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33B1 -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 Google Patents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33B1
KR910001033B1 KR1019880000979A KR880000979A KR910001033B1 KR 910001033 B1 KR910001033 B1 KR 910001033B1 KR 1019880000979 A KR1019880000979 A KR 1019880000979A KR 880000979 A KR880000979 A KR 880000979A KR 910001033 B1 KR910001033 B1 KR 91000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halogen
ester
compound
m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36A (ko
Inventor
후사요시 후지이
겐지 히지가따
마고또 이이야마
도시오 나까네
유끼히꼬 가네야마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아사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아사노 다께시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7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58Metal or metal compound in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본 발명은 전송 선로의 피복제에 관한 것이고, 그 피복제는 얇게 코우팅 할수있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한 것이며, 본 발명은 특히 선로의 두께 감소로 선로에 드는 공간을 줄이는데 유용하고 내열성, 난연성, 역학성(특히 내휨성)을 지닌 절연 전송 선로의 피복제와 그로 입힌 전송 선로(전선)에 관한 것이다.
전송 선로는 두가지 역할을 하는데 그중 하나는 에너지 전송이고 다른 하나는 정보 전송이다. 전송 과정에서 그 전송 선로로 전송함에 있어서 에너지 손실이 적고 확실한 정보신호를 전송해 주기를 요한다.
현재 정보의 고집적화 경향에 따라 정보 전송의 신뢰성을 점차 요하는 한편, 그런 고집적화 경향으로 전송 선로의 용도 조건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즉, 그런 고집적화가 전송 선로에서의 정보 혼선을 일으켜 정보량 감소를 초래한다. 우주 로켓트, 항공기, 자동차, 전기장비 및 공간을 제한하는 정보 관련업계 분야에서 이런 경향이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마찬가지로 에너지원과 전원을 근접 제어하기 위하여 정보 집적화가 열원과 진동원 인접 영역에서 진행하고 있다. 그리하여 고열, 연소 및 대기 진동으로 전송 선로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전송 선로들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환경 조건의 변화의 결과로 고효율의 전송 선로를 더욱더 필요로 하고 있다. 즉, 공간 영역을 적게들게 하기 위하여 전송 선로는 다음 조건을 요하는데 ①가능한한 얇아야 하고 ② 유연성 및 굴곡성이 있어야 하고 ③내열성 및 난연성도 있어야 하고 ④피복제 벗김으로 단락회로 방지를 위해 내마모성이 있어야 하며 ⑤전기 양도성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전송 선로의 분야에 있어서의 기준은 전도성이었고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닐론등을 피복제로 사용하였다. 피복제로서 특히 난연성 및 역학 강성이 있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널리 사용하였다.
그러나, 환경 변화에 인하여 이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도선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전도체를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특히 피복제 두께에 따른다. 피복제의 두께 감소로 보호특성, 내열성,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그런 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교하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의 내열성을 향상시키지만 이것은 피복제로 코우팅하는 공정과 연관하여 가교공정을 포함시킨다. 따라서 제작에 있어서는 피복제로 얇게 코우팅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비현실적이다. 더우기 그것은 원래 가교로 인하여 신장성의 저하 및 유연성이 떨어진다.
닐론 및 그와 유사한 것은 기계적 성질이 좋고 그들에서 수지 그 자체가 내열성을 지녔지만 그들은 내습성이 부족하여 얇게 코우팅되어 있을때는 물리적 성질이 상당히 떨어져 이들 수지를 신뢰할 수 없다. 폴리페닐렌 슐파이드 및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등의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들에 있어서는 내열성에 대하여 좋지만 유연성이 좋지 아니하다. 따라서 이들 플라스틱들은 여러가지 성질이 균일하게 있지 아니할뿐더러 경제적으로도 어렵다.
전선 피복용 수지 혼합물의 분야에 있어서 기계적 강성, 내열성 및 전기 특성이 뛰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등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들을 지금까지 사용하여 왔었다. 내휨성 및 충격 방지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폴리올레핀(Polyolefin)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 혹은 특별 다식편 폴리올레핀 수지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섞은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자는 제안이 나왔었다.
그러나 전선 피복용으로 제안한 이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보호특성 및 내마모성에 비례하여 난연성 및 코우팅 두께 감소등의 여러가지 성질이 균등하지 못하다는 것을 인지하여 왔었다.
코우팅 두께 감소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5-100μ 두께로 하는 것이 공지이었는데 이것은 모터 권선에 대하여 얇게 코우팅하자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직접적으로 저전압 전송 선로와 같은 응용에는 사용할 수 없고 여기에서는 난연성과 내마모성과 같은 보호특성이 중요하다.
공지 재료를 사용하여 난연성, 일반특성 및 기계적 특성(특히 유연성)이 뛰어난 전송 선로를 얻을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연구를 했던 결과로 얇게 코우팅할 수 있고 내열성, 난연성, 기계적 성질 및 가공성등을 골고루 구비한 피복제로 쓰이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를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다음 각각의 액화 중합 반응에 의하여 생산되는 할로겐 함유 난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송 선로용 피복제 및, 그 피복제로 입힌 전송 선로를 제공한다.
(A) 주로 방향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B) 주로 지방족 글리콜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C) 할로겐 함유 에스테르 형성 화합물.
본 발명에 쓰이는 전송 선로(전선)을 부분적으로 제한하지 않지만 유연성 및 신뢰성이 있다는 점에서 전기줄에 사용한다. 대표적인 전기줄의 형태에 있어서는 얇게 코우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전도체 표면을 매끄럽게 하도록 제작 공정중에서 압축 공정을 하지 아니하였고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전기줄 사이의 간격을 좁게한 것이다. 즉, 압축된 전기줄이 좋다. 특히 순환 압축된 전기줄이 도선의 피복 공정에서 얇게 피복하도록 정확하게 조종하는 면에서 좋다.
전도체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구리, 얇은 동판, 알루미늄 합금 또는 그와 같은 것들이다. 이들 재료들은 전도체 용도에 따라 선택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전송 선로의 전도체용 피복 절연체의 두께를 가공성 및 사용 피복제의 피복 특성으로 제한하기가 쉽지만 피복 절연체가 얇아야 한다. 종래에는 피복제 두께를 전기적,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특히 얇게 코우팅한 곳의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0.9-0.6
Figure kpo00001
정도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코우팅 두께를 0.4
Figure kpo00002
, 혹은 0.3
Figure kpo00003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전송 선로용 피복 절연체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녀야 한다.
(a) 발화후에 불꽃이 30초, 좋게는 15초 이내에 꺼질 정도의 난연성, (b) 굽힘성 및 유연성, 즉 실온에서 100
Figure kpo00004
이상, 좋게는 125
Figure kpo00005
정도의 고 신장성, (c) 진동원 인접 위치에서 전송 선로가 쓰이는 경우 피복제 끼리의 마찰과, 인접 성분들 끼리의 마찰로 인한 단락회로방지 필요성면에서 최소의 내마모성이 JISC 3406에 따른 305
Figure kpo00006
이상인 내마모성.
본 발명자들은 그런 성능 특성을 지닌 피복제를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해서 상술한 얇게 코우팅하는 것이 실현 가능성이 있고 할로겐 함유 난연제 화합물이 그속에서 공중합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상기 특성이 골고루있는 피복제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들중 몇가지가 편물용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제작하는데 쓰여지지만 본 발명에서처럼 얇게 코우팅된 저전압 전송 선로들을 제작하는 데에는 유용한 피복제로서 그런 코폴리머가 사용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었다.
상술한 필라멘트의 경우와는 달리 내열성, 난연성, 내마모성 및 유연성등의 성질을 지닌 피복제를 제공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 이 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특성을 고르게 배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보통은 몇가지 성질을 개선하면 다른 성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 물질은 코폴리머로서 폴리머분자들 안으로 배합되고 화합물 컨주게이션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좋은 성질의 밸런스가 효과적이다. 할로겐 화합물을 코폴리머로서 배합하는 것은 난연제를 용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고 부수적인 효과로서 이후에 서술하게 될 제작 공정에서 도선간의 차폐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쓰이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를 지금 상세히 서술하여 나갈 것이다.
본 발명의 피복제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의 성분을 언급하면 성분(A)는 주로 방향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로 구성한다. 그런 물질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또한 부수적인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카복실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또는 그들의 유도체 등의 디카복실산들; 아디핀(adipic)산, 세바신(sebacic)산, 트리멜티틴산, 호박산(succinic acid), 또는 그들의 유도체등의 지방족 산들; 히드록시벤존산, 히드록시나프톤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등의 방향족 히드록시 카복실산들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의 성분은 주로 지방족 디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로 이루어저 있다. 그런 물질의 전형적인 예로는 저분자량 글리콜 C2-C8이다. 1,4-부탄디올, 1,6-핵산 디올, 1,8-옥탄 디올들은 그들만으로 언급된다. 이들 저분자량 글리콜외에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글리콜등의 고분자량 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글리콜,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글리콜 또는 그와 같은 것들을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굽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술한 저분자량 글리콜과 함께 그런 고분자량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권선용 피복제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신장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성분(B)의 부수적인 성분으로 비스펜놀 A 및 4,4'-히드록시비펜닐등의 방향족 알콜들; 비스펜놀 A의 에틸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 비스펜놀 A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등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콜들: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드리톨 등의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들,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전선용 피복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이고 그 코폴리머에서 할로겐 함유 에스테르 형성 화합물을 성분(C)로서 단량체 형태로 사용하며 그것에 의하여 할로겐이 코폴리머의 분자 구조안으로 조합된다. 본 목적에 유용한 할로겐 함유 화합물들의 예들을 하기에 설명한다. 할로겐에 대하여 브롬이 특히 좋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여기에서,
Figure kpo00015
코폴리머로서 배합하는데 좋은 할로겐 화합물들은 일반식(1)-(7)로 표현된다. 할로겐이 브롬인 경우 일반식(1)에 해당하는 화합물이 예로는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A 및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실폰이고, 일반식(2)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이고, 일반식(3)에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A의 에틸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슐폰의 에틸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 및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슐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이고, 일반식(4)에 해당하는 화합물로는 테트라 브롬 히드로 퀴논이고, 일반식(5)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 브롬 히드로 퀴논의 에틸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이고, 일반식(6)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 브롬 테레프탈산이고 일반식(7)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A의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코폴리머 혼합물로서 배합용 할로겐 화합물의 분자량은 390이상이 좋다. 만약 분자량이 더 작다면 화합물을 산소 인자에서 개선시키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화합물은 그의 분자에서 방향족링중 적어도 1개를 가져야 하는 것이 좋다.
생산된 코폴리에스테르에서 할로겐 화합물의 비율은 코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단위(A+B+C)에 비례하여 0.5-20몰
Figure kpo00016
, 좋게는 1-15몰
Figure kpo00017
이도록 그런 할로겐 화합물을 첨가한다. 이것은 코폴리머 에스테르에서 할로겐 함유량이 1-30wt
Figure kpo00018
, 좋게는 2-25wt
Figure kpo00019
이고, 만약 비율이 0.5몰 이라하면 난연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그리고 20몰
Figure kpo00020
이상이라면 기계적 성질이 약간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의 준비를 위한 단량체의 비율은 성분(C)으로서 할로겐 화합물의 에스테르 형성 작용기는 알콜인 경우에 성분(B)+(C)의 비율이 성분(A)의 100몰에 비례하여 90-200몰, 좋게는 95-100몰일 정도이어야 한다. 만약 성분(C)으로서 할로겐 화합물의 에스테르 형성 작용기가 카복실산 체계이라면 성분(B)의 비율은 성분(A)+(C)의 100몰에 비례하여 90-200몰, 좋게는 95-150몰 이어야 한다. 만약 용도에 따라 더 높은 산소 지수를 지닌 피복제를 요구한다면, 성분(C)의 비율을 적당하게 조정한다. 본 발명에 쓰이게되는 코폴리머는 개면 중축합 및 용융적하 중축합등의 공지의 액화 중합기술에 의하여 준비될 수 있다. 원래 점섬 0.5-3.0을 지닌 코폴리머는 본 발명의 목적에 유용하다.
고 중합된 코폴리머를 얻기 위하여 열처리 및 감압 또는 불활성 가스하에서 고체 상태 중합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얇게 코우팅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피복제로 사용되는 수지 화합물은 용융될때 상당히 높은 점성을 가진다. 그러나 점성이 너무 높다면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피복제는 어느 특정한 첨가제를 첨가하지 아니하고도 뛰어난 성능의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성능 특성을 더 개선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및 자외광선 흡수제와 같은 안정제, 정전 방지제, 난연제, 난연촉진제, 안료 및 염료와 같은 색조제; 윤활제, 평화제, 결정가속제(핵형성제), 무기재료를 마음대로 사용할수 있다. 특히 난연제를 언급하면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및 안티모니 하디드(hadide)와 같은 안티모니 화합물들, 아연 및 비스무트와 같은 금속화합물들, 마그네슘 히드록사이드 및 아스베스토들과 같은 점토형 실리케이트들이 그 자체로 쓸모가 있다.
쓸모있는 무기재료들 중에는 유리섬유, 세라믹 섬유, 붕소 섬유, 티탄나트륨, 아스베스토와 같은 여러가지 무기 섬유들; 칼슘 카보네이트, 고분산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활석, 운모, 유리박편, 유리구슬, 유리가루, 수정가루, 규사, 웰라스토니트(wollastonite), 카본블랙, 황산바륨, 프라스터오브 파리스(plaster of paris),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나, 질화붕소와 같은 분말 과립 재료들, 층상무기 화합물들, 위스커(whis ker)들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이다.
그런 무기 충전재료들을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복제의 용융 압축 코우팅 성능, 평활성, 유연성 및 그와 유사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 두가지 무기 중합재료를 혼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중합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들, 폴리아미드들, 폴리올레핀들(polyolefin) 및 그의 코폴리머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들, 폴리카보네이트들, 폴리우레탄들, 고무와 같은 중합재료이다. 부틸 고무등의 그 고무와 같은 중합 재료는 ABS, 폴리아크릴레이트 들로 이루어진 다상 코폴리머들, 열가소성 세그멘트형 코폴리에스테르(그래프트(graft) 코폴리머들을 포함) 및 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전송 선로를 공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복제가 용융 압출되기 때문에 전도체의 선로에다 피복제를 입힌다. 두가지 제작방법이 있는데, 그중 한가지 방법에는 전도체 런(run)방향과 피복제의 압축 방향은 공선적이고, 다른 방법에서는 일정한 각 위치를 지닌 크로스 헤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송 선로를 제작하는데 상기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압출 성형 공정에 있어서, 나사형 압출 성형기를 상용할 수 있고, 그것으로 피복제의 흐름율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X선 및 적외선등의 공지 방법으로 피복제의 두께를 조사해 보면 피복제의 두께는 불규칙적이다.
피복제 두께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 피복제의 편심율을 동심율 ec항으로 나타낸다. 동심율치 ec가 크면 클수록 더 좋다. 그 치가 65
Figure kpo00021
이상 혹은 70
Figure kpo00022
이상이면 좋다.
Figure kpo00023
편심을 검출기로 두께의 불규칙성을 검출하고 나서 자동 또는 수동작동 스크루형 압출 성형기의 다이와 그 다이의 중심에 있는 전도체와의 틈을 조정하거나, 혹은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여 피복제의 흐름을 조정함으로써 두께의 불규칙성을 제어할 수 있다.
비편심 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두께의 불규칙성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작공정에 있어서, 만약 그렇게 된다면 좋은 기계적 강성을 얻기 위하여 도선에 피복제를 입히고 나서 도선을 가열부에 넣는다. 가열부의 온도는 피복제의 용융점보다 낮고 그의 글라스 천이 점보다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 쓰이는 피복제는 코폴리머로서 배합된 난연성 화합물을 지녀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혼합물과 함께 알아내기 때문에 고온에서 녹는 난연제 또는 가소제가 있음직하다. 따라서 제작공정에서 도선간의 차폐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이것은 더 고속으로 도선 코우팅을 허락하고 생산 단가를 낮추게 한다.
본 발명의 도선 피복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피복제는 내열제 및 난연제이다. 따라서 열원, 수송장비 엔진들 또는 전기장치의 열발생장치 가까이 있는 곳에 놓고 사용하여도 좋다. 이것은 또한 빌딩에서 방화용 플레늄(plenum) 케이블로 사용하면 좋다.
(2) 전기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도선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피복제는 유연성을 지녔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선로를 우주 로켓트, 항공기, 자동차, 전기장비, 컴퓨터 및 정보의 고집적화를 요하고 공간을 제한하는 정보 관련 장비등의 여러기종의 수송장비의 도선용으로 사용하면 좋다.
한가닥 전기줄 뿐만아니라 다수의 도선이 집적적으로 어셈블리되는 도선 하니스(harness)를 설치함에 있어서 공간을 적게들이게 할 수 있다. 도선간의 마찰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피복제는 유연성 및, 신장성 및 내마모성을 지녔기 때문에 도선간의 접촉 또는 도선과 엔진 진동 또는 다른 것에 의하여 초래되는 다른 성분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단락회로 형성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4) 제작 공정에서 도선간의 차폐를 일으킬 가능성이 약간 있다. 이것은 더욱 빠르게 피복 공정을 하게 하고 생산단가를 낮추게 한다.
현저한 이들 특성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선로를 특히 저전압 전송 선로로 사용할 수 있고 수송 장비, 전기. 전자장비, 정보장비, 기계장비와 같은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들]
다음의 예들에 관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할 것이다. 코폴리머 P,Q 및 R을 다른 방법으로 각각 준비한다.
[준비예 1(코폴리머 P의 준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증류관을 지닌 반응기 안에 소량의 촉매(테트라부톡시 티타늄을 중량으로 0.7분의 1)와 함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중량으로 970분의 1, 부탄 디올을 중량으로 513분의 1, 테트라 브롬 비스펜놀 A의 에틸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을 중량으로 158분의 1정도 담아서 그 혼합물을 170℃로 30분 동안 질소 가스 흐름하에서 교반했다. 온도가 차츰 올라가서 그 혼합물을 200-270℃ 온도로 가열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리고 나서 질소를 불연속적으로 들여온 후에 반응기의 압력이 15분 후에 0.5
Figure kpo00024
Hg로 되도록 반응기의 압력을 점차적으로 떨어뜨렸다. 이 압력에서 4시간 동안 270℃로 교반을 행하였다. 그리하여 폴리머의 점성이 1.1로 되고 Br의 함유량이 6.5wt
Figure kpo00025
되었다.
[준비예 2(코폴리머 Q의 준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증류관을 지닌 반응기 안에 소량의 촉매(테트라부톡시 티타늄을 중량으로 0.7분의 1)와 함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중량으로 931분의 1, 디메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중량으로 39분의 1, 1, 4-부탄디올을 중량으로 513분의 1, 테트라브롬 비스펜놀 술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2몰 부가물을 중량으로 171분의 1을 담아서 그 혼합물을 170℃로 30분 동안 질소가스 흐름하에서 교반하였다. 온도를 차츰 올려서 그 혼합물을 200-270℃ 온도로 가열하면서 3시간 동안 젓었다. 그리고 나서 질소를 불연속적으로 들여온 후에 반응기의 압력이 15분 후에 0.5
Figure kpo00026
Hg로 되도록 반응기의 압력을 점차적으로 떨어뜨렸다. 이 압력에서 3.5시간 동안 270℃로 교반을 행하였다. 그리하여 폴리머의 점성이 1.0으로 되고 Br의 함유량이 6.3wt
Figure kpo00027
되었다.
[준비예 3(코폴리머 R의 준비)]
교반기, 질소도입관 및 증류관이 있는 반응기 안에 소량의 촉매(테트라부톡시 티타늄을 중량으로 0.7분의 1)와 함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중량으로 900분의 1, 1, 4-부탄디올을 중량으로 50분의 1, 평균 분자량이 400인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글리콜을 중량으로 50분의 1, 테트라브롬 비스펜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을 중량으로 158분의 1을 담아서 그 혼합물을 180℃로 30분동안 질소 가스 흐름하에서 교반했다. 온도를 차츰 올려서 그 혼합물을 200-270℃ 온도로 가열하면서 3시간 동안 젓었다. 그리고 나서 질소를 난연속적으로 들여온 후에 반응기의 압력이 15분 후에 0.5
Figure kpo00028
Hg로 되도록 반응기의 압력을 점차적으로 떨어뜨렸다. 이 압력에서 6시간 동안 270℃로 교반을 행하였다. 그리하여 점성이 1.0으로 되고 Br의 함유량이 6.5wt
Figure kpo00029
되었다.
[예 1]
준비예 1에서 생산한 코폴리머를 종래의 방법으로 성형기에 주입하여 시험 샘플을 만들었다. ASTM D 638로 인장강도(㎏/㎠) 및 신장율(
Figure kpo00030
)을 측정했다. ASTM D 149단기간의 방법으로 절연파괴를 측정했고 1KHZ에서 ASTM D 150으로 유전율을 측정했다.
UL-94V로 연소성을 측정했고 테스트 결과 불꽃이 30초 이내에 사라진 경우 샘플이 0등급이었고 30초 이내에 사라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X등급이었다. JIS K 7201로 산소율을 측정했다. 열을 가했을때 성형부의 표면 배열에 대하여 대기중에서 120℃로 24시간동안 성형부를 가열하여 테스트했다. 성형부상에 녹거나(○) 혹은 녹지 아니한 것을 눈으로 검사했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anabe Seisakusho 단일 나사형 성형 압출기로 크로스헤드들(중심에 대해 편심되지 않은 헤드)을 90˚로 하여 두께 0.3 및 0.4
Figure kpo00031
로 되어 있고 외경이 1.9
Figure kpo00032
정도인 압축된 전기줄 둘레의 구리상에 코폴리머 P를 입힌다. 다이(die)와 나사와의 사이는 기어 펌프의 방출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영역이며, 그로부터 방출 압력을 자동으로 조정했다.
전송 선로들의 피복제의 평균 동심율치는 72
Figure kpo00033
와 77
Figure kpo00034
이다.
얻은 전송 선로에 대하여 1350g의 무게와 JIS-C3406으로 20℃ 및 60℃에서 내마모성을 측정했다. 최소 마모치가 305
Figure kpo00035
이상이었다면 샘플의 등급은 ○이고 305
Figure kpo00036
이하 이었다면 ×등급이다. △표시는 10개의 샘플들 중에서 3-7개의 샘플이 ○등급 이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예 2]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예 2의 코폴리머 Q로부터 샘플을 마련했고 그 폴리머 Q로 입힌 전송 선로들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예 3]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예 3의 코폴리머 R로부터 샘플을 마련했고 그 코폴리머 R로 입힌 전송 선로들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1 및 2]
난연제로 디카아브롬 디펜닐 에테르와 함께 PBT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난연제 함유 PBT(UL94V-0)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을 가지고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연성이 없었다. 난연제 함유 PBT를 가지고 고온에서 가열하는 공정에서 난연제가 녹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본 발명의 피복제의 품질을 떨어지게 하였다.
[예 3]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공간 절약을 하기 위하여 얇게 코우팅할 목적으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조건하에서 진동이 고온에서 일어난다.
[표 1]
Figure kpo00037
[예 4]
피복 공정 단계에서 기어 펌프로 방출 압력을 조정하지 아니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우팅 두께를 설정한 0.3
Figure kpo00038
및 0.4
Figure kpo00039
정도 코폴리머로 입혔다. 얻은 피복제의 평균 동심율치는 각 66
Figure kpo00040
및 70
Figure kpo00041
이었다.

Claims (4)

  1. (A) 방향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B) 주로 지방족 글리콜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C) 할로겐 함유 에스테르 형성 화합물, 상기 각항을 액화 종합하여 얻은 할로겐 함유 난연성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가 0.5 내지 20mol
    Figure kpo00042
    의 할로겐을 함유하면 여기서 성분(C)로서 할로겐 화합물의 에스테르 형성작동기가 알콜인 경우에 성분(B)와 (C)의 비율은 성분(A)의 100몰에 비례하여 90-200몰이고 성분(C)로서 할로겐 화합물의 에스테르 형성작동기가 카르복실산 체계라면 성분(B)의 비율은 성분(A)+(C)의 100몰에 비례하여 90-200몰로 구성된 선로상에 피복층 및 전기도선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2. 제1항에 있어서, 피복층의 두께가 0.4
    Figure kpo00043
    또는 그 이하인 전송 선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형성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이 390 또는 그 이상인 전송 선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이 브롬인 전송 선로.
KR1019880000979A 1987-02-23 1988-02-03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KR910001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613 1987-02-23
JP?62-39613 1987-02-23
JP62039613A JPS63207003A (ja) 1987-02-23 1987-02-23 電気伝送路用被覆材及び電気伝送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36A KR880010436A (ko) 1988-10-08
KR910001033B1 true KR910001033B1 (ko) 1991-02-19

Family

ID=1255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979A KR910001033B1 (ko) 1987-02-23 1988-02-03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13964A (ko)
EP (1) EP0284201B1 (ko)
JP (1) JPS63207003A (ko)
KR (1) KR910001033B1 (ko)
AU (1) AU603428B2 (ko)
DE (1) DE38731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0117B2 (en) * 2000-09-05 2004-10-05 Donaldson Company, Inc. Filtration arrangement utilizing pleated construction and method
JP4623817B2 (ja) * 2000-11-01 2011-02-02 大和製罐株式会社 電線被覆用ポリエステル樹脂材料
JP3870880B2 (ja) * 2002-09-04 2007-01-24 住友電装株式会社 導線と圧接端子との接続構造
US20070235212A1 (en) * 2006-04-05 2007-10-11 Waldorf Heath A Wiring harness
US7737361B2 (en) * 2008-02-25 2010-06-15 Corning Cable Systems Llc Sealant gel for a telecommunication enclosure
US8143523B2 (en) * 2008-10-21 2012-03-27 Baker Hughes Incorporated Downhole cable with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US8680397B2 (en) * 2008-11-03 2014-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ttrition-resistant high temperature insulated wires and methods for the mak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7964A (en) * 1958-05-21 1962-06-05 Olin Mathieson Linear copolyesters of terephthalic and chloroterephthalic acids
US3338743A (en) * 1963-10-08 1967-08-29 Schenectady Chemical Electrical conductor coated with a blend of a polyester and an aminotriazine-aldehyde resin
US3356631A (en) * 1964-02-20 1967-12-05 Eastman Kodak Co Chlorinated polyesters
US3697625A (en) * 1970-11-23 1972-10-10 Union Carbide Corp Flame-retardant polyesters and thermosetting compositions based thereon
JPS496088A (ko) * 1972-05-09 1974-01-19
US4278785A (en) * 1979-06-04 1981-07-14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Polyester composition, process therefor and molded articles therefrom
US4283523A (en) * 1979-06-04 1981-08-11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Fluoro-alkyl ester-terminated linear aromatic polyester of enhanced hydrolytic stability
JPS5847052A (ja) * 1981-09-17 1983-03-18 Mitsubishi Chem Ind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592706A (ja) * 1982-06-28 1984-01-09 太陽工業株式会社 引き戸を有するエア−テント
JPS6155119A (ja) * 1984-08-24 1986-03-19 Kanebo Ltd 難燃性共重合ポリテトラメチレンテレフタレ−トの製造方法
EP0193043A1 (en) * 1985-02-25 1986-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ed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electrical performance
US4824723A (en) * 1986-06-02 1989-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sistant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JPH0623328B2 (ja) * 1987-03-09 1994-03-30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導線用被覆材
JPH0619927B2 (ja) * 1987-03-16 1994-03-1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被覆電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3128D1 (de) 1992-09-03
US4913964A (en) 1990-04-03
DE3873128T2 (de) 1992-12-03
JPS63207003A (ja) 1988-08-26
AU1205088A (en) 1988-08-25
EP0284201A1 (en) 1988-09-28
KR880010436A (ko) 1988-10-08
AU603428B2 (en) 1990-11-15
EP0284201B1 (en) 199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935A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and insulated wire, electrically insulated cable and heat-shrinkable tube each made with the resin
TWI724093B (zh) 熱塑性聚酯樹脂組成物及成形品
JP2010100724A (ja) ポリブチレンナ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ポリブチレンナ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
EP2440608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
KR910001033B1 (ko) 전송 선로 및 그의 피복제
US4954540A (en) Halogen-contained polyester resin composite and electric wire
US5021295A (en) Flame-retardant halogen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coated with the same
JP2624974B2 (ja) 電 線
US4987167A (en) Halogen-containing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US5034440A (en) Polyester composition-covered wire
US5021545A (en) Flame-retardant halogenated copolyester and electric wire coated with the same
JP2013049869A (ja) ポリブチレンナ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ポリブチレンナ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
KR910008744B1 (ko) 할로겐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전선
JPH0267355A (ja) ハロゲン含有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電線
US5043215A (en) Halogen-contained polyester resin composite and electric wire
KR920002449B1 (ko) 할로겐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과 피복된 전선
US4983714A (en) Halogen-containing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covered wire
KR910008745B1 (ko) 할로겐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전선
JPH04359814A (ja) 薄肉被覆電線
JPH03247648A (ja) ハロゲン含有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0290481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電線
JPH03258854A (ja) ハロゲン含有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