷터는 록크되어 열려지지 않는다. ,
핸들조작으로 록크와 록크의 해제가 가능하므로 조작이 양호한 것이다.
(D) 샷터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판넬은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수평면과 연결되는 홈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서 각 판넬의 접합부의 간격에서 수평면을 따라 빗물이 침입하여도 이 빗물은 홈프레임의 홈내에 남게 될 뿐 콘테이너 내부로 침입하지는 않는다.
샷터가 윗판내에 수용되어서 수평위치로 유지될 시에도 홈프레임은 상향으로 유지되어서 홈내에 남아있는 빗물은 콘테이너내로 떨어지지 않는다.
(E) 샷터의 인상기구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샷터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스프링의 신축스트로크가 샷터의 이동방향과 간섭이 없이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취할 수 있어서 샷터의 이동거리가 길게되어, 샷터를 윗판내의 안쪽 깊숙이까지 끌어올릴수가 있게 된다.
스프링이 한쌍 설치되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므로 샷터의 양 사이드를 균일하게 끌어 올릴수가 있다.
(F) 측면판에 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부하가 있어도 좌우측면판의 힌지부가 굴곡되지 않게 되어서 콘테이너가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이 록크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쐐기를 때려 넣을 경우에 좌우측면판이 쐐기와 간접하여 쐐기가 좌우측면판의 절곡을 방지한다. 따라서 콘테이너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힌지부가 구부러지지 않아 콘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한다.
쐐기를 끌어올린 경우에는 좌우측면판이 쐐기와 간섭하지 않아 케이스가 분할되어서 힌지부가 굴곡가능하게 되어 콘테이너를 접을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윗판(1)과 밑판(2)와의 사이에 굴곡가능한 좌우측면판(3)과, 상하이동 자재로운 정면 및 배면샷터(5)를 설치한 자유롭게 접을수 있는 콘테이너에 있어서, 윗판(1)과 좌우측면판(3)사이 및 밑판(2)과 좌우측면판(3)사이에 보강장치(14)(15)를 착탈자재토록 설치하고, 정면 및 배면샷터(5)와 밑판(2)과의 사이에는 샷터의 록크장치를 착탈자재토록 설치하고, 좌우측면판(3)의 굴곡부에 대향해서 측면판의 록크장치를 차탈자재토록 설치하고, 또한 윗판(1)내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음과 동시에 샷터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방향으로 향해있는 한쌍의 스프링(38)(39)을 설치하여, 상기 한쌍의 스프링(38)(39)으로 샷터(5)가 항시 윗판(1)방향으로 인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장치(14)(15)는 신축자재로운 브레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스의 기단이 윗판(1)과 좌우측면판(3)사이 및 밑판(2)과 좌우측면판(3) 사이의 코너부에 착탈자재로 피봇(pivo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중공의 긴프레임(16)과 이 긴프레임(16)내로 신축자재로 삽입되는 록크프레임(17)으로 이루어지고 긴프레임에는 핸들(24)이 회전자재토록 피봇되고, 록크프레임(17)에는 링크(29)의 한쪽끝이 피봇되며, 이 링크(29)의 타단은 상기 핸들(24)에 피봇되고, 또한 록크프레임(17)의 단부에 훅크(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샷터(5)의 록크장치는 샷터의 하부에 설치된 록크핀(65)과, 밑판(2)에 회전자재토록 축지(軸支)되어 있는 훅크(6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하 2장의 판(4a)(4b)로 이루어진 좌우측면판(3)은 중앙의 힌지부(8)을 통하여 안쪽으로 굴곡될 수 있고, 상기 힌지부(8)에 대향하는 측면판(3)의 록크장치는 상하 각 판(4a)(4b)의 측면에 취부된 2개의 케이스(76)(77)와, 각 케이스내에 상하 이동자재토록 삽입된 쐐기(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샷터(5)는 굴곡자재토록 접속된 다수의 판넬(54)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넬(54)에는 프레임본체의 상부에 수평면(55)과 이 수평면에 연결되는 홈프레임(56)을 설치하고, 또한 프레임본체의 하부에는 내측의 홈프레임(57)과 이 홈프레임에 연결되는 수평판(58)을 설치하며, 하방의 판넬에 있어서의 홈프레임(57)을 상방의 판넬의 수평판(55)하면에 대향시키고, 또한 상방의 판넬수평면(55)을 하방의 판넬의 홈프레임(57)하면과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프레임(56)외 홈을 샷터(5)가 수직위치에 있을시 횡방향으로 향하고, 샷터가 윗판대에 수용되어 수평위치로 있을시 종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샷터는 정면측과 배면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샷터를 끌어올리는 스프링(38)(39)이 윗판(1)내에 한쌍의 2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윗판(1)내에 좌우한쌍의 브래키트(40)(41)를 설치하고, 각 브래키트(40)(41) 사이에 평행인 2개의 스프링가이드(42)(43)내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스프링이 신축자재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KR1019860009708A 1986-07-31 1986-11-17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KR91000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80835A JPS6344482A (ja) 1986-07-31 1986-07-31 折り畳み自在なコンテナ
JP86-180835 1986-07-31
JP180835 198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00A KR880001500A (ko) 1988-04-23
KR910002424B1 true KR910002424B1 (ko) 1991-04-22

Family

ID=160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708A KR910002424B1 (ko) 1986-07-31 1986-11-17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26486A (ko)
EP (1) EP0255194B1 (ko)
JP (1) JPS6344482A (ko)
KR (1) KR910002424B1 (ko)
AU (1) AU595576B2 (ko)
CA (1) CA1268127A (ko)
DE (1) DE376549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618A (en) * 1988-02-16 1989-07-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llapsible container
GB2214903B (en) * 1988-02-25 1991-12-18 Ind Tech Res Inst Collapsible container
ZA896229B (en) * 1988-08-23 1990-05-30 Geoffrey Raymond Richter Collapsible container
DE4000854A1 (de) * 1989-08-28 1991-03-14 Jan Schlichthaerle Behaelter zum transport von guetern
CH683837A5 (de) * 1991-09-19 1994-05-31 Alusuisse Lonza Services Ag Frachtbehälter, insbesondere für die Luftfahrt.
US5251772A (en) * 1992-10-28 1993-10-12 Yoshiaki Toguchi Document filing case
JP2572313Y2 (ja) * 1992-12-25 1998-05-20 丸新農機株式会社 苗箱用コンテナ
DE9308410U1 (de) * 1993-06-07 1993-08-19 Perstorp Norkun Kunststoffverarbeitung Gmbh, 19057 Schwerin Lager- und Transportbehälter aus Kunststoff
DE4320507C2 (de) * 1993-06-21 1995-04-13 Schuetz Werke Gmbh Co Kg Mehrwegbehälter aus Kunst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K171019B1 (da) * 1993-12-02 1996-04-22 Maersk Container Ind As Kølecontainer og gavlramme
US6299008B1 (en) * 1999-09-28 2001-10-09 Boh Environmental, Llc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US6601724B1 (en) * 1999-11-20 2003-08-05 Rehrig Pacific Company Collapsible merchandizing container
KR100438200B1 (ko) * 2003-11-24 2004-07-02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
US20060016807A1 (en) * 2004-07-23 2006-01-26 F.W. Sunny Way Enterprise Co., Ltd. Foldable freight container
US7237749B2 (en) * 2004-12-14 2007-07-03 The Boeing Company Collapsible mobile platform interior structure
WO2007030535A2 (en) * 2005-09-06 2007-03-15 Pods Enterprises, Inc. Foldable container
US9045280B2 (en) * 2006-01-05 2015-06-02 Alex Bellehumeur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8146382B2 (en) * 2006-02-06 2012-04-03 Inversiones Sestri S.A.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different kind of fruits during long periods of time
EP1984267A1 (en) 2006-02-06 2008-10-29 Inversiones Sestri S.A. A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different kind of fruits during long periods of time
DE202006010375U1 (de) * 2006-07-03 2007-09-06 Neuss-Düsseldorfer Häfen GmbH & Co. KG Schüttgutcontainer in Quaderform, insbesondere als ISO-Container
US9517879B2 (en) * 2007-03-21 2016-12-13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Foldable transport container with horizontally slidable side walls and method for folding said container
CA2639622C (en) * 2007-09-20 2014-05-20 Mathieu Boivin Collapsible container
US8074828B2 (en) * 2008-06-19 2011-12-13 Hoover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Bulk container corner sling adapter
GB0813509D0 (en) * 2008-07-24 2008-08-27 Botham Dale M Folding curtain sided container
CA2739022A1 (en) * 2008-10-13 2010-04-22 Wabash National, L.P. Foldable mobile storage container
NL1036708C2 (nl) * 2009-03-13 2010-09-14 Giesbers Holding B V In- en uitklapbare vrachtcontainer.
ITTV20090060A1 (it) * 2009-03-27 2010-09-28 Rc Partner Srl Container pieghevole e metodi per la sua chiusura e apertura
CN201756288U (zh) * 2009-05-27 2011-03-09 新柜实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集装箱以及侧板结构
NL2003079C2 (en) * 2009-06-24 2010-12-27 Univ Delft Tech Foldable container.
USD689694S1 (en) * 2009-09-18 2013-09-17 Ifco Systems Gmbh Egg crate
CN103857932B (zh) 2011-08-15 2017-10-17 乔治·E·科查诺斯基 接合构件
US9751688B2 (en) * 2013-03-13 2017-09-05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Folding container
US11046507B2 (en) 2013-03-13 2021-06-29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Folding container
US11952206B2 (en) 2013-03-13 2024-04-09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Folding container
US10882689B2 (en) 2013-03-13 2021-01-05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Folding container
US9932169B2 (en) 2013-03-13 2018-04-03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Locking mechanism for a collapsible container
US11192713B2 (en) 2013-03-13 2021-12-07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Folding container
KR101488384B1 (ko) * 2013-12-30 2015-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
CN103919259A (zh) * 2014-04-29 2014-07-16 南平市烟草公司建阳分公司 折叠式晾烟架
EP2987738B1 (de) * 2014-08-18 2017-05-10 Schoeller Allibert GmbH Sortier- und Zustellbehälter
US9688466B2 (en) * 2014-09-25 2017-06-27 Elias Jordan Ronstadt Vertically collapsible semi-truck trailer
DE102015100886A1 (de) * 2015-01-22 2016-07-28 Ifco Systems Gmbh Displaybehälter
US10723507B2 (en) 2016-02-09 2020-07-28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walls of a storage container
US10703531B2 (en) 2016-03-11 2020-07-07 Rehrig Pacific Company Collapsible crate with wood appearance
US10982994B2 (en) * 2016-04-07 2021-04-20 George E. Kochanowski Scale for an intermodal freight container
AU2016204390B2 (en) * 2016-06-27 2022-07-07 Freightquip Pty Ltd Freight container
KR101875830B1 (ko) * 2017-07-04 2018-07-06 주식회사 코엘트 접이식 컨테이너
RU2672998C1 (ru) * 2017-10-17 2018-11-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ус", Ооо "Парус" Складной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DE102017127304A1 (de) * 2017-11-20 2019-05-23 Heinz Buse Wechselbehälter zum Transport von Gütern und Wechselbehälter-System
IL258144A (en) * 2018-03-15 2018-04-30 Anyvention Ltd An expandable bag and a device for expanding a bag
US11597557B2 (en) 2018-10-04 2023-03-07 Rehrig Pacific Company Reconfigurable beverage crate
DE102018218750A1 (de) * 2018-11-02 2020-05-07 Atlas Elektronik Gmbh Container mit einer geführten Tür sowie Transport-Verfah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Containers
CN111977198B (zh) * 2019-05-23 2022-06-10 克兰普斯波革命有限责任公司 改进的具有凸轮锁定安装支架的可收缩集装箱
US11858723B2 (en) * 2021-08-24 2024-01-02 QT-System LLC Modular portable storage container system
US11858724B2 (en) 2021-08-24 2024-01-02 QT-System LLC Modular portable storage contai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3466A (en) * 1959-06-29 1963-01-15 John H Greer Transportation unit carrying,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DE3200216A1 (de) * 1981-01-09 1982-08-12 Juan Bautista 1425 Buenos Aires Bigliardi Zusammenlegbarer und stapelbarer behaelter
US3195506A (en) * 1963-11-29 1965-07-20 Jack S Beard Foldable animal shipping container
GB1127435A (en) * 1965-09-13 1968-09-18 Henry John Kennard Improvements in collapsible rectangular-side units such as containers for goods transport
DE1809634A1 (de) * 1968-11-19 1970-07-23 Burger Eisenwerke Ag Transportbehaelter
US3645596A (en) * 1969-12-30 1972-02-29 Boothe Airside Services Cargo container construction
US3796342A (en) * 1972-06-05 1974-03-12 Pinckney Molded Plastics Collapsible container
JPS5712751B2 (ko) * 1973-03-23 1982-03-12
US4162737A (en) * 1976-06-04 1979-07-31 Sea Containers, Ltd. Collapsible container
US4214669A (en) * 1979-01-15 1980-07-29 Mcquiston William W Cargo container
DE3024410C2 (de) * 1980-06-28 1986-10-09 Aluminium-Walzwerke Singen Gmbh, 7700 Singen Frachtbehälter, insbesondere für Lufttransporte
US4388993A (en) * 1981-01-26 1983-06-21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ple access carton
US4388995A (en) * 1981-06-08 1983-06-21 Ahn Min H Collapsible container
JPS59199443A (ja) * 1983-04-13 1984-11-12 日綜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自在なコンテナ
JPH0529345Y2 (ko) * 1984-10-06 1993-07-27
US4646928A (en) * 1985-01-10 1987-03-03 Nisso Sangyo Co., Ltd. Folding container
US4684034A (en) * 1985-01-10 1987-08-04 Nisso Sangyo Co., Ltd. Folding container
US4577772A (en) * 1985-03-26 1986-03-25 Bigliardi Juan B Collapsible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00A (ko) 1988-04-23
AU6812987A (en) 1988-02-04
AU595576B2 (en) 1990-04-05
EP0255194A2 (en) 1988-02-03
JPS6344482A (ja) 1988-02-25
EP0255194A3 (en) 1988-08-31
JPH0346385B2 (ko) 1991-07-16
CA1268127A (en) 1990-04-24
US4726486A (en) 1988-02-23
DE3765495D1 (de) 1990-11-15
EP0255194B1 (en) 1990-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424B1 (ko)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콘테이너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US6634668B2 (en) Collapsible display cart
US10206501B1 (en) Folding storage unit
US4880210A (en) Removable and stackable hoistway door assesmbly
US5242070A (en) Freight container, in particular air freight container
US11136183B2 (en) Container
WO2022142773A1 (zh) 升降装置及搬运机器人
US5873204A (en) Cart with multi-position doors
AU2009351312A1 (en) Collapsible shipping bin of variable capacity
KR102466048B1 (ko) 관절형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JP3903253B2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EP3730419A1 (en) Container
KR102197403B1 (ko)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US3333720A (en) Folding crate
EP4227237A1 (en) Container
US4350357A (en) Shipping and display cart
JPH0311195Y2 (ko)
WO2024053682A1 (ja) コンテナ
US20200369467A1 (en) Cargo container with dual mode doors
KR970005638Y1 (ko) 트렁크형 엘리베이터의 트렁크도어 개폐장치
JP2023141856A (ja) 折畳みコンテナ
KR20220142052A (ko) 접이식 캠핑박스
KR970002647Y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