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59B1 -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59B1
KR920003959B1 KR1019890011853A KR890011853A KR920003959B1 KR 920003959 B1 KR920003959 B1 KR 920003959B1 KR 1019890011853 A KR1019890011853 A KR 1019890011853A KR 890011853 A KR890011853 A KR 890011853A KR 920003959 B1 KR920003959 B1 KR 92000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rol
latch
platen
contro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017A (ko
Inventor
히로도시 오이시
다쓰노리 이께다
마나부 소가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54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01H89/08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both devices using the same contact 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어핸들오프로 원격조작 오프상태의 측면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앞커버를 일부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뒤커버를 일부제거한 상태의 이면도.
제 4 도는 제어핸들 오토로 원격조작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5 도는 제어핸들 오토로 원격조작온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6 도는 트립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7 도는 전자부(電磁部)의 분해사시도.
제 8 도는 3상유도전동기의 종래의 운전계통도.
제 9 도는 종래의 것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차단기케이스 5a : 앞커버
5b : 베이스 5c : 뒤커버
6 : 전원측단자 8-17 : 접점부
26 : 전자코일 28 : 고정코어
30 : 가동코어 34 : 전달레버
200 : 전자부 50 : 제어핸들
54 : 링크 56 : 레버
57 : 래치 61 : 압판
63 : 제어래버 63A : 탄성체
300 : 제어기구부 400 : 과전류트립부
78 : 부하측단자
본원 발명은 회로차단기 본래의 차단기능에 고빈도장수명의 개폐기능을 아울러 가진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 8 도는 예를 들면 3상유도전동기(M)의 종래의 운전계통도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동기(M)는 각기 독립된 배선용차단기(1) 및 전자(電磁) 접촉기(2)를 직렬접속하여 구성되는 메인 회로기구(器具)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로(電路)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접속하는 이유는 상기 배선용차단기(1)가 단락시 또는 과부하시에 메인회로기구나 전동기(M)등의 기기 및 전로를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그 허용개폐회수가 대략 10000회 이하이므로, 전원개폐와 같은 개폐빈도가 심한 장소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원격조작을 하는 것도 곤란하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개폐빈도가 많은 곳에서는 전자접촉기(2)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단독사용한 경우 단락사고등에 의해 회로에 다대한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용착(溶着), 용손(溶損)되어 재사용에 견뎌내지 못한다. 이와같은 이유로 부득이 상기와 같이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의 종층(縱層)접속을 하여, 다빈도개폐와 원격조작을 보완하는 동시에 접점의 용착, 용손을 방지하고 있다.
그래서,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케이스(3)에 일괄수납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케이스(3)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따로따로 제조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물론, 이들 각 기구의 케이스(3)에의 장착 나아가서는 각 기구상호간의 배선도 복잡하게 될뿐만 아니라, 케이스(3)내부에 큰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하나의 구성체로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조작식의 전자부에 의해 고빈도장수명의 개폐성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어기구부에 의해 전자부를 분리하여 과전류(過電流)트립부에 의해 고속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전자부의 반복동작에 견뎌내어 미스트립(miss trip)이 잘 되지 않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 의한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는 접점부, 전자코일과 고정코어와 가동코어로 이루어지는 전자부(電磁部), 제어핸들과 링크와 래치와 레버와 압판(押板)과 제어레버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어핸들의 오프시에는 상기 압판에 의해 상기 제어레버를 상기 접점부 오프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어핸들의 오토시에는 상기 제어레버를 상기 압판으로부터 해방하여 상기 가동코어의 동작이 상기 제어레버를 통해서 상기 접점부에 전달되도록 한 제어기구부, 과전류의 검출시에 상기 래치를 동작시켜서 상기 레버를 놀게하여 상기 압판 및 제어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접점부를 트립시키는 과전류트립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어레버에 탄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전자부의 오프동작시에 상기 탄성체의 의해 상기 래치를 상기 레버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제어핸들을 오토위치로 하면 제어레버가 놀게되므로 제어기구부를 통하지 않고 원격조작식의 전자부에 의해 제어레버를 통해서 접점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전자부를 분리하여 과전류트립부에 의해 제어기구부를 트립하고, 제어레버를 통해서 접점부를 개리(開離)하여 차단한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부의 오프동작시에 탄성체가 래치를 누르므로 래치와 레버와의 결합부위가 유지된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 1 도-제 7 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는 제어핸들 오프로 원격조작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앞커버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뒤커버를 일부제거한 상태의 이면도, 제 4 도는 제어핸들오토로 원격조작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5 도는 제어핸들오토로 원격조작 온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6 도는 트립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7 도는 전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는 차단기케이스이고, 앞커버(5a)와 베이스(5b)와 뒤커버(5c)로 구성되어 있다. (6)은 베이스(5b)에 압입지지된 전원측단자이고, 외선접속용의 단자나사(7)를 구비하고 있다. (8)은 베이스(5b)의 뒷면측에 지지된 전원측고정자이고, 일단이 나사(7a)에 의해 전원측단자(6)에 접속되어 있다. (9)는 전원측고정자(8)의 타단에 용착된 전원측고정접점, (10)은 좌우 양측에 전원측가동접점(11)과 부하측가동접점(12)을 가진 가동자, (13)은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가동자홀더이고, 가동자(10)를 끼워지지하고 있다. (14)는 각 극(極)에 걸친 크로스바이고, 그 구멍(14a)에 가동자홀더(13)가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끼워져 수납되어 있다. (15)는 가동자(10)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푸시스프링이고, 뒤커버(5c)의 스프링받이부(5d)에 수납되어 있다. (16)은 부하측 가동접점(12)과 대향하는 부하측 고정접점이고, 부하측 고정자(17)에 용착되어 있다. (18A), (18B)는 가동자홀더(13)의 좌우 양측에 배치한 소호부이며, 절연판(18a)과 배기판(18b)에 의해 포위되고 또한 자성체로 이루어진 그리드(18c)를 가지고 있다. (19)는 베이스(5b)와 뒤커버(5c)에 의해 형성된 배기통로이고, 배기공(20)이 형성되어 있다. (21)은 장착금구이고, 뒤커버(5c)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또한 스프링(22)에 의해 우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5b)와 뒤커버(5c)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접점부(8)-(17)가 수납되어 있으며, 크로스바(14)는 베이스(5b)의 개구(23)에 의해 상부와 연락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5b)의 앞쪽의 전원측 단자(6)측에는 전자부(200)가 나사(24)에 의해 베이스(5b)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자부(200)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Figure kpo00001
형상의 마그넷프레임(25)내에 전자코일(26)이 삽입되고, 상부로부터 코일(26)의 구멍(26a)과 마그넷프레임(25)의 개구부(25a)(25b)내에 쉐이딩코일(27)이 고정된 고정코어(28)의 다리부(28a)-(28c)가 각기 삽입되며, 또한 고정코어(28)의 절결부(28d), (28d)와 마그넷프레임(25)사이에 각 스프링(29)을 삽입하여, 고정코어(28)의 마그넷프레임(25)으로부터의 이탈방지와 가동코어(30)에 의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코어(30)는 홀더(31)에 스토퍼(32)로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31)의 양단에는 각 축받이부(31a)가 배설되어 있고, 각 축(33)에 의해 전달레버(34)의 각 축받이부(34a)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전달레버(34)는 마그넷프레임(25)에 축(3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전달레버(34)의 각 돌기부(34b)와 마그넷프레임(25)의 각 돌기부(25c) 사이에 걸쳐진 각 인장스프링(36)에 의해 가동코어(30)와 고정코어(28)사이를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도면중, (37), (38)은 보조스위치이고, 나사(39), (40)에 의해 마그넷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 각 액튜에이터(37a), (38a)는 홀더(31)의 각 돌기부(31b)와 결합해서 가동코어(30)의 동작에 의해 온, 오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중(41)은 단자대이고, 단자(42)가 압입되어 있으며, 또한 외선접속용의 단자나사(4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개 6조의 단자(42)중 양단의 2조 4개의 단자(42)는 보조스위치(37), (38)에 리드선(44)에 의해 접속되어서 보조스위치용의 단자대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또 내측의 1조 2개의 단자(42)중 1개는 리미트 스위치(45)를 거쳐 코일(26)에, 그리고 다른 1개는 직접 코일(26)에 접속되어 있다. 즉, 리미트 스위치(45)와 전자부(200)의 코일(26)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리미트스위치(45)는 마그넷프레임(25)에 나사(46)로 고정되어 있다. 단자나사(43)는 앞커버(5a)의 개구부(47)로부터 외부에 노출되고, 외부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 단자대(41)는 각 고정다리부(41a)에 의해 마그넷프레임(25)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8)은 단자커버이고, 단자대(41)의 단자나사(43)가 쓸데없이 외부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5b)의 앞쪽의 중간부에는 제어기구부(300)가 배치되어 있다. (49)는 베이스(5b)에 나사(49a)로 고정된 기구프레임, (50)은 기구프레임(49)에 축(5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어핸들이고, 앞커버(5a)의 개구(52)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돌출부(50a)는 핀(53)에 의해 링크(54)에 연계되어 토글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54)의 타단에는 롤러(55)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56)은 레버이고, 기구프레임(49)에 축(5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선단부는 래치(57)에 게지되어 있다. 래치(57)는 기구프레임(49)에 축(5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또한 토션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59)는 기구프레임(49)에 축(6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트립바이며, 토션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래치(57)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61)은 기구프레임(49)의 각 U홈(49b)내에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압판이며, 인장스프링(62)에 의해 상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또한 상단면(上端面)에 롤러 (55)가 얹히는 동시에 레버(56)가 결합되어 있다. (63)은 기구프레임(49)에 축(6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제어레버이며, 일단(63a)은 크로스바(14)와 결합되고, 타단(63b)은 전달레버(34)의 계지부(34c)와 결합되는 동시에, 압판(61)의 구멍(61a)내에 결합되어 있다. 제 1 도에서는 제어핸들(50)이 오프상태이므로 제어레버(63)는 상향으로 압판(61)을 통해서 인장스프링(62)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즉, 가동자(10)에 힘을 가하는 푸시스프링(15)의 하중보다 인장스프링(62)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제어레버(63)는 제 1 도의 상태로 유지되며, 양 접점(9), (11), (12), (16)이 계리한다. 또 이때,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레버(63)의 타단(63b)과 전달레버(34)의 계지부(34c)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중(63A)는 제어레버(63)에 설치한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체이며, 전자부(200)의 오프동작시에 래치 (57)를 레버(56)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누른다.
다음에, 베이스(5b)의 앞쪽의 부하측에는 바이메탈과 플런저형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과전류트립부(400)가 배치되어 있다. (65)는 제 1 의 요크이고, 일단(65a)에는 부하측 고정자(17)가 나사(66)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바이메탈(67)이 용접되고 또한 조정나사(68)를 구비하고 있다. (69)는 보빈이고, 내부에 제 1 의 요크(65)에 체착된 중공(中空) 코어(70)와 플런저(71)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71)는 검출용 푸시스프링(72)에 의해 상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 플런저(71)의 선단(71a)은 트립바(59)의 U홈(59a)과 결합되어 있고, 플런저(71)가 코어(70)방향으로 흡인되면 트립바(59)를 토션스프링에 항거하여 회전시킨다. (73)은 로드이고, 코어(70)의 중공부, 베이스(5b)의 구멍(74), 크로스바(14)의 구멍(14a)를 거쳐 가동자(10)까지 뻗어 있다. 역시 플런저(71)가 코어(70)방향으로 흡인되면, 플런저(71)가 로드(73)를 통해서 가동자(10)를 타격하여 양 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75)는 제 1 의 요크(65)에 체착된 제 2 의 요크, (76)은 코일이고, 일단은 바이메탈 (67)의 선단에 가요동연선(77)에 의해 접속되며, 타단은 부하측단자(78)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측단자(78)에 외선접속용의 단자나사(79)가 배설되어 있다. (80)은 작동편이고, 제 1 의 요크(65)에 축(8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또한 스프링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동시에 트립바(59)와 결합하는 암(80a)을 가지고 있다. 트립시간의 조정은 조정나사(68)의 회전에 의해 바이메탈(67)의 선단과 작동편(80)과의 캡을 변화시켜 조정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제 3 도에 나타내는 제어핸들(50)의 오프상태에서 제어핸들(50)을 우측으로 쓰러뜨려 제어핸들(50)을 오토위치에 세트하면,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링크(54)가 뻗어서 압판(61)이 인장스프링(62)에 항거하여 하강하여 제어레버(63)의 구속을 해제한다. 제어레버(63)는 접점부(8)-(17)의 푸시스프링(15)에 의해 크로스바(14)를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자부(200)의 전달레버(34)와의 간극이 없어지면, 전달레버(34)에 힘을 가하고 있는 인장스프링(36)에 의해 정지된다. 즉, 푸시스프링(15)의 하중보다 인장스프링(36)의 하중이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가동자(10)는 전달레버(34)와 제어레버(63)와의 간극이 없어진 정도 만큼 상승하여, 양 접점(9), (11), (12), (16)사이의 개리거리는 제 1 도-제 3 도의 상태보다 얼마간 감소된다.
그리고, 제 4 도에 나타내는 핸들오토이고 전자부(200)가 무여자일 때(원격오프시), 리미트스위치(45)는 압판(61)의 동작을 검지하여 넣은상태로 되어 있으며, 탄성체(63A)는 래치(57)를 리세트방향으로 밀고 있다. 외부로부터 단자(42)에 전압을 인가하면 코일(36)이 여자되어서 가동코어(30)가 고정코어(28)에 흡인된다. 이 가동코어(30)와 함께 전달레버(34)가 인장스프링(36)에 항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어레버(63)를 해제하기 때문에, 가동자(10)는 푸시스프링(15)에 의해 상승하고, 양 접점(9), (11), (12), (16)이 닫힌다. 이 핸들오토이고 여자일때(원격온일 때)를 제 5 도에 나타낸다. 이때, 홀더(31)의 돌기부(31b)는 보조스위치(37), (38)의 액튜에이터(37a), (38a)를 밀어 보조스위치(37), (38)의 접점을 작동시킨다. 또, 가동코어(30)는 고정코어(28)에 급격히 충돌하지만, 스프링(29)에 의해 충격력은 흡수된다.
다음에, 제 5 도에 있어서 단자(42)에의 전압인가를 끊으면, 가동코어(30)가 인장스프링(36)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동작하고, 또 인장스프링(36)의 인장력에 의한 전달레버(34)에 의해 제어레버(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동자(10)의 푸시스프링(15)에 이겨내어 양 접점(9), (10), (12), (16)를 개리시키고, 다시 제 4 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하여, 제 4 도와 제 5 도의 상태를 반복하여 즉 제어기구부(300)를 통하지 않고 원격조작(전압인가)에 의해 접점을 개폐할 수 있다. 이 전자부(200)의 동작시의 충격에 의해 레버(56)와 래치(57)의 결합이 벗겨지기 쉬워지므로,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탄성체(63A)가 래치(57)를 눌러서 래치(57)와 레버(56)와의 결합부위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전자부(200)의 반복동작시의 미스트립이 잘일어나지 않는다.
제 5 도의 온상태에서는 전류는 전원측단자(6)→전원측고정자(8)→전원측고정접점(9)→전원측가동접점(11)→가동자(10)→부하측가동접점(12)→부하측고정접점(16)→부하측고정자(17)→제 1 의 요크(65)→바이메탈(67)→가요동연성(可搖銅撚線)(77)→코일(76)→부하측단자(78)로 흐른다.
그리고, 제 5 도에 있어서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67)은 우측방향으로 만곡하고, 작동면(80)을 통해서 트립바(59)를 토션스프링에 항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57)를 토션스프링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래치(57)의 회전에 의해 래버(56)가 해제되므로, 압판(61)은 인장스프링(62)에 의해 롤러(55)를 레버(56)와 함께 좌측으로 밀어제쳐 상승하고, 제어레버(63)를 밀어 스프링(15)에 항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이 트립상태를 제 6 도에 나타낸다.
이때, 동시에 리미트스위치(45)도 압판(61)의 상승에 의해 오프로 되고, 코일 (26)의 여자를 없애므로 오프동작과 같이 가동코어(30)가 개방되어, 전달래버(34)를 통해서 제어레버(63)에 의해 양 접점(9), (11), (12), (16)을 여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즉, 접점부(8)-(17)에 인장스프링(62)와 인장스프링(36)의 2개의 스프링하중이 작용하여, 푸시스프링(15)에 대해서 매우 강한 힘으로 양 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다음에, 제 5 도에 있어서 단락전류가 흐르면, 코일(76)에 의해 플런저(71)는 코어(70)의 방향으로 일순간에 흡인되고, 트립바(59)를 토션스프링에 항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바이메탈(67)의 동작시와 같이 기구를 트립시키는 동시에, 플런저(71)가 로드(73)를 통해서 직접 가동자홀더(13)를 타격하여 양 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접점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가동자(10)와 각 고정자(8), (17)와의 사이에 각기 이행하고, 계속해서 양 아크러너(82), (83)과 각 고정자(8), (17)사이에 이동하여, 각 그리드(18c)에 의해 분단소호된다. 또한, 각 소호부(18A), (18B)에서 발생한 호트가스(hot gas)는 각 배기판(18b)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배기통로(19)를 지나서 각 배기공(20)으로부터 외부에 배기된다.
리세트조작은 제 6 도의 상태에서 제어핸들(50)을 좌측방향으로 (오프방향으로)쓰러뜨려, 레버(56)가 롤러(55)를 우측으로 밀어서 압판(61)위에 올려 놓은 상태로 래치(57)와 결합하여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성체로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조작식의 전자부에 의해 고빈도장수명의 개폐성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어기구부에 의해 전자부를 분리하여 과전류트립부에 의해 고속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전자부의 반복동작에 견뎌내어 미스트립이 잘 일어나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점부(8∼17), 전자(電磁 ) 코일(26)과 고정코어(28)와 가동코어(30)로 이루어지는 전자부(電磁部)(200), 외부 조작할 수 있는 제어핸들(50)과 이 제어핸들(50)로 토글링크기구를 구성하는 링크(54)와 래치(57)와이 래치(57)와 결합분리 되는 레버(56)와 이 레버(56)로 상기 링크의 단부(端部)를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압판(押板)(61)과 이 압판(61)과 결합하는 제어레버(63)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어핸들(50)의 오프시에는 상기 압판(61)에 의해 상기 제어레버(63)를 상기 접점부 오프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어핸들의 오토시에는 상기 제어레버(63)를 상기 압판(61)으로부터 해방하여 상기 가동코어의 동작이 상기 제어레버(63)를 통해서 상기 접점부(8∼17)에 전달되도록 한 제어기구부(300), 및 과전류의 검출시에 상기 래치(57)를 동작시켜서 상기 레버(56)을 놀게 하여 상기 압판(61) 및 제어레버(6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접점부(8∼17)를 트립시키는 과전류트립부(40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어레버(63)에 탄성체(63A)를 설치하여, 상기 전자부(200)의 오프동작시에 상기 탄성체(63A)에 의해 상기 래치(57)를 상기 레버(56)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1019890011853A 1988-10-06 1989-08-21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20003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2315A JPH02100230A (ja) 1988-10-06 1988-10-06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252315 1988-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17A KR900007017A (ko) 1990-05-09
KR920003959B1 true KR920003959B1 (ko) 1992-05-18

Family

ID=1723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853A KR920003959B1 (ko) 1988-10-06 1989-08-21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79529A (ko)
EP (1) EP0362845A3 (ko)
JP (1) JPH02100230A (ko)
KR (1) KR920003959B1 (ko)
ZA (1) ZA8975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54B1 (ko) * 2012-08-29 2015-03-10 칼링 테크놀로지스 인크. 원격 조작 회로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1752A5 (ko) * 1991-02-22 1993-05-14 Weber Ag
FR2711271B1 (fr) * 1993-10-15 1995-12-22 Merlin Gerin Appareillage de protection formé par l'association d'un disjoncteur en série avec un effecteur.
US6034581A (en) * 1998-06-30 2000-03-07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Remote controlled circuit breaker
KR100404302B1 (ko) * 2000-11-07 2003-11-01 (주)화신파우워 록크아웃 스위치 구동장치 및 구동제어회로
KR20030058755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US7342474B2 (en) * 2004-03-29 2008-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US9859084B2 (en) * 2013-09-12 2018-01-02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with manual reset
US20150213989A1 (en) * 2014-01-28 2015-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to remotely reset a lock out mechanism
CN106960737A (zh) * 2015-04-27 2017-07-18 钱才英 一种开关柜用电力开关的远程操作机构
CN104851708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贝腾特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自动切换电力开关
CN104851687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开关
CN104851667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贝腾特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开关柜的远程控制双电源电力开关
CN104852462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鱼得水电气科技有限公司 用于开关柜配电开关的远程操作机构
US20170149379A1 (en) * 2015-11-20 2017-05-25 Enphase Energy, Inc. Interconnect device for use in islanding a microgrid
US9728348B2 (en) * 2015-12-21 2017-08-08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electronic trip unit
JP2021140908A (ja) * 2020-03-04 2021-09-16 日東工業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2882E (en) * 1982-01-01 1989-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 control system circuit breaker
JPS58131636A (ja) * 1982-01-29 1983-08-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
FR2535520A1 (fr) * 1982-11-03 1984-05-04 Merlin Gerin Appareil de coupure de courant telecommande
JPS6030029A (ja) * 1983-07-28 1985-02-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ゃ断器
FR2570872B1 (fr) * 1984-09-27 1988-08-26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position variable
US4636760A (en) * 1985-04-10 1987-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w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remote switching function
JPH0789465B2 (ja) * 1985-07-12 1995-09-27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
US4623859A (en) * 1985-08-13 1986-11-18 Square D Company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US4725799A (en) * 1986-09-30 1988-02-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remote control
DE3634456C1 (en) * 1986-10-09 1988-02-11 Kopp Gmbh & Co Kg Heinrich Remotely controllable line protection circuit breaker having a switching status indication
FR2611082B1 (fr) * 1987-02-13 1993-05-28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a ouverture et fermeture telecommandables
US4879535A (en) * 1987-05-26 1989-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ly controllable circuit brea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54B1 (ko) * 2012-08-29 2015-03-10 칼링 테크놀로지스 인크. 원격 조작 회로차단기
US9384931B2 (en) 2012-08-29 2016-07-05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US9799476B2 (en) 2012-08-29 2017-10-24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97585B (en) 1990-09-26
EP0362845A2 (en) 1990-04-11
US5079529A (en) 1992-01-07
KR900007017A (ko) 1990-05-09
JPH02100230A (ja) 1990-04-12
EP0362845A3 (en) 199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20003466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US4292611A (en) High-speed automatic tripping contactor
EP0490332B1 (en) Circuit breaker
KR920003958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10005758B1 (ko)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US5041805A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GB1583716A (en) Circuit breaker
US4559510A (en) Equipment protecting electrical circuit breaker
US3548358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bimetallic strip protective means
KR920003957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US4220935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high speed magnetic trip device
US3991391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electromagnetic opening means
US4931602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KR920004652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100591569B1 (ko) 회로 차단기
JP3932010B2 (ja) 回路遮断器の付属ユニット
US3946345A (en) Narrow multi-pole circuit breaker having inertia actuated overtravel for latch release
JPH02109231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H02109229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RU211597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JPH02100226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2514718B2 (ja) 回路遮断器
JPH02100227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322631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