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34Y1 -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34Y1
KR910000334Y1 KR2019880002415U KR880002415U KR910000334Y1 KR 910000334 Y1 KR910000334 Y1 KR 910000334Y1 KR 2019880002415 U KR2019880002415 U KR 2019880002415U KR 880002415 U KR880002415 U KR 880002415U KR 910000334 Y1 KR910000334 Y1 KR 910000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uspension
shaft
central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423U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유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유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2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34Y1/ko
Publication of KR890017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4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A-A′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분해사시도.
제4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확대정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대 2,2a : 고정현가구
3 : 중앙현가구 4 : 평형현가구
5 : 탄성고무링 6 : 부싱
7 : 축 8,8a : 겹판스프링
9,9a : 차축 10,10a : 차축지지대
11,11a : U형 보울트 12 : 고정현가 아암
13 : 중심구멍 14 : 고정키
15 : 보울트
본 고안은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특수차량인 트레일러가 도로를 주행할 때 트레일러 차대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완충해주기 위한 겹판스프링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현가장치의 중요부품인 부싱을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의 현가 장치는 차축을 프레임 또는 차체에 연결시켜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더불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퀴의 상,하진동을 완충하여 가능한 한 차체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사람 및 화물 등을 보호하고, 또 바퀴의 불규칙한 도로접촉으로 야기되어지는 진동을 억제하여 주행을 안정되게 하면서도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바, 즉 컨테이너와 같은 하중이 큰 물체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특수차량인 트레일러에 설치된 현가장치는, 차대의 앞쪽에 고정부착된 전방현가구와 차대의 뒷끝쪽에 고정부착된후 방현가구 및 이들 전,후방 현가구 사이에 고정부착된 중앙현가구에 차축과 연결된 겹판스프링이 겹쳐져 고정되어 있되, 상기 겹판스프링의 한쪽은 각각 전,후방현가구에 견지되고, 나머지 한쪽은 중앙현가구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평형현가구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트레일러가 도로를 따라 주행할때, 바퀴에서 차축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일부는 상기 겹판스프링에 의해 흡수되어지고 그 나머지 잔여진동은 겹판스프링과 연결된 평형현가구로 전달되어, 이 평형현가구와 중앙현가구가 서로 상대운동을 하면서 평형현가구의 중심구멍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탄성고무가 약간의 비틀림회전을 하면서 상기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평형현가구의 중심구멍에 탄성고무링과 이 탄성고무링속에 접착되어 있는 부싱이 끼워져 있고, 이 부싱의 내부구멍에 끼워진 원형축이 중앙현가구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평형현가구로 잔여진동이 전달될 경우, 평형현가구가 중앙현가구에 대해 회전하여 상대운동을 함과 더불어 탄성고무링이 접착된 부싱과 원형축이 따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 중앙현가구 부분에서 잔여진동을 완복하게 흡수해주지 못하게 되어 현가장치 전체의 내구력을 저하시킴은 물론 차대와기타 부품의 내구력에도 상당히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앙현가구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중앙현가구에 설치되어 있는 평형현가구의 탄성고무링에 의해 완벽하게 흡수되어 질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형현가구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탄성고무링이 장착된 축을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평형현가구를 지지하는 중앙현가구에 서로 동일한 다각형의 축구멍을 형성정렬시키고, 이 정렬된 축구멍 사이에 걸림턱과 키홈을 갖춘 다각형의 축을 삽입하여 평형현가구와 중앙현가구를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다각형축은 키홈에 끼워지는 고정키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음에 따라 겹판 스프링으로부터 평형현가구로 전달되는 진동이 이 평형현가구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탄성 고무링에 의해 흡수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러한 흡수작용은 상기 평형현가구가 중앙현가구에 대해 다각형의 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평형현가구 전체가 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탄성고무링과 평형현가구 및 부싱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진동을 흡수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차대(1)의 하면 양쪽에 각각 1개씩의 고정현가구(2,2a)가 고정설치되고, 이 양쪽고정현가구(2,2a)의 중앙에는 중앙현가구(3)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현가구(3)에는 평형현가구(4)가 탄성고무링(5)와 부싱(6) 및 축(7)을 매개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양쪽 고정현가구(2,2a)와 평형현가구(4) 사이에는 각 양쪽의 끝이 고정현가구(2,2a)와 평형현가구(4)에 고정되어 있는 겹판스프링(8,8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겹판스프링(8,8a)의 중앙부에는 차축(9,9a)이 지지되는 차축지지대(10,10a)가 U형 보울트(11,11a)로 체결되어 있고, 이들 차축지지대(10,10a)중의 1개는고정현가구(2)와 고정현가아암(12)을 매개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1개의 차축지지대(10a)는 중앙현가구(3)와 신축현가아암(12a)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서 평형현가구(4)를 중앙현가구(3)에 설치시켜주는 중간매개물인 탄성고무링(5)과 부싱(6) 및 축(7)의 관계는, 먼저 바깥원주면서 탄성고무링(5)이 끼어져 고정부착되어 있으면서 중심부에 다각형의 축구멍(6a)이 형성되어져 있는 부싱(6)이 평형현가구(4)의 중심부에 뚫려져 있는 중심구멍(13) 속에 억지 맞춤으로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중앙현가구(3)에도 부싱(6)에 형성된 축구멍(6a)과 동일한 형태의 다각형 지지구멍(3a,3b)이 뚫려져 있어, 상기 축구멍(6a) 및 지지구멍(3a,3b)과 동일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7)이 정렬된 이 지지구멍(3a,3b)과 부싱(6)의 축구멍(6a) 및 지지구멍(3b)을 차례로 관통삽입하여 상기 중앙현가구(3)에 대해 평형현가구(4)를 지지해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7)은 중앙현가구(3)의 지지구멍(3a,3b)과 부싱(6)의 축구멍(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이의 한쪽끝에 걸림턱(7a)이 돌출형성되고, 반대쪽 끝에는 키홈(7b)이 형성되어 이축(7)이 중앙현가구(3)의 지지구멍(3a,3b)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키(14)가 상기 축(7)의 키홈(7b)속에 장착되어 축(7)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한편, 상기 고정키(14)는 보울트(15)에 의해 중앙현가구(3)의 몸체에 고정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트레일러가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바퀴에서 발생하게 되는 진동이 각 차축(9,9a)을 통해 이 차축(9,9a)과 연결되어 있는 겹판스프링(8,8a)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순간적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쪽의 겹판스프링 “-”자형으로 펴어지면서 평형현가구(4)가 중앙현가구(3)에 대해 약간회동하게 됨에 따라, 이 겹판스프링의 반대쪽 겹판스프링은 활모양으로 더욱 굽혀지게 되고, 또 한쪽 겹판스프링(8a)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현가아암(12a)이 신축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축(9,9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상기 각각의 겹판스프링(8,8a)이 탄성변형되면서 1차적으로 일부가 흡수되고 그 잔여진동은 겹판스프링이 탄성 변형되면서 양쪽의 겹판스프링(8,8a)과 연결되어 있는 평형현가구(4)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평형현가구(4)는 이의 중심구멍(13)에 억지끼워맞춤 되어 있는 탄성고무링(5)를 갖춘 부싱(6)과, 축(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되지만, 상기 부싱(6)과 중앙현가구(3)가 각형(角型)의 축(7)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축(7)을 중심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억지 맞춤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부싱(6)을 중심으로 미소량만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때의 평형현가구(4)의 회전력을 부싱(6)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고무링(5)이 흡수하게되어 결국 평형현가구(4)에 가해지는 진동의 일부를 이탄성고무링(5)이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상태를 제4b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평형현가구(4)가 중앙현가구(3)에 탄성고무링(5)과 부싱(6) 및 다각형의 축(7)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평형현가구(4)는 상기 다각형의 축(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평형현가구(4)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구멍(13)의 내주면과 이 중심구멍(13)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부싱(6)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고무링(5)의 외주면사이에서만 변위가 가능해지게 됨에 따라, 평형현가구(4)에 가해지는 회전력(진동에 의한)에 의해 평형현가구가 “ø”만큼의 변위로 비틀림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탄성고무링(5)을 탄성변위시키면서 잔여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는 평형현가구(4)를 중앙현가구(3)에 대해 다각형의 축(7)을 매개하여 연결시켜 줌에 따라 평형현가구(4)의 회전상태를 제어하여 겹판스프링(8,8a)으로부터 중앙현가구(3)로 전달되는 잔여진동을 평형현가구(4)에 삽입되어 있는 부싱(6)의 탄성고무(5)가 “ø”만큼의 변위로 비틀림 회전운동을 하면서 흡수하게 되어 있어, 진동흡수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현가장치 전체의 내구력이 향상됨은 물론 안전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대(1)하면 양쪽에 각각 1개씩의 고정현가구(2,2a)가 고정설치하고, 이 양쪽고정현가구(2,2a)의 중앙에 중앙현가구(3)가 고정설치되며, 이중앙현가구(3)에는 평형현가구(4)가 탄성고무링(5)과 부싱(6) 및 축(7)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싱(6)의 중심부에 다각형의 축구멍(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현가구(3)의 몸체에도 이 축구멍(6a)과 동일한 형태의 다각형 지지구멍(3a,3b)이 뚫려 있으며, 이들 구멍(6a,3a,3b) 사이로 걸림턱(7a)과 키홈(7b)이 형성된 축(7)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차대의 현가장치.
KR2019880002415U 1988-02-24 1988-02-24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KR910000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415U KR910000334Y1 (ko) 1988-02-24 1988-02-24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415U KR910000334Y1 (ko) 1988-02-24 1988-02-24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23U KR890017423U (ko) 1989-09-06
KR910000334Y1 true KR910000334Y1 (ko) 1991-01-18

Family

ID=1927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415U KR910000334Y1 (ko) 1988-02-24 1988-02-24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23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57429A (ja) ねじり力ブッシング装置
KR910000334Y1 (ko) 트레일러 차대의 스프링현가장치
US2337281A (en) Damping and cushioning device for springs
KR20030048780A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JPS5824290B2 (ja) デイフアレンシヤルキヤリアの支持装置
KR100300717B1 (ko) 자동차의뒤2축식고무서스펜션
US11890906B2 (en) Vehicle suspension spring device and vehicle suspension system having the same
JPS59216703A (ja) 車輪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19990058556A (ko) 자동차의 뒤 2축식 토션바 서스펜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200260362Y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241931B1 (ko) 트럭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41750B1 (ko) 차량용현가장치
KR200146414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00735981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890002855Y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0137695Y1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100348058B1 (ko) 트럭의 토션 바아 아암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