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33B1 - 고속 보트 - Google Patents

고속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33B1
KR910000633B1 KR1019860008547A KR860008547A KR910000633B1 KR 910000633 B1 KR910000633 B1 KR 910000633B1 KR 1019860008547 A KR1019860008547 A KR 1019860008547A KR 860008547 A KR860008547 A KR 860008547A KR 910000633 B1 KR910000633 B1 KR 91000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speed
boat
sliding
inclined portion
speed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17A (ko
Inventor
보댄 빌헤름
Original Assignee
딜러마인 리미티드
우베 퍼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딜러마인 리미티드, 우베 퍼츠 filed Critical 딜러마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4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the underpart of which being partly provided with channels or the like, e.g. catamaran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63B2001/20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divided by longitudinal chines

Landscapes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Paper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onfectionery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ewage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속 보트
제1도는 보트 선체의 측면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수중에 면한 저면과 슬라이딩 스키드에 여러형태의 용골면을 갖는 저면판의 측면도.
제3도는 용골 스키드에 있는 여러형태의 용골면을 갖는 보트 선체의 측면도.
제4도는 저면판의 저면도.
제5도는 펌프-제트 구동장치에 적합한 저면판의 저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보트선체의 사시도.
제9a도는 용골스키드의 배치상태를 보인 보트선체의 개략 저면도.
제9b도는 상부 구조 부분을 생략한 보트 선체의 여러 부분의 개략 단면도.
제9c도는 상부 구조 부분을 생략한 보트 선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저면판 5 : 선저면
6 : 슬라이딩 스키드 6a,6b,6c,6d : 슬라이딩 스탭
10 : 용골 스키드 11 : 용골스텝
17 : 넓은면 18 : 도수편
19 : 경사부 21 : 경사부
22 : 역경사부 23 : 후단연부
24 : 펌프-제트 구동장치 25 : 가이드바
26 : 홀수선
본 발명은 고속 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일특허 제31 36 715호에 공지된 고속보트에 동적 트림(Trim)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속 모우터 보트는 선측, 선수, 선미와 선저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구조의 선체로 구성되고, 수중으로 향하는 저면, 즉 선저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선저면에는 슬라이딩 스키드(Sliding skid)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수중으로 하향 연장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딩 스키드는 선체 중앙 표면의 양측에 수직으로 되게 배열되고 선저면의 선단부로부터 선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키드는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은 계단 형태로 되는 슬라이딩 스텝으로 구성되는 바, 슬라이딩 스텝은 수직 계단형 측벽과 이 계단형 측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설된 계단형 슬라이딩 면으로 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스텝은 선체 중앙의 평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선단부에서 상승되기 시작하여 평면상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만곡부를 형성하고 이어서 약간 상향 만곡되어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슬라이딩 스텝의 선단부는 외측에 있는 것이 약간 후방에 위치하여 선체 중앙에 인접한 슬라이딩 스텝의 선단부가 가장 앞으로 나오게 된다.
선체 저면의 선단 중앙에는 용골 스키드가 저면 하방으로 수직으로 되게 돌출되어 있는바, 이 용골 스키드는 양쪽으로 대칭되게 계단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선체 중앙면을 가로 지르는 선단 연부와 수직 측벽 및 수직 측벽에 직각으로 되는 슬라이딩 표면으로 구성된다. 중앙의 용골 스텝은 선수부분에서 시작되며 이 양측에는 용골 스텝들이 부설되어 선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용골 스텝은 전방에서 가까운 곡선으로 상승되기 시작하여 돌출된 평면을 갖는 스텝 표면으로 이러지는바, 이 스텝표면은 용골 스키드가 후미 바로 직전에 끝나는 저면까지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었다. 이 용골 스텝들은 중앙부의 것이 약간 높게 되도록 그 높이를 달리 하고 있고 슬라이딩 스키드의 슬라이딩 스텝들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었다.
보트 측벽과 선저면 또는 그 보다 약간 상하측의 저면 사이의 전이점에서는 도수편이 선체 측방과 전방으로 선수와 같은 형태로 되게 판상으로 돌출되었다. 이 도수편은 아아취형의 형태로 선수의 전방에 돌출되어 만곡되면서 보트 측벽으로 이어진다. 이 도수편의 저면은 선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도수편은 보트가 파도를 타고 달릴때 선체의 피칭 운동을 감소시킨다.
용골 스키드와 슬라이딩 스키드는 수중에 면하는 저면에 용골 스키드에 의하여 양쪽으로 분할된 2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바, 이 공기 통로는 선미측에서 합쳐진다. 이러한 공기 통로의 형태와 효과는 독일 특허 제20 59 08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더구나 영국 특허 제1 199 658호에는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 계단형 슬라이딩 스텝을 갖는 슬라이딩 스키드를 갖는 보트 선체가 공개되어 있는바 이러한 보트 선체에서는 선저면이 측면에서 보았을때 선수로부터 시작하여 선미를 향해 쐐기 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홀수선에 평행한 선미에 연장된 평면상의 저면으로 이어져 있다. 슬라이딩 스텝은 독일 특허 제31 36 715호에서와 같이 선단부에서 처음에 만곡되게 시작하여 선체 중앙쪽으로 직각으로 되게 돌출되게 하향 돌출되었으나, 하향될수록 폭이 넓은 쐐기형상으로 변환된다. 또한 슬라이딩 스텝은 선미측을 향하여 서로 계단을 이루기 시작하지만 후미 부분은 동일하게 끝나고, 선박중앙 평면에 인접한 내단부는 좀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내측에 있는 슬라이딩 스텝은 가장 긴 반면에 외측에 있는 슬라이딩 스텝은 가장 짧고 선미측에 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딩 스키드는 각 슬라이딩 스키드의 유효 슬라이딩 스텝면이 선미측으로 갈수록 좁아들었기 때문에 동적 트림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데 미흡하다.
독일특허 제31 36 715호에 알려진 고속보트는 그 자체의 성능이 우수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초고속에서는 선미가 도수편보다 낮아질 정도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최대속도에서도 선체가 가능한 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구동역을 낮추어야 했다. 선창이 보트의 홀수선 상부에 위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지의 보트에 있어서는 최대 속도보다 낮은 예정된 속도에서만 소위 수려학적 트림을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형태의 고속보트의 경우에 있어서 최대 속도를 내는 수력학적 트림을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고속보트는 선수(1), 선미(2) 양측벽(3) 및 선저면(5)을 갖는 저면판(4)으로 된 선체로 구성된다. 선체 중앙부 저면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슬라이딩 스키드(6)가 배설되어 있다. 양측 슬라이딩 스키드(6)는 선체 중앙부에서 상호 대칭으로 되게 배설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1도에서는 4개의 슬라이딩 스텝(6a)(6b)(6c)(6d)이 설명되었다. 슬라이딩 스텝(6a)(6b)(6c)(6d)는 선체 중앙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된 단부(7)에서 선저면(5)의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높게 되어 있고, 하향 돌출되게 경사진 곡면부(7a)에서 중앙의 수평부(7b)로 이어져 있다. 슬라이딩 스텝(6a)(6b)(6c)(6d)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측면(8)과 수직 측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는 슬라이딩면(9)을 갖는다. 단면으로 보았을때 슬라이딩 스텝(6a)(6b)(6c)(6d)들은 외측으로 하나씩 단계져 있으며 내측에 위치하는 스텝이 높게 깊게 돌출되어 있다. 단부(7)는 후측을 향하여 계단형을 이루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스텝이 보다 전방측에 형성되고 모든 슬라이딩 스텝(6a)(6b)(6c)(6d)들이 선미(2)측까지 연장되었다.
선체 중앙부 평면 부위에 위치하는 선체 선단부의 선저면(5)에는 용골스텝(11)들을 갖는 용골 스키드(10)가 형성되어 있다.
모든 용골스텝(11)의 선단부(12)는 서로 거의 같은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중앙의 용골스텝(11a)은 보다 높게 돌출된 곡면부(13a)를 갖고 있고 다음의 용골스텝(11b)은 보다 평면에 가까운 곡면부(13b)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스텝(6a)(6b)(6c)(6d)들과 마찬가지로 용골스텝(1)들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측면(14)과 이 측면(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된 슬라이딩 면(15)을 갖는다. 용골스텝(11a)은 두 용골스텝(11b) 사이에 쐐기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용골 스텝(11a)의 후단은 보다 넓은 용골 스텝면(16)에 연결되며, 넓은 용골 스텝면(16)의 후단은 선저면(5)으로 연결되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스텝(6a)의 후단도 슬라이딩 스텝(6b) 후단과 합쳐져서 넓은면(17)을 형성한다.
슬라이딩 스키드(16)와 용골 스키드(10) 사이에는 공기 통로(20)가 형성되는바, 이러한 공기통로(20)는 독일특허 제20 59 08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보트 선체의 선수(1)와 측벽(3a)(3b)에는 독일 특허 제31 36 71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도수편(18)이 돌출되어 있다. 이 도수편(18)은 선수(1)에서 돌출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아아취형이 되게 연장되었으며 보트 측벽(3a)(3b)에서는 쐐기 형태로 연결된다.(제8도 참조) 이 도구편은 선수(1)를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도, 제3도 및 제5도) 또한 이 도수편은 선수 부분의 저면판(4)을 연장시켜 형성하고 이 도수편(18)의 저면에 용골 스키드(10)와 슬라이딩 스키드(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선저면(5)에는 보트의 중앙부에서부터 선미(2)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19)가 형성되는 바, 이 경사부(19)는 선저면(5)에서 서서히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사부(19)에서는 양력이 발생되는 바, 이 양력으로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고 수면으로부터 선미(2)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경사부(19)의 길이와 표면 크기 및 그 경사 각도 β는 곡면부(7a)(13a)(13b)의 길이와 표면 크기 및 그 경사각도 α(제1도)와 관계되고 또한 슬라이딩 스텝(6a)(6b)(6c)(6d), 용골스텝(11a)(11b) 및 공기통로(20)의 쐐기형 구조와는 관계될 뿐아니라 도수편(18)의 표면 크기와도 관계된다. 이와같이 형성하면 보트는 어떠한 속도에서도 수면에 수평으로 되거나 또는 수면에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스키드(6)(10)와 공기통로(20)의 곡면부(7a)(13a)(13b)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되는 양력은 보트의 선수측에 작용하는 반면에 경사부(19)에 압력을 가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된 양력은 보트의 선미측에 작용하여 선수측 양력을 보상한다. 따라서 양력의 동적인 부력중심은 보트의 수면에 대한 수평위치에 놓이는 위치에 자동적으로 놓이게 된다. 수면에 대하여 수평 위치에 놓인 보트는 속도 또는 유속이 증가하면 수면으로부터 더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면 고속에서도 보트의 선미(2)측은 수면에 "달라 붙지"않게 된다.
경사부(19)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미 부분에서 슬라이딩 스텝에 동일하게 경사부(21)를 형성할 수 있다.(제1도 및 제2c도 참조) 한편 제2a도와 제2b도는 선미부분에 상승형(제2a도) 또는 수평형(제2b도)의 스키드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경사부(21)는 둘 이상의 슬라이딩 스텝(6a)(6b)(6c)(6d)가 선미측에서 서로 합쳐져 넓은면(17)을 형성할때에 효과적이다(제4도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며, 용골 스키드(10)는 선미측의 하향 경사부(22)로 이어져 후단 연부(23)가 상승되게 형성된다.(제3도 및 제4도) 특히, 본 발명의 경사부(19)는 보트에 대한 물의 상대적인 흐름이 있을때에 도수편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발생된 양력을 보상하게 된다.
경사부(21)는 요구된 양력에 대하여 상승효과를 부여하므로서 이들 경사부는 선박의 조타 효과를 보강한다. 슬라이딩 스텝은 익열 영향과 같이 물이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되도록 외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익열 영향은 경사부(21)부분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선체 측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저향력은 선수측을 향한 것보다 크게 된다. 방향타가 작동될 때에는 공지된 바와같이 보트가 먼저 선회방향, 즉 방향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연속하여 원심력이 작용하여 보트는 선회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제1의 경사상태에서 보트가 선회 방향으로 진행하면 선회측에 보다 큰 익열효과가 발생되고 이와함께 외측으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보트에 작용하는 보다 큰 힘이 합하여 지는바, 이 힘은 선미측에서 보트에 가하여지므로 조타 효과를 보강한다. 따라서 보트는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반경은 보다 작아질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경사부(19)를 지지하는 장치가 선체 중앙부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축성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하향 설치되고 경사부(19)의 시작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이 장치는 경사부(19)가 보다 깊은 하향 위치에 놓이도록 기계적 수단이나 모우터로 조절할 수 있는 쐐기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장치를 사용하면 보트의 다른 응력부분에 대한 양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딩 스텝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구조로 하되 용골 스텝에 대하여서는 다른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 모우터 보트는 공지된 펌프-세트 구동장치를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펌프-제트 구동장치는 보트의 저면 하측에서 터어빈 휠에 의하여 물을 흡인한다. 쿼터 밴드에서 물은 보트의 저면 하측에서 약 15°의 각도로 다시 방출되기 위한 에너지로 전환된다. 이 펌프-제트 구동장치는 소위 웰 샤프트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는 보트의 저면에 위치하며 엔진의 힘은 전진방향 구동은 물론이고 어떤 방향으로도 제어될 수 있는 추진력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펌프-제트 구동장치가 구비된 보트는 고도의 기동성을 갖는다. 종래 펌프-제트 구동장치를 갖는 고속보트의 장비는 보트의 저면에서 충분한 수압을 발생할 수 없었으므로 문제성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부(19), 특히 조절 가능한 경사부에 의하여 수압이 증가되므로 펌프-제트 구동장치의 작동에 가장 적당한 상태가 달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보트에 펌프-제트 구동장치(24)가 설치된 예를 보인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인 슬라이딩 스키드(6)의 실시 형태는 선미측의 슬라이딩 스텝에 두 개의 펌프-제트 구동장치가 사용될 때에 특히 적당한 것이다. 슬라이딩 스텝(6b)는 펌프-제트 구동장치(24)가 배설되는 선미측이 다른 슬라이딩 스텝보다 비교적 넓다. 이 슬라이딩 스텝(6b)는 상기 언급된 바와같은 경사부(21)를 갖는다. 이러한 슬라이딩 스텝의 두 외측연부에 보트의 중앙에서 거의 시작되어서 후방측으로 하향 연설된 쐐기형의 가이드바(25)가 배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바(25)는 높은 유속을 가져오고 구동장치(24)부분의 수압을 증가시킨다. 가이드바(25)는 펌프-제트 구동장치(24)의 직전까지 형성되었다. 가이드바(25)가 설치될때는 경사부(21)를 보다 깊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경사부(19)(21)(22)는 보트의 선수측에 있는 보트의 구 형재 선단에서 시작되지 않고 종방향의 중앙부분, 예를들어 보트의 저면판(4)으로 부터 상승경사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측부에서 보면 전방으로 연장된 구형재 선단이 아아취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거의 사인곡선에 유사하게 되고 선수측 구형재 선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경사부가 보다 가파르게 하측으로 만곡 형성된다.
제1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3도, 제5도 및 제9c도는 정상적인 측면도라고는 할 수 없으나 경사부(19)가 단일선으로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보여주기 위하여 보트가 물위에 정지된채 떠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보트의 무게와 보트의 저면에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용골스키드(10)와 슬라이딩 스키드(6)의 전방 경사부(각 α) 또는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홀수선(26)의 상부에 위치하고(제9c도) 선단연부와 저면판(4)의 종방향 중앙부분 사이의 영역이 수중에 잠기게 된다. 저면판(4)의 종방향 중앙부분 영역에서 모든 스키드는 수중에 잠긴다. 또한 구형재 선단 또는 전방으로 연장된 선저면(5)은 저면판(4)의 선단부로부터 저면판(4)의 거의 종방향 중앙 부분까지 홀수선(26)의 상부에 위치하여 저면판(4)의 종방향 중앙부와 홀수선(26) 사이가 좁은 쐐기 모양으로 된다. 구형재와 선저면(5)이 수중에 잠기면 선저면은 경사부(19)와 마찬가지로 저면판(4)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후측을 향하여 더 연장되게 된다. 제9c도는 고속에 의하여 홀수선(26a)이 더 낮아진 것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경사부(19)는 분명히 홀수선(26)의 하측에 있어야 하며, 이는 이들이 항상 물에 젖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보트가 떠 있는 상태가 제9b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9b도들은 제9c도와는 달리 보트 선체의 각 위치는 제9a도와 제9c도의 동일한 해당 위치에 있는 특정 지점을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경사부(19)의 최소한 일부분은 수중에 잠기고 슬라이딩 스키드(6)의 외측 스텝은 그 일부가 홀수선(26)의 상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부의 단면도는 제9b도는 하부에 도시한 단면도와는 달리 이러한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슬라이딩 스키드의 스텝(6d)은 홀수선의 상부에 놓인 반면에 경사부(19)는 수중에 놓여 있다.
경사부(19)의 배열에 관계되는 이러한 스키드 배열은 보트가 항해중이고 보트선체가 전방으로 피칭 될때 경사부(19)에 동적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선체가 수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물이 스키드(6d)의 표면에 부딪치기는 하나 스키드(6d)가 물에 잠기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여 떠 있도록 하므로서 보트가 거의 수평으로 떠오른 상태에서 향해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는 홀수선이 홀수선(26a)와 같이되는 상대적인 하향위치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경사부(19)가 수중에 위치하면 향해중에 물의 동적인 압력이 경사부(19)의 대각선 방향에서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트가 롤링(Rolling)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키드(10) (6)의 연부가 선체 중앙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Claims (18)

  1. 선저면(5)에는 양측에 슬라이딩 스텝(6a,6b,6c,6d)을 갖는 슬라이딩 스키드(6)와 용골 스텝(11)을 갖는 용골 스키드(10)가 배설되고, 슬라이딩 스키드(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체에 도수편(18)이 착설된 보트에 있어서, 선저면(5)이 선체의 종방향 중앙부로부터 선미로 이어지는 선미 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19)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보트.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9)가 선저면(5)에서 턱이 없이 상승되게 형성된 바의 고속보트.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9)가 다수의 연속된 경사부로 구성되고, 각 연속 경사부는 종래의 것보다 큰 경사각도 β를 갖는 바의 고속보트.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9)가 요입되게 아아취형으로 형성된 바의 고속보트.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9)의 경사각도 β가 슬라이딩 스텝(6a,6b,6c,6d)의 경사각도 α와 거의 같은 바의 고속보트.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스텝(6a,6b,6c,6d)가 선미측에 경사부(21)를 갖고 있는 바의 고속보트.
  7. 청구범위 제6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슬라이딩 스텝(6a,6b,6c,6d)이 선미 영역에서 서로 합쳐져 보다 넓은면(17)을 형성하는 바의 고속보트.
  8.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용골 스키드(10)가 선미 부분의 상향 돌출된 후단부(23)에서 끝나는 역 경사부(22)를 갖는 바의 고속보트.
  9.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19)가 선박중앙 평면을 가로 지르는 수평축상에 설치되고 보트의 저면에서 하향 회동되게 설치된 장치에 배치된 바의 고속보트.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경사부(19)가 기계적으로 또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쐐기형의 부품에 배치된 바의 고속보트.
  11.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펌프-제트 구동장치(24)가 구비된 바의 고속보트.
  12. 청구범위 제6항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슬라이딩 스텝(6a,6b,6c,6d)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선저면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후측까지 하향 돌설된 쐐기형의 가이드바(25)를 갖는 바의 고속보트.
  1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경사부(19)(21)(22)가 보트의 선수 부분의 경사부보다 가파르게 하향 경사진 바의 고속보트.
  1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보트가 정적 또는 동적인 상태로 물에 떠 있을때 홀수선에 이르는 보트의 저면에 작용하는 양력과 보트의 하중의 용골 스키드(10)와 슬라이딩 스키드(6)의 선수측 경사부의 최소한 일부가 홀수선(26)의 상부에 위치하고 저면판(4)의 선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영역이 물에 잠기며 전방측의 선저면(5)은 저면판(4)의 선단부로부터 저면판(4)의 종방향 중앙부 부근까지 홀수선(26)의 상부에 위치하여 저면판(4)의 종방향 중앙부에 이르는 부분과 이 홀수선(26)이 좁은 쐐기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되었고 공기 통로의 천장 또는 선저면(5)의 잠수시에 선저면(5)이 잠수부위부터 저면판(4)의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9)를 형성하는 바의 고속보트.
  15.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정적인 또는 동적인 부양위치에서 경사부(19)가 항상 수중하에 배설되는 바의 고속보트.
  16.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경사부(19)의 적어도 일부가 항상 수중에 위치하는 바의 고속보트.
  17.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스키드(6)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스텝(6d)이 홀수선(26)위에 위치하도록 된 고속보트.
  18.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스키드(10,6)와 이들의 스텝의 측연부가 선체 중앙부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바의 고속보트.
KR1019860008547A 1985-10-11 1986-10-11 고속 보트 KR910000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536408.4 1985-10-11
DE19853536408 DE3536408A1 (de) 1985-10-11 1985-10-11 Schnellaufendes boot
GBP3536408.4 1985-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17A KR870003917A (ko) 1987-05-06
KR910000633B1 true KR910000633B1 (ko) 1991-01-31

Family

ID=628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547A KR910000633B1 (ko) 1985-10-11 1986-10-11 고속 보트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858549A (ko)
EP (1) EP0218260B1 (ko)
JP (1) JP2620622B2 (ko)
KR (1) KR910000633B1 (ko)
CN (1) CN1004065B (ko)
AT (1) ATE60740T1 (ko)
AU (1) AU585656B2 (ko)
BR (1) BR8604993A (ko)
CA (1) CA1303431C (ko)
DD (1) DD250098A5 (ko)
DE (2) DE3536408A1 (ko)
DK (1) DK485786A (ko)
ES (1) ES2020177B3 (ko)
FI (1) FI91733C (ko)
GR (1) GR3001903T3 (ko)
MY (1) MY100063A (ko)
NO (1) NO176089C (ko)
NZ (1) NZ217888A (ko)
PH (1) PH26716A (ko)
PL (1) PL154559B1 (ko)
PT (1) PT83524B (ko)
YU (1) YU173986A (ko)
ZA (1) ZA867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1551A1 (fr) * 1987-10-13 1989-04-14 Brognon Gerard Catamaran a grande vitesse
FR2641516A2 (fr) * 1987-12-24 1990-07-13 Dejoux Andre Perfectionnements aux flotteurs des planches a voile libre catamaran
DE9000582U1 (ko) * 1990-01-20 1990-03-22 Luebecker Bootswerft Fritz Staack & Co., 2400 Luebeck, De
DE4204110A1 (de) * 1991-09-21 1993-03-25 Leopold Jaegers Schiff
GB9325762D0 (en) * 1993-12-16 1994-02-23 Paragon Mann Ltd Boat
JPH07312566A (ja) * 1994-05-18 1995-11-28 Yaesu Musen Co Ltd キー受付音発生無線機
FR2742118B1 (fr) * 1995-12-07 1998-01-16 Castelain Claude Voute presentant un certain type de retrecissement pour carene destinee a tous engins de deplacement ou de loisir utilisable sur l'eau, quel que soit leur mode de propulsion
SE9700691L (sv) * 1997-02-26 1998-08-27 Volvo Penta Ab Båtskrov
WO2006007054A2 (en) * 2004-05-06 2006-01-19 Errecalde George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operable with improved drag and lift
ITMI20130153A1 (it) * 2013-02-04 2014-08-05 Claudio Gariboldi Imbarcazione provvista di scafo migliorato
CN103523154A (zh) * 2013-10-30 2014-01-22 青岛科技大学 一种h型减阻船及工作原理
AU2014397128A1 (en) * 2014-06-11 2017-01-12 Monotricat Srl C.R. Hull for low drag boa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4908A (en) * 1936-05-09 1937-11-09 White & Co Ltd Samue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gh speed boats
US3137261A (en) * 1962-05-17 1964-06-16 Harold C Noe Boat hull
FR1536220A (fr) * 1967-03-28 1968-08-16 Amélioration aux principes d'hydroplanage
US3404651A (en) * 1967-05-05 1968-10-08 Rexall Drug Chemical Boat-trimming vane mechanism
GB1199658A (en) * 1968-05-29 1970-07-22 Francis Williamson Crosby Boat Hull of the Planing Type
NO136743C (no) * 1969-12-23 1977-11-02 Wilhelm Boden Glideb}t.
AU456662B2 (en) * 1971-01-13 1975-01-09 Leonard Dirk Stolk Improved air cushioned planing hull
DE2524913A1 (de) * 1975-06-05 1976-12-16 Eckes Wasserstrahlantrieb fuer schnelle schiffe
US4055140A (en) * 1976-01-15 1977-10-25 Kirchhan James J Jet drive boat cover
GB2060505B (en) * 1979-10-11 1984-11-28 Walker H Watercraft
FR2502104A1 (fr) * 1981-03-20 1982-09-24 Delcourt Didier Nouvelle architecture navale applicable a la construction de coques de bateaux ou de tous engins flottants
DE3136715A1 (de) * 1981-09-16 1983-03-31 Wilhelm Dr. 2341 Kopperby Boden Schnellaufendes boot
DE3206773A1 (de) * 1982-02-25 1983-09-01 Wilhelm Dr. 2340 Kappeln Boden Surfbrett
FR2571330B1 (fr) * 1984-10-10 1990-06-01 Const Navales Ste Fse Coque de navire perfectionnee
US4603650A (en) * 1984-10-15 1986-08-05 Bjoern Tord Boat, the bottom of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ownwardly opening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485786D0 (da) 1986-10-10
EP0218260B1 (de) 1991-02-06
DE3536408C2 (ko) 1991-05-23
US4858549A (en) 1989-08-22
FI864100A0 (fi) 1986-10-10
ZA867720B (en) 1988-01-27
NO864046L (no) 1987-04-13
FI864100A (fi) 1987-04-12
DK485786A (da) 1987-04-12
AU6355086A (en) 1987-04-16
JP2620622B2 (ja) 1997-06-18
CN1004065B (zh) 1989-05-03
NO176089B (no) 1994-10-24
CN86107540A (zh) 1987-06-10
GR3001903T3 (en) 1992-11-23
FI91733B (fi) 1994-04-29
MY100063A (en) 1989-08-18
NO176089C (no) 1995-02-01
JPS62116385A (ja) 1987-05-27
PL154559B1 (en) 1991-08-30
NO864046D0 (no) 1986-10-10
FI91733C (fi) 1994-08-10
DE3536408A1 (de) 1987-04-16
BR8604993A (pt) 1987-07-14
PH26716A (en) 1992-09-15
EP0218260A2 (de) 1987-04-15
YU173986A (en) 1989-02-28
DE3677448D1 (de) 1991-03-14
ATE60740T1 (de) 1991-02-15
PT83524A (en) 1986-11-01
KR870003917A (ko) 1987-05-06
NZ217888A (en) 1989-03-29
DD250098A5 (de) 1987-09-30
ES2020177B3 (es) 1991-08-01
PT83524B (pt) 1991-03-20
PL261800A1 (en) 1988-01-21
AU585656B2 (en) 1989-06-22
EP0218260A3 (en) 1988-02-10
CA1303431C (en)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626A (en) Planing motor boat hull
US5184561A (en) Planing pontoon boat
US4672905A (en) Boat hull with center V-hull and sponsons
US3937164A (en) High speed water craft apparatus
US10518842B1 (en) Boat hull
KR910000633B1 (ko) 고속 보트
KR101738180B1 (ko) 단차형 선체와 외부 핀을 가진 선박
JPS6271787A (ja) ハイドロクラフト
FI75532C (fi) Fartyg.
US3709179A (en) High speed boat
US3342154A (en) Boats
US4708077A (en) Hull shapes for surface effect ship with side walls and two modes of operation
US9873486B2 (en) Air chamber hull
US6138602A (en) Catamaran--V boat hull
USRE33359E (en) Planing catamaran vessel
US6925953B1 (en) Levitation and stabilizing hull system
US4802428A (en) Planing catamaran vessel
US5794558A (en) Mid foil SWAS
US5645008A (en) Mid foil SWAS
US4031841A (en) Controlled air film hull for watercraft
JPH0238434B2 (ko)
US5317982A (en) Ship
KR0183951B1 (ko) 고속 선박용 선체
JP2812686B2 (ja) 滑水式双胴船
US3773006A (en) Hull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