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71A - 광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71A
KR910001671A KR1019900008205A KR900008205A KR910001671A KR 910001671 A KR910001671 A KR 910001671A KR 1019900008205 A KR1019900008205 A KR 1019900008205A KR 900008205 A KR900008205 A KR 900008205A KR 910001671 A KR910001671 A KR 91000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raction
optical
focus
diffraction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999B1 (ko
Inventor
미야께 다까히토
요시다 요시오
구라다 유끼오
나가와 야수오
구보 가쯔히로
Original Assignee
시기 모리야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3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81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80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00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896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47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723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0084B2/ja
Application filed by 시기 모리야,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기 모리야
Publication of KR91000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16Foucault or knife-edge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1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by push-pull metho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3Shape of individual dete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픽업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광 픽업장치의 개략 정면도,
제3도는 기록매체측으로부터 본 제2회절 격자소자의 개략평면도,
제4도는 대물렌즈가 그 광축방향에 이동한 때의 각 광검출부의 출력신호 및 포커스에러신호의 추이를 표시하는 그래프.

Claims (44)

  1. 광픽업장치는 빔을 출사하는 광 발생수단과, 광 발생수단의 출사점과 기록매체상의 집광점과를 연결하는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하여 구분되어 각 1차 회절광의 초점거리가 상위하는 제1회절 격지 및 제2회절격지를 가지는 회절격지 소지와 포커스 에러가 없을때에 제11회절격자에서 회절된 1차 회절광의 초점과 제2회절격자에서 회절된 1차 회절광의 초점과의 거의 중간 위치에 배설되어 복수의 광검출부기 회절격지 소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만으로 병설된 광검출수단과를 포함하고,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지에서 회절된 광검출수단에 유도되어 형성디는 광 스포트가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절격지 및 제2회절격지의 한쪽은 빛의 수속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쪽은 빛의 발산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것에 의하여 각 1차 회절광의 초점거리가 상위하도록 되어 있는 광 픽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절격지 및 제2회절격지의 단면형상은 거의 동등하고, 이것에 의하여 광이용 효율이 서로 거의 동등하게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다시금, 광 발생수단의 출사광을 메인빔과 1쌍의 서브빔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검출수단은, 메인빔에 의거하여 기록 정보 및 포커스에러의 검출에 제공되고 복수의 광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주검출부와 1쌍의 서브빔에 의거하는 트랙킹에러의 검출에 제공되어 주검출부의 양측에 회절격자 소자의 평균 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는, 1쌍의 주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부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지를 구분하는 접합선은, 빛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평행으로 설정되어,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각 회절방향과 상기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거의 일치하도록 또한,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에서 회절되어 광 검출수단에 조사되어 형성되는 광 스포트가 회절격자 소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다시금, 광 발생수단으로써의 반도체 레이저와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렌즈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상기 주검출부는 상기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따르는 분할선에 의하여 복수의 광검출부로 분할되고, 회절격자 소지와 상기 광축과의 교점인 광축점(A1)과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점(A3)과 포커스 에러가 없는 저스트 포커스시에 주검출부에 형성되는 크기가 같은 2개의 광 스포트의 중점(A2)과, 제1회절격자에 있어서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1차 회절광의 초점(f1)과, 제2회절격지에 있어서 저스트 포커스시의 1차 회절광의 초점(f2)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광축점(A1)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여져 있는 광픽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의 기구율은 0.5, 그 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 렌즈의 개구율은 0.145, 그 초점거리는 18.0㎜로 설정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검출부는 1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2개의 광검출부로 분할되고, 분할선 및 각 광검출부의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폭은 각각 5㎛ 및 25㎛로 설정되어,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X, 트랙방향을 Y, 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한 때의 (X,Y,Z)의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점의 좌표가 ㎛을 단위로하여 A1: (0,0,0) A2: (1300.0,0,0,-2727.0) A3: (0,0, -2727.0) f1(1267.9,9,8,-2727.0) f2: (1333.7-10.3-2797.8)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제1회절격지 및 제2회절격자는 저스트 포커스시에 직경 20㎛의 광스포트가 상기 2개의 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검출부는 1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2개의 광검출부로 분할되고 분할선 및 각 광검출부의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르는 폭은 각각 65㎛ 및 25㎛로 설정되어, 상기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하고,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과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은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한 때의 (X,Y,Z)의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각점의 좌표기 ㎛를 단위로 하여, A1: (0,0,0) A2: (1300.0,0,0-2727.0) A3: (0,0, -2727.0) f1: (1237.4,42.8.-2595.7) f2: (1369.3-47.4-2872.3)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을때, 상기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직경 40㎛의 광스포트가 상기 2개의 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검출부는 5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6개의 광검출부를 분할되고, 각 분할선 및 각 광검출부의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은, 각각 5㎛ 및 25㎛로 설정되어, 상기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하고,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을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한때의 (X,Y,Z)의 3차원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각점의 좌표가 μ~를 단위로 하여 A1: (0,0,0) A2: (1300.0,0,0,-2727.0) A3: (0,0, -2727.0) f1(1237.4,42,8,-2595.7) f2: (1339.3-47.4-2872.3)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고, 6개의 광검출부가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끝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제6 광검출부라 칭하여지는 때, 상기 제1회전격지 및 제2회절격자는, 직경 40㎛의 광 스포트의 중심이 제2, 제5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검출부는 3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분할되어,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순차 병설된 제1~제4 광검출부로 구성되어, 주검출부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제1, 제4광검출의 적어도 한쪽의 광검출부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이 기타의 광검출부의 상기 방향에 따른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광 픽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선, 제1, 제4광검출부 및 제2 제3광검출부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은 각각 5㎛, 100㎛ 및 25㎛으로 설정되어,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으로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을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한때의 (X,Y,Z)의 3차원 차표계에 있어서 상기 각점의 좌표기 ㎛를 단위로하여, A1: (0,0,0) A2: (1300.0,0,0,-2727.0) A3: (0,0, -2727.0) f1: (1267.9,9.8,-2727.0) f2: (1333.7-10.3-2797.8)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을때, 상기 제1회절격지 및 제2회절격지는 직경 20㎛의 광스포트가 상기 제2, 제3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다시금, 대물렌즈와 기록매체와의 거리가 포커스에러 없이 적정거리보다 과도하게 크게 된때 포커스에러신호가 불소망으로 반전하는 원인으로 되는 적어도 1개의 광검출부의 감도를 기타의 광검출부의 감도보다 저하시키던가, 혹은 상승시키던가 하는 감도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광픽업장치.
  14.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다시금,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시에는 주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랙킹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정보의 재생시에는 상기의 부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랙킹에러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6광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S1~S6, 부검출부를 이루는 1쌍의 광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S7, S8로 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시에는, 트랙킹에러신호(RES)를 RES=(S1+S2+S3)-(S4+S5+S6)의 연산에 의거하여 새성하여 정보의 재생시에는, 트랙킹에러신호(RES)를 RES=S7-S8의 연산에 의거하여 생성하여 포커스에러신호(FES)를 기록, 재생 어느쪽의 경우에도 FES=(S1+S3+S5)-(S2+S4+S6)의 연산에 의거하여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커스에러가 없을 때, 중심이 제2, 제5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는 광스포트의 크기와 상기 제1~제6광검출부의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과의 보다 바람직한 관계는 각 출력신호의 크기가 포커스에러가 없을 때, S2=S1+S3, S5=S4+S6로 되도록 정하여져 있는 광픽업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절격지 및 제2회절격자를 구분하는 접합선은, 기록매체상의 빛이 집광된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으로 설정되어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각회절방향과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또한,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지에서 회절되어 광검출수단에 조사되어 형성되는 광 스포트가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나란히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다시금, 광발생수단으로써의 반도체 레이저와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크리메이트 렌즈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상기 주검출부는 상기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따른 분할선에 의하여 복수의 광검출부로 분할되어, 회절격자소지와, 상기 광축과의 교점인 광축점(A1)과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점(A3)과 포커스에러가 없는 저스트 포커스시에 주검출부에 형성되는 크기가 똑같은 2개의 광스포트의 중점(A2)과, 제1회절격자에 있어서 저스트 포커스시의 1차 회절광의 초점(f1)과 제2회절격자에 있어서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1차 회절광의 초점(f2)과의 상대적인 배치기 과축점(A1)을 기준으로하여 정하여져 있는 광픽업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 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렌즈의 개구율은 0.145, 그초점거리는 18.0㎜로 설정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검출부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3개의 광검출부에 분할되어, 각 분할선 및 각 광검출부의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은 각각 5㎛ 및 25㎛로 설정되고, 상기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으로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을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할때의 (X,Y,Z)의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의 상기 각점의 좌표가 ㎛를 단위로 하여, A1: (0,0,0) A2: (1300.0,0,0,-2727.0) A3: (0,0,-2727.0) f1: (1267.9,29.3.-2659.7) f2: (1333.7-30.8-2797.8)로 되도록 설정되어,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상기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주검출부에 조사되어 각 직경 20㎛을 가지는 반원형의 광 스포트에 있어서의 직경에 상당하는 각 현(各弦)이 각각의 분할선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1. 광 픽업장치는 빛을 출사하는 광 발생수단과, 광 발생수단의 출사점과 기록매체상의 집광점과를 연결하는 광측을 포함하는 2평면에 의하여 축대칭을 이루는 제1~제4회절격자로 구분되고 또한,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으로 빛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을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한때의 (X,Y,Z)의 3차원좌표에 있어서, 축대칭을 이루는 제1, 제3회절격자의 저스트 포커스시에 있어서 1차 회절광의 각 초점의 Z좌표가 서로 거의 동등하고 축대칭을 이루는 제2, 제4회절격지의 저스트 포커스시에 있어서 1차 회절광의 각 초점의 Z좌표도 또 서로 거의 똑같고, 다시금, 제1제3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초점의 Z좌표와 제2, 제4회절격지에 있어서의 초점의 Z좌표와를 상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회절격자소자와, 저스트포커스시에, 제1제3회절격지에서 회절된 각1차 회절광의 각 초점과 제2, 제4회절격자에서 회절된 각1차 회절광의 각 초점과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설되어, 복수의 광검출부가 제1~제4회절격자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광 검출수단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광 픽업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회절격자 및 제2, 제4회절격자의 한쪽은 빛의 수속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쪽은 빛의 발산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것에 의하여 제1, 제3회절격지의 Z좌표와 제2, 제4회절격지의 Z좌표가 상위하도록 되어 있는 광 픽업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제4회절격자의 단면형상은 서로 거의 동등하고, 이것에 의하여 광이용효율이 서로 거의 똑같게 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4회절격자를 축대칭으로 구분하는 2개의 접합선은 서로 직교하고, 한쪽이 빛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평행으로 설정되어, 제1~제4회절격자는 각 회절방향과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다시금, 광발생수단의 출사광은 메인빔으로 1쌍의 서브빔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광 검출수단은, 메인빔에 의거하는 기록정보 및 포커스에러의 검출에 제공되고 복수의 광검출부로 이루어지는 주검출부와 1쌍의 서브빔에 의거하는 트랙킹에러의 검출에 제공되어, 주검출부의 양측에 회절격지소지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는 1쌍의 광검출부로 이루어지는 부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회절격지에서 회절된 각 1차회절광의 각 초점은 거의 일치하고, 제2, 제4회절격지에서 회절된 각 1차 회절광의 각 초점도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다시금, 광발생수단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와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 렌즈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상기 주검출부는 1변의 길이가 155㎛의 정방향을 이룸과 아울러,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 5㎛의 분할선과, 이 분할선에 직교하여 평균회절방향에 따른 폭 5㎛의 분할선과에 의하여 점대칭으로 4분할되어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처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 렌즈의 개구율은 0.3, 그초점거리는 8.3㎛로 설정되어, 다시, 회절격자소지와 상기 광축과의 교점인 광축점(A)과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점(Q)과, 주검출부의 중심(Q)과, 제1제3회절격지에 있어서의 저스트포커스시의 각1차 회절광의 초점(f1)과, 제2, 제4회절격자에 있어서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각 1차 회절광의 초점(f2)이 상기 (X,Y,Z)의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 ㎛를 단위로하여 A : (0,0,0) O : (1670.0,0.0,-3100.0) Q : (0,0,-3480.0) f1: (1649.8,0,-3062.6) f2: (1690.7,0,-3138.4)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을 때 상기 제1~제4회절격자는 주검출부의 중심(O)을 중심으로하는 직경 20㎛의 원형의 광스포트가 주검출부에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다시,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렌즈의 개구율은 0.3, 그초점거리는 8.3㎜로 설정되고, 상기 주 검출부는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한 방향에 따른 폭이 205㎛,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이 155㎛로 설정되고, 또한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 5㎛의 분할선과 이 분할선에 직교하여 평균회절방향에 따른 폭 5㎛의 분할선과에 의하여 점대칭에 4개의 광검출부로 분할되어, 다시 제1~제4회절격자에 있어서 저스트포크스시의 각1차 회절광의 충전을 f1b, f2b, f1af2a상기 초점(f1b, f2b)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설된 1쌍의 광 검출부의 중심을 O2, 초점(f1a, f2a)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설된 1쌍의 광검출부의 중심을 0으로할 때, 상기 (X,Y,Z)의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각 점의 좌표가, ㎛를 단위로하여, A : (0,0,0) O1: (1670.0,0.0,-3100.0) O2: (1770.0,0.0,-3100.0) Q : (0,0-3480.0) f1a: (1649.8,0,-3062.6) f1b: (1748.6,0-3062.6) f2a: (1690.7,0,-3138.4) f2b: (1791.9,0,-3138.4)로 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포커스에러가 없을때, 상기 제1, 제2회절격지는 직경 20㎛의 반원형의 광스포트가 상기 중심(O2)부근에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제4회절격자는 직경 20㎛의 반원형의 광 스포트기 상기 중심(O1)부근에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다시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렌즈의 개구율은 0.3, 그 초점거리는 8.3㎜로 설정되고, 상기 주 검출부는 회절격자소지의 평균호절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i1)과 주검출부의 중심을 지나 분할선(i1)에 직교하는 분할선(k1)과 분할선(k1)에 평행으로 분할선(k1)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분할선(j1, ℓ1)과에 의하여 8분할되어,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주검출부의 중앙에 원형의 광 스포트가 형성되어 포커스에러 신호는 주검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4개의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구성인 광픽업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광픽업장치는 다시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2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 렌즈의 개구율은 0.3, 2초점거리는 8.3㎜로 설정되고, 포커스에러가 없을 때, 주 검출부의 중앙에 원형의 광 스포트가 형성되어, 포커스에러 신호는 주검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4개의 광 검출부의 추력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구성인 광픽업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의 8분할편 광 검출부 중 외주측의 4개의 광검출부를 시계방향으로 제1~제4광출부, 중심축의 광검출부에서 제1광검추부에 원호를 접하는 광 검출부를 제5광검출부, 제5광검출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제6~제8광검출부로하고, 다시금, 제1~제8광검출부의 출력신호를 S1~S8로 하면, 주 검출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의 광 스포트의 바람직한 직경은 S1+S2+S3+S4-S5+S6+S7+S8이라는 관계를 성립시키는 것이며, 이때, 포커스에러신호(FES)는 FES=(S1+S3+S6+S8)-(S2+S4+S5+S7)이라는 연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광픽업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광 픽업장치는, 다시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에 평행광을 유도하는 코리메이트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수단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초점거리는 4.5㎜ 코리메이트렌즈의 개구율은 0.3, 그 초점거리는 8.3㎜로 설정되고, 상기 주검출부는 회절격자소자의 평균 회절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5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6개의 광검출부로 분할되어 회절격자소자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제6광검출부로하면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상기 제1~제3회절격지에서 회절된 1차 회절광의 점대칭을 이루는 광스포트는 제1~제3광검출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제4회절격자에서 회절된 1차 회절광의 점대칭을 이루는 광 스포트는 제4~제6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형성이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제6광검출부의 추력신호를 S1~S6으로 하면, 포커스에러신호(FES)는 FES=S2-S5혹은, FES-(S2+S4+S6)-(S1+S3+S5)과는 연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광픽업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광 픽업장치는 다시금, 축대칭을 이루는 상기 제1~제3회절격지의 1차 회절광의 광 스포트를 수광하는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와 축대칭을 이루는 상기 제2제4회절격자의 1차 회절광의 광 스포트를 수광하는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로부터 차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광검출수단의 전(全)광 검출부의 출력신호로부터 합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합신호의 위상과 상기 차신호의 위상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트랙킹에러를 검출하는 트랙킹에러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광픽업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에러 검출수단은, 헤데로디인검파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광픽업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수단은, 복수의 분할선에 의하여 광검출수단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분할된 복수의 광검출부를 포함하고 점대칭을 이루는 1쌍의 광검출부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의 합신호와 점대칭을 이루는 다른 1쌍의 광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합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차 신호는, 트랙킹 에러가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되며, 한편, 회절격자소자상에 형성되는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시광의 명암 패턴에 있어서, 광빔이 기록매체의 기록트랙을 주사한 때, 제1제3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부분에 대한 면적비율이 제2제4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 부분에 대한 면적비율보다 큰 상태로 부터 작은 상태로 변화하도록 트랙킹에러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신호의 위상은 트랙킹에러 검출수단에 의하여 전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90°지연되어 검출되고 상기 제1, 제3회절격자의 밝은부분의 어두운 부분에 대한 면적비율이 상기 제2 제4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 부분에 대한 면적비율보다 작은 상태로부터 큰 상태로 변화하도록 트랙킹 에러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신호의 위상은, 트랙킹에러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합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90°리드하여 검출되어, 상기 차신호와 합신호의 위상차에 의거하여, 트랙킹 제어가 행하여지는 구성인 광 픽업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수단은, 상기 제1~제4회절격자의 평균회절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 5㎛정도의 제1분할선과 이 제1분할선에 직교하여 평균회절방향에 따른 폭 5㎛정도의 제2분할선과에 의하여 점대칭으로 4분할된 제1~제4광검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제4회절격자는 포커스에러가 없을때, 상기 제1~제4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근접하는 광스포트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광 픽업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수단은, 상기 제1~제4회절격자의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 5㎛정도의 제1분할선과 이 제1분할선에 직교하여 평균회절방향에 따른 폭 5㎛정도의 제2분할선과에 의하여 점대칭으로 4분할된 제1~제4광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4광검출부는 각각 회절격지 소자의 평균회절방향에 긴 장방형을 하고 다시, 상기 제1분할선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절격지에 있어서의 1차 회절광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초점과 제2회절격지에 있어서의 1차회절광의 저스트포커스시의 초점과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치된 제1, 제2광검출부와 상기 제3회절격자에 있어서의 1차 회절광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초점과 제4회절격지에 있어서의 1차회절광의 저스트 포커스시의 초점과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치된 제3, 제4광검출부와로 분할되어,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제1,2회절격자기 형성되는 광 스포트는 제1제2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제3, 제4회절격자가 형성하는 광 스포트는 제3, 제4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근접하여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은, 상기 제1~제4회절격지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i1)과 광검출수단의 중심을 지나 분할선(i1)에 직교하는 분할선(k1)과 분할선(k1)에 평행으로 분할선(k1)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분할선(j1, ℓ1)과에 의하여 8분할된 광검출부를 포함하며,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광검출수단의 중앙에 원형의 광스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차신호는 광검출수단의 중앙에서 점대칭을 이루는 1쌍의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와 다른1쌍의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와로부터 생성되는 구성인 광 픽업장치.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수단은, 전체의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제1~제4회절격자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i2)과 광검출수단의 중심을 지나 분할선(i2)에 직교하는 분할선(j2)과 소정의 반경의 동심원상의 분할선(k1)과에 의하여 8분할된 광검출부를 포함하고, 포커스에러기 없는때, 광검출수단의 중앙에 원형의 광 스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치신호는 광 검출수단의 분할선(k2)의 내측에서 점대칭을 이루는 1쌍의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와 다른 1쌍의 광검출부의 출력 신호의 합신호로부터 생성되는 구성인 광 픽업장치.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은, 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격자소자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5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6분할된 광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검출수단에 있어서, 회절격자소자에 가까운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제6광검출부리하면, 포커스에러가 없는때, 상기 제1, 제3회절격지에서 회절된 1치 회절광의 점대칭을 이루는 광스포트는 제1~제3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제4회절격자에서 회절된 1차 회절광의 점대칭을 이루는 광 스포트는 제4~제6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트랙킹 에러가 생기고 있지 않는때, 상기 제1제3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와 제4, 제6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로 부터 생성되는 차신호는 0으로 되고 한편, 회절격지 소지상에 형성되는 기록매체로 부터의 반사광의 명암패턴에 있어서 광빔이 기록매체의 기록트랙을 주사할때, 상기 제1제3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부분에 대한 면적비율이 상기 제2, 제4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 부분에 대한 면적비율보다 큰 상태로부터의 작은 상태로 변화하도록 트랙킹에러가 생기고 있는때, 상기 차신호의 위상은 트랙킹에러가 검출수단에 의하여 6개의 광검출부의 출력신호의 합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90°지연하여 검출되어, 상기 제1, 제3회절격자의 밝은 부분의 어두운부분에 대한 면적비율이상이 제2, 제4회절격자의 밝은부분의 어두운부분에 대한 면적비율보다 작은 상태로부터 큰 상태로 변화하도록 트랙킹에러가 생기고 있는때, 상기 차신호의 위상은, 트랙킹에러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합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90°리드하여 검출되어, 상기 차신호와 합신호와의 위상치에 의거하여, 트랙킹제어가 행하여지는 구성인 픽업장치.
  4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4광검출부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 제4광검출부의 적어도 한쪽의 광검출부의 상기방향에 따른 폭은 예를 들면 100㎛이며, 기타의 광검출부의 상기 방향에 따른 폭, 예를들면 25㎛보다 4배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광 픽업장치.
  4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은, 회절격지소자의 평균회절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순차 병설된 제1~제4광검출부에서 구성된 주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도 조정수단은, 주검출부의 한 끝단에 위치하는 제1광검출부의 감도를 기타의 광검출부의 감도보다 저하시키거나, 혹은, 주검출부의 다른 끝단에 위치하는 제4광검출부의 감도를 기타의 광검출부의 감도보다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주검출부는, 3개의 분할선에 의하여 4개의 광검출부로 분할되어, 각 분할선 및 각 광검출부의 상기 평균회절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폭은 각각 5㎛ 및 25㎛에 설정 되어 상기 대물렌즈의 개구율은 0.5 그 초점거리는 4.5㎜ 상기 코리메이트 렌즈의 개구율이 0.145, 그 초점거리가 18.0㎜에 설정되고 다시, 상기 각점의 좌표가 회절격지소지의 평균회절방향에 거의 평행이고, 레이저광이 집광된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에 있어서의 트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트랙방향을 Y,X,Y에 직교하는 방향을 Z로 한때의 (X,Y,Z)의 3차원좌표계에 있어서 ㎛를 단위로하여, A1(0,0,0) A2: (1300.0,0.0-2727.0) A3: (0,0, -2727.0) f1: (1267.9.9.8.-2727.0) f2: (1333.7-10.3-2797.8)로 되도록 설정되고, 아울러, 각광검출부를 주검출부의 한끝 단측으로 부터 제1~제4광검출부로 하면, 포커스에러기 없는데, 상기 제1회절격자 및 제2회절격자는 직경 20㎛의 광 스포트가 제2,제3광검출부의 중앙부근에 각각 조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주검출부의 한끝단에 위치하는 제1광검출부의 감도는 기타의 광검출부의 감도의 예를들면 0.7배로 설정되어 있는 광픽업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08205A 1989-06-06 1990-06-04 광 픽업장치 KR94000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3851 1989-06-06
JP1143851A JPH038128A (ja) 1989-06-06 1989-06-06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16040389 1989-06-22
JP1-160403 1989-06-22
JP1-180011 1989-07-11
JP1180011A JPH0770067B2 (ja) 1989-07-11 1989-07-11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1-189638 1989-07-21
JP1189638A JPH0354734A (ja) 1989-07-21 1989-07-21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1-197230 1989-07-28
JP19723089A JPH0770084B2 (ja) 1989-07-28 1989-07-28 光ピックア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71A true KR910001671A (ko) 1991-01-31
KR940001999B1 KR940001999B1 (ko) 1994-03-12

Family

ID=2752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05A KR940001999B1 (ko) 1989-06-06 1990-06-04 광 픽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53237A (ko)
EP (1) EP0402123B1 (ko)
KR (1) KR940001999B1 (ko)
CA (1) CA2018314C (ko)
DE (1) DE690265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645376E (pt) * 1991-11-27 2008-03-28 Gillette Co Giletes
JPH05242512A (ja) * 1991-12-19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776487B2 (ja) * 1992-01-28 199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12719A (ja) * 1992-06-29 1994-01-21 Canon Inc 光ヘッド及び情報読取装置
DE69319673T2 (de) * 1992-08-12 1999-02-25 Philips Electronics Nv Einrichtung zur optischen Abtastung einer Oberfläche
KR950005033B1 (ko) * 1992-11-06 1995-05-17 주식회사금성사 광픽업 장치
KR940020325A (ko) * 1993-02-08 1994-09-15 이헌조 광픽업장치
KR970010940B1 (ko) * 1994-04-08 1997-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장치
DE19530740A1 (de) * 1995-08-22 1997-02-27 Thomson Brandt Gmbh Optische Abtasteinrichtung
JP3372413B2 (ja) * 1995-12-04 2003-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3633069B2 (ja) * 1995-12-15 2005-03-30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889104B2 (ja) * 1997-02-07 2007-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0965981A3 (en) * 1998-06-16 2009-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scanning an optical record carrier
JP3435067B2 (ja) 1998-08-06 2003-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1057176A1 (en) 1998-12-29 2000-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canning device
JP2001256670A (ja) * 2000-03-10 2001-09-21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037281B2 (ja) * 2002-03-04 2008-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ビーム整形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源ユニット並びに光ピックアップ
JP2004158073A (ja) * 2002-11-05 2004-06-03 Tdk Corp 受光装置、光検出装置、および、光信号再生装置
JP4156484B2 (ja) * 2003-09-30 2008-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US7170584B2 (en) * 2004-11-17 2007-01-30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19031030A1 (ja) 2017-08-09 2019-02-14 株式会社カネカ 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538A (ja) * 1981-11-25 1983-05-31 Hitachi Ltd 光デイスクトラツク追跡装置
JPS58208944A (ja) * 1982-05-31 1983-12-05 Sony Corp 光学ヘツド制御信号発生装置
JPS6059545A (ja) * 1983-09-12 1985-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ヘッドの焦点ずれ検出装置
JPS60129936A (ja) * 1983-12-17 1985-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JPS60185230A (ja) * 1984-03-02 1985-09-20 Pioneer Electronic Corp 焦点誤差検出装置
NL8502835A (nl) * 1985-10-17 1987-05-18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met optische straling aftasten van een informatievlak.
JPH0622063B2 (ja) * 1986-06-10 1994-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ツド装置
JPH0622062B2 (ja) * 1986-06-10 1994-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ツド装置
JPH0630161B2 (ja) * 1986-05-26 1994-04-2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ツド装置
EP0228620B1 (en) * 1985-12-10 1991-06-05 Nec Corporation Optical head comprising a diffraction grating for directing two or more diffracted beams to optical detectors
JPH0750532B2 (ja) * 1986-05-26 1995-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ツド装置
US4817074A (en) * 1985-12-19 1989-03-28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focusing state and positioning accuracy of a light beam directed onto an optical disk tracking guide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JPH073700B2 (ja) * 1987-06-29 1995-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学式ヘッド装置
JPS6435730A (en) * 1987-07-31 1989-02-06 Sony Corp Focussing error detector
US4907847A (en) * 1987-09-28 1990-03-13 Nec Home Electronics Ltd. Optical pickup and hologram therefor
EP0311340B1 (en) * 1987-10-05 1993-08-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pickup head
JPH0198131A (ja) * 1987-10-09 1989-04-17 Sharp Corp 光学型情報再生装置
JPH01151022A (ja) * 1987-12-09 1989-06-13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701324B2 (ja) * 1988-06-16 1998-01-2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ヘッド装置
NL8802988A (nl) * 1988-12-05 1990-07-02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met optische straling aftasten van een informatievl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6532D1 (de) 1996-05-23
EP0402123A2 (en) 1990-12-12
DE69026532T2 (de) 1996-10-17
EP0402123B1 (en) 1996-04-17
EP0402123A3 (en) 1992-03-04
US5253237A (en) 1993-10-12
KR940001999B1 (ko) 1994-03-12
CA2018314A1 (en) 1990-12-06
CA2018314C (en) 199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671A (ko) 광 픽업장치
EP0219908B1 (en) Apparatus for optically scanning an information plane
CA1329262C (en) Optical pick-up device
EP0075676B1 (en) Optical track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ing the same
EP0612064B1 (en) An optical pickup apparatus
US5231621A (en) Focus detector which serves to split off a portion of a detected light beam only when the detected light beam is not refocused at an expected refocus point
US502926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light beam on object surface by comparing detection beams split near focal point
US6512732B1 (en)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information tracks on a plane using two subbeams
EP0315744A1 (en) Photodetector for hologram-type optical head
JP2594445B2 (ja) ホログラム光ヘッド
JPS6159630A (ja) 焦点検出装置
JPS5984352A (ja) 焦点誤差検出装置
JPH0630162B2 (ja) スポツト位置エラ−検出系
JP2734685B2 (ja) 光検出器の調整方法および焦点誤差検出装置
KR900008405B1 (ko) 광학식 헤드 장치
US5930213A (en) Spot position-discriminating system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spot position
JP3544785B2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S59217235A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S5850630A (ja) 光学的情報読み取り装置における信号検出装置
KR0186153B1 (ko) 광픽업장치
JPH01147319A (ja) 光学式エンコーダ
JPS63288428A (ja) 光デイスク装置
JPS6310325A (ja) 光学式ヘツド装置
JPS63263637A (ja) 光ヘツド装置
JPH0675292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