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9301A -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9301A
KR900019301A KR1019900006638A KR900006638A KR900019301A KR 900019301 A KR900019301 A KR 900019301A KR 1019900006638 A KR1019900006638 A KR 1019900006638A KR 900006638 A KR900006638 A KR 900006638A KR 900019301 A KR900019301 A KR 90001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ember according
key
binding memb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225B1 (ko
Inventor
피이.로오 죠셉
엠.뮬렌 쥬니어. 토머스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디이. 제미슨
헤이코 모울디드 프러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디이. 제미슨, 헤이코 모울디드 프러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디이. 제미슨
Publication of KR90001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38Assembling or joining by stringing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sulato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케이블결속부재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케이블결속부재의 제1부위가 제2부위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Claims (72)

  1. 케이블이 관통되게 수납되는 몸체를 갖추면서 이 몸체에 힌지수단을 매기로 결합된 제1, 2부위(11, 12)가 갖춰지고, 상기 제1부위(11)에는 키이(14)와ㅏ 헤드(19) 및 그리퍼수단이 갖춰짐과 더불어 상기 제2부위(12)에는 헤드(23)와 결합구멍(26), 그리펏단 및 상기 제1, 2부위(11, 12)가 상호 체결시켜지도록 상기 결합구멍(26)내에 형성된 래치수단이 갖춰져, 이 래치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키이(14)가 결합구멍(26)에 끼워져 케이블을 지지해주게 되고, 상기 그리퍼수단이 이 그리퍼수단과 상기 헤드(19, 23)사이에 패널개구부의 벽에 끼워결합되도록 하나의 부재로 플라스틱 성형된 케이블 결속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상기 래치수단과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래치수단과 결합되어지는 스토퍼(1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사기 스토퍼(15)가 캠면(16)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제1부위(11)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결합구멍(26)내에서 대체로 U자형 또는 S자형상으로 긴밀히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이 다수의 힌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이 결속부재(10)의 앞,뒷쪽에 각각 하나씩 갖춰진 힌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상기 키이(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굽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속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와 제1부위(11)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으면서 바깥쪽으로 각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가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31)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5. 제10항 또는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 31)가 각각 1개의 이상의 돌출부(18, 3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1개 이상의 돌출부(18)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체결되면 결속부재(10)가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어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위(11, 12)가 상호 보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된 하나이상의 컬럼(28)과 개구부(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1개 이상의 컬럼(29)과 개구부(21)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1개 이상의 컬럼(29)과 개구부(21)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키이(14)의 안쪽 선단에 인접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상기 결합구멍(26)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키이(14)의 바깥쪽 선단에 인접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체결되면 결속부재(10)가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위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가 제1, 2부위(11, 12)에 갖춰진 핑거(17, 31)와 헤드(19, 23)사이에서 패널개구부의 벽에 끼워져 결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에 다수의 그리퍼(31)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의 제1, 2부위(11, 12)사이에 상호동작하도록 된 지지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에 제2부위(12)와 상호동작하도록 된 지지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키이(14)상에 갖춰진 제2스토퍼(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제2부위(12)에 갖춰진 지지돌기(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43)가 회전되면서 제2스토퍼(41)와 상호 걸려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위(11, 12)중 한쪽에 갖춰진 헤드(23)와 커버(61)가 형성되고, 이 커버(61)가 부싱(60)의 몸체가 패널개구부에 끼워지기전에 케이블의 방향을 바꿔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70)에 폭이 좁은 키이(71)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결속부재.
  38. 케이블이 관통되게 수납될 수 있도록 된 몸체를 갖추면서 이 몸체에 힌지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제1, 2부위(11, 12)가 갖춰지고, 상기 제1부위(11)에는 키이(14)와 헤드(19) 및 그리퍼수단을 갖춰짐과 더불어 상기 제2부위(12)에는 헤드(23)와 결합구멍(26), 그리퍼수단 및 상기 제1, 2부위(11, 12)를 상호체결하도록 상기 결합구멍(26)내에 형성된 래치수단이 갖춰진 결속부재(10)를 사용해서, 상기 케이블을 몸체에 관통되게 끼워줌과 더불어, 제1, 2부위(11, 12)를 나란히 위치시킨 다음, 래치수단으로 상호 체결시켜 상기 케이블을 결합구멍 (26)에 끼워지지시켜놓은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10)을 패널 개구부에다 체결하도록 된 결속부재 설치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상기 래치수단과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상기 래치수단과 결합되도록 된 스토퍼(1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5)가 캠면(16)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가 제1부위(11)의 폭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결합구멍(26)내에서 대체로 U자형 또는 S자형상으로 긴밀히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이 다수개의 힌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이 결속부재(10)의 앞, 뒤쪽에 각각 하나씩의 힌지(1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상기 키이(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굽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17)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제1부위(11)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으면서 바깥쪽으로 각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31)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31)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2. 제42항 또는 제5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 31)가 각각 1개 이상의 돌출부(18, 3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가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핑거(17)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7)가 하나이상의 돌출부(18)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부싱(10)이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위(11, 12)가 상호 보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된 1개 이상의 컬럼(28)과 개구부(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1개 이상의 핀(22)과 개구부(27)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이 상호동작하도록 하나이상의 컬럼(29)과 개구부(2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상기 키이(14)의 안쪽 선단에 인접설치된 것을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위(12)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상기 구멍(26)의 아래쪽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11)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상기 카이(14)의 바깥쪽 선단에 인접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부싱(10)이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위에 갖춰진 그리퍼수단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이 제1, 2부위(11, 12)에 갖춰진 핑거(17, 31)와 헤드(19, 23)사이에서 패널개구부의 벽에 끼워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가 패널개구부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에 다수개의 그리퍼(31)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6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14)에 제2부위(12)와 상호동작하도록 된 지지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키이(14)상에 갖춰진 제2스토퍼(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71.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제2부위(12)상에 갖춰진 지지돌기(43)로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43)가 회전되면서 제2스토퍼(41)와 상호 걸려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의 설치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06638A 1989-05-10 1990-05-10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KR94000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1,387 1989-05-10
US351387 1989-05-10
US07/351,387 US4913385A (en) 1989-05-10 1989-05-10 Self-locking strain relief bushing for variable panel thicknesse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301A true KR900019301A (ko) 1990-12-24
KR940004225B1 KR940004225B1 (ko) 1994-05-17

Family

ID=2338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638A KR940004225B1 (ko) 1989-05-10 1990-05-10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13385A (ko)
JP (1) JP2525928B2 (ko)
KR (1) KR940004225B1 (ko)
CN (1) CN1023249C (ko)
BR (1) BR9000656A (ko)
CA (1) CA1328302C (ko)
DE (2) DE9002505U1 (ko)
FR (1) FR2646883B1 (ko)
GB (1) GB2233167B (ko)
IT (1) IT1240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139A (en) * 1992-05-26 1993-09-07 Heyco Molded Products, Inc. Lay in strain relief bushing for variable wire sizes
JP2763062B2 (ja) * 1993-01-29 1998-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ボルト締め型の高密度多極コネクタ用カバー
DE4303738C2 (de) * 1993-02-03 2002-10-24 Siemens Ag Abdeckung für das mit einem Stecker versehene Ende eines Kabelbaumes
FR2774221B1 (fr) * 1998-01-27 2000-04-14 Legrand France Boitier a encastrer dans une quelconque paroi, notamment pour appareil electrique
US6676176B1 (en) * 2000-09-29 2004-01-13 Siemens Energy & Automation Enclosure for industrial controls
US6707000B2 (en) * 2001-08-24 2004-03-16 Illinois Tool Works Inc. Consumables storage box
DE10324682B4 (de) * 2003-05-30 2007-06-21 Cab Tec Gmbh Kunststoff-Tülle als Halteeinrichtung für elektrische Kabel
US9371948B2 (en) 2013-08-14 2016-06-21 Heyco, Inc. Liquid-tight connector
PL3103175T3 (pl) 2014-03-28 2021-12-13 Heyco Products Corp. Szczelny dla cieczy odprężacz
US10573436B2 (en) * 2014-03-28 2020-02-25 Heyco Products Corp. Liquid-tight strain relief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3604A (en) * 1951-08-07 Strain belief bushing
US2895003A (en) * 1955-03-21 1959-07-14 Illinois Tool Works Strain relief grommet
US2974186A (en) * 1958-10-03 1961-03-07 Heyman Mfg Company Inc Strain relief bushing
US3290430A (en) * 1966-01-28 1966-12-06 Heyman Mfg Co Angle strap strain relief bushings
US3464659A (en) * 1967-11-30 1969-09-02 Heyman Mfg Co Strain relief bushing
US3493205A (en) * 1968-06-26 1970-02-03 Thomas & Betts Corp Bushing with strain relief
GB1253986A (en) * 1968-12-03 1971-11-17 John Holt Nichol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shings or grommets
GB1333669A (en) * 1971-05-05 1973-10-10 Lec Refrigeration Ltd Electric cable strain relief bush
DE7125299U (de) * 1971-07-01 1971-10-21 Simon H Klemme zur Befestigung von Kabeln in Gehäusedurchbrüchen
GB1418634A (en) * 1972-01-14 1975-12-24 Plastic Seals Ltd Clamping devices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the like
US4034944A (en) * 1973-05-18 1977-07-12 Eaton Corporation Strain-relief bushing
JPS5014154U (ko) * 1973-06-07 1975-02-14
GB1442169A (en) * 1973-10-15 1976-07-07 Plastic Seals Ltd Bushing or grommet devices
US4000875A (en) * 1974-06-11 1977-01-04 Heyman Manufacturing Company One-piece strain relief bushing with independent holding means
JPS5436302Y2 (ko) * 1975-07-01 1979-11-02
US3958300A (en) * 1975-10-10 1976-05-25 Nifco Inc. Plastic device for clamping and holding a length of electric cord
JPS5724032Y2 (ko) * 1977-01-26 1982-05-25
NL7900023A (nl) * 1979-01-03 1980-07-07 Weckesser Co Trekontlastende doorvoerisolator.
EP0058739B1 (de) * 1981-02-13 1985-02-20 Hans Simon Kabeldurchführung mit Zugentlastung
US4493467A (en) * 1982-03-25 1985-01-15 Illinois Tool Works, Inc. Strain relief
JPS5922329A (ja) * 1982-07-29 1984-02-04 Nec Corp 半導体ウエハの研摩用ポリシヤ
JPS59166319U (ja) * 1983-04-22 1984-11-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コ−ドブツシユ
JPS6052683U (ja) * 1983-09-16 1985-04-13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ドブツシング
JPH0229629Y2 (ko) * 1985-03-11 1990-08-09
GB2183405B (en) * 1985-11-25 1989-10-04 Plastic Seal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the like
US4729534A (en) * 1986-10-23 1988-03-08 Micro Plastics, Inc. Strain relief bushings
GB8814968D0 (en) * 1988-06-23 1988-07-27 Electrolux Northern Improvements in electric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138A (zh) 1990-11-21
GB2233167A (en) 1991-01-02
GB9006153D0 (en) 1990-05-16
CA1328302C (en) 1994-04-05
JP2525928B2 (ja) 1996-08-21
US4913385A (en) 1990-04-03
DE4006712C2 (ko) 1993-01-28
IT1240060B (it) 1993-11-27
JPH02312114A (ja) 1990-12-27
KR940004225B1 (ko) 1994-05-17
BR9000656A (pt) 1991-01-15
FR2646883B1 (fr) 1994-11-25
DE4006712A1 (de) 1990-11-15
FR2646883A1 (fr) 1990-11-16
IT9020236A0 (it) 1990-05-08
DE9002505U1 (ko) 1990-06-13
IT9020236A1 (it) 1991-11-08
GB2233167B (en) 1994-01-19
CN1023249C (zh)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9301A (ko) 케이블결속부재와 그 설치방법
CA2260429A1 (en) Locking clip system for securing panels together
JPS6012510B2 (ja) ラッチのストライク受け具
KR880009852A (ko) 납작한 물품의 직사각형 저장용기
EP0626668B1 (en) Front panel attach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764641B1 (ko) 클립 체결 구조
KR0131458Y1 (ko) 힌지 핀
KR840002714Y1 (ko) 장신구용 조임쇠
GB2191813A (en) Device for mounting at least one elongate member
KR100324038B1 (ko) 창문용 개폐 슬라이더
JPH046433Y2 (ko)
KR200170547Y1 (ko) 사물함의 시건장치
KR0138047Y1 (ko) 루프 패널의 보강 장치
KR980001731A (ko) 자동차의 후드 록 장치
KR0129623B1 (ko) 자동차 도어의 스트라이커
KR960003751Y1 (ko) 차량용 범퍼의 결합구조
KR970004859Y1 (ko) 차량의 필러리드 록크구조
KR200343957Y1 (ko) 다이어리 잠금장치
KR910007223Y1 (ko) 차량의 번호판 결착 판넬
KR20060059595A (ko) 연료도어의 흔들림 방지 구조
KR0129890Y1 (ko) 자동차의 스크류 체결용 다우얼 구조
KR970001831Y1 (ko) 자물쇠 체결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JPH055604Y2 (ko)
KR900002344Y1 (ko) 냉장고 도어용 캠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