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758B1 -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 Google Patents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758B1
KR910005758B1 KR1019880001335A KR880001335A KR910005758B1 KR 910005758 B1 KR910005758 B1 KR 910005758B1 KR 1019880001335 A KR1019880001335 A KR 1019880001335A KR 880001335 A KR880001335 A KR 880001335A KR 910005758 B1 KR910005758 B1 KR 91000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omagnet
contacts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51A (ko
Inventor
꼬엥 자끄
레마르깡 삐에르
삐샤르 크리스띠앙
Original Assignee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알랭 카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알랭 카리아 filed Critical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Publication of KR88001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01H89/08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both devices using the same contact 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5/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power reset mechanism

Landscapes

  • Breakers (AREA)
  • Fus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촉기 모우드가 단일차단장치를 가지는 보호절환장치로서 제2도는 II-II의 화살표 방향에서 나타낸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접점을 원격제어한 단락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절환장치에 응용되는 원격제어전자석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기 모우드가 단일차단장치를 가지는 보호절환장치로서 접점을 원격제어한 단락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촉기 모우드가 단일차단장치를 가지는 보호절환장치로서 접점을 원격제어한 단락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보호절환장치를 응용되는 원격제어전자석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0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극 장치로 된 접점브리지를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호절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19 : 고정접점 18a : 가고정접부
20, 21 : 이동접점 22 : 동작접점브리지
23 : 접점홀더 23a : 스토퍼
24 : 접점압력스프링 30 : 열바이메탈스트립트립
31 : 전자석트립 35 : 칸막이
36 : 트리핑잠금장치 37 : 트리핑푸쉬버튼
38 : 리세트푸쉬버튼 40, 80, 90 : 전자석
41, 81, 91 : 동작코어 42, 82, 92 : 절연슬라이드
45 : 영구자석 47' : 코일
51 : 푸셔 52, 84 : 좁은 공간
60 : 레버 63 : 압축스프링
64 : 가이드 65 : 접점홀더의 하단부
66, 67 : 지지대 68 : 접점홀더의 상단부
69 : 헤드 70 : 리세스부
본 발명은 원격제어되는 개폐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 기계적인 구조로 된 보호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절환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특히, 과전류가 흐를 경우의 보호기능(회로차단모우드)과 원격제어개방기능(접촉기 모우드)을 동일한 회로차단장치에 조합되어 있는 것이 프랑스 특허 제257357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및 제어기능은 프리트리핑(free tripping)기구와 특정제어 전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장치는 분리가능한 동일한 세트의 접점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브리지와 브리지를 내장하는 접점지지부품이 점유하는 체적과, 트리핑기구 및 전자석이 점유하는 체적때문에 접점브리지를 가지는 다극 보호절환장치에 쉽게 이용할 수 없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4604596호에 명시되어 있는 회로차단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회로차단기에서, 전원이 가해진 전자석의 평판 또는 코어가 가고정접점(pseudo-fixed contact :원래의 명칭은 고정접점이지만 기구구조상 동작접점 역활을 함)을 동작시키는 아암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점은 급속한 동작을 하는 트리핑기구로 상호 작용없이 접촉기 모우드를 작동시키는 전자석에 의해 복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로차단기의 구성은 작은 횡축의 치수를 가지는 장치에 대해서만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접점브리지에 평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최소화된 치수를 가지는 단순한 배열을 이루고 있는 한개 이상의 접점브리지를 원격제어하여 개폐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개 이상의 접점브리지를 가지는 보호절환장치의 회로차단기 부분과 접촉기 부분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호절환장치는 절환가능한 한개 이상의 통로와, 한세트의 접점을 개방하도록 트리핑기구를 제어하는 전자석 트립수단 및 열트립수단 그리고 한세트의 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트리핑기구를 가지는 수동트리핑장치 또는 과전류보호장치와, 다시 세트의 접점을 닫히도록 하는 리세트부재와, 전기적 개폐순서제어에 대응하는 가동부와 동작접점에 고정되고 한개 이상의 가고정접점 또는 한세트의 동작접점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를 가지는 원격제어전기장치와, 단자에 각각 접속된 두개 이상의 고정접점과 그리고 접점 홀더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대칭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대칭평면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접점스프링압력으로 부세되어 있는 각 접점 브리지에 의하여 작동되며, 각 고정접점과 조합된 두개 이상의 동작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한세트의 접점과, 상기 대칭면의 주위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트피링기구와, 상기 가동부가 상기 구동부재를 형성하는 슬라이드에 접속되도록 상기 트리핑기구의 각 측면상에 있는 상기 전자석 및 상기 트리핑수단을 케이스내에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보호절환장치는 특히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되어 있다.
전기제어전자석은 대칭평면(X-X)에 수직한 대칭평면 또는 평행한 대칭평면(X1-X1)의 축을 가진다. 트리핑기구는 대칭평면에 수직방향(Y-Y)으로 좁은 칸막인내에 내장되어 있고, 평면(X-X)에 평행하고 이동 가능한 리세트푸쉬버튼 및 트리핑푸쉬버튼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칸막이판의 측면에 내장된 전기제어전자석은 평면(X-X)에 평행한 (X1-X1)의 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칭평면에 수직한 방향(Y-Y)으로 최소로 작은 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트리핑칸막이, 자석트립, 열트립 및 원격제어전자석과 같은 저압용 전기장치를 내장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폭(45mm)을 가지는 케이스에 노우즈부가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전기제어전자석으로 차단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접촉기 모우드의 구동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한 브리지의 접점은 고정접점 또는 가고정접점(pseudo-fixed contact) 중의 하나이며, 전자석으로 이 접점을 복구하므로서 접점브리지를 제한된 범위내에서 작동시키고, 접점을 소정의 위치로 개방하게 된다. 접점브리지의 작동은 케이스에 고정된 스토퍼나 접점홀더 그 자체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하여 접점을 개방하므로서 차단챔버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고, 전기 제어전자석으로 다시 차단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접촉기 모우드의 구동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한 브리지의 접점은 브리지의 동작접점중의 하나이다. 그때 평면(X-X)에 대해 떨어진 지점에서 구동부재로 접점브리지를 밀어서 바람직하게 차단을 할 수 있다. 반면에 접점브리지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작동운동을 하게 된다. 전기제어전자석은 접점홀더와 고정접점부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으로 각각 통하는 이(teeth)를 가지는 빗형상의 슬라이드에 레버를 개재하거나 직접 고정되며, 평면(X-X)에 수직한 축 또는 평행한 추(X1-X1)을 가지는 전기자 또는 동작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제어전자석으로 두개의 접점을 개방한다. 접점홀더를 구동하는 접점홀더에 대향하여 가해지는 레버가 구동부재를 형성하는 반면에, 접점홀더는 회로차단기의 잠금운동 및 레버운동을 독립적으로 하는 동안 접촉기 모우드의 접점홀더를 구동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링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아래 설명하는 내용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난 보호절환장치(10)는 제1의 실시에에 따른 3극으로된 다극장치이지만, 2극 또는 4극으로 할 수 있다. 보호절환장치는 고장시에 트리핑하거나 수동으로 트리핑하는 이중차단장치를 가지고 있고(회로차단기 모우드), 원격제어로 개방하는 경우에 단일차단장치를 가지고 있다.(접촉기 모우드) 보호절환장치는, 통상 저압전기장치를 내장하는 45mm의 표준화된 폭(L)으로 된 노우즈(13a)를 가지는 베이스(12)와 덮개(13)를 구비한 모울드 케이스(11)를 가진다. 각각의 극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접촉기를 연결하도록 고안된 두개의 단자(14)(15) 사이에 절환가능한 전류통로를 가진다. C의 형태로 된 각각의 고정 접점부품위에 설치된 고정접점(18)(19)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각각의 편평한 접속부품(16)(17)이 단자(14)(15)에 접속된다. 두 고정접점(18)(19) 사이의 전류통로는 각 고정접점(18)(19)에 각각 접하고 있는 두개의 동작접점(20)(21)를 대칭평면(X-X)을 따라서 구동시키는 동작접점브리지(22)에 의해 단락되거나 개방된다.
다른 극의 동작접점브리지(22)는 접점홀더(23)내에 내장되고, 각각의 접점압력스프링(24)에 의해 각각 부세된다. 접점홀더는 평면(X-X)이 포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차단구역내에서, 아크차단돌출부(26)(27)의 블록은 브리지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부품(17)은 전자석트립(31)과 직렬로 배치된 열바이메탈 스트립트립(30)에 접속된다. 전자석트립(31)의 가동부(32)는 트리핑잠금장치(36)을 작동하도록 트리핑잠금장치(36)를 내장하고 있는 칸막이(35)를 관통하는 피봇레버(34)에 고정되고, 다른 극에 공통인 작동레버(33)를 작동한다. 트리핑푸쉬버튼(37) 및 리세트푸쉬버튼(38)이 칸막이(35)내에 조립된다. 각각의 바이메탈스트립트립(30)은, 트리핑잠금장치(36)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칸막이(35)를 관통하고 있는 아암(39a)을 가지고 있는 공통 작동레버(3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체적이 동일한 하우징(A),(B)은 칸막이(35)와 케이스(11)의 기준 노우즈(13a)사이에 형성된다. 칸막이(35)는 평면(X-X)에 수직한 평면(Y-Y)으로 좁다.
열바이메탈스트립트립(30)과 전자석트립(31) 및 이에 대응하는 작동레버(33)(39)가 하우징(A)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평면(X-X)에 평행 대칭평면(X1-X1)의 축을 가지는 전자석(40)이 하우징(B)에 설치된다. 전자석(40)이 평면(X-X)에 평행한 편평한 형태를 가질 경우(제1도), 전자석은, 편평 동작코어(41)의 형태를 가지는 동작자석 회로전기자와, 코일(47)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는 접점 개방위치에서 한개 이상의 스프링(43)에 의해 부세되는 절연슬라이드(42) 또는 동작조립뭉치에 고정된다. 또한 전기자는 피봇레버를 통해서 슬라이드에 접속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접점의 원격제어되어 단락하는 위치내에 도시된 전자석(40)은 쌍안경 형태를 가지고, 영구자석(45)을 고정한 웨브에 고정된 U자 형태의 자기회로(44)를 가진다.
영구자석(45)은 제4도에 도시된 아래부분에서 동작코어(41)를 결합하고, 도시된 접점의 단락위치내에서 스프링(43)력에 대향하여 절연슬라이드(42)를 고정한다. 절연슬라이드(42)는 다른 극의 고정된 접점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한 고정접점부(18a)에 직접 접속된다. 편조선(46)은 기계적으로 유연하게 접속부품(16)과 가고정접점부(18a)를 접속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절환하기 위하여, 제어펄스에 의해서 전자석은 자속을 발생하고, 이 자속과 반대방향으로 동작코어(41)에서 전자력이 발생하므로 영구자석(45)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상승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절연슬라이드(42)는 동작접점(20)으로부터 분리되는 가고정접점부(18a)와 함께 상승한다. 실제로 슬라이드는 동작접점브리지(22)가 접점홀더(23)에 접촉한 후에도 접점간의 안정 거리가 확보될 때까지 상승한다.
도시하지 않은 쌍안정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석(40)은 대향하는 두개의 자석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이 경우에는 스프링(43)은 없이 구성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절환장치는 원격제어를 할 경우 단일차단을 형성하고, 제9도에 관련하여 설명될 "상단"결합과 영구 자석과 함께 쌍안정으로 바람직한 전자석을 가진다. 절연슬라이드(42)는 평면(X-X)에 평행한 절연푸셔(41)를 가지는 구동빗(50)에 고정되고, 절연푸셔와 평면(X-X)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푸셔(51)는 각각의 접점브리지와 접하고 있으며 접점홀더(23)와 각각의 고정접점(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공간(52)을 통과한다. 다른 푸셔(51)는 부가된 스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원격제어 의해 동작코어(41)가 이동하므로써 접점(18)(20)이 개방되고, 평면(X-X)에 대해서 전자석(40)을 대향하고 있는 고정접점(19) 주위에 동작접점브리지(22)의 요동을 발생한다. 브리지의 요동은 접점압력스프링(24)의 부세에 의해 감쇠된다. 스프링(43)력은 접점압력보다 크므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접점이 개방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회로차단장치는 원격제어를 할 경우 이중차단을 형성하고, 제9도에 나타나 있는 형태로 된 편평한 전자석을 가진다. 절연슬라이드(42)의 아래부분에서 케이스에 고정되어있는 핀(6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는 레버(60)를 절연슬라이드(42)가 작동시킨다. 레버(60)의 중간지점에서 접점홀더(23)의 지지면(62)에 부세된다. 접점홀더(23)는, 레버(60)의 운동과 회로차단기의 잠금운동을 독립적으로 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링크를 가지는 특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링크는 중앙에 있는 압축스프링(63)과 접점홀더의 두개의 상호이동 가능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에 있는 압축스프링(63)은, 접점홀더의 하단부(65)에 있는 지지대(66) 및 접점홀더의 상단부(68)에 있는 지지대(67) 사이와, 접점홀더의 저단부(65)에 있는 가이드(64)내에 내장되어 있다. 이 상단부(68)는 스프링(63)에 의해 둘러쌓여 있으며, 저단부(65)는 스프링(63)을 안내하는 링크로 되며, 회로차단장치의 잠금에 접속되는 헤드(69)를 가진다.
접점홀더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하므로서, 소형화 가능하고, 또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분리하기 쉽다.
제9도에 도시된 편평한 전자석은 제5도 및 제6도 그리고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난 제2, 제3실시예에 응용되고 있으며, 접점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코어는 상단의 위치에서 결합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는 하단의 위치로 구동되므로 제4도의 전자석과 반대방향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영구 자석(45)은 고정자석회로의 U자로 선회상승하는 웨브에 대하여 전자석의 상단부분에 놓이는 반면에 스프링(43)은 절연슬라이드(42)를 아래로 부세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7도 및 제8도에 대응하는 2극 회로차단기의 접점홀더(23)와 레버(60)에 대한 각 상태의 상세도가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회로차단기는 단락된 상태에 있으며 접촉기는 개방된 상태에서의 개방접점을 나타내고, 제11도는 회로차단기 및 접촉기가 모두 단락된 상태에서의 단락접점을 나타내고, 제12도는 회로차단기 및 접촉기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의 개방접점을 나타내고, 제13도는 회로차단기는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접촉기는 단락된 상태에서의 개방접점을 나타낸다.
레버(60)는 접점홀더의 하단부(65)의 지지면(62)에 작용할 수 있는 두개의 평행아암(71)(72)을 가진다. 물론 접점홀더는 중앙레버와 두개의 측면스프링으로 된 탄성링크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압축스프링(63)은 인장스프링으로 대치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회로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먼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를 on상태로 가정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하여 장치를 off 상태로 하면, 레버(40)는, 절연슬라이드(42)가 아래방향으로 운동(제8도)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피복선회한다. 따라서 레버(60)는 접점홀더(23)의 지지면(62)위에 지지된다.
동작접점브리지(23)는 접점압력스프링(24)에 의해서 접점홀더의 하단부(65)의 스토퍼(23a)에 대향하여 부세되므로, 동작접점은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되고, 탄성링크의 압축스프링(63)은, 레버(60)에 의해 아래로 동작한 접점홀더의 저단부의 지지대(66) 및 접점홀더의 상단부에 고정유지된 지지대(67) 사이에서 압축된다.
전자트립(31) 또는 열트립(30)이 과전류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트리핑푸쉬버튼(37)을 작동하는 경우, 회로차단장치인 트리핑잠금장치(36)가 작동하므로서, 접점홀더의 상단부(68)에 있는 헤드(69)를 아래로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헤드를 아래로 작동시키므로서 제11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3도에 도시된 개방상태로 된다. 접점홀더는 상기 경우와 반대로 어떠한 탄성력을 받지 않게 된다.
고정접점 및 동작접점이 분리됨과 동시에 접점홀더의 하단부(65)은 레버(60)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제13도), 트리핑푸쉬버튼(37)을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접점은, 접점홀더의 하단부(65)에 대향해서 직접 지지하는 상단부(68)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개방된다.
제12도는 원격개방명령에 수동트립 또는 과전류트립이 부가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접점홀더가 제13도와 동일한 위치로 옮겨지면, 회로차단 모우드 상태에 있는 접점홀더의 행정이 접촉기 모우드 상태에 있는 행정보다 약간 크므로, 레버(60)는 부세력을 받지 않고 아래로 움직인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 제8도에 나타난, 제2,제3실시예에 있어서, 레버(60)는 전자석의 코어(41)에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이 레버(60)는 장치의 정면내에 있는 리세스부(470)를 통하여 인접할 수 있는 슬라이드(42) 부분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60)를 이와 같이 작동시키므로서 접점브리지(22)가 구동되어 접점이 개방된다. 유사한 장치가, 리세스부(70)에 의해 가해진 아래 방향운동을 슬라이드의 상승운동으로 전환하도록 레버방향의 알맞는 변위를 변경시키는 변경장치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분에 접근 가능한 리세스부(70)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상태표시부의 역활도 할 수 있다.
상술한 쌍안정 전자석의 펄스화한 전기제어용 장치는 케이스(11)내에 내장하므로서 양방향의 제어펄스를 전자석의 코일에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석의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접점이 단락 또는 개방을 유지하도록 전자석이 단안정상태로 된다.
따라서, 단아정전자석을 사용한 장치의 두개의 실시예를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하였다. 공지 바와 같이, 단안정 전자석은 유지전류때문에 쌍안정 전자석보다 더 큰 자기회로와 코일을 요한다. 제14도에 있어서, 전자석(80)은 장치의 노우즈부에 내장되어 않았지만, 평면(X-X)에 평행한 축(X1-X1)으로 동작코어(81)를 가지며, 접점홀더(23) 및 고정접점(18) 사이에 좁은 공간(84)으로 평면(X-X)에 평행하여 통과하는 이(teeth)(83)를 가지는 빗형상의 슬라이드(82)에 고정된다.
제15도에 있어서, 전자석(90)은, 장치의 노우즈부에 내장되지 않고, 평면(X-X)에 수직하는 축(X2-X2)으로 동작코어(91)를 가지며, 좁은공간(84)으로 평면(X-X)에 수평하게 통과하는 이(93)를 가지는 빗형상의 슬라이드(92)를 레버(94) 방향의 변위를 변경시킨다.
물로 트러스트 슬라이드 또는 이는 평면(x-x)에 평행한 운동에 알맞게 안내된다. 슬라이드(42)(82)(92)는 특히 접점브리지를 작동하는 핑거로된 단일부품으로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얇은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얇은 부품은 예를들면 장치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공간(52)을 이(93)가 통과할 수 있는 작은 두께로 된 스트립(strip) 또는 블레이드(blade)로 되어 있다.

Claims (10)

  1. 절환가능한 한개 이상의 전류통로와, 한세트의 접점을 개방하도록 트리핑기구를 제어하는 전자석트립수단 및 열트립수단 그리고 한세트의 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트리핑기구를 가지는 수동트리핑장치 또는 과전류 보호장치와, 다시 한세트의 접점이 닫히도록 하는 리세트부재와, 전기적 개폐순서제어에 대응하는 가동부와 동작접점에 고정되고 한개 이상의 가고정접점 또는 한세트의 동작접점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를 가지는 원격전기제어장치와, 단자에 각각 접속된 두개 이상의 고정접접과 그리고 접점홀더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대칭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대칭평면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접점스프링압력으로 부세되어 있는 각 접점브리지에 의하여 작동되며, 각 고정접점과 조합된 두개 이상의 동작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한세트의 접점과, 상기 대칭면의 주위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트리핑기구와, 상기 가동부가 상기 대칭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를 형성하는 슬라이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트리핑기구의 각 측면상에 있는 상기 전자석 및 상기 트리핑수단을 케이스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든, 상기 대칭평면에 평행하며, 또한 상기 접점홀더 및 각 고정접점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는 각 통로에 평행한 복수의 푸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영구자석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자기회로와, 상기 자동부를 형성하는 페로마그네틱 재료로 되어 있으며 한개의 스프링에 의하여 영구자석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부세되는 동작코어를 구비하여 쌍안정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원격전기제어장치는, 상기 전자석에 양방향 제어펄스를 전달하도록 고안된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두개의 영구자석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자기회로와, 상기 가동부를 형성하는 페로마그네틱 재료로 된 동작코어를 구비하여 쌍안정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원격전기제어장치는, 상기 전자석에 양방향 제어펄스를 전달하도록 고안된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단안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대칭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로차단기의 전면의 리세스부를 통하여 접근해서 상기 전자석의 가동부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접점은 제1의 고정접점의 가고정부이고, 상기 접점브리지는, 제2의 고정접점 및 스토퍼에 대향하여 부세되며 고정접점의 가고정부의 위치상태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접점은, 상기 전기 개방신호 명령에 따르는 상기 슬라이드에 의하여 상기 대칭평면에 평행으로 작용한 트러스트 슬라이드의 영향하에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작동되며, 상기 동작접점과 조합되지 않은 고정접점에 대향하여 조립된 상태로 되어 있는 각 접점브리지의 동작접점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접점은, 전기신호의 순서제어에 따라서 상기 접점브리지에 작용되며 상기 슬라이드에 핀 결합되어 있는 레버를 통하여 상기 대칭평면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상기 접점브리지에 있는 두개의 동작접점과, 트리핑기구 및 레버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신장 가능한 링크를 가지는 접점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탄력적으로 신장 가능한 링크는 접점브리지를 내장하고 있는 접점홀더의 하단부에 그리고 트리핑기구와 함께 작동하는 접점홀더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KR1019880001335A 1987-02-13 1988-02-12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KR910005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01818A FR2611082B1 (fr) 1987-02-13 1987-02-13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a ouverture et fermeture telecommandables
FR8701818 1987-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51A KR880010451A (ko) 1988-10-08
KR910005758B1 true KR910005758B1 (ko) 1991-08-02

Family

ID=934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335A KR910005758B1 (ko) 1987-02-13 1988-02-12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55698A (ko)
EP (1) EP0281443B1 (ko)
JP (1) JPS63202816A (ko)
KR (1) KR910005758B1 (ko)
BR (1) BR8800616A (ko)
DE (1) DE3874168T2 (ko)
ES (1) ES2034284T3 (ko)
FR (1) FR2611082B1 (ko)
HK (1) HK138393A (ko)
IN (1) IN171859B (ko)
MX (1) MX163243B (ko)
SG (1) SG572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8260B1 (fr) * 1988-03-04 1990-07-20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de protection a contacts commandables par un electroaimant
US5041805A (en) * 1988-10-06 1991-08-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JPH02100230A (ja) * 1988-10-06 1990-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KR920003958B1 (ko) * 1988-10-06 1992-05-18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20003957B1 (ko) * 1988-10-17 1992-05-18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JP2763573B2 (ja) * 1989-03-28 1998-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コンブレーカ
FR2650437B1 (fr) * 1989-07-27 1991-10-18 Telemecanique Contacteur-disjoncteur a double coupure
FR2669463B1 (fr) * 1990-11-15 1995-05-12 Telemecanique Interrupteur de protection.
FR2673487B1 (fr) * 1991-02-28 1993-10-29 Telemecanique Interrupteur de protection incorporant un sous-ensemble magnetothermique de declenchement.
FR2674370B1 (fr) * 1991-03-21 1993-10-29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accoupable a un module de commande et/ou a un module de signalisation.
FR2676592B1 (fr) * 1991-05-13 1993-07-23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courant a protection thermique et magnetique.
FR2799574B1 (fr) * 1999-10-11 2001-12-14 Schneider Electric Ind Sa Contacteur-disjoncteur
KR20030058755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KR100623931B1 (ko) * 2005-05-23 2006-09-15 강필구 분전함에 내장된 차단기의 스위치 원격 개폐장치
DE102006055007A1 (de) * 2006-11-22 2008-05-29 Abb Ag Installationsschaltgerät mit einer Doppelunterbrechung
US7936239B2 (en) * 2008-04-15 2011-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Breaker interlock system and method
US7982564B2 (en) * 2008-06-30 2011-07-19 Remy Technologies, Llc Starter solenoid with vibration resistant features
FR2940515B1 (fr) * 2008-12-19 2010-12-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telecommande et disjoncteur telecommande equipe d'un tel dispositif
EP2377139B1 (fr) * 2008-12-19 2016-05-04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télécommande et disjoncteur télécommandé equipé d'un tel dispositif
JP2011014313A (ja) * 2009-06-30 2011-01-2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遮断器
CN104319126B (zh) * 2014-11-12 2018-12-21 上海奇佳电子有限公司 一种二合一开关
DE102016105341B4 (de) * 2016-03-22 2022-05-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chutzschaltgerät
DE102017109210B4 (de) * 2017-04-28 2023-10-12 Tdk Electronics Ag Relais
DE102020200993B4 (de) 2020-01-28 2023-06-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rnantrieb, Anordnung mit einem Fernantrieb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6784B (de) * 1964-02-10 1968-09-05 Teizo Fujita Elektrisches Schuetz mit einer durch UEberstrom ausloesbaren Kupplung zwischen Anker und Kontaktbrueckentraeger
FR2003575A1 (ko) * 1968-03-09 1969-11-07 Stotz Kontakt Gmbh
JPS5347799Y2 (ko) * 1973-07-16 1978-11-15
US4164719A (en) * 1978-04-03 1979-08-14 Gould Inc. Load management apparatus for residential load centers
JPS58131636A (ja) * 1982-01-29 1983-08-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
FR2570872B1 (fr) * 1984-09-27 1988-08-26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position variable
US4604596A (en) * 1985-02-01 1986-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ly controllable circuit breaker
US4725794A (en) * 1985-06-27 1988-02-16 Barczys Daniel A Receiver multicoupler using no-loss signal splitter
EP0237607A1 (de) * 1986-03-21 1987-09-23 Square D Company (Deutschland) Gmbh Schü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1443B1 (fr) 1992-09-02
KR880010451A (ko) 1988-10-08
FR2611082A1 (fr) 1988-08-19
IN171859B (ko) 1993-01-23
SG57293G (en) 1993-07-09
ES2034284T3 (es) 1993-04-01
DE3874168T2 (de) 1993-01-21
JPS63202816A (ja) 1988-08-22
FR2611082B1 (fr) 1993-05-28
US4855698A (en) 1989-08-08
HK138393A (en) 1993-12-24
EP0281443A1 (fr) 1988-09-07
MX163243B (es) 1992-03-23
BR8800616A (pt) 1988-09-27
DE3874168D1 (de) 199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758B1 (ko)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보호절환장치
US4292611A (en) High-speed automatic tripping contactor
US4532486A (en) Remote controlled circuit breaker
US4713636A (en) Circuit-breaker
KR920006061B1 (ko) 회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가동형 작동기구
US5546062A (en) Protection switch
US6310528B1 (en) Overcurrent-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920003466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GB1583716A (en) Circuit breaker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US4408173A (en) Electric switch
US3369202A (en) Circuit breaker stack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JPH0336264B2 (ko)
EP0237355A1 (en) Circuit breaker with trip delay magnetic circuit
EP0364950B1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US3991391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electromagnetic opening means
US3308404A (en) Electric switch responsive to predetermined or abnormal current condition
US4209760A (en) Circuit breaker and accessory devices therefor
US4739291A (en) Magnetic vacuum circuit breaker
US5276417A (en) Current switching device
US3470507A (en) Earth-leakage sensing circuit breaker
US4630014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stationary contact assembly with integral magnetic activating means
US7268987B2 (en) Motor starter device
JPH0723525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SE469202B (sv) Kontaktor-brytare med dubbel bryt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