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76B1 -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76B1
KR910001676B1 KR1019880005020A KR880005020A KR910001676B1 KR 910001676 B1 KR910001676 B1 KR 910001676B1 KR 1019880005020 A KR1019880005020 A KR 1019880005020A KR 880005020 A KR880005020 A KR 880005020A KR 910001676 B1 KR910001676 B1 KR 91000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tape
uni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804A (ko
Inventor
박양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76B1/ko
Publication of KR89001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구체회로도.
제3포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타임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동작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녹음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재생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라인인터페이스회로 1-7 : 녹음테이프부
1-2 : 링감지회로 1-8 : 모터 및 데크제어부
1-3 : 스위치회로 50 : 마이콤
1-4 : 증폭부 1-6 : 녹음 및 재생처리부.
본 발명은 자동응답장치(Answering phone system)에 있어서 정전대비에 따른 신호기록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OGM(Out Going Message)테이프의 정전에 대비하여 필요한 데이터 (Security code, Message counter, Switch Mode)를 소정방식으로 변조하여 테이프에 기록하고, 정전으로부터 통전된 후 상기 OGM테이프로부터 데이타를 읽어 정전이 되기 이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자동응답장치의 경우, 정전이 되었을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램(RAM)에 기억된 테이프의 녹음위치 카운터값이 모두 지워져 버린다.
따라서 전원이 들어을 경우 램내의 OGM의 카운터값이 지워져 버렸으므로 전화가 다시 오더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녹음의 유무에 따라 구분을 하지 못하므로 전화자동응답기능을 수행치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정전에 대비한 백업용 건전지를 별도의 보조전원장치로 이용해 왔었다. 이에따라 자동응답장치가 소비전력이 크면 안되므로 저전력에 동작하는 부품을 사용해야 함은 물론 범용부품을 사용하지 못하는데 따른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에 대비하여 시큐리티코드(Security Code), 메세지 카운터(Message Counter), 스위치모드(Switch Mode)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소정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테이프에 기록해 두고 정전으로부터 통전후 테이프로부터 데이타를 읽어 정전의 이전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록 및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데이타 정보를 OGM테이프에 남기므로 보조전원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서 공중전화선과 응답장치와의 신호의 인터페이싱을 원활히 수행하는 라인인터페이스회로(1-1)와, 상기 라인인터페이스회로(1-1)와 연결되어 입력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감지회로(1-2)와, 자동응답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결정하는 스위칭모드 선택을 결정하는 스위치회로 (1-3)와, 인컴밍 메세지(ICM)와 자동응답 운용에 필요한 코드데이타를 녹음에 필요한 레벨로 증폭하고 아웃고잉 메세지를 라인상으로 송출시 필요한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1-4)와, OGM 및 ICM메세지를 재생/녹음할 수 있는 녹음테이프부(1-7)와, 상기 녹음테이프부(1-7)로부터 OGM 및 ICM메세지에 따라 제어에 의해 상기 증폭부(l- 4)를 통한 신호를 녹음 및 모드별로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녹음 및 재생처리부(1-6)와, 상기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로부터 재생되는 메세지의 끝을 감지하는 메세지 엔드 검출부(1-5)와, 상기 모드절환제어에 의해 녹음테이프부(1-7)로 OGM 및 ICM신호가 기록/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모터 및 데크제어부(1-8)와, 상기 링감지회로(1-2)와 스위친회로(1-3)의 데이타값 및 ICM을 체크하여 메세지를 카운트하며 자동응답에 필요한 신호 및 데이타를 소정 포멧을 갖도록 코드로 만들어 증폭부 (1-4)를 통해 증폭하여 녹음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고 녹음테이프부(1-7)의 구동으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녹음 및 재생처리부(1-6)에서 처리되어 OGM 및 ICM가 입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세지 엔드 검출부(1-5)를 통해 입력되는 메세지 끝신호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정전으로부터 충전시 상기 녹음테이프(1-7)를 제어하여 OGM테이프상의 자동응답에 필요한 데이타를 메모리상으로 옮겨 정전이 되기 이전상태를 갖도록 하는 마이콤(50)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증폭부(1-4), 녹음 및 재생처리부(1-6), 메세지 엔드 검출부(1-5)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R11-R13, R1-R6은 저항, C11, C1-C2는 캐패시터, IC1-1-IC1-3는 연산증폭기, D1는 다이오드, HEAD는 헤드이며, 저항(R11-R13), 캐패시터(C11), 연산증폭기(IC1-3)로 구성된 부분이 증폭부에(1-4)에 대응하고, 다이오드(D1), 저항(R1-R3, R6), 캐패시터(C1-C2), 연산증폭기(IC1-3)로 구성된 부분이 메시지 엔드 검출부(1-5)에 대응하며, 저항(R4-R5), 연산증폭기(IC1-2)로 구성된 부분이 녹음 및 재생부(1-6)에 대응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띠른 데이타 타임 구성도로써, (3A)는 데이타 타임 구성예이고, (3B)는 상기 (3A)에 따른 데이타 포멧예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리드시 각부 동작파형도로서 (4a)는 리드신호이고, (4b)는 다이오드(D1)의 검출신호이고, (4c)는 캐패시터(C1)를 통한 출력신호이며, (4d)는 연산증폭기(IC1-3)의 출력신호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녹음흐름도 및 데이타 포멧예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재생흐름도 및 데이타 포멧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걱 일실시예를 제1-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부재중일때 상대편으로부터 온 메세지(ICM)를 ICM테이프에 남기고 상대편으로 아웃고잉 메세지(OGM)를 OGM테이프로부터 읽어 송출되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동응답기의 소유자가 외출했을시 외부에서 집으로 전화를 걸어 자동응답기에 누구의 어떤 메시지가 들어왔는가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실행할 수 없도록 비밀코드를 가진 시큐리티코드와, 메세지 몇 개가 어느 정도 길이로 들어왔는가를 카운트한 데이터와 전화의 링이 몇 개 들어왔을때 자동응답모드로 들어가라는 등의 스위칭모드에 해당하는 각종 모드데이타를 OGM테이프에만 기록하여 자동응답장치에서 0GM테이프 구동시 이를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방법은 자동응답장치에서 부재시 0GM테이프는 필수적으로 구동하게 되고 전화를 건 사람이 인컴밍 메세지를 안남길 수도 있으므로 ICM테이프를 구동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모든 자동응답기에 필요한 데이타는 OGM테이프의 소정영역에 일정 포멧으로 모두 기록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정전으로부터 통전되면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데이타를 메모리로 재생하여 로딩하면 정전의 이전상태로 유지되도록 기록 및 재생하는 방법이 본 발명이다
상기한 OGM테이프로의 자동응답장치에 필요한 데이타의 기록 및 재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응답기능에 따른 기준데이터 및 프로그램은 마이콤(50)내의 메로리상에 기입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상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타는 OGM테이프에 소정 녹음되어 있는 것으로 우선 테이프에 데이타의 기록을 살펴보면, 스위치부(1-3)를 통해 입력링의 수에 따른 자동응답모드설정과 키보드(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한 시큐리티번호를 마이콤(50)으로 입력하면 마이콤(50)이 제5도 (5a)과정에서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녹음테이프부(1-7)의 OGM테이프를 구동하고(5b)과정에서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를 녹음모드가 되도록 기록지정 포트를 세팅한다. (5c)과정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제5도의 (5D)와 같은 포멧으로 형성하여 마이콤(50)의 램에 저장하는 동시에 증폭부(1-4)를 통해 소정 증폭하여 설정된 녹음 및 재생처리부(1-6)의 녹음모드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OGM테이프의 상기 포멧에 소정 기록한다.
이때 물론 OGM테이프도 아웃고잉 메세지와 데이타 녹음에 따른 테이프 기록영역이 마이콤(50)에 의해 카운팅되어 소정 인덱스와 같이 남아 있으므로 데이타 기록시 상기 마이콤(50)이 상기 인덱스값에 따라 체크하여 OGM테이프의 남은 부분에 데이타를 녹음한다.
상기 (5c)과정에서 정보에 따라 램의 데이타 기록시 기록되는 포멧형성을 살펴보면, (5g)과정에서 20mSec정도 시작비트[1]를 기록하고, (5h)과정에서 20mSec정도 데이타 비트 대기상태[2]를 둔 후 (5i)과정에서 데이타 비트를 기록하며, (5j)과정에서 시작비트를 기록하고 리턴하면, (5D)와 같이 형성되고 상기 (5i)과정의 데이타 비트 레코딩을 (5c)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k)과정에서 데이타 비트가 "하이" 인가를 체크하여 상기(5k)과정에서 "하이"일때 (5l)과정에서 1KHZ 비프(Becp)음을 20mSer동안 녹음하고, "하이"가 아닐때 40mSec동안 시이런스를 녹음하게 된다.
상기 (5l)과 (5m)과정을 실행후 (5h)과정에서 데이타 끝인가를 체크하여 데이타 끝이 아닐때(5o)과정에서 비트를 쉬프트하여 데이타를 다시 체크하고 (5o)과정에서 데이타가 끝일때 리턴한다. 제3도 (3A)가 예를 들어 "5"에 해당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3B)와 같이 램상의 소정 레지스터에 (3B)와 같은 포멧으로 저장된다. 즉, 상기(3B)와 같은 데이타가 마이콤(50)의 데이타 출력포트(DO)를 통해 캐패시터 (C11), 저항(R11-R12)을 지나 연산증폭기(IC1-1)에서 증폭되어 헤드(HEAD)에 의해 0GM테이프에 녹음되는데 마이콤(50)에서 위상변조(PSK)방식으로 녹음하기 위해서는 10진수 데이타를 2진수 데이타로 처리해야 하므로 5(10)를 2진수 0101로 변환시키고 다음 "0"일때 무신호를, "1"일때는 특정한 주파수를 발생시켜 연산 증폭기(IC1-1)에 가해져 적당한 크기로 증폭되어 헤드(HEAD)를 통해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데이타는 OGM데이타와 마이콤(50)의 램상에 동시에 남기게되므로 모드 및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응답처리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다이얼링하면 교환기측에서 입력되는 링신호에 의해 링감지회로(1-2)가 링신호를 감지하여 마이콤(50)으로 입력하면 마이콤(50)은 링신호 입력수에 따라 설정된 모드선택값과 비교하여 링신호가 소정횟수로 도달했을때 자동응답모드로 절환되어 모터 및 데크제어부(1-8)와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를 제어하여 재생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녹음테이프부(1-7)의 OGM테이프로부터 아웃고잉 메세지를 읽어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를 통해 증폭부(1-4)에서 증폭되어 라인인터페이스회로(1-1)를 지나 상대방으로 부재자의 남긴 메세지를 송출한다. 이어서 마이콤(50)의 제어에 의해 녹음모드로 절환되어 전화를 건사람의 메세지를 남기기 위해 녹음테이프부(1-7)의 ICM테이프를 구동한다. 이때 입력되는 메세지가 라인인터페이스회로(1-1)를 통한 신호를 증폭부(1-4)에서 증폭되어 모터 및 데트제어부(1-8)의 구동에 따라 녹음테이프부(1-7)의 ICM테이프의 호출자의 메세지로 남긴다.
만약 정전시 마이콤(50)의 램상에 저장된 데이타는 모두 지워지게 된다. 정전이 복구되억 통전이 되면 상기 마이콤(50)의 제어에 의해 OGM테이프에 녹음된 데이타가 마이콤(50)의 램상으로 로딩되게 된다.
상기 리드과정을 제6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이콤(50)에서 (6a)과정에서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데크를 플레이하면 (6b)과정에서 마이콤(50)의 출력포트중 플레이포트를 세팅하며 (6c)과정에서 제6도의 (6C)의 시작비트[1']의 끝인가를 체크하게 되는데, 먼저 제2도의 헤드(HEAD)를 통해 OGM테이프상의 제4도의 미약한(4a)의 신호를 연산증폭기(IC1-2)에서 증폭하고 다이오드(D1)에서 (4b)와 같이 출력하며 캐패시터(C1, C2) 및 저항(R1)을 통해 정류되어(4c)와 같이 출력된다. 상기 (4c)신호를 저항(R2, R3)에 의한 기준전압과 비교 증폭하면 (4d)와 같이 출력되어 마이콤(50)으로 입력된다. 마이콤(50)에서는 (6c)과정에서 시작비트 끝점인가를 체크하여 끝점일때(6d)과정에서 20mSec동안 대기타임을 지연하고 (6e)과정에서 데이타 비트의 0-7비트(6C)의 [2']를 리드하게 되는데, 제6도(6B)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6j)과정에서 0-7비트를 읽어 (6k)과정에서 소정 레지스터에 저장하고(6l)과정에서 데이터 끝인가를 체크한다. 상기 (6l)과정에서 끝이 아닐 때 (6m)과정에서 20mSec동안 시간을 지연하고 데이터가 끝일때 리턴한다. 상기 과정에서 모두 읽은 데이타를(6f)과정에서 램에 저장하고(6g)과정에서 포트를 리세트하며 (6h)과정에서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오프시킨다. 즉 제3도의 (3A)처럼 시작비트를 시작으로 구형파가 입력되면 마이콤(50)은 2t시간에 해당하는 시작비트를 찾아서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지는 포인트, 즉 시작비트 끝점을 시작으로 1/2t시간후에 처음 데이타 3비트를 읽어 저장하고 다시 t시간후에 두번째 데이타 비트2를 읽는 방법으로 두번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처음 데이타를 녹음한 0101처럼 프로그램으로 데이타 "5"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OGM테이프상에 기록된 정전이전의 데이타를 모두 리드하여 마이콤(50)의 램상으로 옮겨지므로 각종 키설정의 모드프로그램 및 메세지 카운터 값이 다시 설정되며, 시류리티코드기능을 다시 써비스할수 있게 된다.
상기 시큐리티코드기능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외부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마이콤(50)이 이를 체크하여 자동응답기로 입력된 메세지를 ICM테이프로부터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응답장치에 필요한 데이타를 소정 포멧으로 형성하여 OGM테이프에만 남기게 되므로 정전이 되더라도 상기 OGM테이프로부터 상기 데이타를 재생하여 마이콤의 램상에 로딩시켜 정전 이전상태와 같이 마이콤이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다시 유지할 수 있고, 자동응답에 필요한 모든 절환모드기능을 테이프에 남겨 정전이 되더라도 항상 로딩하여 제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모드스위치를 제거하는 장점과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마이콤이 처리할 수 있는 포멧으로 OGM테이프에 남기므로 램을 별도의 백업건전지로 보호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축소 및 원가절갈의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라인인터페이스회로(1-l), 링감지회로(1-2), 스위치부(1-3), 증폭부(1-4), 마이콤(50), 녹음 및 재생처리부(1-6), 메세지 엔드 감지부(1-5), 모터 및 데크제어부(1-8), 녹음테이프부(1-7)를 구비한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50)의 스위치부(1-3)의 입력신호와 모드선택 데이타의 체크에 의해 기록과 초기재생 및 아웃고잉에 따른 재생모드상태를 체크하는 제1단계(5a)와, 상기 제1단계(5a)에서 기록모드시 마이콤(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녹음테이프부(1-7)의 아웃고잉 테이프를 구동하며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를 녹음모드로 세팅되도록 기록제어신호 출력포트를 세트하는 제2단계(5b)와, 상기 스위칭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자동응답에 필요한 제어 데이타와 링감지회로(1-2)의 감지에 의해 메세지 카운트 데이타를 상기 마이콤(50)에서 소정 포멧으로 형성하여 메모리에 남기고 지정된 상기 증폭부(1-4)와 녹음 및 재생처리부(1-6)를 통해 마이콤(50) 의 제어에 의해 녹음테이프부(1-7)의 아웃고잉 메세지 테이프에 데이타를 녹음하는 제3단계(5c)와, 상기 제3단계(5c)에서 형성한 데이타 포멧에 따라 아웃고잉 메세지 테이프에 데이타 녹음을 완료하고 상기 기록 제어신호 출력포트를 리세트하고 상기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오프하여 데이타 기록을 완료하는 제4 단계(5d)와, 상기 제1단계(5a)에서 초기재생 및 정전으로부터 통전된 후의 재생모드시 마이콤(50)의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녹음테이프부(1-7)의 아웃고잉 메세지 테이프를 구동하고 재생제어신호 출력포트를 세팅하여 상기 녹음 및 재생처리부(1-6) 재생모드로 전환하는 제5단계(6b)와, 상기 제5단계(6b)의 아웃고잉 메세지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의 시작비트의 끝을 상기 마이콤(50)에 의해 체크하는 제6단계(6c)와, 상기 제6단계(6c)에서 시작비트의 끝일때 소정 대기타임을 가진후 데이타 비프를 모두 읽어들이는 제7단계(6d,6e)와, 상기 제7단계(6d.6e)에서 읽은 데이타를 마이콤(5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생 제어신호 출력포트를 리세트하며 모터 및 데크제어부(1-8)를 제어하여 데크를 오프하는 제8단계(6f-6h)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5b)가 소정시간 시작비트를 기록하는 제1레코딩과정 (5g)과, 상기 시작비트 레코딩후 소정시간 데이타 비트를 대기하는 대기과정(5h)과, 상기 대기후 데이타 비트를 기록하는 제2레코딩과정(5i)과, 상기 데이타 비트 기록후 정지비트를 기록하는 제3레코딩과정(5j)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레코딩과정(5i)이 데이타 비트의 하이상태를 체크하는 과정(5k)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타 비트가 "하이"일때 비프음을 녹음하는 과정(5l)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타 비트가 "로우"일때 사이런스를 녹음하는 과정과 상기 비프와 사이런스를 녹음한 후(5m) 데이타 끝인가를 체크하여 데이타 끝이 아닐때 비트를 쉬프트하여 끝일때 데이타 비트 레코딩을 완료하는 과정(5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4. 제1항에 있어서, 제7단계(6d. 6e)의 데이타 리드과정이 데이타 전 비트를 읽어 소정 레지스터에 저장한 후 데이타 끝인가를 체크하는 과정(6i, 6k, 6l)과, 상기 과정(6i, 6k, 6l)에서 데이타 끝이 아닐때 소정시간 지연하여 데이터 끝일때 상기 8단계(6f∼6h)로 리턴하는 과정(6m)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05020A 1988-04-30 1988-04-30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KR91000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020A KR910001676B1 (ko) 1988-04-30 1988-04-30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020A KR910001676B1 (ko) 1988-04-30 1988-04-30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04A KR890016804A (ko) 1989-11-30
KR910001676B1 true KR910001676B1 (ko) 1991-03-18

Family

ID=1927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020A KR910001676B1 (ko) 1988-04-30 1988-04-30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04A (ko) 198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1600B2 (ja) 電話機用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KR910001676B1 (ko) 자동응답장치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방법
JP3297824B2 (ja) 電話装置
US4881260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multiple outgoing messages and selecting means
JP3222704B2 (ja) 留守番電話機
JP2606209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179150A (ja) 録音機能付電話機
JP3289946B2 (ja) 留守番電話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2784798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3135145A (ja) 電話機
JP271418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能付留守番電話装置
JP3516050B2 (ja) 留守番電話機
JPH0435442A (ja) 留守番電話装置
US4724119A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with an erasable message recorded on the incoming message tape by the manufacturer
JP3200078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11252245A (ja) 留守番電話機
JPH0435145A (ja) 留守番電話装置
CN1122080A (zh) 遥控电话答录机
JPS6468164A (en) Remot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125126B2 (ko)
JPH04199951A (ja) 電話装置
JPH03211949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286045A (ja) 機能電話装置
JPH02279059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1101154A (ja) 留守番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1000801; OPPOSITION DATE: 199105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