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940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940B1
KR970010940B1 KR1019940007392A KR19940007392A KR970010940B1 KR 970010940 B1 KR970010940 B1 KR 970010940B1 KR 1019940007392 A KR1019940007392 A KR 1019940007392A KR 19940007392 A KR19940007392 A KR 19940007392A KR 970010940 B1 KR970010940 B1 KR 97001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signal
focused
optica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64A (ko
Inventor
양근영
노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940B1/ko
Priority to EP95302304A priority patent/EP0676750A3/en
Priority to US08/418,511 priority patent/US5594712A/en
Priority to JP7107808A priority patent/JPH0855361A/ja
Publication of KR95003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광픽업장치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일례를 보인 구성도.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5분할 포토디텍터 구조 및 파장 변화에 따른 빔의 이동을 보인 작용도.
제 3 도의 (a)내지 (c)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포커서 에러의 발생에 따른 PD상에서의 빔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a)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멀어진 상태의 작용도.
(b)는 포커스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의 작용도.
(c)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가까워진 상태의 작용도.
제 4 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제 5 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6분할 포토디텍터 구조 및 파장 변화에 따른 빔의 이동을 보인 작용도.
제 6 도의 (a) 내지 (c)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포커스 에러의 발생에 따른 PD상에서의 빔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a)는 포커스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의 작용도.
(b)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멀어진 상태의 작용도.
(c)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가까워진 상태의 작용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를 보인 구성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5분할 포트디텍터 구조 및 파장 변화에 따른 빔의 이동을 보인 작용도.
제 9 도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포커스 에러의 발생에 따른 PD상에서의 빔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a)는 포커스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의 작용도.
(b)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가까워진 상태의 작용도.
(c)는 대물렌즈와 디스크가 멀어진 상태의 작용도.
제 10 도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홀로그램에 의한 레이저 빔의 절작용을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레이저 다이오드 22 : 격자
23 : 2분할 홀로그램 24 : 대물렌즈
25 : 5분할 포토디텍터 26 :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 플레이어(CDP:Compact Disc Player), 비디오 디스플레이어(VDP : Video Disc Player), 옵티컬 디스크 드라이버(ODD:Optical Disc Driver), 그리고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MDP : Multi Disc Player)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광픽업장치(Optical Pickup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의 배열 및 조립을 보다 용이하계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동작중이나 조립시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발산하는 빔을 3개로 나누어주는 격자(2)와, 상기 격자에 의해 3개로 나누어져 발산하는 3개의 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collimator)(3), 상기 콜리메이터(3)에 의한 3개의 평행광을 광디스크 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4)의 순으로 빔이 광디스크에 입사되고, 광디스크에 반사되는 빔이 대물렌즈(4)와 콜리메이터(3)를 통과한 후, 홀로그램(5)에 의하여 3개의 빔이 각각 5분할 포토디텍터(photodector)(6) 상에 집속되도록 광학계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5분할 포트디텍터(6)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2와 PD3가 인접하는 면이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홀로그램(5)은 H1과 H2로 2-분할로 구성되어, 홀로그램(5)에 입사된 3개의 빔이 각 홀로그램(5)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절되도록 함으로써 5분할 포토디텍터(6) 상에 6개의 빔이 집속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발산하는 레이저 빔은 트래킹 빔(tracking beam) 생성용 회절격자(2)에 의해 3개의 빔(0차,1차,-1차 회절빔)으로 나누어지고, 이 3개의 빔은 홀로그램(5)을 통과한 후 콜리메이터(3)에 의해 평행광으로 된다. 그 3개의 평행광은 다시 대물렌즈(4)에 의해 광디스크 상에 집속되는데 0차 회절빔이 포커스 에러(focus error) 및 광디스크 정보신호검출에 사용되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트래킹 에러(tracking error) 검지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집속된 3개의 빔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대물렌즈(4) 및 콜리메이터(3)를 차례로 통과한 후 홀로그램(5)에 입사된다. 상기 홀로그램(5)에 입사된 빔은 두개로 분리된 각각의 홀로그램(H1, H2)에 의해 다른 각도로 회절되어 5분할 포토디텍터(6) 상에 집속된다. 이때, 0차 회절빔은 홀로그램 H에 의해 PD4 상에, 홀로그램 H2에 의해 각각 PD2와 PD3 경계선 상에, 그리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홀로그램 H1과 H2에 의해 각각 PDl, PD5에 접속된다. 만약 광디스크와 대물렌즈(4)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제 3 도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므로 포커스 에러 보정용 신호, 트래킹 에러 보정용 신호, 그리고 광정보 신호를,
포커스 에러 보정용 신호(Focus Error Signal ; FES)=S2-S3
트래킹 에러 신호(Tracking Error Signal: TES) =S1-S5
광정보 신호=S2+S3+S4
와 같이 할 경우(여기서, S1, S2, S3, S4, S5는 각 포토디텍터 PD1, PD2, PD3, PD4, PD5의 신호이다),FES>0이면, 제 3 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와 대물렌즈(4)가 멀어진 것이고, FES<0이면, 제 3 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와 대물렌즈(4)가 가까워전 것이며, FES=0이면, 제 3 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스 에러가 발성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ES>0 인지 TES<0 인지에 따라 주빔(0차 회절빔)이 트랙을 제대로 따라가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신호에 따라 포커스 및 트래킹 에러를 보정함으로써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광정보신호를 정확하게 읽어 낼 수 있다.
통상 레이저 다이오드(1)는 동작 중에 주변온도 등에 의해 파장이 변하게 되는데 파장이 변할 경우에는 회절소자(격자 및 홀로그램)에 의한 회절각도가 변하여 마치 포커스 및 트래킹 에러가 발생한 듯한 에러를 유발시킨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2와 PD3가 인접하는 경계면을 일정각도(θ)로 유지시켜 이를 해결하였다. 즉, 파장이 780nm일때 집속되는 위치가 (b),770nm일때는(a), 그리고 790nm일 때는 (c)의 위치로 회절 집속빔이 이동되므로 각 위치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PD2와 PD3의 경계선으로 하면,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의 파장이 변하더라도 FES가 0인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장 변화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다른 형태의 광픽업장치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7)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7)로부터 발산하는 빔을 3개로 나누어주는 격자(8)와, 상기 격자(8)에 의해 3개로 나누어져 발산하는 3개의 빔을 광디스크 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0)의 순으로 빔이 광디스크에 입사되고,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빔이 대물렌즈(10)을 통과한후 홀로그램(9)에 의해 3개의 빔이 각각 6분할 포토디텍터(11) 상에 집속되도록 광학계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7)로부터 발산하는 레이저 빔은 트래킹 빔(tracking beam) 생성용 회절격자(8)에 의해 3개의 빔(0차,1차,-1차 회절빔)으로 나누어지고, 이 3개의 빔은 홀로그램(9)을 통과한 후, 대물렌즈(10)에 의해 광디스크 상에 집속되는데 0차 회절빔이 포커스 에러 및 광디스크 정보신호검출에 사용되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트래킹 에러 검지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집속된3개의 빔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대물렌즈(10)를 통과한 후, 홀로그램(9)에 입사된다. 상기 홀로그램(9)에 입사된 빔은 회절되어 0차 회절빔은 PD1, PD2, PD3, PD4 상에 그리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각각 PD5, PD6에 집속된다. 만약 광디스크와 대물렌즈(10)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집속빔이 원형으로부터 타원형의 형태로 변하게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포커스 에러, 트래킹 에러, 그리고 광정보 신호를,
포커스 에러 신호(FES)=(S1+S3) -(S2+S4)
트래킹 에러 신호(TES)=S5-S6
광정보 신호=S1+S2+S3+S4
와 같이 할 경우, FES>0이면, 제 6 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와 대물렌즈(10)가 멀어진 것이고, FES>0이면, 제 6 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와 대물렌즈(10)가 가까워진 것이며, FES=0이면, 제 6 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ES>0 인지 TES<0 인지에 따라 주빔(0차 회절빔)이 트랙을 제대로 따라가는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에따라 트래킹 에러를 보정함으로써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광정보신호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통상 레이저 다이오드(7)는 동작 중에 주변온도 등에 의해 파장이 변하게 되는데 파장이 변할 경우에는 회절소자(격자 및 홀로그램)에 의한 회절각도가 변하여 마치 포커스 및 트래킹 에러가 발생한 듯한 에러를 유발시킨다. 즉, 파장이 780nm일때 홀로그램(9)에 의해 집속되는 레이저 빔의 위치는 제 5 도에 도시한 (2),770nm일때는 (1), 그리고 790nm일 때는 (3)의 위치로 회절 집속 빔이 이동되어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1)의 파장변화를 보정하는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1)의 파장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분할 포토디텍터(6)에서 PD2와 PD3가 인접하는 부분을 경사지게 하였으나 홀로그램(5)과 5분할 포토디텍더(6) 간의 배열(align)이 매우 어려워 생산성이 매우 낮게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엇으며, 또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점수차를 이용한 방식은, 파장 보정력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약하여 오동작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되는 레이저 다이오드(7)의 파장이 제각기 다르므로 홀로그램(9)과 6분할 포토디텍터(11) 간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홀로그래픽 광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를 사용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배열 및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광픽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중이나 조립시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한 광픽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하는 빔을 0차, +1차,-1차의 3개의 회절빔으로 나누는 격자와: 상기 격자에 의하여 나누어진 3개의 빔을 광디스크 상으로 집속시키고, 상기 집속된 광이 광디스크상으로 입사된 후, 반사되어 나온 빔을 다시 통과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를 통과한 반사빔을 집속시키는 제 1, 제 2홀로그램 및; 상기 제 1, 제 2 홀로그램에서 집속된 광의 세기를 검지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으로 5분할되어 5개의 PD가 PD4, PD1, PD2, PD3, PD5의 순으로 일렬로 배열된 5분할 포토디텍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제 2 홀로그램의 참조광의 위치는 공히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점이고, 제 1 홀로그램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토디텍터를 지나기전, 제 2 홀로그램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토디텍터를 지난 위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5분할 포트디텍터는 2분할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0차 회절빔을 PD1, PD2, PD3로 검지하여, 제 1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빔은 그 단면이 PD2와 PD3의 경계면에 접하여 PD3의 위치에, 제 2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빔은 그 단면이 PD1과 PD2의 경계면에 접하여 PD2상에 있도록 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 및 광정보 신호로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5분할 포트디텍터는 2분할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1차 및 -1차 회절빔을 가장자리에 위치한 2개의 PD인 PD4와 PD5에 집속되도록 하여 트래킹 에러 신호로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21)와, 상기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발산하는 빔을 3개로 나누는 격자(22)와, 상기 격자(22)에 의해 3개로 나누어져 발산하는 3개의 빔을 광디스크 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24)의 순으로 빔이 광디스크에 입사되고,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빔이 대물렌즈(24)를 통과한 후 2분할 홀로그램(23)에 의해 3개의 빔이 각각 5분할 포트디텍터(25) 상에 집속되도록 광학계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로그램(23)은 제 7 도 및 제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홀로그램(H1, H2)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홀로그램(H1, H2)의 참조광의 위치는 모두 레이저 다이오드(21)의 발광점이 되며, 제 2 홀로그램(H2)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트디텍터(25)를 지난 위치인 Q2(제 10 도)에, 제 1 홀로그램(H1)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토디텍터(25)를 지나기 전 Q1(제 10 도)에 위치하도록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2l)의 발광점을 향하여 집속되는 빔이 제 2 홀로그램(H2)에 입사되면, 레이저 빔은 5분할 포트디텍터(25) 중에서 PD2를 지나 Q2에 집속되고, 제 1 홀로그램(H1)에 입사되는 빔은 PD3을 지나기전 즉, 홀로그램(23)과 5분할 포토디텍터(25)의 사이인 Q1에서 집속되도록 한다. 동시에 두 홀로그램(H1)(H2)에 의해 집속되는 레이저 빔이 45분할 포토디텍터(25)에 의해 잘려진 단면이 제 1 홀로그램(H1)에 의한 레이저 빔은 PD2와 PD3의 경계면에 접하여 PD3 위치에 (제 8 도의 B1), 제 2 홀로그램(H2)에 의한 레이저 빔은 PD1와 PD2의 경계면에 접하여 PD2상(제 8 도의 B2)에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발산하는 레이저 빔은 트래킹 에러생성용 회절격자(22)에 의해 3개의 빔(0차, 11차,-1차 회절빔)으로 나누어지고, 이 3개의 빔은 홀로그램(3)을 통과한 후, 대물렌즈(24)에 의해 광디스크 상에 집속되는데 0차 회절빔이 포커스 에러 및 광디스크 정보신호검출에 사용되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트래킹 에러 검지용으로 사용된다. 집속된 3개의 빔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대물렌즈(24)를 통과한 후, 2분할 홀로그램(23)에 입사된다. 이와 같이 2분할 홀로그램(23)에 입사된 빔은 회절되어 0차 회절빔은 PD1. PD2, PD3 상에 그리고, 1차 및 -1차 회절빔은 각각 PD4, PD5에 집속된다. 상기 2분할 홀로그램(23)에 집속되는 빔은 제 2 홀로그램(H2)에 의해 5분할 포토디텍터(25)를 지나 Q2점에, 제 1 홀로그램(H1)에 의해 5분할 포토디텍터(25)를 지나기전 Q1점에 각각 회절, 집속되고, 5분할 포토디텍터(25)에 의해 잘려진 단면이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홀로그램(H1)에 의한 레이저 빔은 PD2와 PD3의 경계면에 접하여 PD3 위치에 (제 8 도의 B1), 제 2 홀로그램(H2)에 의한 레이저 빔은 P1과 P2의 경계면에 접하여 PD2상(제 8 도의 B2)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와 대물렌즈(24) 간의 간격이 정확할 경우(포커스 에러는 발생치 않음)에는 제 9 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2가 검지하는 신호와 PD1+PD3가 검지하는 신호가 같게 되고, 디스크와 대물렌즈(24)간의 간격이 가까워질 경우에는 홀로그램 H1과 H2에 의해 회절 접속되는 Q1, Q2의 집속점이 멀어져 제 9 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2상에 집속되는 빔의 크기가 증가하여 PD1 영역에 까지 빔이 걸치게 되고, PD3상에 집속되는 빔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어 PD2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와 대물렌즈(24) 간의 간격이 멀어질 경우에는제 9 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포커스 에러 신호(FES) =(S2) -(S1+S3)
(여기서, S1, S2, S3는 포토디텍터 PD1, PD2, PD3의 신호)
와 같이 신호 체계를 구성하면,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FES=0이 되고, 광디스크와 대물렌즈(24)가 가까워져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는 FES<0이 되며, 광디스크와 대물렌즈(24)가 멀어져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는 FES>0이 되므로 FES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actuator)(26)로 대물렌즈(24)를 상하로 움직여 줌으로써 포커스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트래킹 에러 신호와 광정보 신호는
트래킹 에러 신호(TES)=S4-S5
(여기서 S4, S5는 포토디텍터 PD4, PD5의 신호)
광정보신호=S1+S2+S3
와 같이 하여, TES>0인지 TES<0 인지에 따라 주빔(0차 회절빔)이 트랙을 제대로 따라가는 지를 알 수있다. 이와 같은 신호에 따라 포커스 및 트래킹 에러를 보정함으로써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광정보선호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1)는 동작 중에 주변온도 등에 의해 파장이 변하게 되는데 파장이 변할 경우에는 회절소자(격자 및 홀로그램)에 의한 회절각도가 변하여 마치 포커스 에러 및 트래킹 에러가 발생한 듯한 에러를 유발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포커스 에러 및 트래킹 에러 검지 기술을 적용하면, 파장이 780nm일 때 홀로그램(23)에 의해 집속되는 레이저 빔의 위치는 제 8 도의 (1),770nm일 때는 제 8 도의 (2), 그리고 780nm일 때는 제 8 도의 (3)의 위치로 회절 집속빔이 X축을 따라 이동되어,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1)의 파장이 변하더라도 FES 신호가 0인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장 변화에 따른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는, 2분할 홀로그램 및 한쪽 방향으로 배열된 5분할 포토디텍터를 사용하여 광픽업을 구성함으로써 광픽업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한 생산성 저하 및 동작중이나 조립시에는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변화 문제를 해결하는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산하는 빔을 0차, +1차, -1차의 3개의 회절빔으로 나누는 격자와; 상기 격자에 의하여 나누어진 3개의 빔을 광디스크상으로 집속시키고, 상기 집속된 광이 광디스크상으로 입사된 후, 반사되어 나온 빔을 다시 통과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를 통과한 반사빔을 집속시키는 제 1, 제 2 홀로그램 및; 상기 제 1, 제 2 홀로그램에서 집속된 광의 세기를 검지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으로 5분할 되어 5개의 PD가 PD4, PD1, PD2, PD3, PD5의 순으로 일렬로 배열된 5분할 포토디텍터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제 2 홀로그램의 참조광의 위치는 공히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점이고, 제1 홀로그램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토디텍터를 지나기전, 제 2 홀로그램의 물체광의 위치는 5분할 포트디텍터를 지난 위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분할 포트디텍터는 2분할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0차 회절빔을 PD1, PD2, PD3로 검지하며, 제 1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빔은 그 단면이 PD2와 PD3로 검지하며, 제 1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빔은 그 단면이 PD2와 PD3의 경계면에 접하여 PD3의 위치에, 제 2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빔은 그 단면이 PD1과 PD2의 경계면에 접하여 PD2상에 있도록 하여, 포커스 에러 보정용 신호 및 광정보신호로 이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분할 포토디텍터를 2분할 홀로그램에 의해 집속된 +1차 및 -1차 회절빔을 가장자리에 위치한 2개의 PD인 PD4와 PD5에 집속되도록 하여, 트래킹 에러 보정용 신호로 이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에러 보정용 신호는 FES(Focus Error Signal) =(S2) -(S1+S3) 이고, 광정보신호는 S1+S2+S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단, S1; PD1의 신호, S2; PD2의 신호, S3:PD3의 신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에러 보정용 신호는 TES(Tracking Error Signal)=S4-S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단,S4;PD4의 신호, S5 : PD5의 신호)
KR1019940007392A 1994-04-08 1994-04-08 광픽업장치 KR97001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392A KR970010940B1 (ko) 1994-04-08 1994-04-08 광픽업장치
EP95302304A EP0676750A3 (en) 1994-04-08 1995-04-06 Optical transducer system.
US08/418,511 US5594712A (en) 1994-04-08 1995-04-07 Optical pickup system with five longitudinal splitted detection areas to prevent information reproducing error by wavelength variations
JP7107808A JPH0855361A (ja) 1994-04-08 1995-04-10 光ピックアッ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392A KR970010940B1 (ko) 1994-04-08 1994-04-08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64A KR950030064A (ko) 1995-11-24
KR970010940B1 true KR970010940B1 (ko) 1997-07-02

Family

ID=193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392A KR970010940B1 (ko) 1994-04-08 1994-04-08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94712A (ko)
EP (1) EP0676750A3 (ko)
JP (1) JPH0855361A (ko)
KR (1) KR970010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461B2 (en) 2004-11-09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end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471A (en) * 1995-06-12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O1997023871A1 (en) * 1995-12-21 1997-07-03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canning device
US6144470A (en) * 1997-02-24 2000-11-07 O. R. Technology, Inc. Holographic optical element with castellated aperture
JP3569107B2 (ja) * 1997-05-15 2004-09-22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光学ヘッド装置
CN1122988C (zh) * 1997-08-12 2003-10-01 株式会社三协精机制作所 光传感头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375514B1 (ko) * 1997-10-20 2003-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픽업장치
EP1017044A1 (en) * 1998-12-29 2000-07-05 STMicroelectronics S.r.l. Control device for a focus system of a CD driver using the Fuzzy logic
EP1107242A3 (en) * 1999-12-10 2001-09-2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pick-up
JP2002288856A (ja) * 2001-03-27 2002-10-04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809A (ja) * 1985-06-07 198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焦点誤差検出装置
US5315574A (en) * 1988-10-28 1994-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with polarized beam hologram
JPH0778904B2 (ja) * 1989-01-27 1995-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0390445A3 (en) * 1989-03-27 1992-0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pickup head
US5283690A (en) * 1989-04-04 1994-02-01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iffraction grating element
KR940001999B1 (ko) * 1989-06-06 1994-03-12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광 픽업장치
JPH0354734A (ja) * 1989-07-21 1991-03-08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930007024B1 (ko) * 1991-05-13 199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EP0583036B1 (en) * 1992-08-12 1998-07-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 surface
KR950013702B1 (ko) * 1993-07-15 1995-11-13 엘지전자주식회사 광자기 디스크의 광픽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461B2 (en) 2004-11-09 2008-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end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6750A3 (en) 1996-10-16
EP0676750A2 (en) 1995-10-11
KR950030064A (ko) 1995-11-24
US5594712A (en) 1997-01-14
JPH0855361A (ja) 199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865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grating assembly therefor
JP2651419B2 (ja) 半導体レーザの光学ヘッド組立体
US5111449A (en) Optical pick-up device using diffraction grating element having two sub-regions
JP2683918B2 (ja) 情報面を光学的に走査する装置
KR970010940B1 (ko) 광픽업장치
JPH07129980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0440634A (ja)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
KR20030019377A (ko) 광 레코딩 매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기 위한 장치
US5018804A (en) Laser pick-up
JP200210977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7064900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and optical device and composite optical element
US6167017A (en) Optical head assembly having means for detecting tracking errors based on astigmatisms generated by returning beams
EP0949610A2 (en) Optical pickup device, error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therefor
CA2043387C (en) Optical head device
KR950005033B1 (ko) 광픽업 장치
JPH0627490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011785A (ja) 光学ヘッド
JP2005302253A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オフセット補償用光検出領域が形成され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202869A (en) Optical head device including diffraction grating
JP3303250B2 (ja) 変位測定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2638778B2 (ja) 光ヘツド装置
JP2595937B2 (ja) 光ヘツド装置
JPH07105059B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JP3658092B2 (ja)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の組立調整方法
JP3247121B2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