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00Y1 -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00Y1
KR0124300Y1 KR2019930026869U KR930026869U KR0124300Y1 KR 0124300 Y1 KR0124300 Y1 KR 0124300Y1 KR 2019930026869 U KR2019930026869 U KR 2019930026869U KR 930026869 U KR930026869 U KR 930026869U KR 0124300 Y1 KR0124300 Y1 KR 0124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cover
fastened
screw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55U (ko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6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00Y1/ko
Publication of KR950019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9/00Screwed connection with deformation of nut or auxiliary member whil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스크류로 체결하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와, 스크류로 이루어진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스크류로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피체결부재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스크류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폐색되며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회동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대체로 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커버지지부가 형성된 스크류커버와, 상기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스크류를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공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스크류가 완전하게 체결될 경우 하강되지 않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멈춤돌기가 형성된 스크류지지부재와, 상기 스크류치지부재의 하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중앙에 스크류공이 천공되고 이 스크류공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상하 방으로 돌출된 탄성부가 형성된 한쌍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본 고안은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스크류로 체결하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스크류로서 체결한 후 스크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스크류커버를 별도로 분해 혹은 조립함이 없이 스크류로서 체결부재와 피체결부재를 체결 혹은 분해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스크류로서 체결할 경우 스크류가 외관으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는, 피체결부재(1)의 스크류공(1a)에 체결부재(2)의 스크류공(2a)을 일치시킨 후 스크류(3)로서 피체결부재(1)와 체결부재(2)를 체결한다.
또, 스크류(3)로서 피체결부재(1)와 체결부재(2)를 체결한 후에는 스크류(3)가 노출되지 않도록 스크류커버(5)에 돌설된 걸림돌기(B)를 체결부재(2)의 걸림홈(2b)에 삽입하여 스크류커버(5)를 체결부재(2)에 조립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를 상기 스크류(3)로서 조립한 후, 상기 스크류(3)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류커버(5)를 상기 체결부재(2)에 조립시켜야 하므로써 작업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도중에 상기 스크류커버(5)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스크류로서 체결한 후 스크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스크류커버를 별도로 분해 혹은 조립함이 없이 스크류로서 체결부재와 피체결부재를 체결 혹은 분해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는, 피체결부재와, 상기 피체결부재와 조립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피체결부재를 체결시키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스크류로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피체결부재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스크류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폐색되며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을 지지 점으로 회동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대체로 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커버지지부가 형성된 스크류커버와, 상기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스크류를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공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스크류가 완전하게 체결될 경우 하강되지 않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멈춤돌기가 형성된 스크류지지부재와, 상기 스크류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중앙에 스크류공이 천공되고 이 스크류공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상하 방으로 돌출된 탄성부가 형성된 한쌍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의하면, 스크류를 체결할 경우에는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고 스크류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폐색되어 스크류가 외부로 들어나지 않게 되므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체결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체결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분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체결부재 2 : 체결부재
3 : 스크류 5 : 스크류커버
5a : 절결부 5b : 걸림부
5c : 힌지축 5d : 커버지지부
6 : 스크류지지부재 6a : 스크류공
6b : 멈춤돌기 7 : 탄성부재
7a : 스크류공 7b : 탄성부
8 : 탄성부재 8a : 스크류공
8b : 탄성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체결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체결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분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1)은 피체결부재이고, (2)는 상기 피체결부재(1)와 조립되는 체결부재이며, (3)은 상기 체결부재(2)와 상기 피체결부재(1)를 체결시키는 스크류이다.
또, (5)는 상기 스크류(3)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스크류(3)로서 상기 체결부재(2)와 상기 피체결부재(1)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스크류(3)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폐색되는 스크류커버로서,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2)에 체결되는 힌지축(5c)이 돌출되고 상부는 상기 힌지축(5c)을 지지 점으로 회동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절결부(5a)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부(5b)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대체로 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커버지지부(5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커버(5)의 절결부(5a)의 전단은 상기 스크류(3)를 체결시키는 드라이버가 용이하게 입출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6)은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스크류(3)를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3)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스크류지지부재로써,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3)가 삽입되는 스크류공(6a)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스크류(3)가 완전하게 체결될 경우 하강되지 않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멈춤돌기(6b)가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의 하부에는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한쌍의 탄성부재(7)(8)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탄성부재(7)(8)에는 상기 스크류(3)가 통과되도록 중앙에 스크류공(7a)(8a)이 천공되고 이 스크류공(7a)(8a)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상하방으로 돌출된 탄성부(7b)(8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가 상기 스크류(3)에 의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가 상부방향으로 부세되고,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는 상기 스크류커버(5)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5b)를 밀게 된다.
또, 상기 걸림부(5b)가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써 상기 스크류커버(5)는 상기 힌지축(5c)을 중심으로하여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3)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3)를 조이면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가 압압되면서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의 하부에 배설된 상기 탄성부재(7)(8)의 탄성부(7a)(8a)가 압압되게 된다.
또, 상기 탄성부재(7)(8)의 탄성부(7a)(8a)가 압압되면 상기 스크류커버(5)의 커버지지부(5d)가 눌려지게 되어 상기 스크류커버(5)가 상기 힌지축(5c)을 지지점으로 제5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점차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가 상기 스크류(3)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의 걸림돌기(6a)가 상기 스크류커버(5)의 커버지지부(5d)에 간섭되게 되면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가 상기 스크류(3)에 의해 완전하게 체결되게 되고, 상기 스크류(3)는 더 이상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스크류(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가 완전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드라이브를 빼내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커버(5)는 상기 탄성부재(7)(8)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완전하게 폐쇄되므로써 상기 스크류(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로부터 상기 피체결부재(1)를 분해할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를 상기 스크류커버(5)의 절결부(5a)를 통해서 삽입하면 상기 스크류커버(5)는 상기 힌지축(5c)을 지지점으로하여 제6도에 도시한 실선과 같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커버지지부(5d)는 상기 탄성부재(8)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3)를 풀기시작하면, 상기 스크류커버(5)의 커버지지부(5d)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탄성부재(8)의 탄성부(8b)가 복원되면서 상기 커버지지부(5d)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주게 됨과 동시에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1)가 분해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체결부재(1)와 상기 체결부재(2)가 완전하게 분해되면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는 상기 스크류커버(5)의 걸림부(5b)에 간섭되어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는 상기 스크류커버(5)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써 상기 스크류커버(5)및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의하면, 스크류를 체결할 경우에는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개방되고 스크류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스크류커버의 상부가 폐색되어 스크류가 외부로 들어나지 않게 되므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체결부재(1)와, 상기 피체결부재(1)와 조립되는 체결부재(2)와, 상기 체결부재(2)와 상기 피체결부재(1)를 체결시키는 스크류(3)로 이루어진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스크류(3)로서 상기 체결부재(2)와 상기 피체결부재(1)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스크류(3)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패색되며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2)에 체결되는 힌지축(5c)이 돌출되고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5c)을 지지 점으로 회동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절결부(5a)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걸림부(5b)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대체로 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커버지지부(5d)가 형성된 스크류커버(5)와,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스크류(3)를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3)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3)가 삽입되는 스크류공(6a)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스크류(3)가 완전하게 체결될 경우 하강되지 않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멈춤돌기(6b)가 형성된 스크류지지부재(6)와, 상기 스크류지지부재(6)의 하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스크류커버(5)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중앙에 스크류공(7a)(8a)이 천공되고 이 스크류공(7a)(8a)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상하 방으로 돌출된 탄성부(7b)(8b)가 형성된 한쌍의 탄성부재(7)(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커버(5)의 절결부(5a)의 선단은, 상기 스크류(3)를 체결시키는 드라이버가 용이하게 입출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KR2019930026869U 1993-12-08 1993-12-08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KR0124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69U KR0124300Y1 (ko) 1993-12-08 1993-12-08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69U KR0124300Y1 (ko) 1993-12-08 1993-12-08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55U KR950019555U (ko) 1995-07-24
KR0124300Y1 true KR0124300Y1 (ko) 1999-03-30

Family

ID=193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869U KR0124300Y1 (ko) 1993-12-08 1993-12-08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55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95669B6 (cs) Kryt s krycím členem
KR0124300Y1 (ko)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JP2737701B2 (ja) 筐体の開閉構造
KR100623256B1 (ko) 도어용 댐퍼장치
KR19990017993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KR940000766Y1 (ko) 튜너샤시의 rf 콘넥터 결합구조
JP3072498B2 (ja) ヒンジ
KR970006731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도어핸들
KR200143706Y1 (ko)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KR200143357Y1 (ko) 부채
KR200257264Y1 (ko) 캐비닛용 경첩
KR100204655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US5901414A (en) Stud-pintle assembly for bail stop
KR970003279Y1 (ko)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KR013295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 노브 결합구조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820000249Y1 (ko) 시계측부의 결합 구조
KR100426276B1 (ko) 용이한 조립구조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KR0137158B1 (ko) 차량 윈도우의 레귤레이터 핸들
KR960006252Y1 (ko) 텔레비죤 셋트의 도어구조
KR880000317Y1 (ko) Tv수상기용 도어완충 개폐장치
KR930000257Y1 (ko) 착탈식 손잡이
KR20010086238A (ko) 차량용 도어 지지 버튼
KR940007080Y1 (ko) 프로젝션 티브 프레임 고정장치
KR200151621Y1 (ko) 패널결합용 고정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