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341Y1 - 다극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다극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341Y1
KR910002341Y1 KR2019880006985U KR880006985U KR910002341Y1 KR 910002341 Y1 KR910002341 Y1 KR 910002341Y1 KR 2019880006985 U KR2019880006985 U KR 2019880006985U KR 880006985 U KR880006985 U KR 880006985U KR 910002341 Y1 KR910002341 Y1 KR 910002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pole
fixed
circuit break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730U (ko
Inventor
하루히사 도다
고오헤이 후지하라
세쓰오 호소가이
가스미 시오구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8427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54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8427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391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8428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54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8427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54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4271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546Y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23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88Details of rotatable shafts common to more than one pole or switch uni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극회로 차단기
제1도는 이 고안의 한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2도의 부분도.
제6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의 부분도.
제7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4도의 부분도.
제8도는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지지축과 레버의 고정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Ⅹ-Ⅹ선의 단면도.
제12도는 지지축과 레버의 고정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것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Ⅹ-Ⅹ선의 확대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X1-X1선의 확대단면도.
제16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14도의 부분도.
제17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15도의 부분도.
제18도는 레버를 설피한 지지축의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X11-X11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기구극 1B,1C : 인접극
1c : 상간벽 4 : 자동트립장치
20 : 개폐기구 20a : 크레이들
24 : 래치 25A : 지지축
29 : 레버 32 : 경보스위치
33A,45 : 액츄에이터 40 : 절연캡
42 : 부족전압 트립장치
그리고 가도면 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이 고안은 개폐기구가 있는 기구극(機構極)과 기 기구극과 상간벽(相間壁)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또한 경보스위치 등의 내부부속장치가 있는 개폐기구가 없는 인접극을 구비한 다극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13도 내지 제20도는 예를 들면 일본실원소 61-122792호에 표시된 종래의 다극회로차단기 표시도이며 제13도는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Ⅹ-Ⅹ선의 확대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XI-XI선의 확대단면도, 제16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14도의 부분도, 제17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15도의 부분도, 제18도는 레버를 설치한 지지축의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XII-XII선의 단면도, 제20도는 지지축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베이스(1a)와 커버(1b)로 된 차단기케이스에 개폐기구가 있는 기구극(1A)과, 경보스위치가 있는 개폐기구가 없는 인접극(1B)을 구비하고 있다.
2는 베이스(1a)에 고정된 전원측의 고정도체, 3은 고정도체(2)에 고착된 고정접점, 4는 자동트립장치로 도시생략되었지만 예를 들면 열동전자식 혹은 전자식의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5는 자동트립장치(4)에 접속한 부하측의 고정도체, 6은 가동접점, 7은 가동접점(6)을 고착한 가동자, 8은 가동자(7)를 접속도체(9)를 통하여 자동트립장치(4)에 접속하기 위한 가요 도체, 10은 가동자(7)를 보지하는 접촉암으로 후기하는 개폐기구가 연계되는 제1접촉암(10a)와 가동자(7)가 제1핀(1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접촉암(10b)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13은 각극의 제1접촉암(10a)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14는 제1접촉암(10a)에 설치되어 개폐방향으로 뻗은 안내공, 15는 제2접촉암(10b)에 설치된 장공으로 안내공(14)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16은 안내공(14)와 장공(15)에 걸쳐 계합하는 제2핀, 17은 제1핀(11)과 제2핀(16)간에 설치된 인장스프링으로 제2핀(16)에 탄력을 가한다. 18은 가동자(7)와 제2접촉암(10b)간에 설치된 접압스프링, 19는 차단기의 조작핸들, 20은 차단기의 개페기구로 크레이들(20a), 상부링크(20b), 하부링크(20c) 등으로 구성된다.
21은 크레이들(20a)에 설치된 스토퍼핀, 22는 하부링크(20c)를 제1접촉암(10a)에 연계하기 위한 연결핀, 23은 소호실, 24는 크레이들(20a)과 계합하는 래치로 지지축(2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26은 자동트립장치(4)의 트립바래치로 래치레버(27)를 통하여 래치(24)와 계합한다.
28은 차단기케이스(1)의 상간벽(1c)에 설치된 지지축(25)관통용의 환공, 29는 지지축(25)에 고정된 레버로 크레이들(20a) 하측에 계합하고 있다.
30A는 레버(29)를 크레이들(20a)의 트립방향(화살표(31)로 표시하는 방향)에 상시 탄력을 주는 비틀림스프링, 32는 회로차단기가 트립하였을 때에 경보램프, 버저 등을 작동시키는 경보스위치, 33은 지지축(25)에 고정한 엑츄에이터로 경보스위치(32)에 계합하고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3도, 제14도에 표시는 기구극(1A)의 온상태에서는 전원측 고정도체(2)→고정접점(3)→가동접점(6)→가동자(7)→가요도체(8)→접속도체(9)→자동스립장치(4)→부하측고정도체(5)→의 방향에 전류가 흐른다.
또 제13도, 제15도에 표시하는 인접극(1B)의 온상태에서는 전원측 고정도체(2)→고정접점(3)→가동접점(6)→가동자(7)→가요도체(8)→접속도체(9)→부하측고정도체(5)의 방향에 전류가 흐른다.
조작핸들(19)을 오프조작(제14도의 화살표(34)방향)하면은 개폐기구(20)에 의하여 접촉암(10)이 들어 올려져서 가동자(7)와 함께 가동접점(6)이 고정접점(3)에서 개리한다.
이 때 인장스프링(17)에 의하여 제2핀(16)이 안내공(14)의 요부(14a)에 함입되어 있으므로 제2접촉암(10b)은 제1접촉암(10a)과 일체가 되어서 개폐기구(20)에 의해 들어 올려져 지축(12)을 지점으로 하여 스토퍼핀(21)에 충돌하여 멈춘다.
이 제1접촉암(10a)의 회전은 크로스바(13)에 의하여 제15도의 인접극(1B)의 제1접촉암(10a)에 전달되어 인접극(1B)의 접촉암(10)도 마찬가지로 들어 올려져서 가동자(7)와 함께 가동접점(b)이 고정접점(3)에서 개리한다. 제13도, 제14도에 표시하는 온상태에서 과전류가 흐르면 자동트립장치(4)가 작동하여 트립바래치(26), 래치레버(27)를 통하여 래치(24)가 회전하여 크레이들(20a)이 래치(24)에서 벗어나 제14도의 화살표(31)의 방향으로 튀어오르므로 이 개폐기구(20)의 동작에 의하여 접촉암(10)이 들어 올려져 가동접점(6)이 개리하여 트립한다.
이때도 제1접촉암(10a)의 회전은 크로스바(13)에 의하여 제15도의 인접극(1B)의 제1접촉암(10a)에 전달되고 인접극(1B)의 접촉암(10)도 마찬가지로 들어 올려져 제17도와 같이 가동접점(6)이 개리하여 트립한다. 상기 크레이들(20a)가 래치(24)에서 벗어나 화살표(31) 방향으로 튀어오르면 레버(29)가 비틀림스프링(30)의 힘에 의하여 제14도의 화살표(35)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6도의 트립상태가 된다.
이 레버(29)의 회전이 지지축(25)를 통하여 엑츄에이터(33)에 전달되어 엑츄에이터(33)가 제15도의 화살표(36)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7도의 트립상태가 되어서 경보스위치(32)가 절환된다.
즉 차단기의 트립을 알리는 경보가 울리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형식의 차단기에서는 단락전류 등의 대전류가 흐르면 고정도체(2)와 가동자(7)간에 생기는 전자력작용에 의하여 고정도체(2)에 대하여 가동자(7)가 반발하여 개리한다.
이때 제1접촉암(10a)은 자동트립장치(4)에 의한 릴레이시간 때문에 개폐기구(20)의 작동지연이 있지만 제2접촉암(10b)은 인장스프링(17)의 탄력을 극복하여 제2핀(16)을 요부(14a)에서 풀어서 안내공(14)내를 이동시킴으로써 지축(12)을 지점으로 개리하며 제2핀(16)이 안내공(14)의 단부(14b)에 충돌하여 멈춘다.
이 반발운동은 가동자(7)가 접촉암(10)을 통하여 연결되는 개폐기구(20)의 동작보다 속동성이 있으며 이에 의하여 한류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또 제13도에서 도시생략되었지만 예를 들면 반대측의 인접극(1C)에 주회로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가 되면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부족전압 트립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지지축(25)의 반대측(제13도의 상방측)에도 엑츄에이터(예를 들면(33))를 설치하여 이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부족전압트립장치를 리세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극회로차단기에서는 지지축(25)이 환공(28)을 관통하여 인접극(1B)내에 침입하므로 지지축(25)을 통하여 양극(1A)(1B)이 연통하고 상간의 절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에서는 액츄레이터(33)를 지지축(25)의 단부에 삽입 고정할 때에 일체적으로 고착할 뿐만 아니라 경보 스위치(32)의 절환 포인트를 고려하여 각도를 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에서는 지지축(25)에 구멍(25a)을 뚫고 이 구멍(25a)에 리벳(25b)을 삽입하여 지지축(25)과 레버(29)를 리벳체결하고 있었으므로 지지축(25)의 강도가 구멍(25a)에 의하여 현저하게 저하할 뿐만아니라 리벳(25b)의 이완에 의하여 지지축(25)과 레버(29)의 고착강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축의 단부에 삽입 고정한 절연캡에 의하여 상간벽을 관통함으로써 상간의 절연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캡에 빠짐방지용 플렌지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상간의 절연성능과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다극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고안은 엑츄에이터를 절연캡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각도가 정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엑츄에이터의 각도가 다른 조립이 전무하게 되는 조립작업성의 우수한 다극회로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은 지지축의 구멍을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지지축의 강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축과 레버의 고착강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지지축의 면가공이 용이한 다극회로차단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고안에 의한 다극회로차단기는 지지축을 금속으로 형성하고 이 지지축의 단부에 절연캡을 삽입고정하여 이 절연캡부분에서 상간벽을 관통하는 동시에 이 절연캡에 상기 엑츄에이터를 삽입고정하고 또한 절연캡에 빠짐방지용 플렌지를 설치하여 이 플렌지를 상간벽의 기구극측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이 고안에 의한 다극 회로차단기는 지지축을 금속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지지축의 단부에 절연캡을 삽입고정하고 이 절연캡의 부분에서 상간벽을 관통하는 동시에 이 절연캡에 엑츄에이터를 삽입고정하도록 하고 또한 엑츄에이터의 삽입공의 형상과 이 삽입공에 끼우는 절엽캡의 부분형상을 엑츄에이터의 설치각도가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 고안에 의한 다극회로차단기는 레버의 양측을 동방향에 구부려 형성되는 양측판부, 이 양측판부에 각각 설치되어서 지지축이 삽입되는 양구멍, 그리고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는 레버에 접면한 상태로 끼워 맞추는 요부를 구비하고 지지축을 양구멍에 삽입하여 요부를 레버에 끼워 맞춘 후 양측판부를 지지축을 향하여 타격을 가하여 코킹함으로써 지지축과 레버를 고정하는 동시에 회전방지용 계합평면이 형성되는 지지축 단부에 절연캡을 삽입고정하여 이 절연캡부분으로 상간벽을 관총하여 이 절연캡에 엑츄에이터를 삽입고정하도록 하고 또한 지지축의 요부평면과 계합평면을 축중심에 대하여 동일각도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 고안에 있어서는 지지축의 단부에 절연캡을 삽입고정하여 이 절연캡 부분으로 상간벽을 관통하므로 이 절연캡에 의하여 상간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절연캡에 빠짐방지용 플렌지가 있으므로 이 믈렌지가 차폐판작용을 하며 더욱 상간 절연성능이 향상되며 또한 이 플렌지에 의하여 절연캡이 조립시 낙하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이 고안에 있어서는 지지축 단부에 절연캡을 삽입고정한 후 이 절연캡에 엑츄에이터를 삽입고정하면 엑츄에이터의 각도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시에 다른 각도는 엑츄에이터가 절연캡에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고안에서는 지지축을 양구멍에 삽입하여 요부를 레버에 끼워 맞춘 상태로 양측판부에 지지축에 향하여 타격을 가하여 코킹하므로, 요부가 레버에 끼워 맞추어져 지지축이 축방향 및 회전방향에 벗어나는 일이 없이 지지축과 레버가 튼튼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축에 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지지축의 요부평면과 계합평면이 축중심에 대하여 동일각도가 되므로 지지축의 면가공이 용이하다.
다음은 이 고안의 한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2도의 부분도, 제6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의 부분도, 제7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4도의 부분도, 제8도는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이며 상기 종래 것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25A는 금속으로 형성된 지지축이며 양단부(25a)(25a) 양측의 상간벽(1c)(1c)를 관통하고 있다.
37은 기구극(1A)의 베이스(1a)에 고정된 기구프레임으로 양측판(37a)(37a)이 있다.
38,38은 양측판(37a)(37a)에 뚫은 지지축삽입공, 39,39상간벽(1c)(1c)에 끼워 상간배리어(barrier)로 양측의 돌출부(39a)(39a)를 상간벽(1c)의 양홈에 끼워맞추어 장작되어 있다.
40,40은 지지축(25A)의 양단부(25a)(25a)이 삽입고정한 절연캡으로 평면부(40a)가 단부(25a)의 평면부(251)에 끼워 맞추어져 회전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41,41은 상간배리어(39)(39)에 뚫린 캡삽입공, 42는 인접극(1C)에 설치된 부족전압트립장치이며 트립시에 돌출하는 가동철심(42a)과 이 가동철심(42a)을 돌출방향에 탄력을 가하는 압입스프링(42b)이 있다.
43은 부족전압트립장치(42)의 리세트바이며 가동철심(42a)과 계합하고 있다.
44는 리세트바(43)를 반리세트방향(제4도의 반화살표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는 압입스프링, 45는 리세트바(43)를 작동하는 엑츄에이터를 절연캡(40)의 각축부(40b)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삽입 고정되어 있다.
48,48은 절연캡(40)(40)에 설치된 빠짐용 플렌지로 상간배리어(39)에 기구극(1A)측에서 접촉한다.
51은 가동철심(42a)에 의하여 작동되는 트립바이며 래치레버(27)의 지축(27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엑츄에이터(33A)는 절연캡(40)의 각축부(40b)에 삽입되며 또 비틀림스프링(30A)은 레버(29)의 스프링거리부(29a)와 기구프레임(37)의 돌출편(37b)에 제지된다.
제8도에 표시한 상태(미리 기구프레임(37)의 지지축삽입공(38)(38)에 지지축(25A)를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판(37a)(37a)에서 양측으로 돌출하는 지지축(25A)의 양단부(25a)(25a)에 각각 절연캡(40)(40)을 플렌지(48)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이 절연캡(40)(40)에 각각 상간배리어(39)(39)를 끼워 맞추며 각 상간배리어(39)(39)를 상간벽(1c)(1c)에 끼우면 제1도와 같이 조립한다.
지금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온상태에서 주회로의 전압이 소정치이하가 되어 부족전압트립장치(42)가 동작하고 가동철심(42a)이 제4도 중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계방향)하여 즉 래치레버(27)가 지축(27a)에 의하여 제2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24)가 해제됨으로써 크레이들(20a)이 화살표(31) 방향으로 튀어오르며 이하 마찬가지로 트립하여 제5도의 상태가 된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A)의 회전에 의하여 엑츄에이터(33A)도 회전하여 마찬가지로 경보스위치(32)가 절환되어 경보가 울리게 된다. 이때 지지축(25A)에 의하여 엑츄에이터(33A)도 제4도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리세트 레버(43)를 밀어 올려 가동철심(42a)을 제7도와 같이 리세트시킨다.
가동철심(42a)은 부족전압 트립장치(42)의 트립 후의 규정전압 복귀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리세트되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이 먼저 리세트레버(43)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복귀시켜 확실하게 리세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축(25A)의 단부(25a)에 절연캡(40)을 삽입고정하여 이 절연캡(40)의 부분으로 상간벽(1c)을 관통해 두면 이 절연캡(40)에 의하여 상간의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또 절연캡(40)을 설치함으로써 지지축을 금속봉으로 할 수 있으므로 지지축(25A)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한 개의 지지축(25A)에 의하여 좌우극의 경보스위치(32)의 절환 및 부족전압트립장치(42)의 리세트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구의 간략화 부품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또는 절연캡(40)에 플렌지(48)를 설치해두면 플렌지(48)가 캡삽입공(41)을 막고 또한 기구극(1A)측에서 차폐판의 작용을 하므로 더욱 상간의 절연성능이 향상하고 또 절연캡(40)은 조립시에 플렌지(48) 때문에 낙하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9도는 제8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45는 리세트바(43)를 작동하는 엑츄에이터이며 각공(45a)에 의하여 절연캡(40)의 각축부(40b)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46은 엑츄에이터 각공(45a)의 1면에 설치된 종홈, 47은 절연캡(40)의 각축부(40b)의 1면에 설치된 종돌출부로 종홈(46)에 맞게 되어 있다.
33A는 경보스위치(32)를 작동하는 엑츄에이터 각공(33a)에 의하여 절연캡(40)의 각축부(40b)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49는 엑츄에이터 각공(33a)의 1면에 설치된 종홈, 50은 절연켑의 각축부(40b)의 1면에 설치된 종돌출부로 종홈(49)에 맞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절연캡(40)(40)의 각축부(40b)에 각각 종돌출부를 설치하고 또한 엑츄에이터(45)(33A)의 각공(45a)(33a)에 각각 종홈(46)(49)를 설치하면 엑츄에이터(45)(33A)의 조립시에 각종홈(46)(49)을 각종돌출부(47)(50)에 맞추고 각 엑츄에이터(45)(33A)의 각도(방향)가 설정된다. 이 때 절연캡(40)의 각축부(40b)에 대한 엑츄에이터(30A)의 각공(33a)의 각도를 미리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엑츄에이터(45)(33A)는 정해진 일정방향으로 밖에서 조립할 수 없으므로 (45)(33A)의 각도가 삽입고정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될 뿐만 아니라 다른 각도로의 설치가 전무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엑츄에이터(45)(33A)의 설치각도의 차를 각 절연캡(40)(40)의 각축부(40b)의 각도 및 종돌출부(47)(50)의 각도차로 하면 각 엑츄에이터(45)(33A)를 동일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액츄에이터(45)(33A)의 설치각도를 지지축(25A) 양단부(25a)(25a)의 평면부(251)(251)의 각도차로 하여 미리 평면부(251)(251)에 주게 되면 각 절연캡(40)(40) 및 각 엑츄에이터(45)(33A)를 동일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된다.
다음은 이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0-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57,57은 레버(29)의 양측을 동방향으로 90° 구부려서 평행상으로 형성한 양측판부, 58,58은 양측판부(57)(57)에 각각 설치된 양구멍이며, 지지축(25A)이 삽입된다.
59는 지지축(25A)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부이며 축방향에는 레버(29)의 폭(11)이 삽입되는 길이(12)로 되고 또한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레버(29)와 접면하는 접선방향에 따라 평면부(59a)가 있다.
제10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지지축(25A)를 뒤집어서 레버(29)의 양구멍(58)(58)에 삽입하여 요부(59)를 레버(29)에 끼워 맞춘 후 제12도와 같이 양측판부(57)(57)을 화살표(A)로 표시하는 지지축(25A) 방향으로 타격을 가하여 코킹한다.
이와 같이 코킹한 상태(제8도, 제12도의 싱태)에서는 요부(59)가 레버(29)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양구멍(58)(58)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축방향에는 요부(59)의 단부가 레버(29)의 단면에 계합하여 벗어나지 않고 또 회전방향에는 요부(59)의 평변부(59a)가 레버(29)에 접면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지축(25A)과 레버(29)가 공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10도,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A)의 요부평면부(59a)와 양측의 각계합평면(251)(251)을 축중심에 대하여 동일각도가 되도록 하면 이들의 면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그 때 양자를 동일각도, 높이로 하면 더욱 열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지지축의 단부에 삽입 고정한 절연캡에 의하여 상간벽을 관통함으로써 상간의 절연성능향상을 기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캡에 빠짐방지용 플렌지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상간절연성능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고안에 의하면 엑츄에이터를 절연캡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각도가 정해지므로 용이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엑츄에이터의 각도가 다른 조립이 전무하게 되는 잡업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고안에 의하면 지지축의 구멍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지지축의 강도 향상이 되는 동시에 지지축과 레버의 고착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지축의 면가공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개폐기수(20)가 있는 기구극(1A)과, 상간벽(1c)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경보스위치(32) 등의 내부부속장치가 있는 개폐기구 없는 인접극(1B)(1C)을 구비한 다극회로차단기로서, 상기 개폐기구(20)의 크레이들(20a)과 계합하며 자동트립장치(4)에 의하여 작동되는 래치(24)와, 이 래치(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25A)과, 이 지지축(25A)에 고정되어서 상기 크레이들(20a)과 계합하며 상기 크레이들(20a)의 트립방향으로 상기 힘을 받고 있는 레버(29)와, 상기 지지축(20A)에 고정되어서 상기 내부부속장치와 계합하는 엑츄에이터(33A)(45)를 보유한 것에 있어서, 상기 레버(29)의 양측을 동방향으로 구부려서 양측판부(57)(57)를 형성하고 이 양측판부(57)(57)에 상기 지지축(25A)이 삽입되는 양구멍(58)(58)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지지축(25A)을 금속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버(29)에 면접한 상태에서 끼워 맞추는 요부(凹 部)(59)를 상기 지지축(25A)의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25A)을 상기 양구멍(58)(58)에 삽입하여 상기요부(59)를 상기 레버(29)에 끼워 맞춘 후 상기 양측판부(57)(57)을 상기 지지축(25A)을 향하게 두들려서 코킹함으로써 상기 지지축(25A)과 상기 레버(29)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축(25A)의 단부(25a)(25a)에 절연캡(40)(40)을 삽입 고정하여 이 절연캡(40)(40)부분으로 상기 상간벽(1c)(1c)을 관통하며, 이 절연캡(40)(40)에 상기 엑츄에이터(33A)(45)를 삽입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부속장치로서 경보스위치(32)가 있는 인접극(1B)과, 내부부속장치로서 부족전압크립장치(42)가 있는 인접극(1C)의 기구극(1A)의 좌우 양측에 구비한 것으로서, 절연캡(40)을 지지축(25A)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고정하고, 각 절연캡(40)에 삽입 고정한 엑츄애이터(33A)(45)에 의하여 각각 경보스위치(32)의 질환과 부족전압트립장치(42)의 리세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33A)(45)의 삽입공의 형상과 이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기 절연캡(40) 부분의 형상을 상기 엑츄에이터(33A)(45)의 설치각도가 일정하게 되는 일정방향의 끼움맞춤형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엑츄에이터(33A)(45)의 삽입공을 각공(33a)(45a)으로 하고 절연캡(40)부분을 상기 각공(33a)(45a)에 맞는 각축(40b)으로 하며 상기 각공(33a)(45a)과 각축(40b)의 한 접면에 끼어맞춤형 요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엑츄에이터(33A)(45)의 각공(33a)(45a) 1면에 설치된 종홈(49)(46)과 절연캡(40)의 각축(40b)의 1면에 설치한 종돌출부(50)(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40)에 빠짐방지용 플렌지(48)을 설치하며 이 플렌지(48)를 상기 상간벽(1c)의 기구극(1A)축 측면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간벽(1c)(1c)에 돌출부(39a)과 홈에 의하여 끼워 맞추는 상간배리어(39)(39)가 있으며 이 상간배리어(39)(39)의 구멍(41)에 절연캡(40)을 회전가능하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5A)의 단부에는 회전방지용 계합평면(251)(251)이 형성되고 여기서 절연캡(40)을 삽입고정하여 이 절연캡(40)부분으로 상기 상간벽(1c)을 관통하는, 이 절연캡(40)에 상기 엑츄에이터(33A)(45)를 삽입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축(25A)의 요부평편(59a)과 상기 계합평면(251)(251)을 축중심에 대하여 동일각도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차단기.
KR2019880006985U 1987-05-28 1988-05-10 다극회로 차단기 KR9100023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84273 1987-05-28
JP62-84272 1987-05-28
JP1987084270U JPH081547Y2 (ja) 1987-05-28 1987-05-28 多極回路しゃ断器
JP1987084273U JPH0743913Y2 (ja) 1987-05-28 1987-05-28 多極回路しゃ断器
JP1987084283U JPH081549Y2 (ja) 1987-05-28 1987-05-28 多極回路しゃ断器
JP1987084272U JPH081548Y2 (ja) 1987-05-28 1987-05-28 多極回路しゃ断器
JP62-84270 1987-05-28
JP62-84271 1987-05-28
JP62-84283 1987-05-28
JP8427187U JPH0727546Y2 (ja) 1987-05-28 1987-05-28 多極回路しゃ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730U KR890023730U (ko) 1989-12-04
KR910002341Y1 true KR910002341Y1 (ko) 1991-04-11

Family

ID=2752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985U KR910002341Y1 (ko) 1987-05-28 1988-05-10 다극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31602A (ko)
EP (1) EP0292850B1 (ko)
KR (1) KR910002341Y1 (ko)
DE (1) DE385109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031A (en) * 1993-08-20 1994-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st-efficient industrial-rated molded case breaker
DE19727853C1 (de) * 1997-06-26 1998-11-26 Siemens Ag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einer Schaltwelle
US5910757A (en) * 1998-03-25 1999-06-08 Square D Company Phase barrier for use in a multiphase circuit breaker
US6376788B1 (en) * 2001-01-08 2002-04-23 Eaton Corporation Magnetically collapsible toggle linkage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DE10144440C1 (de) * 2001-09-06 2002-08-29 Siemens Ag Schaltkontaktanordn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Verstärkung einer zwischen Schaltkontakten wirkenden Kontaktkraft
DE10144588C1 (de) * 2001-09-11 2003-01-02 Moeller Gmbh Befestigungsverfahren, Montagewerkzeug und Stützhebel für ein Schaltschloss eines Leistungsschalters, bzw. Lasttrennschalters
US7325846B2 (en) * 2003-05-07 2008-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w profile mechanical assist hood latch
AT509277A1 (de) 2008-03-05 2011-07-15 Moeller Gebaeudeautomation Gmbh Schaltgerät
DE102011086308B4 (de) * 2011-11-14 2022-03-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hrpoliger elektrischer Schalter
CN105762028B (zh) * 2014-12-18 2019-08-02 通用电气公司 一种断路器的触臂和制造该触臂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8911A (en) * 1960-07-07 1963-07-23 Heinemann Electric Co Interconnected circuit breakers
US3175064A (en) * 1962-04-05 1965-03-23 Ite Circuit Breaker Ltd Shunt trip and under voltage device
US3414850A (en) * 1965-10-24 1968-12-03 Texas Instruments Inc Multi-phase circuit breaker ganging device using circular communication between phases
FR2108806B1 (ko) * 1970-10-07 1975-06-06 Legrand Sa
FR2171863B1 (ko) * 1972-02-11 1974-08-02 Hazemeyer Sa
US3958095A (en) * 1974-10-21 1976-05-18 Allen-Bradley Company Disconnect switch
DE2757696C2 (de) * 1977-12-22 1984-10-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ehrpoliger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einer Kontaktarme tragenden Schaltwelle
FR2420839A1 (fr) * 1978-03-22 1979-10-19 Legrand Sa Disjoncteur, son mecanisme de declenchement
US4553116A (en) * 1984-01-09 1985-11-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resettable combined undervoltage and manual trip mechanism
JPH082907Y2 (ja) * 1985-07-08 1996-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
US4778959A (en) * 1987-04-27 1988-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Fused disconnect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1093D1 (de) 1994-09-22
EP0292850A2 (en) 1988-11-30
EP0292850B1 (en) 1994-08-17
US4931602A (en) 1990-06-05
DE3851093T2 (de) 1995-01-26
EP0292850A3 (en) 1990-10-10
KR890023730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219B1 (ko) 다중폴 회로 차단기
KR910002341Y1 (ko) 다극회로 차단기
KR930001954B1 (ko) 회로차단기 경보스위치 조작장치
CA2420864C (en) Two pole circuit breaker calibrated in assembled state
JPH0119315Y2 (ko)
JP3117074B2 (ja) 回路遮断器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20110074424A (ko) 회로차단기
US5546060A (en) Support plate for a circuit breaker
JPH0338906Y2 (ko)
JPH081549Y2 (ja) 多極回路しゃ断器
JPH0727546Y2 (ja) 多極回路しゃ断器
JPH0743913Y2 (ja) 多極回路しゃ断器
JPH0676723A (ja) 多極形回路遮断器
JPH081547Y2 (ja) 多極回路しゃ断器
KR890003406Y1 (ko) 회로차단기
JP3475598B2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JPH0715088Y2 (ja) 回路しや断器
JP3261283B2 (ja) 回路遮断器
KR890002478B1 (ko) 회로 차단기
US4323868A (en) Setting mechanism for snap action circuit breaker
JPH0751720Y2 (ja) 回路遮断器の付属スイッチ
KR20019079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선택형 트립장치
JPH0751719Y2 (ja) 回路遮断器のトリップクロスバー
JPS62424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