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69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69B1
KR100591569B1 KR1019990036542A KR19990036542A KR100591569B1 KR 100591569 B1 KR100591569 B1 KR 100591569B1 KR 1019990036542 A KR1019990036542 A KR 1019990036542A KR 19990036542 A KR19990036542 A KR 19990036542A KR 100591569 B1 KR100591569 B1 KR 10059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intermediate case
case
holder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819A (ko
Inventor
아사카와고지
유치다나오시
야마자키미츠요시
오야마준
도야마겐타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2009/305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including means for screening for arc gases as protection of mechanism against hot arc gases or for keeping arc gases in the arc chamb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차단시의 아아크 가스가 개폐 기구측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의 절연 용기를 케이스(1), 중간 케이스(24) 및 커버(2)의 상하 3 부분으로 분할 구성하고, 고정 접촉자(21, 23) 및 이들을 브릿지하는 가동 접촉자(22)는 케이스(1) 내에 수용시키고, 개폐 기구(13) 및 과전류 트립 장치(8)는 중간 케이스(24)에 수용시키는 동시에, 중간 케이스(24)의 저벽(底壁)(24a)의 각진 홀(27)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고, 개폐 기구(13)의 개폐 레버(29)에 의해 구동되어 가동 접촉자(22)를 개폐 동작시키는 홀더(11)를 저벽(24a)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진 운동시킨다. 각진 홀(27)에서의 홀더(11)와 저벽(24a) 사이의 갭은 홀더(11)가 직진 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소해도 되고, 케이스(1) 내에서 발생한 아아크 가스는 저벽(24a)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중간 케이스(24) 내의 개폐 기구(13)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를 제외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중간 케이스를 제외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커버를 제외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중간 케이스를 제외한 평면도.
도 10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XI-XI선에서 본 주요부 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전원측 단자
4 : 부하측 단자
8 : 과전류 트립 장치
11 : 홀더
13 : 개폐 기구
14 : 개폐 핸들
15 : 트립 크로스바
16 : 아아크 소멸실
21 : 고정 접촉자
22 : 가동 접촉자
24a : 저벽
26 : 접촉 스프링
27 : 각진 홀
29 : 개폐 레버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 등의 저압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말하면 전류 차단시에 발생하는 금속 용융물의 개폐 기구 부분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로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상자형 절연 용기의 전후 양단에 전원측 및 부하측의 단자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 단자간을 연결하는 전기 통로(電路)를 형성하는 전도체, 상기 전기 통로를 개폐하는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 이들 가동 접촉자를 둘러싸는 아아크 소멸실, 상기 가동 접촉자를 절연물의 홀더를 통해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 기구, 이 개폐 기구를 트립 동작시키는 과전류 트립 장치 등이 상기 절연 용기 내에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이러한 회로 차단기(3극 배선용 차단기)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ON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XI-XI선에서 본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에서,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1)와 하면이 개구된 커버(2)로 이루어진 상자형 절연 용기의 전후(도 10의 좌우)단에 각 극의 전원측 단자(3) 및 부하측 단자(4)가 각각 배치되고, 이 단자들간의 전기 통로는 전원측 단자(3)와 일체로 된 고정 접촉자(5), 일단이 고정 접촉자(5)와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6), 가동 접촉자(6)의 타단에 접속된 리드선(7), 리드선(7)에 접속된 과전류 트립 장치(8)의 히터 도체(9), 히터 도체(9)에 접속되고 부하측 단자(4)와 일체로 형성된 중계 도체(10)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촉자(5) 및 가동 접촉자(6)의 각 접촉 단부에는 고정 접점(5a, 6a)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6)는 도 10의 우단에서 절연물로 이루어진 홀더(11)에 한 쪽만 유지되고, 홀더(11)는 극사이에서 각 극의 홀더(11)를 일체로 연결하는 개폐축(12)을 통해 케이스(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앙 극의 홀더(11)에는 개폐 기구(13)가 연결되고, 커버(2)로부터 돌출된 개폐 핸들(14)의 도 10의 좌우 방향의 개폐 조작에 의해 가동 접촉자(6)는 홀더(11)를 통해 회전 운동에 의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 동작한다. 또한, 과전류 발생시에는 과전류 트립 장치(8)의 작동에 의해, 트립 크로스바(15)를 통해 개폐 기구(13)의 래치가 풀리고, 가동 접촉자(6)가 자동적으로 개극(開極)한다. 가동 접촉자(6)의 개극시에는 가동 ·고정 접점(6a 5a) 사이에 아아크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 아아크를 소멸시키기 위해서, 가동 접촉자(6)를 둘러싸도록 아아크 소멸실(16)이 설치되어 있다. 아아크 소멸실(16)은 V자형의 노치를 갖는 복수매의 자성판(그리드)(17)가 절연물의 지지판(18)에 지지되어 구성되고, 아아크를 그리드(17)에 인입하여 분단·냉각함으로써 아아크 소멸한다. 또, 도 10에 있어서의 과전류 트립 장치(8)는 주지의 열동 전자식의 것으로, 과부하 전류 영역에서는 바이메탈의 만곡에 의해 트립 크로스바(15)를 회동시키고, 단락 전류와 같은 대전류 영역에서는 가동 철편을 순간적으로 흡인하여 트립 크로스바(15)를 회동시킨다.
상기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전류 차단시에는 아아크 열에 의해 아아크에 노출된 금속 부품, 예컨대 접점(5a, 6a), 가동 접촉자(6), 그리드(17) 등이 용융되고, 이 금속 용융물은 아아크 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압 때문에 주변에 비산(飛散)한다.
그래서, 종래는 아아크 소멸실(16)과 개폐 기구(13) 사이에 절연판으로 이루어진 격벽(19)을 삽입하여 금속 용융물이 개폐 기구(13)측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였다. 덧붙여서 말하면, 금속 용융물이 개폐 기구(13)에 부착되면 가동 부분의 움직임이 저해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9)은 가동 접촉자(6)의 운동 방향으로 슬릿(20)을 갖는 문형(門型)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 및 커버(2)에 상간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각 극의 전기 통로 공간에 전후를 구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11의 (a)는 OFF일 때를 나타내고, (b)는 ON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11의 (a) 및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릿(20)에 의해 도 11의 (a)의 OFF시에는 가동 접촉자(6)의 아래쪽에, 또한 도 11의 (b)의 ON일 때에는 가동 접촉자(6)의 상측에 갭(사선으로 표시됨)이 생긴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격벽(19)을 설치하여도 금속 용융물의 개폐 기구(13)측으로의 침입을 충분히 저지할 수 없고, 개폐 기구(13)의 정상적인 동작이 저해될 위험이 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아크 열에 의해 생긴 금속 용융물이 개폐 기구측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의 절연 용기를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 저벽(底壁)을 가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간 케이스 및 하면이 개구된 커버의 상하 3부분으로 구성되고, 또한 가동 접촉자는 홀더가 상기 중간케이스의 저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가동·고정 접촉자와 아아크 소멸실을 상기 케이스에 수용시키고, 개폐 기구와 과전류 트립 장치를 상기 중간 케이스에 수용시키고, 상기 홀더를 상기중간 케이스의 저벽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시켜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청구항 1). 이러한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가동 부분을 갖는 개폐 기구와 과전류 트립 장치는 금속 용융물을 발생시키는 가동·고정 접촉자와 아아크 소멸실로부터 중간 케이스의 저벽에 의해 이격되는 동시에, 가동 접촉자의 홀더는 중간 케이스의 저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선 동작하기 때문에, 홀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는 중간 케이스 저벽의 홀(hole)과 홀더 사이의 갭은 근소하게 할 수 있어, 금속 용융물의 개폐 기구측으로의 침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케이스를 전원측 중간 케이스와 부하측 중간 케이스로 2분할하여, 상기 전원측 중간 케이스에 상기 개폐 기구를 수용시키고, 상기 부하측 중간 케이스에 상기 과전류 트립 장치를 수용시키면(청구항 2), 중간 케이스의 전원측은 개폐 기구 부분, 또한 부하측은 과전류 트립 장치 부분으로서 기능별로 유닛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차단 용량이나 정격 전류에 의해 부품의 일부가 다른 개폐 기구와 과전류 트립 장치를 분할한 중간 케이스와 일체화한 유닛으로서 제공되며,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각종 사양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립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2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중간 케이스를 각 극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면(청구항 3), 예컨대 출하 시험에서 1개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의 특성 불량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그 극만을 바꿔 끼우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 작업성이 한층 양호해진다.
한편, 청구항 1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촉자의 고정 접점 사이에 접촉 압력을 가하는 접촉 스프링을 상기 가동 접촉자와 함께 상기 홀더에 유지시키면(청구항 4), 가동 접촉자를 개폐 기구로 개극시킬 때에 접촉 스프링을 변형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개폐 기구에 대한 부하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홀더를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상기 케이스측에서 상기 중간 케이스측으로 끌어 올려 상기 접촉 압력을 생기게 할 수 있고(청구항 5), 또한 반대로 상기 중간 케이스측에서 상기 케이스측으로 밀어 내려 상기 접촉 압력을 생기게 할 수 있다(청구항 6).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회로 차단기(배선용 차단기)의 ON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부하측 정면도, 도 3 은 같은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를 제외하고 중간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중간 케이스를 제외하고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 종래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특히 도 1에 있어서, 상자형 절연 용기의 전후(도 1의 좌우)단에 각 극의 전원측 단자(3) 및 부하측 단자(4)가 각각 배치되고, 그들 사이의 전기 통로는 전원측 단자(3)와 일체인 한쪽 고정 접촉자(21), 일단이 고정 접촉자(21)와 접촉하는 브릿지형 가동 접촉자(22), 가동 접촉자(22)의 타단과 접촉하는 다른 한쪽의 고정 접촉자(23), 고정 접촉자(23)와 일체인 과전류 트립 장치(8)의 히터 도체(9), 히터 도체(9)에 접속되고 부하측 단자(4)와 일체 형성된 중계 도체(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촉자(21, 23)의 각 접촉 단부에는 고정 접점(21a, 23a)이 각각 부착되고, 가동 접촉자(22)의 양단 접촉부에는 가동 접점(22a)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회로 차단기의 절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1), 저벽(24a)을 가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간 케이스(24) 및 하면이 개구된 커버(2)의 상하 3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4지점의 나사(25)(도 3)에 의해 일체적으로 체결된다. 케이스(1), 중간 케이스(24) 및 커버(2)의 내부는 모두 좌우 2열의 상간 격벽에 의해 3극분의 전기 통로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각 극의 전후 한 쌍의 고정 접촉자(21, 23), 이들 사이를 브릿지하는 가동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22)의 전후 양단을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아아크 소멸실(16)은 케이스(1)에 수용되고, 개폐 기구(13)와 과전류 트립 장치(8)는 중간 케이스(24)에 수용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대칭의 볼록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케이스(1)의 저벽과의 사이에 삽입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접촉 스프링(26)에 의해 고정 접촉자(21, 23)에 대하여 압압되는 동시에, 그 헤드 부분에 절연물로 이루어진 각기둥형 홀더(11)가 그 하단부의 오목부를 통해 끼워져 있다. 홀더(11)는 케이스(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안내 홈에 의해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안내된다.
한편, 중간 케이스(24)의 저벽(24a)에는 홀더(11)에 대응하여 그 윤곽을 따라 각진 홀(27)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11)는 홀(27)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고, 그 상단부가 중간 케이스(24)내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 접촉자(21, 23)는 모두 중간 케이스 저벽(24a)의 하면에 도시하지 않는 나사로 체결되어 있으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24)가 케이스(1)상에 적층된 상태로 케이스(1)내에 위치한다. 또한, 고정 접촉자(23)와 일체인 히터 도체(9)는 각진 홀(27)을 통해서 중간 케이스(24)내에 연장되어 있다.
개폐 기구(13)는 내부 기구는 생략하지만, 개폐 핸들(14)의 도 1의 좌우 방향의 개폐 조작에 따라서, 축(28)을 지점으로 하여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는 개폐 레버(29)를 갖고 있다. 개폐 레버(29)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아암(29a)으로 이루어진 3개의 가지(branch)로 분할되고, 각 아암(29a)의 선단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N 상태에 있어서 각 극의 홀더(11)의 상단면에 근접하고 있다. 도 1에서, 개폐 핸들(14)을 우측 방향으로 OFF 조작하면, 개폐 레버(29)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홀더(11)를 접촉 스프링(26)에 대항하여 중간 케이스(24)의 저벽(24a)에 수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밀어 내린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22)는 개극하고, 회로 차단기는 OFF 상태가 된다.
그 OFF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14)을 도 1의 좌측 방향으로 ON 조작하면, 개폐 레버(29)가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가고, 가동 접촉자(22)는 접촉 스프링(26)에 밀어 올려져 폐극한다. 그 때, 홀더(11)는 중간 케이스 저벽(24a)에 수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상승한다. 또한, 과전류 발생시에 과전류 트립 장치(8)의 작동에 의해, 트립 크로스바(15)를 통해 개폐 기구(13)의 래치가 풀리면, 개폐 레버(2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가동 접촉자(22)가 자동적으로 개극한다. 과전류 트립 장치(8)는 종래 예의 것과 동등하여, 기구의 도시는 생략한다. 여기에서, 홀더(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24)의 저벽(24a)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진 홀(27)에 있어서의 홀더(11)와 중간 케이스(24)의 저벽(24a)과의 갭은 홀더(11)의 슬라이드에 필요한 최소한의 매우 근소한 것으로 억제되고 있다.
도 1에서, 가동 접촉자(22)의 개극시에는 가동·고정 접점(22a 21a, 23a) 사이에 아아크가 발생하고, 이 아아크는 아아크 소멸실(16)에 인입되어 아아크 소멸 된다. 또한, 그 때에 발생한 금속 용융물을 포함하는 아아크 가스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후에 형성된 각 좌우 한 쌍의 배기구(30)로부터,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1) 내에서 발생한 아아크 가스는 저벽(24a)에서의 홀더(11) 주위의 갭이 매우 근소하므로, 중간 케이스(24) 내에는 거의 침입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서, 중간 케이스(24)는 각진 홀(27)의 중심을 통과하는 분할선 P 상에서, 전원측 중간 케이스(24A)와 부하측 중간 케이스(24B)로 2 분할되어 개폐 기구(13)는 전원측 중간 케이스(24A)에 탑재되고, 과전류 트립 장치(8)는 부하측 중간 케이스(24B)에 탑재되어 있다. 더욱이, 부하측 중간 케이스(24B)는 상간 격벽(24b)에 따른 좌우 2지점의 분할선 Q 상에서 각 극마다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기구(13)가 고정된 전원측 중간 케이스(24A) 및 각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8)가 각각 고정된 부하측 중간 케이스(24B)의 각 분할 편은 각각 유닛화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24)를 분할하여 이들에 탑재하는 개폐 기구(13)와 과전류 트립 장치(8)와 함께 유닛화하면, 차단 용량에 의해 일부 부품이 다른 개폐 기구(13)와 정격 전류에 의해 일부의 부품이 다른 과전류 트립 장치(8)를 종류별로 유닛으로 제공해 두고, 이들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사양의 회로 차단기로 조립하는 자유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어느 한쪽 극의 과전류 트립 장치(8)의 특성 불량이 발견된 경우 등에, 그 부분만을 바꿔 끼우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이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동 접촉자가 브릿지식의 경우에 관해서 나타냈으나, 도 6의 종래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회동식의 가동 접촉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절연물로 가동 접촉자를 눌러 회동시키도록 하면,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그런데, 도 1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과전류 발생시에는 과전류 트립 장치(8)의 작동에 의해, 트립 크로스바(15)를 통해 개폐 기구(13)의 래치가 풀리고, 개폐 레버(29)는 도시하지 않는 주 스프링에 힘이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가동 접촉자(22)의 개극이 행해진다. 그 때, 케이스(1)에 지지된 접촉 스프링(26)은 가동 접촉자(22)의 개극 거리만큼 압축 변형되어, 가동 접촉자(22)를 통해 개폐 기구(13)에 스프링 항력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개폐 기구(13)에 대한 부하력이 커지고, 그 면에서 가동 접촉자(22)의 개극 거리가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도 6 및 도 7은 이 점을 개량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회로 차단기의 ON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커버를 제외하고 중간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접촉 스프링(26)은 가동 접촉자(22)와 동시에 홀더(11)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각 극의 홀더(11)에는 전후(도 6의 좌우)로 관통하는 창 홀(11a)이 설치되어, 이 창 홀(11a)에 가동 접촉자(2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창 홀(11a)의 저면과 가동 접촉자(22)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접촉 스프링(26)이 약간 압축 변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홀더(11)의 헤드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연결편(11b)이 일체로 상승 형성되고, 그 사이에 삽입된 개폐 레버(29)의 아암(29a)과 홀더(11)는 핀(31)을 통해 회 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레버(29)는 도 6의 ON 상태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26)을 약간 압축 변형시키면서 가동 접촉자(22)를 고정 접촉자(21, 23)에 압압하고, 고정 접점(21a, 23a)과 가동 접점(22a) 사이에 소정의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런데, 도 6의 회로 차단기에서, 과전류 발생시에는 개폐 레버(2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가동 접촉자(22)를 개극시키지만, 그 때, 접촉스프링(26)은 홀더(11)에 유지되어 가동 접촉자(22)와 일체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1의 회로 차단기에서와 같이 접촉 스프링(26)이 압축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개폐 기구(13)에 대한 부하력이 감소하고, 그 만큼 개폐 기구의 소형화, 또는 가동 접촉자(22)의 개극 속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접촉 스프링을 가동 접촉자와 함께 홀더에 유지시킨 회로 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중간 케이스를 제외하고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의 회로 차단기는 홀더(11)를 개폐 기구(13)에 의해 케이스(1)측에서 중간 케이스(24)측으로 끌어 올려 접촉 압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지만, 도 8의 회로 차단기는 반대로, 홀더(11)를 중간 케이스(24)측에서 케이스(1)측으로 밀어 내려 접촉 압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다.
도 8에서, 접촉 스프링(26)은 홀더(11)의 창 홀(11a)에 수용된 가동 접촉자(22)와 창 홀(11a)의 상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고정 접촉자(21, 23)는 케이스(1)의 저면까지 하강되어 U 자형으로 되돌아오고, 되돌아온 단부의 상면에 고정 접점(21a, 23a)이 부착되어 있다. 도 8의 ON 상태에 있어서, 개폐 기구(13)는 개폐 레버(29)가 도시 위치에 있고, 접촉 스프링(26)을 약간 압축 변형시켜 가동 접촉자(22)를 고정 접촉자(21, 23)에 압압하여, 가동 접점(22a)과 고정 접점(21a, 23a) 사이에 소정의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21, 23)는 가동 접촉자(22)의 양단과 교차하는 부분이 가동 접촉자(22)의 폭 이상으로 절결되어 탈출(escape) 홀(32, 33)이 설치되고, 가동 접촉자(22)의 양단은 탈출 홀(32, 33)내에 느슨하게 삽입 통과되어 그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점(21a, 23a)이 부착된 고정 접촉자(21, 23)의 복귀 단부는 고정 접점(21a, 23a)과 동일 폭까지 양측이 제거된다.
도 8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는 과전류 발생시에 개폐 레버(2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가동 접촉자(22)를 개극시킨다. 그 때, 접촉 스프링(26)은 홀더(11)에 유지되어 가동 접촉자(22)와 일체로 이동하고, 가동 접촉자(22)의 개극에 의해 압축 변형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개폐 기구(13)에 접촉 스프링(26)의 스프링 항력이 작용하지 않고, 개폐 기구(13)의 소형화, 또는 가동 접촉자(22)의 개극 속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케이스 내에 수용한 개폐 기구를 케이스내에서 발생한 아아크 가스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중간케이스를 분할 구성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접촉 스프링을 가동 접촉자의 홀더에 유지시킴으로써 가동 접촉자 개극시에 접촉 스 프링의 스프링 항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개폐 기구의 부하력을 감소시켜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자형 절연 용기의 전후 양단에 전원측 단자 및 부하측 단자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 단자간을 연결하는 전기 통로(電路)를 형성하는 전도체, 상기 전기 통로를 개폐하는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둘러싸는 아아크 소멸실, 상기 가동 접촉자를 절연체의 홀더를 통해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 기구, 상기 개폐 기구를 트립 동작시키는 과전류 트립 장치 등이 상기 절연 용기 내에 수용되어 구성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 저벽을 가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간 케이스 및 하면이 개구된 커버의 상하 3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홀더가 상기 중간 케이스의 저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와 아아크 소멸실은 상기 케이스에 수용하고, 상기 개폐 기구와 상기 과전류 트립 장치는 상기 중간 케이스에 수용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중간 케이스의 저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시켜 배치하며,
    상기 가동 접촉자의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촉자의 고정 접점과의 사이에 접촉 압력을 부여하는 접촉 스프링을 상기 가동 접촉자와 함께 상기 홀더에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케이스는 전원측 중간 케이스와 부하측 중간 케이스로 2분할하고, 상기 전원측 중간 케이스에는 상기 개폐 기구를 수용하고, 상기 부하측 중간 케이스에는 상기 과전류 트립 장치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중간 케이스는 각 극에 대응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삭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압력은 상기 홀더를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상기 케이스측에서 상기 중간 케이스측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압력은 상기 홀더를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 케이스측에서 상기 케이스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19990036542A 1998-09-03 1999-08-31 회로 차단기 KR10059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34098 1998-09-03
JP98-249340 1998-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819A KR20000022819A (ko) 2000-04-25
KR100591569B1 true KR100591569B1 (ko) 2006-06-20

Family

ID=1719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542A KR100591569B1 (ko) 1998-09-03 1999-08-31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50908A (ko)
KR (1) KR100591569B1 (ko)
CN (1) CN1161812C (ko)
TW (1) TW4760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9892B2 (ja) * 2000-02-07 2007-11-2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接触子装置
CZ298548B6 (cs) * 2006-02-01 2007-10-31 Oez, S. R. O. Elektroizolacní kryt nosice pohyblivého kontaktu elektrického prístroje, zvlášte u výkonového jistice
EP2395535B1 (en) * 2010-06-08 2013-10-30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Tripping unit for a circuit breaker
CN103109341B (zh) * 2010-09-22 2016-06-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复合开关装置及用于该复合开关装置的开关装置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122Y1 (ko) * 1995-12-30 1999-05-15 이종수 기중차단기의 아크 누출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0871B1 (fr) * 1984-09-27 1986-12-05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position variable realisable par assemblage d'elements modulaires
FR2638563B1 (fr) * 1988-10-27 1990-12-14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ppareil de commutation realise par l'assemblage de plusieurs elements modulaires amovibles
FR2676592B1 (fr) * 1991-05-13 1993-07-23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courant a protection thermique et magnetique.
FR2707794B1 (fr) * 1993-07-12 1995-08-18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122Y1 (ko) * 1995-12-30 1999-05-15 이종수 기중차단기의 아크 누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6721A (zh) 2000-03-08
CN1161812C (zh) 2004-08-11
US6150908A (en) 2000-11-21
KR20000022819A (ko) 2000-04-25
TW476085B (en) 200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7254A (en) Panelboard unit
JP3573359B2 (ja) 多極遮断器
JP4105719B2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JP4466237B2 (ja) 回路遮断器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EP0359467A2 (en) Circuit breaker with arc gun
US4149216A (en) Fused unitized combination starter
KR100591569B1 (ko) 회로 차단기
RU2505876C2 (ru) Низковоль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JP2002008508A (ja) 回路遮断器
EP1414057B1 (en) Air circuit breaker
KR200482131Y1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상부 커버
KR100966995B1 (ko) 배선용 차단기
JP2000100308A (ja)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KR101216272B1 (ko) 회로 차단기
JP3228002B2 (ja) 回路遮断器
KR100574423B1 (ko) 압트립 장치를 구비하는 배선용 차단기
US5313031A (en) Electric switch gear with improved stationary contact configuration
JPH10223115A (ja) 回路遮断器
JP2000149754A (ja) 回路遮断器
JP4499890B2 (ja) 回路遮断器
KR880000760Y1 (ko) 전력개폐장치
CN112863963B (zh) 漏电断路器
JPH0751720Y2 (ja) 回路遮断器の付属スイッチ
RU24598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60725

Effective date: 200702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